KR20060032546A -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546A
KR20060032546A KR20040081514A KR20040081514A KR20060032546A KR 20060032546 A KR20060032546 A KR 20060032546A KR 20040081514 A KR20040081514 A KR 20040081514A KR 20040081514 A KR20040081514 A KR 20040081514A KR 20060032546 A KR20060032546 A KR 20060032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ditional information
server
voice
called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8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211B1 (ko
Inventor
정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시드
Priority to KR2004008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21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2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자나 착신자의 요구에 따라 전송된 음성메시지나 문자메시지를 중요도를 나타내는 키워드와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음성 및 문자메시지를 상호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른 메시지 유형의 선택이 자유롭도록 하고, 호접속이나 메시지 전송시 자동으로 기설정한 URL이 첨부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높힌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메시지 및 해당 음성메시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입력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서버측으로 해당 "키워드"에 대한 음성데이터 입력 및 그 전송처리를 행하는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와,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키워드"를 수신하여 화면 출력하기 위한 착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간의 음성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중계를 행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를 통칭하여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버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인식 및 문자변환 처리를 통해 수신한 "키워드"의 문자데이터를 착신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SMS서버와; 상기 발신자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신 호를 접수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의 호접속시도를 행하며, 그 호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메시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키워드"입력 모드로의 변환처리를 행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변환처리하고, 해당 키워드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를 매개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 제어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음성통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발신자나 착신자의 설정에 따라 해당 메시지의 형태를 소망하는 바대로 변경하거나, 각종 부가정보를 첨부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활용성이 높아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MOBILE DEVICE HAVING AN ATTACH INFORMATION FORWARDING FUNCTION AND ATTACH INFORMATION FORWARD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발신자 설정)를 도시한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착신자 설정)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발신자 설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착신자 설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An:발신자단말기, B1∼Bn:착신자단말기,
C1∼Cn:착신자PC, MCS:이동통신서버,
SMSS:SMS서버, MS:메일서버,
AITS:부가정보전송서버.
본 발명은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발신자나 착신자의 요구에 따라 전송된 음성메시지나 문자메시지를 중요도를 나타내는 키워드와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음성 및 문자메시지를 상호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른 메시지 유형의 선택이 자유롭도록 하고, 호접속이나 메시지 전송시 자동으로 기설정한 URL이 첨부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높힌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콘텐츠와 솔루션의 개발과 전자 통신기술의 접목을 통해, 최근에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 바, 이는 유저에게 보다 편리하고 보다 정확하며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경우, 그 개발이 진척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다수의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아래에 몇가지 개발되어야 할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기로 한다.
첫째로, 특정 발신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착신자에게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남기는 경우에, 발신자는 사고, 사망 등 긴급한 음성메시지를 남겼음에도 불 구하고 착신자가 다른 급한 일을 처리하는 중이라서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출력을 차순위로 미룰 수 있으나 이에 대한 편의서비스는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로, 특정 발신자가 서버에 접속하여 특정 착신자에게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남기는 경우에, 착신자의 단말기 상황이나 지리적인 여건이 인터넷 통신은 가능하나 모바일 통신이 불가한 상황일 수 있으나 이러한 음성메시지에 대한 인터넷 통신으로의 제공은 전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로, 착신자의 상황이 회의나 영화 관람, 소음이 많은 장소 등에 위치하여, 문자메시지에 대한 출력은 가능하나, 음성메시지에 대한 청취는 불가능한 상황인 경우, 이에 대한 부가 편의서비스는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로, 착신자가 운전중이거나 하여, 문자메시지에 대한 확인은 불가능하나, 음성메시지에 대한 청취는 가능한 상황에서 문자메시지의 음성변환이 이루어지는 편의서비스는 착신자에게 전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문자데이터에 대한 자신의 음성데이터의 첨부 등, 이모티콘 등의 특수문자에 대한 음성변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다.
다섯째로, 최근에는 미니 개인 홈페이지 등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각종 동영상 등 방대한 용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용량이 커지면서, 모바일 블로그나 모바일 미니 홈페이지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 자신의 모바일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착신자에게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는 편의서비스는 전무한 상태이며, 일일이 착신자에게 전화를 걸어서 불러주거나, 메신저 등을 통해 자신의 모바일 홈페이지 정보를 알려줘야되는 불편함이 있었 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전송시에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키워드를 해당 음성메시지와 함께 연동시켜 착신자측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착신자의 출력선택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전송시에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성메시지를 착신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문자메시지로 변환하여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의중이나, 영화관 등의 소음이 심한 곳이나, 단말기를 이용한 송수화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 이용할 수 있게 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전송시에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성메시지를 착신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문자메시지로 변환하여 기설정된 착신자의 메일주소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메시지를 서버에서 음성으로 변 환하여 착신자의 서버 접속을 통해 해당 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자가 운전 중이거나 하여 문자메시지 확인이 불가한 상황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자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시, 문자 메시지 전송시, 음성 메시지 전송시에 자동으로 기설정한 발신자 URL이 첨부되도록 함으로써 URL 알림 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메시지 및 해당 음성메시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입력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서버측으로 해당 "키워드"에 대한 음성데이터 입력 및 그 전송처리를 행하는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와,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키워드"를 수신하여 화면 출력하기 위한 착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간의 음성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중계를 행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를 통칭하여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버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인식 및 문자변환 처리를 통해 수신한 "키워드"의 문자데이터를 착신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SMS서버와; 상기 발신자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신호를 접수하여, 해당 착신 자 단말기로의 호접속시도를 행하며, 그 호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메시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키워드"입력 모드로의 변환처리를 행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변환처리하고, 해당 키워드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를 매개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 제어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그 내부에 상기 이동통신 서버 및 SMS서버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로토콜 매칭 등의 신호처리를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된 발신자 단말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처리부(AUC)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메시지 녹음프로세서와; 음성메시지 녹음시 상기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키워드"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내멘트 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음성입력된 "키워드" 및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는 키워드 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음성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인식을 행하는 공지의 음성인식 프로세서와; 상기 음성인식 프로세서와 연동되어 인식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SMS 작성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그 처리 프로세서에 대한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 정보, 발신자가 입력 한 음성데이터 및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의 저장 및 해당 음성데이터의 도착정보를 착신자단말기로 전송처리하고, 해당 음성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안내 및 그 전송을 통해 상기 SMS서버를 통해 해당 "키워드"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메시지 입력시에 사용된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자동으로 "키워드"에 대한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신자단말기로부터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호접속시도 신호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호접속 요구신호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인가받아 호접속 시도를 행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호접속실패시 해당 발신자 단말기로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입력 전송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발신자 단말기로 해당 음성메시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 입력여부에 대한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키워드"를 음성데이터의 형태로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키워드"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전송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음성인식 프로세서를 통해 해당 키워드 를 나타내는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키워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데이터 패킷을 SMS 서버를 매개로 착신자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워드 데이터 패킷은 그 내부에 착신자 단말기 번호와, 발신자 단말기 번호, 키워드 데이터가 포함되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호응답 부재시, 해당 착신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 가능한 음성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전송/저장하며, 자동으로 SMS 작성모드로 변경되고, 해당 모드창에서 해당 음성데이터를 나타내는 "키워드"의 별도 SMS 입력을 통해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화번호의 입력과, 문자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문자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버튼을 갖추고 있는 바, 음성메시지 입력후 해당 음성메시지 내용을 나타내는 별도의 "키워드"입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음성 메시지 입출력 상태를 도시하고, "키워드" 입력설정에 대한 키조작상태 및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 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박형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표시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키조작에 의한 음성메시지 전송처리를 행하고, 키입력부의 "키워드" 입력선택에 따라 SMS 입력모드로 자동 변환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키워드" 입력에 대한 키신호 입력시, 별도의 키신호 없이 음성메시지의 기녹음 대상인 착신자 단말기 번호 및 발신자 단말기 번호가 SMS 입력모드창에 자동 입력되도록 처리되게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호접속실패시 안내멘트에 따라 발신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메시지가 입력 전송되는 과정과; 해당 발신자 단말기가 자동으로 해당 음성메시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 입력여부에 대한 안내멘트를 기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통해 