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773A -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773A
KR20060031773A KR1020040080756A KR20040080756A KR20060031773A KR 20060031773 A KR20060031773 A KR 20060031773A KR 1020040080756 A KR1020040080756 A KR 1020040080756A KR 20040080756 A KR20040080756 A KR 20040080756A KR 20060031773 A KR20060031773 A KR 20060031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773A/ko
Publication of KR2006003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퍼스널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 장치를 공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명령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가 제어되는 제어부와,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상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인터페이스, USB, RS232C, 실시간 전송,

Description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Personal Comput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퍼스널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a : 퍼스널 컴퓨터
201 : 명령 입력부 202 : 음성 입력부
203 : 메모리부 204 : 제어부
205 : 모뎀부 206 : 음성 출력부
207 : 표시부 208 : 인터페이스부
200b : 이동통신 단말기
209 : 송수신부 210 : 신호 처리부
211 : 명령 입력부
212 : 음성 입력부 213 : 메모리부
214 : 제어부 215 : 음성 출력부
216 : 표시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퍼스널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 장치를 공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게임, 벨소리, 그림(배경화면), 동영상, 사진, 음악, 영화 및 게임등의 컨텐츠들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컨텐츠들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즐길 수 있다.
그러나, 각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컨텐츠들을 다운로드 받는 것은 시간과 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번호등의 대량의 데이터를 입력하려고 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부가 매우 작아서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기가 어렵고 불편하며, 사용자가 게임이나 영화등의 컨텐츠들을 실행할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력부중 하나인 표시부가 매우 작아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텐츠들을 다운로드 받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량의 데이터의 입력을 하기 위하여 주로 퍼스널 컴퓨터와 이 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고, 퍼스널 컴퓨터에 별도의 편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퍼스널 컴퓨터에서 해당 편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한 후, 이를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편집용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를 통하여 인터넷으로 여러가지 원하는 컨텐츠들을 다운로드 받은 후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시 다운로드 함으로써 컨텐츠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퍼스널 컴퓨터에서 작업한 데이터나, 인터넷으로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들을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한 후에,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결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퍼스널 컴퓨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메모리를 외장형 저장 장치로 인식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장형 메모리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명령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가 제어되는 제어부와,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상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RS232C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텍스트, 음악, 동영상, 비디오 또는 게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텍스트, 음악, 동영상, 비디오 또는 게임등의 데이터 및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나 컨텐츠들의 실행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부를 이용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의 입출력부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제어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1)와 명령 입력부(102)를 가지며 명령 입력부(102)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 장된 퍼스널 컴퓨터(100a)와, 표시부(103)와 명령 입력부(104)를 가지고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100a)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b)가 인터페이스부(100c)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위와 같이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100a)와 이동통신 단말기(100b)가 인터페이스부(100c)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0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b)의 데이터 입출력 및 컨텐츠의 실행등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퍼스널 컴퓨터(100a)와 이동통신 단말기(100b)를 연결하는 것은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RS232C 등이 바람직하다.
USB(Universal Serial Bus)는 주변기기를 컴퓨터 제조회사에 관계없이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마우스, 프린터, 모뎀, 스피커 등과 같은 주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규격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복잡한 어댑터들의 설치를 제거할 수 있어 현재 대부분의 PC 표준장비에 장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핸드폰이나 디지털카메라에서 퍼스널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도 대부분 USB를 사용한다.
또한, 20K baud 이하의 속도로 15m 이내에서 직렬로 자료를 전송이 가능한 RS232C (RS:recommanded standard)를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100a)와 이동통신 단말기(100b)의 연결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퍼스널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는(200a)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키들을 구비한 명령 입력부(201)와, 마이크등의 음성 입력 수단으로 이루어진 음성 입력부(202)와, 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부(203)와, 명령 입력부(201)와 음성 입력부(202)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제어하고, 인터페이스부(208)를 통하여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200b)의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204)와, 퍼스널 컴퓨터(200a)가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모뎀부(205), 마이크등의 음성입력부(202)에서 수신된 음성 신호와 음악이나 동영상등의 음악파일의 실행시 발생되는 음성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는 음성 출력부(206)와, 명령 입력부(201)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들이 제어부(204)를 거쳐 LCD 등의 모니터로 표시되는 표시부(207)와, 퍼스널 컴퓨터(200a)와 이동통신 단말기(200b) 사이에 정보교환이 이루어 지도록 퍼스널 컴퓨터(200a)와 이동통신 단말기(200b)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208)로 이루어 진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b)는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음성과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송, 수신하는 송수신부(209)와, 송수신부(209)로부터 수신한 음성과 영상 및 데이터 신호에 따라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10)와, 소정의 키패드를 통하여 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신호의 송, 수신 및 영상 촬영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키들로 구비된 명령 입력부(2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시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등과 같은 음성 입력부(21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나 전화번호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213), 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214)와, 스피커등의 음성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져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15)와, 문자와 영상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16)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200a)와 이동통신 단말기(200b)는,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200a)와 이동통신 단말기(200b)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200b)의 컨텐츠 및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200a)에서 제어가 가능하고, 퍼스널 컴퓨터(200a)에서 작업한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에서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등을 이동통신 단말기(200b)로 실시간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에 따라,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200b)의 컨텐츠 및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200a)에서 제어하는 일예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0b)에서 게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 무선으로 접속하여 게임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기 시작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b)로 게임 데이터가 송수신부(210)에서 수신된다. 여기서 수신된 게임 데이터는 신호처리부(210)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과정을 거친 후 제어부(214)로 송신되고, 이를 수신한 제어부(214)에서는 소정의 제어과정을 거쳐 메모리부(213)에 저장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저장된 게임 데이터를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할 때에,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200a)와 이동통신 단말기(200b)를 연결하여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b)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200a)에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게임 데이터는 퍼스널 컴퓨터(200a)의 명령 입력부(201)와 음성 출력부(206)와 표시부(207)로 출력되어 사용자는 좀더 크고 편리한 퍼스널 컴퓨터(200a)의 명령 입력부(201)와 음성 입력부(202)와 표시부(207)등을 통하여 게임을 실행하여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200a)에서 작업한 데이터나 네트워크로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등을 이동통신 단말기(200b)로 실시간 다운로딩하는 일예를 보면, 퍼스널 컴퓨터(200a)에서 모뎀부(205)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b)의 컨텐츠들을 다운로드 받으면, 해당 컨텐츠등은 인터페이스부(208)를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200b)의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200a)와 이동통신 단말기(200b)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b)를 퍼스널 컴퓨터(200a)에서 실시간으로 실행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200a)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b)의 메모리부(214)를 외장형 저장 장치로 인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b)의 메모리부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200a)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b)의 메모리부(214)에 저장된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200a)에서 데이터 편집 및 실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퍼스널 컴퓨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 메모리를 외장형 저장 장치로 인식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장형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명령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가 제어되는 제어부와,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싱 프로그램이 내장된 퍼스널 컴퓨터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퍼스널 컴퓨터와 상호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RS232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텍스트, 음악, 동영상, 비디오 또는 게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KR1020040080756A 2004-10-09 2004-10-09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KR20060031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756A KR20060031773A (ko) 2004-10-09 2004-10-09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756A KR20060031773A (ko) 2004-10-09 2004-10-09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773A true KR20060031773A (ko) 2006-04-13

