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850B1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850B1
KR101108850B1 KR1020050017039A KR20050017039A KR101108850B1 KR 101108850 B1 KR101108850 B1 KR 101108850B1 KR 1020050017039 A KR1020050017039 A KR 1020050017039A KR 20050017039 A KR20050017039 A KR 20050017039A KR 101108850 B1 KR101108850 B1 KR 10110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mode
paging
mobile station
message
m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766A (ko
Inventor
김용호
류기선
곽용원
김범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5/00325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070993A1/en
Priority to CA2584322A priority patent/CA2584322C/en
Publication of KR2006005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2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by periodic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적용되는 유휴모드(Idle Mode) 수행 방법에 있어서, 페이징 영역내에 유휴모드 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이동국들에 대하여, 유휴 모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페이징 영역 내에 유휴모드 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이동국들이 유휴 모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방송(Broadcast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유휴모드 유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의 크기를 줄임으로서, 하향링크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유휴모드 상태인 이동국에서 메시지 처리를 위한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 유휴모드, 페이징광고메시지

Description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METHOD FOR PERFORM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도1은 다수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페이징 그룹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낸 제 1 실시예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낸 제 2 실시예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낸 제 3 실시예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낸 제 4 실시예의 제 1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낸 제 4 실시예의 제 2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낸 제 4 실시예의 제 3 흐름도.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적용되는 유휴모드(Idle Mode)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국(MSS; Mobile Subscriber Station)이 유휴모드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의 크기를 줄임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유휴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방 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는 이동국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유휴모드(Idle Mode)를 지원한다. 유휴모드는 이동국이 특정 기지국(BS; Base Station)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 개의 기지국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페이징 영역(Paging Zone) 내에서 기지국 간 이동 시에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아도, 이동국이 페이징(MOB_PAG-ADV)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자신에게 향하는 하향 트래픽의 존재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국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유휴모드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페이징영역은 페이징그룹이라는 다수 개의 기지국의 집합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이 담당하는 전체 영역으로 정의되는데, 동일한 페이징그룹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은 같은 값의 페이징주기(Paging_Cycle)와 페이징오프셋(Paging_Offset)을 가진다. 이동국은 기지국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고, 기지국은 자신의 페이징그룹아이디(Paging Group ID)와 그에 따른 페이징주기와 페이징오프셋을 전달함으로써 해당 이동국은 유휴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과 기지국은 유휴모드 이동국의 위치갱신을 위한 타이머를 동작시킨다.
유휴모드 동안, 이동국은 약속한 페이징 주기마다 기지국으로부터 방송형태로 전달되는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서 계속 유휴모드를 유지할 것인지 종료할 것인지 또는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할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휴모드에 있는 이동국이 전송해야 하는 상향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이동국은 언제든지 유휴모드를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휴모드에 있는 이동국에게 전달해야 할 하향 트래픽이 발생한 경우, 기지국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하여 이동국로 하여금 유휴모드를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유휴모드에 있던 이동국이 동기를 상실하는 등의 이유로 정해진 시간에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국은 유휴모드를 종료해야 한다.
유휴모드의 이동국이 다른 페이징그룹으로 이동했거나 위치갱신을 위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에 네트워크 재등록 절차를 통해 유효하지 않은 파라미터를 갱신함으로써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이동국은 기지국에 의해 유지되는 관리자원 정보에 따라, 생략 가능한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위치갱신 절차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휴모드 유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의 크기를 줄임으로서, 하향링크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유휴모드 상태인 이동국에서 메시지 처리를 위한 전력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적용되는 유휴모드(Idle Mode) 수행 방법에 있어서, 페이징 영역내에 유휴모드 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이동국들에 대하여, 유휴 모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페이징 영역 내에 유휴모드 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이동국들이 유휴 모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방송(Broadcast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표 1 은 페이징 영역을 구성하기 위한 기지국간 메시지(Paging-group-action)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기지국간 메시지는 유선상으로 기지국 사이에 전송될 수 있다.
Field Size Notes
Paging-group-action Message Format(){
Message Type 8-bits
Sender BS-ID 48-bit Base station unique identifier(Same number as that broadcasted on the DL-MAP message)
Target BS-ID 48-bit Base station unique identifier(Same number as that broadcasted on the DL-MAP message)
Time Stamp 32-bit Number of millisecond sice midnight GMT (set to 0xffffffff on the DL-MAP message)
Action 4-bit 0-Assign target BS to paging groups
1-Remove target BS from paging groups
2-Query(which paging groups target BS belongs to?)