문자데이터의 형태인 "키워드"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착신자 단말기번호, 발신자 단말기 번호, "키워드"데이터를 포함한 키워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지가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 패킷을 SMS 서버를 매개로 착신자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전송할 음성메시지를 입력하고, 그 음성메시지에 대한 문자변환 제어키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 처리하는 착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간의 음성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중계를 행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를 통칭하여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버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의 사이에서 문자메시지의 중계를 행하는 SMS서버와; 상기 발신자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신호를 접수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의 호접속시도를 행하며, 그 호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메시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기입력된 음성메시지를 인식하고, 그 문자 변환 처리를 행하며, 문자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SMS서버를 매개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 제어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그 내부에 상기 이동통신 서버 및 SMS서버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로토콜 매칭 등의 신호처리를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된 발신자 단말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처리부(AUC)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메시지 녹음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음성 입력된 음성메시지에 대한 음성인식을 행하는 공지의 음성인식 프로세서와; 상기 음성인식 프로세서와 연동되어 인식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SMS 작성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그 처리 프로세서에 대한 경로를 설 정하는 경로 설정부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 정보, 발신자가 입력한 음성데이터 및 해당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경한 문자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의 저장 및 해당 음성데이터의 도착정보를 착신자단말기로 전송처리하고, 해당 음성메시지를 문자 변경한 문자데이터는 상기 SMS서버를 통해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키제어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특정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음성 인식하고, 문자데이터로 변경하여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 제어할 수 있게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발신자 단말기의 호접속 실패시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안내멘트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한 음성메시지에 대한 문자메시지 변환 키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음성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SMS 서버를 매개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에 대한 음성/문자변경 신호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를 통해 발생할 수도 있도록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에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전송할 음성메시지를 입력하고, 그 음성메시지에 대한 문자변환 및 이메일 전송을 위한 제어키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 및 문자데이터를 이메일 포맷으로 전송받아 출력 처리하는 착신자 PC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부가정보 전송서버간의 음성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중계를 행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를 통칭하여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버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PC간의 사이에서 이메일 데이터를 중계를 행하는 메일서버와; 상기 발신자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신호를 접수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의 호접속시도를 행하며, 그 호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메시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기입력된 음성메시지를 인식하고, 그 문자 변환 처리를 행하며, 문자 변환된 데이터를 이메일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고, 해당 이메일 데이터를 상기 메일서버를 매개하여 특정 착신자의 URL로 전송처리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 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이메일 데이터 포맷 생성시, 입력받은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변경처리하지 않고, 압축된 음성데이터 포맷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발신자 단말기의 호접속 실패시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안내멘트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한 음성메시지에 대한 이메일 전송 키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음성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이메일 포맷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메일서버를 매개하여 이메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인가된 이메일 전송 키신호 대신에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이메일 전송 키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착신자의 URL로 이메일 전송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기전송받은 문자메시지에 대한 음성메시지로의 변경요청 키신호를 인가받아, 문자메시지를 인식하여 음성메시지로의 변경하고, 해당 음성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측으로 출력되게 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와 연동되어 그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요청에 따라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데이터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전송하는 SMS 서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특정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SMS서버로 문자메시지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SMS 서버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특정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부가정보 전송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문자메시지에 대한 음성 변환요구 키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SMS 서버로부터 해당 문자메시지에 대한 전송요구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SMS 서버로부터 해당 문자메시지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해당 음성메시지를 전송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SMS서버로 문자메시지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과 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해당 문자메시지에 대한 음성 변환요구 키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샘플 보이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보이스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SMS 서버로 해당 문자메시지에 대한 전송요구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SMS 서버로부터 해당 문자메시지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발신자가 선택한 보이스로 이루어진 음성메시지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해당 음성메시지를 전송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발신자 단말기가 부가정보 전송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URL 첨부 키신호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URL 설정모드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특정 URL 데이터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에 URL을 연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호접속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호접속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발신자 단말기와 연계된 URL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 번호와 URL을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자 단말기에서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와 URL을 화면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2, 3,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음성메시지 부가 전송서비스에 대한 구축을 위한 구성 및 그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으로써,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전송시에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키워드를 해당 음성메시지와 함께 연동시켜 착신자측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착신자의 출력선택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다.
즉, 착신자의 상황에 따라 음성메시지 도착여부에 대한 통보가 이루어져도 착신자가 해당 음성메시지 출력을 차순위로 미룰 수 있으므로 긴급한 음성메시지의 경우, 별도의 키워드를 문자데이터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음성데이터에 대한 긴급한 출력을 종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그 내부에 특정 착신자 단말기(B1∼Bn) 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한 호응답 부재시,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를 통해 출력 가능한 음성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전송/저장하며, 해당 음성메시지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입력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서버측으로 해당 "키워드"에 대한 음성데이터 입력 및 그 전송처리를 행하는 발신자 단말기(A1∼An)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 도착여부에 대한 문자데이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가 별도로 전송한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키워드(예컨대, 사고, 병원입원, 결혼, 사망 등)"를 수신하고, 화면 출력하기 위한 착신자 단말기(B1∼Bn)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와 착신자 단말기(B1∼Bn)간의 음성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중계를 행하는 이동통신 서버(MCS)가 구비되는 바, 상기 이동통신 서버(MCS)는 통상의 기지국(미도시)과,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서버가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인식 및 문자변환 처리를 통해 전송한 "키워드"의 문자데이터를 착신자 단말기(B1∼Bn)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SMS서버(SMSS)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SMS서버(SMSS)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음성통화망을 통해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NO. 7망이라는 전용망을 통해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이며, 그 SMS서버(SMSS)는 후술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의 내부에 부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상기 발신자단말기(A1∼An)로부터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신호를 접수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로의 호접속시도를 행하며, 그 호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측으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메시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키워드"입력 모드로의 변환처리를 행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변환처리하고, 해당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SMSS)를 매개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 제어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음성인식을 위한 프로세서와; 인식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내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이동통신 서버(MCS)의 내부에 구성되도록 하거나, 별도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의 안내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에서 입력한 키신호를 통해, 기입력한 음성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 워드"를 음성으로 입력하고, 해당 "키워드"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문자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SMS서버(SMSS)를 매개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함으로써, 착신자가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키워드"를 화면 출력하여 해당 음성메시지의 긴급성 여부를 즉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이동통신 서버(MCS) 및 SMS서버(SMSS)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로토콜 매칭 등의 신호처리를 위한 통신모듈(2)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2)을 통해 접속된 발신자 단말기(A1∼An)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처리부(AUC)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메시지 녹음프로세서(8)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음성메시지 녹음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측으로 안내멘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내멘트 처리 프로세서(10)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음성메시지 녹음프로세서(8) 및 안내멘트 처리 프로세서(1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단, 상기 안내멘트 처리 프로세서(10)의 경우에는 기녹음한 음성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별도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멘트 절차가 그 프로세서 내부에 포함되어져 있다.
