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017A -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017A
KR20060031017A KR1020040079889A KR20040079889A KR20060031017A KR 20060031017 A KR20060031017 A KR 20060031017A KR 1020040079889 A KR1020040079889 A KR 1020040079889A KR 20040079889 A KR20040079889 A KR 20040079889A KR 20060031017 A KR20060031017 A KR 20060031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locker
locking device
hoo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식
위종천
최환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017A/ko
Publication of KR2006003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에서 누름과 아울러 배터리팩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구속 및 해제시키는 락킹 장치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체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상의 장착면에서 장착되는 배터리팩을 락킹시키기 위한 락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상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외부의 눌림에 따라서 상, 하운동을 하는 푸시 락커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팩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푸시 락커부의 상, 하운동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을 구속 및 해제시킴과 아울러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장착면에서 착탈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배터리팩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단말기의 양산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부를 구성하여 배터리팩의 외관과 단말기의 외관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어 단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배터리팩, 장착홈, 푸시 락커부, 락킹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절단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선단면도로서, 배터리팩 락킹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 선단면도.
도 7은 도 5의 B부 확대 선단면도.
도 8은 도 4의 A-A' 선단면도로서, 배터래팩 락킹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4의 A-A' 선단면도로서, 배터래팩 락킹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 타낸 도면.
도 10은 도 4의 B-B' 선단면도로서, 배터래팩 락킹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4의 B-B' 선단면도로서, 배터래팩 락킹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은 도 11의 C부 확대 선단면도.
도 13은 도 4의 B-B' 선단면도로서, 배터래팩 락킹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본체에서 누름과 아울러 배터리팩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장치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전원공급원으로 단말기 본체(1)의 후면상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배터리팩(Battery Pack)(10)이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팩(10)은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소정의 락킹 장치부(20)에 의해 구속 및 해제된다.
상기 배터리팩(10) 장착방식으로는 본체(1) 후면상에 소정의 가이드 리브에 의해서 슬라이딩 장착되는 방식과, 상기 배터리팩의 일단을 일정 걸림편을 사용하여 걸리도록 한 후, 상기 걸림부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내려 락킹시키는 두가지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10)의 하단 전, 후면상에는 단자(미도시됨)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팩(10)의 일측면상에 설치된 단자는 상기 본체(1)의 후면상에 돌출된 접속단자(미도시됨)와 접촉되는 구성을 가지며, 타측면상에 설치된 단자는 충전시 충전기의 접속단자(미도시됨)와 접촉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도 1과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10) 락킹 장치는 하부 케이싱 프레임(1a)으로 구성된 본체(1)의 후면상에 배터리팩(10)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a)의 후면상에는 소정의 장착면(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면(1b)의 일단에는 접속단자(미도시됨)가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1a)의 후면 소정 위치에 장착홈(1c)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1c)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팩(10)을 고정시키기 위한 락킹 장치부(2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팩(10)을 본체(1)에 장착할 경우, 우선 상기 배터리팩(10)을 본체(1)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면(1b)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10)에 형성된 걸림홈(11)에 상기 락커(21)가 걸리게 된다. 즉 상기 배터리팩(10)은 상기 락커(21)에 의해 상기 본체(1)상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터리팩(10)을 본체(1)에서 분리시킬 경우, 상기 락커(21)를 수평방향으로 당겨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배터리팩(10)의 걸림홈(11)에서 상기 락커(21)가 이탈되어 본체(1)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장착홈(1c)에는 상기 락커(21)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이상의 이동공간이 형성된다.
