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622A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을 위한 단말정보 해제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을 위한 단말정보 해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622A
KR20060028622A KR1020040077649A KR20040077649A KR20060028622A KR 20060028622 A KR20060028622 A KR 20060028622A KR 1020040077649 A KR1020040077649 A KR 1020040077649A KR 20040077649 A KR20040077649 A KR 20040077649A KR 20060028622 A KR20060028622 A KR 20060028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ssage
base station
idle m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260B1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260B1/ko
Priority to US11/165,744 priority patent/US7505775B2/en
Priority to CA2569425A priority patent/CA2569425C/en
Priority to CN200580020940A priority patent/CN100596225C/zh
Priority to MXPA06014980A priority patent/MXPA06014980A/es
Priority to PL05756764T priority patent/PL1767036T3/pl
Priority to SI200531658T priority patent/SI1767036T1/sl
Priority to EP12189742.5A priority patent/EP2552164B1/en
Priority to PCT/KR2005/001998 priority patent/WO2006001673A1/en
Priority to CN200910224551.5A priority patent/CN101730229B/zh
Priority to ES05756764T priority patent/ES2394687T3/es
Priority to EP05756764A priority patent/EP1767036B1/en
Priority to JP2007517968A priority patent/JP4654241B2/ja
Priority to AU2005257642A priority patent/AU2005257642B2/en
Priority to PT57567646T priority patent/PT1767036E/pt
Priority to DK05756764.6T priority patent/DK1767036T3/da
Priority to BRPI0511403-9A priority patent/BRPI0511403A/pt
Publication of KR2006002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622A/ko
Priority to IL180227A priority patent/IL180227A/en
Priority to US11/691,410 priority patent/US7505776B2/en
Priority to US12/371,526 priority patent/US8606303B2/en
Priority to US12/398,084 priority patent/US8380227B2/en
Priority to US12/398,072 priority patent/US85831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260B1/ko
Priority to CY20131100062T priority patent/CY1113552T1/el
Priority to US14/091,916 priority patent/US9357486B2/en
Priority to US15/167,367 priority patent/US20160278008A1/en
Priority to US16/413,133 priority patent/US20190268844A1/en
Priority to US16/806,665 priority patent/US1132396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이 사실을 명시적으로 기지국에 알려주고, 망에서 관리되는 해당 단말의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망이 보다 효과적으로 단말정보를 관리하도록 하였으며, 망이 수행하는 별도의 확인 절차없이 단말정보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 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은, 유휴모드 상태의 단말을 운용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되면, 상기 단말의 유휴모드를 허락했던 네트워크 객체(entity)에서 관리하는 해당 단말의 정보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휴모드, 레인징 메시지

Description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을 위한 단말정보 해제 방법.{METHOD FOR RELEASE INFORMATION RELATED TO TERMINAL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도1은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시그널링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단말 정보 운용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는 고정 단말기/이동 단말기(이하, 단말기 혹은 단말이라 한다)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휴모드(Idle Mode)를 지원한다. 유휴모드 상태의 단말이 동일한 페이징 영역(Paging Zone)에 포함되는 기지국간을 이동할 때는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단말은 핸드오프 절차를 위한 상향(Uplink) 정보 전송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로 인한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이 유휴모드로 천이되었다가, 어떤 시점에 배터리의 소진이나 사 용자의 요구에 의해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종래 기술은 망(기지국 혹은 Paging Controller)이 수행하는 확인절차(위치등록 주기가 되었는데 단말이 위치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등)없이 상기 망에서 유지하는 단말의 정보를 삭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망이 관리해야 하는 정보를 필요 이상으로 발생시키고 이들의 유효성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또 다른 문제를 낳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이 사실을 명시적으로 기지국에 알려주고, 망에서 관리되는 해당 단말의 정보를 삭제시키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유휴모드 상태의 단말기가 전원을 종료하고자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원종료 지시자(power down indicator)를 포함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유휴모드를 허락했던 기지국에게 해당 단말의 정보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이 Paging Controller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Paging Controller에게 해당 단말 정보의 해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정보의 삭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단말기로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은,
유휴모드로 동작하는 단말기가 전원을 종료하고자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원종료 지시자(power down indicator)를 포함하는 제1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유휴모드 종료를 나타내는 제2메시지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네트워크 엔터티(Network entity)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메시지에 따라 상기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Network entity)는 다른 기지국 또는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휴모드의 동작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페이징 영역(Paging Zone): 페이징 영역은 페이징 그룹이라는 다수 개의 기지국이 담당하는 전체 영역으로 정의되는데, 같은 페이징 영역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은 같은 값의 페이징 주기(Paging_Cycle)와 페이징 오프셋(Paging_ Offset)을 갖 는다.