즉, "음성녹음이 완료된 경우 *를 눌러주십시오."라는 안내멘트 뒤에, "키워드를 남기시려면, 1번을 누르시고, 남기지 않으시려면 종료버튼을 클릭하여 주십시 오."라는 별도의 안내멘트 전송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입력된 "키워드" 및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는 키워드 처리 프로세서(12)가 저장되는 바,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와 발신자 단말기(A1∼An)와 호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키워드"가 음성 입력되므로 이에 대한 데이터 필터링을 행하고, 착신자 단말기 번호는 최초 음성메시지 작성을 위해 접속 시도한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상기 "키워드"와 함께 저장 처리한다.
한편,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인식을 행하는 공지의 음성인식 프로세서(16)가 포함되어져 있으며, 상기 음성인식 프로세서(16)와 연동되어 인식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SMS 작성 프로세서(14)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키워드"에 대한 SMS를 전송받을 착신자는 상기 키워드 처리 프로세서(12)에 기입력된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그 처리 프로세서에 대한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의 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B1∼Bn) 정보, 발신자가 입력한 음성데이터 및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의 저장 및 해당 음성데이터의 도 착정보를 착신자단말기(B1∼Bn)로 전송처리하고, 해당 음성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안내 및 그 전송을 통해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해당 "키워드"를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6)가 구비되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한 발신자 단말기(A1∼An)의 호접속 실패로부터 비롯된다.
즉,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 오프,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호접속 불응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하는 바,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의 입력여부 선택에 대한 안내멘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전송하는 안내멘트는 음성메시지의 종료를 나타내는 키입력과, "키워드" 입력을 나타내는 키입력을 각각 구분하여 상기 발신자가 그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키워드" 입력요구신호에 대한 키신호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키신호 이후에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키워드"로 인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전송받은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 프로세서(16)와 SMS 작성 프로세서(14)를 통해 음성인식하고, 문자로 변환한다. 그리고, 해당 "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가 통신 가능상태가 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는 상기 SMS서버(SMSS)로부터 우선적으로 "키워드" 데이터를 SMS 형태로 전송받게 되며, 또한,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음성메시지 도착 여부에 대한 통보데이터를 접수받게 된다.
이때, 착신자는 상기 "키워드"를 통해 서버에 도착한 음성데이터의 긴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키워드"가 "동생 사고, 아버지 사망 등" 위급성을 나타내는 문자일 경우에는 해당 음성데이터의 청취를 우선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가 "안부, 놀자 등"의 긴급성을 요하지 않는 문장인 경우에는 해당 음성메시지의 청취를 차순위로 미룰 수도 있는 음성메시지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특정 발신자가 특정 착신자에 대해 음성통화를 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의 번호를 입력하고, 호접속요구에 해당하는 키입력(SEND)을 행한다.
그러면, 해당 발신자 단말기(A1∼An)의 키신호는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을 형성하여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착신자 단말기(B1∼Bn)로 호접속을 시도하는 바,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거나,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모드로 변경되면서, 경고음과 더불어 음성메시지 녹음을 실행한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특정 음성메시지가 입력되고, 그 종료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의 입력여부 선택에 대한 안내멘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전송하는 안내멘트는 음성메시지의 종료를 나타내는 키입력과, "키워드" 입력을 나타내는 키입력을 각각 구분하여 상기 발신자가 그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키워드" 입력요구신호에 대한 키신호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키신호 이후에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키워드"로 인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전송받은 "키워드"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 프로세서(16)와 SMS 작성 프로세서(14)를 통해 음성인식하고, 문자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키워드"로 입력된 음성데이터 패킷내에 포함된 발신자 단말기 번호 및 음성메시지를 녹음할 때 첨부된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 "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데이터와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상기 SMS서버(SMSS)로 전송하여, 상기 SMS 서버(SMSS)를 통해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가 통신 가능상태가 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는 상기 SMS서버(SMSS)로부터 우선적으로 "키워드" 데이터를 SMS 형태로 전송받게 되며, 또한,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음성메시지 도착 여부에 대한 통보데이터를 접수받게 된다.
따라서, 착신자는 착신자 단말기(B1∼Bn)로 입력된 음성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의 확인을 통해 그 음성메시지의 긴급성을 판단하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호접속을 시도하여 기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신자가 녹음한 음성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그 음성메시지의 도착전송 통보메시지와 별개로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하는 기본 기능은 동일하나, 그 처리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서 행하는 것이 아니고, 발신자 단말기(A1∼An)에서 행하도록 하는 예를 나타내는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내부에는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의 기능 변경 및 추가를 통해 음성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전송을 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그 내부에 특정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한 호응답 부재시,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를 통해 출력 가능한 음성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전송/저장하며, 자동으로 SMS 작성모드로 변경되어, 해당 음성데이터 내용의 "키워드"를 별도의 SMS 입력을 통해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하기 위한 발신자 단말기(A1∼An)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는 단말기 내부에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프로세스가 완료된 상태에서, 키워드를 입력할 것인지를 질의하고, 키워드 입력에 대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음성메시지 입력모드는 종료시키면서 자동으로 SMS 입력모드창을 화면 출력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에 구비된 키입력부(20)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화번호의 입력과, 문자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문자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버튼을 갖추고 있는 바, 음성메시지 입력후 해당 음성메시지 내용을 나타내는 별도의 "키워드"입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키입력부(20)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음성 메시지 입출력 상태를 도시하고, "키워드" 입력설정에 대한 키조작상태 및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박형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키입력부(20)의 음성메시지 녹음모드와 연계된 "키워드" 입력모드의 표시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1. 음성메시지 종료, 2. 키워드 첨부설정을 위한 표시를 수행한다. 따라서, 각각의 숫자키를 입력함으로써 "키워드" 입력기능을 실행하거나, "키워드"입력 기능의 실행없이 음성메시지 녹음을 마칠 수 있도록 한다.