도 2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의 단면도로서, 단말기 본체(1)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a)상에 장착되어 수직으로 가이드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23)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3)의 단부에는 소정의 걸이부(23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1a)상에 형성된 걸림부(2)에 걸리게 됨으로써, 일단 상기 락커(21)가 장착되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락커(21)가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해 준다. 또한, 상기 락커(21)에 일정 탄성력을 제공하여 주기 위하여 탄성수단으로 스프링이 사용되며, 상기 스프링(30)의 일단은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a)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락커(21)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는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상의 상기 장착홈에서 상기 락커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이상의 이동공간이 형성되야 함으로, 단말기의 이동 공간으로 인해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는 락커를 당겨질 수 있는 이동공간을 확보해야함으로, 락킹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져 양산성 및 신뢰성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단말기의 락커를 누르는 방식에 비해 손톱으로 걸어 슬라이딩 이동시 켜야 함으로 손톱이 뭉게지거나 걸리지 않아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으로 배터리팩을 착탈하는 구조에서는 하부 케이싱 프레임의 하부측에 별도의 걸이부가 없이 슬라이딩 되어 착탈시키는 구조이므로, 배터리팩을 단말기에 슬라이딩으로 결합시 배터리의 외관과 단말기의 외관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못하고 단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본체에서 누름과 아울러 배터리팩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배터리팩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본체에서 누름과 아울러 배터리팩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단말기의 양산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 본체에서 누름과 아울러 배터리팩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부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외관과 배터리팩의 외관이 정확하게 일치되어 단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상의 장착면에서 장착되는 배터리팩을 락킹시키기 위한 락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상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외부의 눌림에 따라서 상, 하운동을 하는 푸시 락커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팩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푸시 락커부의 상, 하운동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을 구속 및 해제시킴과 아울러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장착면에서 착탈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이 구성요소 중 종래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3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100)는 푸시 락커부(2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30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푸시 락커부(200)는 외부의 눌림에 따라서 상, 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1a)상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며, 상기 락킹부(300)는 상기 푸시 락커부(200)의 상, 하운동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10)을 구속 및 해제시킴과 아울러 상기 본체(1)로부터 상기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장착면(1b)에서 착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와 상기 배터리팩(10)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7과 같이, 상기 장착면(1b)은 상기 배터리팩(1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내측으로 단차지게 리세된 착탈홈(4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착탈홈(400)의 일단에는 상기 착탈홈(400)에서 상기 배터리팩(10)을 착탈시 상기 배터리팩(10)의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게 할 수 있도록 스톱퍼부(4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본체(1)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1a)상에는 상기 푸시 락커부(2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홈(10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홈(101)내의 양 가장자리에는 상기 푸시 락커부(200)에 형성된 제 1 걸이부(202)를 관통시켜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홀(101a)이 형성되어 있며, 상기 장착홈(101)내의 중심부에는 상기 푸시 락커부(20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04)를 관통함과 아울러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10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푸시 락커부(200)는 락커 버튼부(201)와, 한쌍의 제 1 걸이부(202)와, 제 2 걸이부(203)와, 가이드 돌기(204)와, 코일 스프링(205)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락커 버튼부(201)는 상기 외부에 노출되어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장착홈(101)에 장착되어 있며,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걸이부(202)는 상기 장착홈(101)의 각각의 걸림홀(101a)에 관통됨과 아울러 걸려서 상기 버튼부(201)의 상, 하운동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락커 버튼부(2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제 2 걸이부(203)는 상기 락커 버튼부(201)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10)에 형성된 후크(10a)와 걸림을 해제하거나 슬 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후크(10a)와 걸려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락커 버튼부(20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204)는 상기 장착홈(101)내의 중심부에 형성된 가이드홀(101b)에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락커 버튼부(201)를 누름에 따라서 상, 하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 1 걸이부(202)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며, 도 6과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205)은 상기 락커 버튼부(201)의 상, 하운동을 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204)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걸이부(203)는 상기 배터리팩(10)의 후크(10a)와 걸림이 용이하도록 경자시게 접촉면(20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상기 락킹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2 락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락커(301)는 후술하는 제 2 락커(302)와 결합 및 이탈되도록 상기 배터리팩(10)의 양측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며, 상기 제 2 락커(302)는 상기 배터리팩(1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락커(301)들과 걸리거나 해제되도록 상기 본체(1)의 착탈홈(400)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제 1 락커(301)에는 상기 배터리팩(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제 2 락커(302)를 가이드 하여 걸리게 하도록 가이드 경사면(30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락커(301)에는 상기 제 2 락커(302)에 형성된 걸림돌기(302b)와 걸려 상기 배터리팩(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락커홈(30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락커(302)에는 상기 제 1 락커(301)의 가이드 경사면(301a)과 접촉되어 가이드 되도록 가이드 접촉면(30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락커(302)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락커(301)의 락커홈(301b)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걸림돌기(30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단말기 본체(1)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1a)상의 장착면(1b)에 장착된 배터리팩(10)을 분리할 경우 상기 하부 케이싱 프레임(1a)상에 구비된 푸시 락커부(200)를 사용자의 손톱으로 누른다.