단말은 기지국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고, 기지국은 자신의 페이징 영역 아이디(Paging-Zone ID)와 그에 따른 페이징 주기와 페이징 오프셋을 전달함으로써 해당 단말을 유휴모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단말이 유휴모드로 전환할 때, 기지국은 유지하기를 바라는 정보의 목록을 전달한다. 보다 자세히, 기지국은 유지할 정보를 페이징주기와 페이징오프셋을 전달할 때 flag의 형태로 해당 단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유지되는 정보는 유휴모드를 허가한 기지국에서 관리되거나 또 다른 객체인 Paging Controller에서 관리된다.
유휴모드 동안, 단말은 약속한 페이징 주기마다 기지국으로부터 방송(broadcast)형태로 전달되는 페이징을 통해서 계속 유휴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말은 Paging Group이 변경되었을 때 혹은 유휴 모드 timer가 종료된 경우 Location Update를 수행한다.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이 트래픽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은 언제든지 유휴모드를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에게 전달해야 할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페이징을 통하여 단말로 하여금 유휴모드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유휴모드에 있던 단말이 이동하여 다른 페이징 영역으로 이동했거나 동기를 상실하는 등의 이유로 정해진 시간에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유휴모드를 종료한다.
결론적으로, 유휴모드로 들어간 단말은 전송 받거나, 전송해야 할 정보가 없는 한, 주기적인 페이징을 정상적으로 수신함으로써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도 동일한 페이징 영역에서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이하, 단말의 유휴모드 전환 절차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단말은 유휴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서비스 기지국에게 유휴모드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유휴모드요청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기지국은 페이징그룹 아이디와 페이징 주기, 페이징 오프셋 값을 유휴모드응답메시지에 실어 단말에게 전달하고, 단말과의 연결 정보와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자원 등을 해제한다.
하기 [표 1]은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달하는 유휴모드요청메시지의 일례로서, 기존의 등록해제요청(DREG-REQ)메시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Syntax Size Notes
DREG-REQ Message Format (){
Management Message Type=49 8 bits
등록해지 요구 코드 (De-registration_Request_Code) 8 bits 0x00=BS와 망으로부터 SS 등록해지 요청 0x01=서비스 기지국으로부터의 MSS 등록 해지 및 이동단말 유휴모드의 초기화 요구 0x02-0xFF=Reserved
TLV encoded parameters variable
}
등록해제요청(DREG-REQ)메시지의 De-registration_Request_Code가 0x01 (유휴모드개시 요청)로 설정되면, 하기 [표 2]와 같은 정보가 등록해제요청 (DREG-REQ)메시지의 TLV(Type length value) encoding 필드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된다.
Name Type Length Value
Paging Cycle Request ? 2 Request cycle in which the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within the paging group.
Idle Mode Retain Information nn 1 MSS request for Paging Controller retention of network re-entry related MAC management message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to expedite future Network Re-entry from Idle Mode. For each Bit location, a value of '0' indicates the information for the associated with the specified MAC management messages is not to be retained and managed, a value of '1' indicates the information is requested to be retained and managed Bit #0: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BC-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1: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KM-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2: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REG-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3: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Network Address Bit #4: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ime of Day Acquisition Bit #5: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FT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6: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Full service (MAC state machines, CS classifier information, etc ...)
하기 [표 3]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달하는 유휴모드응답메시지의 일례로서, 기존의 등록해제명령(DREG-CMD) 메시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Syntax Size Notes
DREG-CMD Message Format (){
Management Message Type=29 8 bits
동작코드(Action Code) 8 bits
TLV encoded parameters variable
}
하기 [표 4]는 상기 등록 해제 명령 메시지(DREG-CMD)의 Action Code를 나타낸 것이다.
동작코드 (Action Code) 동작(Action)
0x00 SS가 현재 채널을 두고 다른 채널 접속을 시도한다.