동도면에서, 듀플렉서(26)는 안테나(24)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부(28)는 상기 안테나(24)와 듀플렉서(26)를 통해서 상대방측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16)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며, 상기 송신부(30)는 상기 마이크로폰(36)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부재메시 지 설정모드에 따라 설정된 코드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링 및 증폭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32)는 상기 수신부(28)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방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스피커(34)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36)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30)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38)는 저장 메시지 개수 설정 및 그 삭제 대기시간 설정모드 하에서 선택이 가능한 저장 메시지 개수 및 삭제 대기시간의 선택정보에 대한 코드정보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고, 제어부(40)는 상기 키입력부(20)의 키조작에 의한 음성메시지 전송처리를 행하고, 키입력부(20)의 "키워드" 입력선택에 따라 SMS 입력모드로 자동 변환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키워드" 입력에 해당하는 코드신호가 인가되면 음성메시지 전송기능을 종료시키고, 자동으로 SMS 입력모드창이 상기 표시부(2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이때, 별도의 키신호 없이 음성메시지 녹음 대상인 착신자 단말기 번호 및 발신자 단말기 번호가 SMS 입력모드창에 입력되도록 처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한 발신자 단말기(A1∼An)의 호접속 실패에 따른 음성메시지 입력시, 그 음성메시 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음성메시지와는 다른 통신망을 이용하여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즉,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 오프,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호접속 불응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이동통신서버(MCS)의 안내멘트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메시지의 입력시, 해당 음성메시지의 도착여부에 대한 통보메시지를 착신자가 화면 출력함과 동시에, 해당 음성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인 바,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자 단말기(A1∼An)만의 기능변경 내지는 기능추가를 통해 해당 "키워드" 입력을 단순화시킴으로써 편리하게 발신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 오프,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호접속 불응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이동통신서버(MCS)의 안내멘트를 통해 음성메시지의 입력을 완료하게 되면, 그 완료신호를 발신자 단말기(A1∼An)의 제어부(40)가 판단하여, 자동으로 "키워드"를 입력할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한다.
만약,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통해 "키워드"입력모드로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는 SMS 문자 입력모드 화면창을 출려기키고, 상기 이동통신서버(MCS)에 대해 음성메시지를 녹음한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SMS 문자입력 모드 화면창에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SMS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SMSS)로 전송처리한다. 따라서, 착신자가 해당 음성메지지의 중요도를 함께 전송 된 "키워드"를 통해 확인하여 긴급하게 해당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특정 발신자가 특정 착신자에 대해 음성통화를 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의 번호를 입력하고, 호접속요구에 해당하는 키입력(SEND)을 행한다.
그러면, 해당 발신자 단말기(A1∼An)의 키신호는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MCS)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서버(MCS)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착신자 단말기(B1∼Bn)로 호접속을 시도하는 바,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거나,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상기 이동통신서버(MC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서버(MCS)는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모드로 변경되면서, 경고음과 더불어 음성메시지 녹음을 실행한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특정 음성메시지가 입력되고, 그 종료 키신호가 입력되면, 그 완료신호를 발신자 단말기(A1∼An)의 제어부(40)가 판단하여, 자동으로 "키워드"를 입력할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의 여부를 질의한다.
만약,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통해 "키워드"입력모드로의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0)는 SMS 문자 입력모드 화면창을 출려기키고, 상기 이동통신서버(MCS)에 대해 음성메시지를 녹음한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SMS 문자입력 모드 화면창에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키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SMS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SMSS)로 전송처리한다. 따라서, 착신자가 해당 음성메지지의 중요도를 함께 전송된 "키워드"를 통해 확인하여 긴급하게 해당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전송시에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성메시지를 착신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문자메시지로 변환하여 재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의중이나, 영화관 등의 소음이 심한 곳이나, 단말기를 이용한 송수화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용이하게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입력된 음성메시지를 인식하고, 이를 문자데이터로 변환시키기 위한 프로세서가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나 이동통신서버(MCS)내에 구축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이러한 기능을 탑재하는 예를 보인다. 하지만, 이동통신서버(MCS)내에 이러한 기능을 탑재하여도 본 실시예를 실행하는데 문제가 없다.
따라서, 동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상기 이동통신 서버(MCS) 및 SMS서버(SMSS)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로토콜 매칭 등의 신호처리를 위한 통신모듈(42)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42)을 통해 접속된 발신자 단말기(A1∼An)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처리부(AUC)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메시지 녹음프로세서(46)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음성메시지 녹음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측으로 안내멘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내멘트 처리 프로세서(48)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음성메시지 녹음프로세서(46) 및 안내멘트 처리 프로세서(48)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단, 상기 안내멘트 처리 프로세서(48)의 경우에는 기녹음한 음성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변경하여 별도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멘트 절차가 그 프로세서 내부에 포함되어져 있다.
즉, "음성녹음이 완료된 경우 *를 눌러주십시오."라는 안내멘트 뒤에, "음성 메시지를 문자로 변경하여 함께 전송하시려면, 1번을 누르시고, 변경하지 않으시려면 종료버튼을 클릭하여 주십시오."라는 별도의 안내멘트 전송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 입력된 음성메시지에 대한 음성인식을 행하는 공지의 음성인식 프로세서(50)가 포함되어져 있으며, 상기 음성인식 프로세서(50)와 연동되어 인식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SMS 작성 프로세서(52)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음성메시지의 변경된 문자데이터를 전송받을 착신자 정보로는 상기 음성메시지 녹음 프로세서(46)에 기입력된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사용하여 착신자 단말기 번호의 입력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그 처리 프로세서에 대한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4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의 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B1∼Bn) 정보, 발신자가 입력한 음성데이터 및 해당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경한 문자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의 저장 및 해당 음성데이터의 도착정보를 착신자단말기(B1∼Bn)로 전송처리하고, 해당 음성메시지를 문자 변경한 문자데이터는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6)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 구비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대한 음성메시지의 문자데이 터로의 변경요구 신호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를 통해 문자 변환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각 제어신호 흐름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발신자 설정)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입력된 음성메시지를 인식하고, 이를 문자데이터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그 변환 설정신호를 발신자측에서 발생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 동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한 발신자 단말기(A1∼An)의 호접속 실패로부터 비롯된다.
즉,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 오프,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호접속 불응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하는 바,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내용을 문자메시지로 변경하여 해당 음성메시지와 동시에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멘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전송하는 안내멘트는 음성메시지의 종료를 나타내는 키입력과, "문자메시지 변환"을 나타내는 키입력을 각각 구분하여 상기 발신자가 그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문자메시지 동시발송 요구신호에 대한 키신호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기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 프로세서(16)와 SMS 작성 프로세서(14)를 통해 음성인식하고, 문자로 변환한다. 그리고,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을 문자로 변경한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가 통신 가능상태가 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는 상기 SMS서버(SMSS)로부터 우선적으로 해당 음성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의 문자데이터를 SMS 형태로 전송받게 되며, 또한,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음성메시지 도착 여부에 대한 통보데이터를 접수받게 된다.