이때, 상기 푸시 락커부(200)는 외부로 노출된 락커 버튼부(201)와 사용자의 손톱이 서로 접촉하여 누르게 된다.
이때, 도 6 및 도 8과 같이, 상기 락커 버튼부(201)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락커 버튼부(201)의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걸이부(202)가 상기 장착홈(101)의 각각의 걸림홀(101a)에 관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걸이부(202)가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락커 버튼부(201)의 하부에 형성된 제 2 걸이부(203)도 함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배터리팩(10)에 형성된 후크(10a)와의 걸림을 해제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상기 배터리팩(10)을 상기 푸시 락커부(200)와 멀어지게 상기 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도 7과 같이, 상기 배터리팩(10)을 일단이 상기 본체(1)의 착탈홈(400)의 일단에 형성된 스톱퍼부(401)와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거리르 제한하여 멈추게 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0)의 일단이 상기 스톱퍼부(401)와 접촉됨 아울러 상기 본체(1)의 장착면(1b)에 제공된 접속단자(미도시 됨)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배터리팩(10)을 상기 착탈홈(400)의 상부측으로 이동시켜 이탈시킨다.
이때,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본체(1)의 착탈홈(400) 양측면에는 상기 배터리팩(1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락커(301)들과 걸리거나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락커(30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팩(10)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도 12와 같이, 상기 배터리팩(10)의 제 1 락커(301)들이 상기 본체(1)의 제 2 락커(302)에서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도 13과 같이, 상기 제 2 락커(302)에 형성된 걸림돌기(302b)가 상기 제 1 락커(301)에 형성된 락커홈(301b)에서 이탈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팩(10)을 상기 본체(1)의 착탈홈(400)에서 분리한다.
여기서, 다시 상기 배터리팩(10)을 상기 본체(1)의 장착면(1b)에 장착할 경우 상기 배터리팩(10)을 상기 착탈홈(40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10)을 상기 푸시 락커부(200)쪽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10)의 후크(10a)는 상기 푸시 락커부(200)의 제 2 걸이부(203)에 형성된 접촉면(203a)과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푸시 락커부(200)를 상부 에서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후크(10a)에 상기 락커부(200)의 제 2 걸이부(203)를 걸리게 한다.