0x01 SS는 현재 채널을 청취하지만 RES-CMD메시지 또는 작코드를 갖는 DREG-CMD가 수신될 때까지 전송하지 않는다.
0x02 SS는 현재의 채널을 청취하지만 Basic Management, Primary Management 및 secondary Management connection에서만 전송한다.
0x03 SS는 정상동작으로 복귀하여 자신의 어떤 활성접속을 전송할 수 있다.
0x04 SS는 BS와 현재의 정상동작 종료; BS는 SS DREG-REQ에 응답하여 동작코드를 전송한다.
0x05 서비스 기지국으로부터 MSS 등록해지를 요구받아 이동단말 유휴모드의 개시를 요구한다.
0x06 이동통신는 주어진 지속시간(REQ-duration) 후 DREG-REQ메시지 재전송.
0x07 이동단말은 DREG-REQ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고 DREG-CMD메시지 대기.
0x08~0FF Reserved
상기 등록해제명령(DREG-CMD)메시지의 Action Code가 0x05(유휴모드 허가)로 설정되면, 하기 [표 5]와 같은 정보가 상기 등록 해제 명령 메시지(DREG-CMD)의 TLV encoding 필드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된다.
Name Type Length Value
Paging Information ? 4 Bits 15:0 - PAGING_CYCLE-Cycle in which the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within the paging group Bits 23;16 - PAGING OFFSET Determines the frame within the cycle in which the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Must be smaller than PAGING CYCLE value Bits 31:24- Paging-group-ID ID of the paging group the MSS is assigned to
REQ-duration ? 1 Waiting value for the DREG-REQ message re-transmission (measured in frames)
Paging Controller ID oo 6 This is a logical network identifier for the Serving BS or other network entity retaining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nd/or administering paging activity for the MSS while in IDLE Mode
Idle Mode Retain Information pp 1 Idle Mode Retain Information is provided as part of this message is indicative only. Network Re-entry from Idle Mode process requirements may change at time of actual reentry. For each Bit location, a value of '0' indicates the information for the associated reentry management messages shall not be retained and managed, a value of '1' indicates the information for the associated re-entry management message shall be retained and managed Bit #0: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BC-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1: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KM-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2: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REG-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3: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Network Address Bit #4: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ime of Day Bit #5: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FT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6: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Full service (MAC state machines, CS classifier information, etc ...)
또한, 서비스 기지국은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말의 MAC 주소를 자신이 속한 페이징그룹의 기지국들에게 알려서, 동일한 페이징 주기(PAGING_ CYCLE, PAGING OFFSET)로 해당 단말을 페이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유휴모드응답메시지를 통해,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허가받은 단말은 페이징 주기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되는 방송 형태의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자신에게 전달되는 하향 트래픽이 있는지, 혹은 레인징을 수행해야 하는지, 아니면 계속 유휴모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하기 [표 6]은 단말이 페이징 그룹의 기지국들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수신하는 방송 형태의 페이징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Syntax Size Notes
MOB-PAG-ADV Message Format (){
Management Message type=?? 8 bits
Num-Paging Group IDs 8 bits 메시지내의 페이징 그룹 ID의 번호
For(i=0; i<Num-Paging-Group-IDs; i++){
Paging Group ID 8 bits
}
For(j=0; j<Num-MACs; j++){ 메시지내의 이동단말 MAC주소의 번호는 메시지 길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고유 MAC 헤더에서 발견됨)
MSS MAC address hash 24 bits Hash는 이동단말48비트 MAC주소에서 CRC24를 계산하여 얻어지며, 계산을 위한 다항식 정리는 0x864CFB이다
동작코드 (Action Code) 2 bits * 이동단말로의 페이징 동작 지시 00=요구되는 동작없음 01=위치 및 응답 메시지를 수립하기 위해 레인징 수행 10=망 진입(Enter Network) 11=Reserved
Reserved 6 bits
}
}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하향 트래픽이 있음을 전달받으면, 유휴모드 상태를 종료하고 네트웍에 재등록하여 하향 데이터 트래픽을 수신한다. 단말이 유휴모드 상태를 종료하고 네트웍에 재등록할 때는 Ranging을 이용하여 네트웍에 재 등록한다.