따라서, 착신자가 회의중이거나,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을지도 모르므로, 발신자의 설정에 의해 착신자의 상황과 무관하게 해당 음성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화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호접속하여 해당 음성메시지를 음성으로 청취할 수도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상태(착신자 설정)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입력된 음성메시지를 인식하고, 이를 문자데이터로 변환시킴에 있어서, 그 변환 설정신호를 착신자측에서 발생하는 예를 보인 것으로, 동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한 발신자 단말기(A1∼An)의 호접속 실패로부터 비롯된다.
즉,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 오프,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호접속 불응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하는 바,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메시지를 입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통신이 재개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SMS서버(SMSS)를 통해 음성메시지 도착 정보를 전송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대해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부터 음성 메시지 출력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 음성메시지 청취에 대한 비밀번호 입력 등을 안내하는 안내멘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 해당 안내멘트에 대한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전송하도록 한다.
즉,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가 음성메시지를 출력시키기 위해 상기 부가 정보 전송서버(AITS)로부터 전송받는 데이터는 음성 안내멘트 및 문자 안내멘트이다. 따라서, 착신자는 그 단말기(B1∼Bn)를 통해 음성 출력되거나 문자로 출력되는 안내멘트에 따라 키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부터 음성메시지에 대한 문자데이터 변환 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음성메시지를 내부에 구비된 음성인식 프로세서(50)를 통해 문자변환하고, 상기 SMS 서버(SMSS)를 통해 착신자 단말기(B1∼Bn)로 음성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착신자가 회의중이거나, 소음이 심한 곳에서 작업중일 때에도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해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발신자 설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특정 발신자가 특정 착신자에 대해 음성통화를 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의 번호를 입력하고, 호접속요구에 해당하는 키입력(SEND)을 행한다.
그러면, 해당 발신자 단말기(A1∼An)의 키신호는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을 형성하여 상기 부가정 보 전송서버(AITS)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착신자 단말기(B1∼Bn)로 호접속을 시도하는 바,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거나,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모드로 변경되면서, 경고음과 더불어 음성메시지 녹음을 실행한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특정 음성메시지가 입력되고, 그 종료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안내멘트를 통해 해당 음성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부가적으로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측으로 전송할 것인지에 대한 질의를 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문자메시지 동시발송 요구신호에 대한 키신호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기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 프로세서(16)와 SMS 작성 프로세서(14)를 통해 음성인식하고, 문자로 변환한다. 그리고,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을 문자로 변경한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가 통신 가능상태가 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는 상기 SMS서버(SMSS)로부터 우선적으로 해당 음성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의 문자데이터를 SMS 형태로 전송받게 되며, 또한,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음성메시지 도착 여부에 대한 통보데이터를 접수받게 된다.
따라서, 착신자가 회의중이거나,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을지도 모르므로, 발신자의 설정에 의해 착신자의 상황과 무관하게 해당 음성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화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호접속하여 해당 음성메시지를 음성으로 청취할 수도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착신자 설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특정 발신자가 특정 착신자에 대해 음성통화를 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의 번호를 입력하고, 호접속요구에 해당하는 키입력(SEND)을 행한다.
그러면, 해당 발신자 단말기(A1∼An)의 키신호는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통신서버(MCS)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서버(MCS)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착신자 단말기(B1∼Bn)로 호접속을 시도하는 바,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거나,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상기 이동통신서버(MC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서버(MCS)는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모드로 변경되면서, 경고음과 더불어 음성메시지 녹음을 실행한다.
이후,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통신이 재개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SMS서버(SMSS)를 통해 음성메시지 도착 정보를 전송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대해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부터 음성 메시지 출력에 대한 호접속 시도가 이루어지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 음성메시지 청취에 대한 비밀번호 입력 등을 안내하는 안내멘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 해당 안내멘트에 대한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전송하도록 한다.
즉,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가 음성메시지를 출력시키기 위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부터 전송받는 데이터는 음성 안내멘트 및 문자 안내멘트이다. 따라서, 착신자는 그 단말기(B1∼Bn)를 통해 음성 출력되거나 문자로 출력되는 안내멘트에 따라 키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부터 음성메시지에 대한 문자데이터 변환 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음성메시지를 내부에 구비된 음성인식 프로세서(50)를 통해 문자변환하고, 상기 SMS 서버(SMSS)를 통해 착신자 단말기(B1∼Bn)로 음성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착신자가 회의중이거나, 소음이 심한 곳에서 작업중일 때에도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해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발신자의 음성메시지 전송시에 발신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성메시지를 착신자의 선택신호에 따라 문자메시지로 변환하여 기설정된 착신자의 이메일주소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다.
따라서, 미리 착신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해당 착신자의 메일주소가 기저장되어야 하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입력된 음성메시지를 문자데이터로 변경시킬 수 있는 음성인식 프로세서 및 이메일 포맷 작성을 위한 프로세서가 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그 내부에 특정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한 호응답 부재시,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를 통해 출력 가능한 음성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전송/저장하며, 해당 음성메시지 내용을 문자변환하여 기등록된 착신자의 이메일 주소로 전송하도록 입력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자 단말기(A1∼An)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 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 도착여부에 대한 문자데이터를 전송받으며, 해당 발신자 단말기(A1∼An)와의 통화나, 서버에 대한 호접속을 행하는 착신자 단말기(B1∼Bn)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서버에 저장된 음성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의 텍스트 데이터가 메일 서버(MS)를 통해 전송된 이메일 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킬 수 있는 착신자 PC(C1∼Cn)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와 착신자 단말기(B1∼Bn)간의 음성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중계를 행하는 이동통신 서버(MCS)가 구비되는 바, 상기 이동통신 서버(MCS)는 통상의 기지국(미도시)과,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서버가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인식 및 문자변환 처리를 통해 전송한 이메일 데이터에 대해 해당 착신자 PC(C1∼Cn)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메일서버(MS)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는 상기 착신자의 이메일 주소가 착신자 단말기 번호와 연동되어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단말기(A1∼An)로부터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신호를 접수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 로의 호접속시도를 행하며, 그 호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측으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메시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문자 변환처리를 행하며, 해당 문자데이터를 이메일 포맷으로 처리하여 상기 메일서버(MS)를 매개로 착신자 PC(C1∼Cn)측으로 전송 제어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음성인식을 위한 프로세서와; 인식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 특히, 이메일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내장되어져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이동통신 서버(MCS)의 내부에 구성되도록 하거나, 별도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특정 착신자 단말기(B1∼Bn)에 대한 발신자 단말기(A1∼An)의 호접속 실패로부터 비롯된다.