이때, 상기 락커 버튼부(201)의 가이드 돌기(204)에 체결된 코일 스프링(205)에 의해 상기 푸시 락커부(200)를 상, 하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팩(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제 1 락커(301)의 락커홈(301b)이 이동하여 상기 제 2 락커(302)에 형성된 걸림돌기(302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 1 락커(301)에는 상기 제 2 락커(302)의 가이드 접촉면(302a)과 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시 가이드 하여 걸리게 하는 가이드 경사면(30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락커(301)의 가이드 경사면(301a)에 상기 제 2 락커(302)의 가이드 접촉면(302a)이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팩(10)을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 접촉면(302a)이 상기 가이드 경사면(301a)을 따라서 가이드 되어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 본체에서 누름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팩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배터리 팩을 분리하거나 결합시키는 락킹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배터리팩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락킹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부를 구성하여 배터리팩의 외관과 단말기의 외관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어 단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는 전술한 실 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에서 누름과 아울러 배터리팩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배터리팩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단말기의 양산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부를 구성하여 배터리팩의 외관과 단말기의 외관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어 단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팩과 단말기의 접촉에 따른 배터리팩의 강도를 향상시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본체의 하부 케이싱 프레임상의 장착면에서 장착되는 배터리팩을 락킹시키기 위한 락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 프레임상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외부의 눌림에 따라서 상, 하운동을 하는 푸시 락커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배터리팩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푸시 락커부의 상, 하운동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을 구속 및 해제시킴과 아울러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장착면에서 착탈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은 상기 배터리팩을 착탈시킬 수 있게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단차지게 리세된 착탈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홈의 일단에는 상기 배터리팩의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게 하는 스톱퍼부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상에는 상기 푸시 락커부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내의 양 가장자리에는 상기 푸시 락커부에 형성된 각각의 걸이부를 관통시켜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내의 중심부에는 상기 푸시 락커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관통함과 아울러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락커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락커 버튼부와,
    상기 락커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의 각각의 걸림홀에 관통됨과 아울러 걸려서 상기 버튼부의 상, 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제 1 걸이부와,
    상기 락커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팩에 형성된 후크와 걸림을 해제하거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후크와 걸려 고정시키는 제 2 걸이부와,
    상기 제 1 걸이부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내의 중심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에 체결되어 상기 버튼부의 상, 하운동을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이부는 상기 배터리팩의 후크와 걸림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접촉면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배터리팩의 양측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락커와,
    상기 본체의 착탈홈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팩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락커들과 걸리거나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락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락커에는 상기 배터리팩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제 2 락커를 가이드 하여 걸리게 하는 가이드 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1 락커에는 상기 제 2 락커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걸려 상기 배터리팩을 고정시키는 락커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락커에는 상기 제 1 락커의 가이드 경사면과 접촉되어 가이드 되는 가이드 접촉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락커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락커의 락커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을 상기 본체의 착탈홈에서 이탈시킬 경우 상기 푸시 락커부의 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푸시 락커부의 제 2 걸이부가 상기 배터리팩의 후크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상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상기 배터리팩에 형성된 제 1 락커의 락커홈에서 상기 착탈홈에 형성된 제 2 락커의 걸림돌기가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착탈홈의 스톱퍼부와 접촉되어 상기 본체의 장착면에 제공된 접속단자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착탈홈에서 이탈되며,
    상기 배터리팩을 상기 본체의 착탈홈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배터리팩을 상기 착탈홈에 삽입하여 상기 푸시 락커부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배터리팩의 후크가 상기 제 2 걸이부에 걸려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락커의 락커홈에 상기 제 2 락커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팩을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20040079889A 2004-10-07 2004-10-07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20060031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889A KR20060031017A (ko) 2004-10-07 2004-10-07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889A KR20060031017A (ko) 2004-10-07 2004-10-07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017A true KR20060031017A (ko) 2006-04-12

Family

ID=3714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889A KR20060031017A (ko) 2004-10-07 2004-10-07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2169A (zh) * 2021-07-23 2021-11-23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路板锁紧器和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2169A (zh) * 2021-07-23 2021-11-23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路板锁紧器和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75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640369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케이스 락킹 장치
KR100630186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827113B1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커버 락킹 장치
US20100177468A1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60031017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1126513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200192692Y1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US20100188805A1 (en) Cover releasing mechanisms
KR200362169Y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2005008281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KR20060007513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JP3110649U (ja) コンピュータマウスの電池カバーの開放と止め合わせ装置
KR100790101B1 (ko) 휴대형 무선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40094973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100661570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20050038383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20060062002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200293958Y1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1003302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10103786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20060104577A (ko) 배터리 결합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