하기 [표 7]은 레인징요구(RNG-REQ)메시지를 보여주고 하기 [표 8]은 단말이 유휴모드를 종료하고 네트웍에 재 등록할 때 레인징요구 메시지에 추가 되는 정보(TLV Encoded Information)이다. 이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이 유휴모드에서 네트웍에 재등록하기 위해 레인징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Syntax Size Notes
RNG-REQ Message Format() {
Management Message Type = 4 8 bits
Downlink Channel ID 8 bits
TLV Encoded Information variable TLV specific
}
Name Type Length Value
Ho Indication zz 1 Presence of item in message in combination with other included information elements indicates the MSS is currently attempting to HO or network Re-entry from Idle-Mode to the BS, regardless of value
Location Update Request qq 1 Presence of item in message indicates MSS action of Idle Mode Location Update Process regardless of value
Paging Controller ID rr 6 This a logical network network identifier for the serving BS or other network entity retaining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nd/or administering paging activity for the MSS while in Idle Mode
단말이 레인징을 이용하여 유휴모드 종료하고 네트워크에 재등록할 때에, 처음 유휴모드를 허용한 기지국(혹은 Paging controller)은 현재 유지되는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알려주어 어떤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현재 유지되는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필요한 절차만을 수행하게 되므로, 단말의 네트워크 재 등록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레인징을 수행하도록 요청 받으면, 레인징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으로 하여금 단말의 위치 및 유효한 유휴모드의 단말 리스트를 갱신하도록 한다. 또한, 단말은 위치갱신 조건에 해당하는 시점에 레인징을 통해 위치갱신을 수행하고,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는 [표 7]과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위치갱신 조건에 해당하는 시점은 페이징 영역이 바뀌었을 때 혹은 타이머가 만료되었을 때이다.
반면, 단말이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아무 행동을 하지 않도록 전달받으면, 별다른 동작없이 유휴모드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만일, 단말에 상향 트래픽 또는 하향 트래픽이 발생하거나, 혹은 단말이 다른 페이징 그룹에 속한 기지국으로 넘어가서 유휴모드를 종료하면, 기지국은 같은 페이징 그룹에 속한 기지국들에게 이를 알려서, 유휴모드 단말 리스트로부터 해당 단말을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이 사실을 기지국에 알려줌으로써 망(유휴모드를 허락했던 마지막 기지국 혹은 Paging Controller)이 유지하던 해당 단말 관련 정보를 해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레인징(Ranging) 요구 메시지와 레인징(Ranging) 응답 메시지를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은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이 전원-off를 시도하면, 이 사실을 레인징 요구 메시지에 실어, 망(유휴모드를 허락했던 마지막 기지국 혹은 Paging Controller)에 알려준다. 또한 단말의 전원-off에 따른 레인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망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각종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
하기 [표 9]는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레인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망으로 전달되는 메시지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Length Value
Power down Indicator nn 1 Presence of item in message indicates the MSS is currently attempting to switch power off, regardless of value
[표 9]의 메시지 파라미터는 TLV 형태로 메시지에 포함된다.
하기 [표 10]은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달되는 메시지 파라미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Name Type Length Value
Power down Response nn 1 0x00= Failure of Power Down Information Update. 0x01= Success of Power Down Information Update 0x10, 0x11: Reserved
[표 10]의 메시지 파라미터는 TLV 형태로 메시지에 포함된다.
상기 두 메시지 즉, 레인징 요구 메시지와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상기 [표 9]와 [표 10]의 메지시 파라미터를 다른 메시지에 적용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시그널링을 나타낸 도면으로,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단말과 망(유휴모드를 허락했던 마지막 기지국 혹은 Paging Controller)간에 전송되는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시그널링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단말(MSS)은 기지국이 유지하기를 희망하는 단말의 세션정보(단말의 capability, 인증정보, IP 주소정보, 네트워크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 등)를 [표 5]와 같은 형태로 유휴모드요청메시지(DREG-REQ)에 실어, 기지국(BS1)에 유휴모드를 요청한다.(S10)
유휴모드요청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BS1)은 해당 단말(MSS)이 페이징 그룹에 추가될 수 있도록, 백본(Back-bone)을 통해 동일한 페이징그룹 아이디를 갖는 기지국들에게 알려준다.(S20) 이때, 기지국(BS1)은 동일 영역에 있는 모든 기지국에 알려 줄 수도 있다.