즉,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 오프,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호접속 불응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하는 바,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내용을 문자메시지로 변경하여 해당 음성메시지와 동시에 해당 문자데이터를 착신자의 이메일 주소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안내멘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전송하는 안내멘트는 음성메시지의 종료를 나타내는 키입력과, "메일 전송선택"을 나타내는 키입력을 각각 구분하여 상기 발신자가 그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이메일 동시발송 요구신호에 대한 키신호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기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 프로세서와 이메일 작성 프로세서를 통해 음성인식하고, 이메일 포맷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을 문자로 변경한 이메일 데이터를 상기 메일서버(MS)를 통해 착신자 PC(C1∼Cn)로 전송한다. 물론 이때,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는 미리 착신자의 단말기 번호와 연동되는 이메일 주소가 기저장되어져 있어야만 한다.
그러면,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가 통신 가능상태가 되는 시점에,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는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부터 음성메시지 도착 여부에 대한 통보데이터를 접수받게 된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서 생성된 이메일 데이터는 상기 메일서버(MS)를 경유하여, 착신자 PC(C1∼Cn)로 전송되는 바, 착신자가 헤드폰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PC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라도 PC에 구축된 아웃룩 익스프레스 등의 툴을 통해 해당 음성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의 이메일을 신속하게 화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특정 발신자가 특정 착신자에 대해 음성통화를 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의 번호를 입력하고, 호접속요구에 해당하는 키입력(SEND)을 행한다.
그러면, 해당 발신자 단말기(A1∼An)의 키신호는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의 번호정보를 포함하여 데이터 패킷을 형성하여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착신자 단말기(B1∼Bn)로 호접속을 시도하는 바,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거나, 배터리 방전, 통신불가 지역 위치 등의 이유로 인해, 호접속 실패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모드로 변경되면서, 경고음과 더불어 음성메시지 녹음을 실행한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특정 음성메시지가 입력되고, 그 종료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안내멘트를 통해 해당 음성메시지와 동일한 내용의 이메일을 별도로 동일한 착신자의 이메일로 전송할 것인지에 대한 질의를 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이메일 동시발송 요구신호에 대한 키신호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기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이메일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기저장된 착신자 전화번호와 연동된 이메일 주소를 추출하여, 이메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메일 데이터를 상기 메일 서버(MS)를 매개하여 착신자 PC(C1∼Cn)측으로 전송 처리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고, 음성데이터를 MPE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압축하고, 상기 메일서버(MS)를 통해 착신자 PC(C1∼Cn)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음성데이터를 압축하는 기술은 매우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데이터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6, 7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문자메시지 부가 전송서비스에 대한 구축을 위한 구성 및 그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처리를 행하는 시스템으로 써, 발신자가 전송한 문자메시지를 서버에서 음성으로 변환하여 착신자의 서버 접속을 통해 해당 문자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자가 운전 중이거나 하여 문자메시지 확인이 불가한 상황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문자데이터를 전송받는 SMS 서버(SMSS)와, 해당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각각 연동되어야 하며, 착신자 단말기(B1∼Bn)로부터의 호접속 및 문자데이터의 음성출력 요구에 대한 키신호에 따라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변경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가 SMS 입력창을 출력시키고,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특정 문장을 입력한 후, 상기 SMS 서버(SMSS)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SMS 서버(SMSS)는 해당 문자데이터를 착신자 단말기(B1∼Bn)측으로 전송처리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대한 호접속을 시도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안내멘트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하는 바,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부터 해당 문자데이터의 음성 변환 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SMS 서버(SMSS)로 최근 해당 착신자 단말기 번호로 발송처리된 문자메시지 의 전송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상기 SMS 서버(SMSS)가 해당 착신자 단말기 번호로 발송한 문자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전송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문자메시지를 음성데이터로 변환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음성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측으로 전송 처리하여 음성출력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서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가 SMS 입력창을 출력시키고, 키입력부를 이용하여 특정 문장을 입력한 후, 상기 SMS 서버(SMSS)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SMS 서버(SMSS)는 해당 문자데이터를 착신자 단말기(B1∼Bn)측으로 전송 처리한다. 이때, 상기 SMS서버(SMSS)를 통해 전송되는 문자데이터는 특정 데이터 통신망인 No. 7망을 통해 전송되는 바, 본 발명은 특정 망에 국한되지 않고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든 망이나 수단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 상태에서,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 (AITS)에 대한 호접속을 시도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안내멘트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하는 바,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부터 해당 문자데이터의 음성 변환 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상기 SMS 서버(SMSS)로 최근 해당 착신자 단말기 번호로 발송처리된 문자메시지의 전송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상기 SMS 서버(SMSS)가 해당 착신자 단말기 번호로 발송한 문자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전송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문자메시지를 음성데이터로 변환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음성메시지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측으로 전송 처리하여 음성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착신자가 운전중이거나 도보로 걷는 중이어서 미소한 크기의 문자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착신자가 그 단말기(B1∼Bn)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접속하여 전송된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변경처리하여 청취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자신의 목소리가 아닌, 다른 목소리를 통해 자신의 메시지를 제 3자의 착신자 단말기(B1∼Bn)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 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신자가 발신자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특정 착신자에게 다른 사람의 목소리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희망하는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A1∼An)의 모드를 SMS 입력모드로 변경하는 키조작을 행한 뒤에, 특정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해야된다.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특정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한 후에, 메시지를 입력해야 하는 바, 이때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서 특정한 목소리로 해당 메시지를 변경해야되므로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음성메시지를 입력하여도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가 음성인식 프로세서를 구동시켜 음성을 인식할 수 있지만, 그 인식률이 문자보다 불리하므로 문자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소망하는 문자메시지를 입력한 경우에는 해당 문자메시지를 특정인의 보이스로 변환하기를 희망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는 SMS 서버(SMSS)를 매개하여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전송하고,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호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는 해당 문자데이터의 착신자 단말기 번호 및 타인의 보이스 변경을 위한 요청데이터, 자신의 발신자 단말기 번호데이터가 패킷형태로 구성된 데이터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자동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발신자 단말기(A1∼An)로 샘플 보이스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특정 보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멘트를 전송한다. 이러한 안내멘트 프로세서는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기구축되어져 있으며,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특정 보이스 선택을 행하는 키신호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인가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수의 샘플 보이스 데이터와, 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문자열과 매칭되는 음성데이터를 각 보이스에 따라 미리 연계되게 구축되어져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 공중전화에서 안내멘트 진행중 유저가 선택한 숫자코드를 확인하기 위해 음성 출력을 실행하는 보이스 조합기술이며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착신자 단말기(B1∼Bn)측으로 상기 SMS서버(SMSS)를 매개하여 음성메시지 도착 알림문자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의 호접속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기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출력시킨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발신자가 감기가 걸렸거나, 목소리 콤플렉스가 있는 경우, 색다른 목소리 변경을 하고 싶은 경우에 타인의 목소리를 이용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음성통화 및 음성메시지 전송, 문자메시지 전송시에 기설정한 발신자의 URL을 첨부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발신자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시, 문자 메시지 전송시, 음성 메시지 전송시에 자동으로 기설정한 발신자 URL이 첨부되도록 함으로써 URL 알림 기능이 구비된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이다.