Family

ID=3714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756A KR20060031773A (ko) 2004-10-09 2004-10-09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7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61A3 (en) * 2008-06-10 2010-12-09 Lg Electronics Inc.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host device, a method of processing signal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ost device, and a system having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ost device
CN103365798A (zh) * 2013-06-27 2013-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串口分时复用的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61A3 (en) * 2008-06-10 2010-12-09 Lg Electronics Inc.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host device, a method of processing signal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ost device, and a system having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host device
CN103365798A (zh) * 2013-06-27 2013-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串口分时复用的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0829B2 (ja) モバイル通信端末及び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
EP2294754B1 (en) Automatic transfer of information through physical docking of devices
EP31884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music player functions of intelligent device, and bluetooth headset
US200902212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KR20090076104A (ko)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최적화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모바일 단말기
EP2550600A2 (en) Shared book reading
KR20110038638A (ko) 미디어 콘텐츠 및 구독 콘텐츠의 무선 동기화
JP2009543495A (ja) 携帯型装置からデータを転送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2113634A (ja) 表示装置、開示制御装置、開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953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게임 조작을 위한 지원 장치
EP1507390A1 (en) Content down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with a preview function
WO2010069048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docking station wireless system
CN110413249A (zh) 声音输入装置以及远程交互系统
CN112527430A (zh) 数据部署方法及相关装置
CN103970677A (zh) 在图形云上处理多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KR20060031773A (ko)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
US20050041953A1 (en) Image editing device for editing images captured by a phone camera
KR100597809B1 (ko) 이동 단말기의 대기 모드 상태에서 메시지를 출력하는방법 및 장치
JP2003186782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デジタルカメラ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7849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 운용 방법 및 장치
CN116266870A (zh) 计算机程序、终端及其中执行的方法
CN104035989A (zh) 上传文件的方法及装置
CN104468706A (zh) 音频文件传输方法及装置
KR100663739B1 (ko) 이동 단말기용 대기 화면 점유 대표형 어플리케이션을선물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012033A (zh) 一种手机和移动音乐播放器间进行文件传输和管理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