만일, 망에 Paging Controller가 존재할 경우, 기지국(BS1)은 단말의 유휴모드 요청 사실을 Paging Controller에게 알려주고 Paging Controller가 동일 영역에 있는 기지국들에게 알려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기지국(BS1)은 단말의 유휴모드 요청 사실을 Paging Controller에게만 알려 주고 Paging Controller가 향후 페이징 (호출)메시지를 송출하도록 동일 페이징 영역내의 기지국들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기지국(BS1)은 앞으로 유지할 단말의 세션정보를 유휴모드 응답메시지(DREG-CMD)에 실어 단말(MSS)에게 전달하고, 이때 페이징 주기와 페이징 오프셋, 페이징 아이디 등의 페이징 정보를 함께 전달한다.(S30) 단말(MSS)은 또한, 정해진 주기에 따라 방송형태의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BS1)으로부터 수신한다.(S40)
이후, 단말이 동일한 페이징그룹의 기지국(BS2)으로 이동하게 되면(S50), 단말은 동일한 페이징 주기와 페이징 오프셋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기지국(BS2) 으로부터 수신한다.(S60)
그리고 이후, 어떤 시점에 배터리의 소진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해당 단말은 전원 오프(off)를 나타내는 메시지 파라미터(예: Power down indicator)를 레인징 요구 메시지에 실어 기지국(BS2)으로 전달한다.(S70) 그러면 기지국(BS2)는 해당 단말의 정보를 관리하는 기지국 BS1(해당 단말의 유휴모드를 허락했던 마지막 기지국 혹은 Paging Controller)에게 단말의 전원-오프(off) 사실을 알리거나 정보해제를 요구하여 상기 기지국(BS1)이 관리하는 해당 단말의 정보를 삭제시키거나 해제 시킨다.(S80)
또는 전원종료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유휴모드 종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네트워크 엔터티(Network entity)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터티는 페이징 제어국(Paging controller)일수 도 있다
그리고 기지국(BS2)이 레인지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의 정보가 삭제(혹은 삭제 실패)되었음을 해당 단말에게 알려주면, 단말은 전원을 종료한다. (S90) 단말은 상황에 따라 이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도 전원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1에서 단말기가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효모드를 허락한 기지국 자체에서 전원종료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 할 수도 있다 .
이상의 절차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은 전원이 오프(off)된 단말로 향하는 트래픽(Traffic)이 발생했을 때, 상기 트래픽의 발신자에게로 수신측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되었음을 즉시 알릴 수 있게 되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휴모드에 있는 단말의 전원이 오프(off)될 때, 이 사실을 명시적으로 기지국에 알려주고, 망에서 관리되는 해당 단말의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망이 보다 효과적으로 단말정보를 관리하도록 하였으며, 망이 수행하는 별도의 확인절차없이 단말정보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 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켰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유휴모드 상태의 단말기가 전원을 종료하고자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원종료 지시자(power down indicator)를 포함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유휴모드를 허락했던 기지국에게 해당 단말의 정보를 해제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이 Paging Controller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Paging Controller에게 해당 단말 정보의 해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메시지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전원종료 지시자를 TLV(Type length value)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정보의 삭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단말기로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단말정보 삭제의 성공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 파라미터를 TLV형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
  7. 유휴모드로 동작하는 단말기가 전원을 종료하고자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원종료 지시자(power down indicator)를 포함하는 제1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유휴모드 종료를 나타내는 제2메시지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와 관련된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네트워크 엔터티(Network entity)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시지에 따라 상기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터티(Network entity)는
    다른 기지국 또는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단말정보 해제 방법.
KR1020040077649A 2004-06-25 2004-09-25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 KR100908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649A KR100908260B1 (ko) 2004-09-25 2004-09-25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
US11/165,744 US7505775B2 (en) 2004-06-25 2005-06-24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DK05756764.6T DK1767036T3 (da) 2004-06-25 2005-06-25 Verificering af tomgangsmodus-mobilabonnentstationers tilgængelighed i et trådløst adgangssystem
MXPA06014980A MXPA06014980A (es) 2004-06-25 2005-06-25 Verificacion de disponibilidad de estacion de suscriptor movil de modo inactivo en sistema de acceso inalambrico.