우선, 음성메시지 전송시 URL 첨부를 위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기능이나, 동작은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를 통해 실행 가능한 동일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음성메시지 전송시 URL 첨부를 위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서 음성메시지 입력후 "키워드"를 입력하는 대신 자신의 "URL"을 입력하면 되므로 동일 시스템으로 실행 가능하고, 동일한 기능 및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문자메시지 전송시에는 발신자 단말기(A1∼An)의 내부에 추출하여 첨부 가능한 각종 기호 및 특수문자 등과 같은 등위로 자신의 "URL"을 입력할 수 있게 설정하기만 하면 실행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도 생략키로 한다. 즉,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고, 키조작을 행하여 그 단말기 (A1∼An)에 기저장된 "URL"을 불러와 첨부하면 문자 메시지상에 해당 "URL"이 기호처럼 포함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시 발신자의 "URL"이 전송되도록 하는 부가정보 전송시스템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발신자가 자신의 "URL"을 특정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URL" 첨부기능을 설정하고, 첨부코자하는 자신의 "URL"을 입력해야된다.
따라서, 발신자 단말기(A1∼An)는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접속한다. 그러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발신자 단말기(A1∼An)에 다양한 안내멘트를 전송하는 바, 그 안내멘트 내에는 "URL" 첨부에 대한 안내멘트가 포함되어져 있다. 따라서, 발신자가 그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안내멘트중 "URL" 첨부선택에 대한 키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URL" 입력모드로 변경시킨다.
그리고, 발신자 단말기(A1∼An)는 자신을 포함한 특정 전화번호 하나를 입력하여,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전송한다. 즉, 현재 호접속중인 발신자 단말기(A1∼An)가 아니라도 "URL"을 첨부 설정할 수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는 첨부를 소망하는 특정 "URL"을 입력하고, 상기 SMS서버(SMSS)를 매개하여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로 전송한다. 그러면, 해당 호접속시의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기입력한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전화번호에 "URL"을 첨부 설정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를 통해 특정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에 대해 호접속을 시도하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AITS)는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URL"을 추출하여 단일의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뒤에,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착신자 단말기(B1∼Bn)는 발신자 표시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여야만 본 발명의 7 실시예가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와 착신자 단말기(B1∼Bn)의 음성통화가 진행된 뒤, 접속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착신자는 PC나 착신자 단말기(B1∼Bn)를 이용하여 발신자가 설정한 특정 "URL"에 접속할 수 있다.
만약, 착신자가 그 단말기(B1∼Bn)를 이용하여 특정 "URL"에 접속코자 하는 경우에는 무선 왑서비스(예컨대, 매직엔, 카이 등)에 접속하여 해당 "URL"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스템은 발신자가 자신의 URL 정보를 타인에게 용이하게 알릴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 하여 각종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음성통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발신자나 착신자의 설정에 따라 해당 메시지의 형태를 소망하는 바대로 변경하거나, 각종 부가정보를 첨부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매우 높으며, 활용성이 높아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메시지 및 해당 음성메시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입력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서버측으로 해당 "키워드"에 대한 음성데이터 입력 및 그 전송처리를 행하는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와,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키워드"를 수신하여 화면 출력하기 위한 착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간의 음성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중계를 행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를 통칭하여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버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인식 및 문자변환 처리를 통해 수신한 "키워드"의 문자데이터를 착신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SMS서버와;
    상기 발신자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신호를 접수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의 호접속시도를 행하며, 그 호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메시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음성메시지에 대한 "키워드"입력 모드로의 변환처리를 행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인식하여 문자변환처리하고, 해당 키워드 문자데이터를 상기 SMS서버를 매개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 제어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그 내부에 상기 이동통신 서버 및 SMS서버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로토콜 매칭 등의 신호처리를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된 발신자 단말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처리부(AUC)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A1∼An)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메시지 녹음프로세서와; 음성메시지 녹음시 상기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키워드"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내멘트 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음성입력된 "키워드" 및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는 키워드 처리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음성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인식을 행하는 공지의 음성인식 프로세서와; 상기 음성인식 프로세서와 연동되어 인식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SMS 작성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그 처리 프로세서에 대한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 정보, 발신자가 입력한 음성데이터 및 해당 음성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의 저장 및 해당 음성데이터의 도착정보를 착신자단말기로 전송처리하고, 해당 음성메시지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에 대한 안내 및 그 전송을 통해 상기 SMS서버를 통해 해당 "키워드"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메시지 입력시에 사용된 착신자 단말기 번호를 자동으로 "키워드"에 대한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4. 발신자단말기로부터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호접속시도 신호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호접속 요구신호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인가받아 호접속 시도를 행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호접속실패시 해당 발신자 단말기로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입력 전송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발신자 단말기로 해당 음성메시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드" 입력여부에 대한 안내멘트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키워드"를 음성데이터의 형태로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키워드"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전 송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음성인식 프로세서를 통해 해당 키워드를 나타내는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키워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데이터 패킷을 SMS 서버를 매개로 착신자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데이터 패킷은 그 내부에 착신자 단말기 번호와, 발신자 단말기 번호, 키워드 데이터가 포함되어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6.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호응답 부재시, 해당 착신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 가능한 음성데이터를 서버측으로 전송/저장하며, 자동으로 SMS 작성모드로 변경되고, 해당 모드창에서 해당 음성데이터를 나타내는 "키워드"의 별도 SMS 입력을 통해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화번호의 입력과, 문자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문자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버튼을 갖추고 있는 바, 음성메시지 입력후 해당 음성메시지 내용을 나타내는 별도의 "키워드"입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음성 메시지 입출력 상태를 도시하고, "키워드" 입력설정에 대한 키조작상태 및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박형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표시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키조작에 의한 음성메시지 전송처리를 행하고, 키입력부의 "키워드" 입력선택에 따라 SMS 입력모드로 자동 변환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키워드" 입력에 대한 키신호 입력시, 별도의 키신호 없이 음성메시지의 기녹음 대상인 착신자 단말기 번호 및 발신자 단말기 번호가 SMS 입력모드창에 자동 입력되도록 처리되게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9. 호접속실패시 안내멘트에 따라 발신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메시지가 입력 전송되는 과정과;
    해당 발신자 단말기가 자동으로 해당 음성메시지의 주제를 나타내는 "키워 드" 입력여부에 대한 안내멘트를 기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키입력부를 통해 문자데이터의 형태인 "키워드"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착신자 단말기번호, 발신자 단말기 번호, "키워드"데이터를 포함한 키워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지가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 패킷을 SMS 서버를 매개로 착신자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10.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전송할 음성메시지를 입력하고, 그 음성메시지에 대한 문자변환 제어키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 및 문자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 처리하는 착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간의 음성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중계를 행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를 통칭하여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버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단말기의 사이에서 문자메시지의 중계를 행하는 SMS서버와;