PL05756764T PL1767036T3 (pl) 2004-06-25 2005-06-25 Weryfikacja dostępności ruchomej stacji użytkownika w trybie bezczynnym w systemie dostępu bezprzewodowego
SI200531658T SI1767036T1 (sl) 2004-06-25 2005-06-25 Preverjanje razpoložljivosti mobilnih naročniških postaj, ki so v nedejavnem stanju, v brezžičnih sistemih dostopa
EP12189742.5A EP2552164B1 (en) 2004-06-25 2005-06-25 Verifying availab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s in a wireless access system
PCT/KR2005/001998 WO2006001673A1 (en) 2004-06-25 2005-06-25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s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CN200910224551.5A CN101730229B (zh) 2004-06-25 2005-06-25 用于空闲模式移动用户站的位置更新的方法
ES05756764T ES2394687T3 (es) 2004-06-25 2005-06-25 Verificación de disponibilidad de las estaciones móviles de abonado en el modo de reposo en un sistema de acceso inalámbrico
EP05756764A EP1767036B1 (en) 2004-06-25 2005-06-25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s in a wireless access system
JP2007517968A JP4654241B2 (ja) 2004-06-25 2005-06-25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けるアイドルモード移動局加入者の利用可能性検証
CA2569425A CA2569425C (en) 2004-06-25 2005-06-25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PT57567646T PT1767036E (pt) 2004-06-25 2005-06-25 Verificação da disponibilidade de estações de assinantes móveis em modo inactivo num sistema de acesso sem fios
CN200580020940A CN100596225C (zh) 2004-06-25 2005-06-25 无线接入系统中验证空闲模式移动用户站的可用性
BRPI0511403-9A BRPI0511403A (pt) 2004-06-25 2005-06-25 verificação da disponibilidade de uma estação de assinante móvel em modo inativo em um sistema de acesso de sem fio
AU2005257642A AU2005257642B2 (en) 2004-06-25 2005-06-25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s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IL180227A IL180227A (en) 2004-06-25 2006-12-21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s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11/691,410 US7505776B2 (en) 2004-06-25 2007-03-26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12/371,526 US8606303B2 (en) 2004-06-25 2009-02-13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12/398,084 US8380227B2 (en) 2004-06-25 2009-03-04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12/398,072 US8583147B2 (en) 2004-06-25 2009-03-04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CY20131100062T CY1113552T1 (el) 2004-06-25 2013-01-23 Διαθεσιμοτητα επαληθευσης κινητου σταθμου συνδρομητη, ο οποιος ειναι σε αδρανη κατασταση σε ασυρματο συστημα προσβασης
US14/091,916 US9357486B2 (en) 2004-06-25 2013-11-27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15/167,367 US20160278008A1 (en) 2004-06-25 2016-05-27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16/413,133 US20190268844A1 (en) 2004-06-25 2019-05-15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16/806,665 US11323960B2 (en) 2004-06-25 2020-03-02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649A KR100908260B1 (ko) 2004-09-25 2004-09-25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393A Division KR100935294B1 (ko) 2009-02-18 2009-02-18 유휴모드 단말의 단말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622A true KR20060028622A (ko) 2006-03-30
KR100908260B1 KR100908260B1 (ko) 2009-07-20

Family

ID=3713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649A KR100908260B1 (ko) 2004-06-25 2004-09-25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426B1 (ko) * 2005-01-1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2214B2 (en) 2000-04-07 2005-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ed packet-resource management
KR20020058615A (ko) * 2000-12-30 200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C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 관리 방법
US6907016B2 (en) 2001-04-03 2005-06-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e IP registration in selected inter-PDSN dormant hand-off cases in a CDMA2000-based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426B1 (ko) * 2005-01-1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모드 상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260B1 (ko) 2009-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525B1 (ko) 유휴모드 전환 제어 방법
US7636563B2 (en) Performing idle mod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US7885224B2 (en) Method for reestablishment of IP address for idle mode MS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ereof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7894831B2 (en) Controlling idle mode of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8583147B2 (en)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KR10108053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이동단말을 위한메시지 전송방법
KR100875425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유휴모드 동작, 유휴모드 단말의위치갱신 및 유휴모드 종료방법
KR2006004212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지원 방법
KR100935294B1 (ko) 유휴모드 단말의 단말 정보 관리 방법
KR10087541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유효성 확인방법
KR101108850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KR100908260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
EP1832124B1 (en) Performing idle mod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KR100893862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제어 방법
KR20060043533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유휴모드 지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