    상기 발신자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신호를 접수하여, 해당 착 신자 단말기로의 호접속시도를 행하며, 그 호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메시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기입력된 음성메시지를 인식하고, 그 문자 변환 처리를 행하며, 문자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SMS서버를 매개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 제어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그 내부에 상기 이동통신 서버 및 SMS서버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로토콜 매칭 등의 신호처리를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된 발신자 단말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처리부(AUC)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음성메시지 녹음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음성 입력된 음성메시지에 대한 음성인식을 행하는 공지의 음성인식 프로세서와; 상기 음성인식 프로세서와 연동되어 인식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SMS 작성 프로세서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그 처리 프로세서에 대한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 설정부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정보 및 착신자 단말기 정보, 발신자가 입력한 음성데이터 및 해당 음성데이터를 문자로 변경한 문자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의 저장 및 해당 음성데이터의 도착정보를 착신자단말기로 전송처리하고, 해당 음성메시 지를 문자 변경한 문자데이터는 상기 SMS서버를 통해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키제어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특정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음성 인식하고, 문자데이터로 변경하여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 제어할 수 있게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13.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발신자 단말기의 호접속 실패시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안내멘트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한 음성메시지에 대한 문자메시지 변환 키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음성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SMS 서버를 매개하여 해당 착신자 단말기로 해당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에 대한 음성/문자변경 신호는 상기 착신자 단말기를 통해 발생할 수도 있도록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에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15.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을 시도하면서, 해당 착신자 단말기에 대해 전송할 음성메시지를 입력하고, 그 음성메시지에 대한 문자변환 및 이메일 전송을 위한 제어키를 발생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발신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메시지 및 문자데이터를 이메일 포맷으로 전송받아 출력 처리하는 착신자 PC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부가정보 전송서버간의 음성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중계를 행하기 위해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를 통칭하여 포함하는 이동통신 서버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와 착신자 PC간의 사이에서 이메일 데이터를 중계를 행하는 메일서버와;
    상기 발신자단말기로부터 음성통화를 위한 호접속신호를 접수하여, 해당 착 신자 단말기로의 호접속시도를 행하며, 그 호접속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음성메시지 입력에 대한 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음성메시지를 전송받아 저장하며,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기입력된 음성메시지를 인식하고, 그 문자 변환 처리를 행하며, 문자 변환된 데이터를 이메일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고, 해당 이메일 데이터를 상기 메일서버를 매개하여 특정 착신자의 URL로 전송처리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이메일 데이터 포맷 생성시, 입력받은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변경처리하지 않고, 압축된 음성데이터 포맷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된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17.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발신자 단말기의 호접속 실패시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안내멘트에 따라 음성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입력한 음성메시지에 대한 이메일 전송 키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음성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음성메시지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이메일 포맷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메일서버를 매개하여 이메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는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인가된 이메일 전송 키신호 대신에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이메일 전송 키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착신자의 URL로 이메일 전송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19.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기전송받은 문자메시지에 대한 음성메시지로의 변경요청 키신호를 인가받아, 문자메시지를 인식하여 음성메시지로의 변경하고, 해당 음성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착신자 단말기측으로 출력되게 하는 부가정보 전송서버와;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와 연동되어 그 부가정보 전송서버의 요청에 따라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데이터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전송하는 SMS 서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
  20. 특정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SMS서버로 문자메시지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SMS 서버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특정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자 단말기가 부가정보 전송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문자메시지에 대한 음성 변환요구 키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SMS 서버로부터 해당 문자메시지에 대한 전송요구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SMS 서버로부터 해당 문자메시지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음성메시지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해당 음성메시지를 전송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21. 특정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SMS서버로 문자메시지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접속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해당 문자메시지에 대한 음성 변환요구 키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샘플 보이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보이스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SMS 서버로 해당 문자메시지에 대한 전송요구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SMS 서버로부터 해당 문자메시지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문자메시지를 발신자가 선택한 보이스로 이루어진 음성메시지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해당 음성메시지를 전송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22. 특정 발신자 단말기가 부가정보 전송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URL 첨부 키신호가 인가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URL 설정모드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로 특정 URL 데이터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에 URL을 연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자 단말기가 특정 착신자 단말기에 대한 호접속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호접속신호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해당 발신자 단말기와 연계된 URL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부가정보 전송서버가 상기 발신자 단말기 번호와 URL을 상기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자 단말기에서 해당 발신자 단말기 번호와 URL을 화면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방법.
KR20040081514A 2004-10-12 2004-10-12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4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1514A KR100742211B1 (ko) 2004-10-12 2004-10-12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81514A KR100742211B1 (ko) 2004-10-12 2004-10-12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546A true KR20060032546A (ko) 2006-04-17
KR100742211B1 KR100742211B1 (ko) 2007-07-24

Family

ID=3714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81514A KR100742211B1 (ko) 2004-10-12 2004-10-12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5477A1 (zh) * 2012-11-16 2014-05-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语音邮件的发送及展示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397A (ko) * 1999-11-19 2001-06-15 정장호 전자 우편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40040543A (ko) * 2002-11-07 2004-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5477A1 (zh) * 2012-11-16 2014-05-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语音邮件的发送及展示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211B1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7045B2 (ja) 文字メッセージの統合管理機能を提供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方法
US6915138B2 (en) Message exchange handling concept
EP1869666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to-text conversion
CN101267600A (zh) 处理并行语音和数据连接的通信服务器及其使用方法
EP162234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941709B1 (e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CN1694372B (zh) 提供综合消息传送业务的无线通信终端及其方法
KR10080635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처리 시스템 및 그처리방법
KR100742211B1 (ko) 부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및 그단말기를 이용한 부가정보 전송시스템과 그 방법
KR20070078025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유저의 프라이버시를 위한 통화 및문자전송 제어시스템과 그 방법
US2003023667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 using voic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KR20060016710A (ko) 문자메시지내 전화번호 추출 및 저장 또는 통화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90056355A (ko) 무선단말
KR100742210B1 (ko) 무선 데이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07352A (ko) 발생신호의 음성알림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음성알림 방법
KR101022792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서비스 방법
KR1006057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07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722470B1 (ko) 에스엠에스 발신자 알람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752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복수의 회신번호를 갖는 단문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
KR1006060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그룹전송 방법
JP3773115B2 (ja) 電子メールサーバ装置
KR20190056354A (ko) 무선단말
KR20050111940A (ko) 메시지 예약 전송 기능을 가지는 이동전화기 및이동전화기의 메시지 예약 전송 방법
KR20030097429A (ko) 수신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