3-Information(Paging groups sender BS belongs to)
Num Record 4-bit Number of paging group-ID records
Field Size Notes
For(j=0; j<Num Record; j++){
Paging-group-ID 16-bit Paging-group-ID
PAGING_CYCLE 16-bit Cycle in which the paging message in trnasmitted within the paging group
PAGING_OFFSET 8-bit MSS PAGING OFFSET parameter
}
Security field TBD A mean to authenticate this message
CRC field 32-bit IEEE CRC-32
}
상기 기지국간 메시지는 행동(Action) 비트들의 조합에 따라서 다음의 네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수신하는 기지국(target BS)을 특정 페이징그룹으로 지정할 수 있고(Action=0), 수신하는 기지국을 특정 페이징그룹에서 제외할 수 있으며(Action=1), 수신하는 기지국이 어느 페이징그룹에 속하는지 물어볼 수 있다 (Action=2). 한편, 송신하는 기지국(Sender BS)이 어느 페이징그룹에 속하는 지 알려줄 수도 있다(Action=3).
하나의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페이징영역에 속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간 메시지(Paging-group-action)는 다수 개의 페이징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간 메시지(Paging-group-action)를 통해서, 기지국들은 각 페이징영역에서 사용하는 페이징주기와 페이징오프셋을 알 수 있다. 한편, 동적으로 기지국들을 페이징그룹에 할당할 수 있다.
도 1 은 다수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페이징 그룹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휴모드(Idle Mode)를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BS; Base Station)들이 페이징 그룹(Paging Group)에 소속되어 페이징 영역을 구성한다.
표 2 는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의 일례이다.
Syntax Size Notes
DREG-REQ_Message_Format(){
Management Message Type=29 8 bits 0x00=SS de-registration request from BS and network
0x01=request for MSS deregistration from Serving BS invitation of MSS paging Availability Mode
0x02-0xFF=reserved
De-registration Request Code 8 bits Only valid if De-Registration Request Code=0x01
Paging Cycle Request 16 bits
TLV encoded parameter variable
}
이동국은 상기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의 등록해제요청코드(De-registration Request Code)를 0x01로 설정하여 기지국에 전달함으로써 자신이 유휴모드로 전환할 것임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선호하는 페이징주기 및 유휴모드로 전환 후에 기지국이 유지하기를 희망하는 이동국의 관리자원 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표 3 은 상기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위한 TLV 인코디드 파라미터(TLV encoded parameters)를 나타낸 일례이다.
Name Type Length Value
Paging Cycle Request 2 Requested cycle in which the paging message is trasnmitted within the paging group.
Idle Mode Retain Information MSS request for Paging Controller retention of network re-entry related MAC management message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to expedite future Network Re-entry from Idle Mode. For each Bit location, a value of '0' indicates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pecified MAC management message is not requested to be retained to be retained and managed.
Bit#0 :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BC-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1 :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KM-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2 :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REG-REQ/RSP MAC messages
Bit#3 :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Network Address
Bit#4 :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ime of Day Acquisition
Bit#5 :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FTP MAC management messages
Bit#6 :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with Full service(MAC state machines, CS classifier information, etc..)
상기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받은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를 통해 이동국의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표 4 는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를 나타낸 일례이다.
Syntax Size Noets
DREG-CMD_Message_Format(){
Management Message Type=29 8 bits
Action Code 8 bits
TLV encoded parameters variable
}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DREG_CMD)메시지의 동작코드(Action Code)를 통해서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허용하거나(Action Code=0x05), 일정시간 후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다시 요청하도록 하거나(Action Code=0x06), 자신이 등록해제명령메시지를 전송할 때까지 더 이상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tion Code=0x07).
표 5 는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의 동작코드를 나타낸 일례이다.
Action Code Action
0x00 MSS shall immediately terminate service with BS and attempt network entry at another BS
0x01 MSS shall listen to the current BS but shall not transmit until an RES-CMD message or DREG_CMD with Action Code 0x00 is received
0x02 MSS shall listen to the current BS but only transmit on the Basic, Primary Management and Secondary Management Connections.
0x03 MSS shall return to normal operation and may transmit on any of its active connections.
0x04 MSS shall terminate current Normal Operation with the BS; the BS shall transmit this action code only in response to any MSS DREG-REQ
0x05 required MSS de-registration from Serving BS and request initiation of MSS Idle Mode
0x06 The MSS may retransmit the DREG-REQ message after the time duration (REQ-duration) provided in the message
0x07 The MSS shall not retransmit the DREG-REQ message and shall wait the DREG_CMD message
0x08-0xFF Reserved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TLV(Type Length Value) 항목를 통해서, 해당 이동국이 유휴모드 동안 유지해야 하는 페이징그룹아이디(Paging Group ID), 페이징주기(Paging_Cycle), 그리고 페이징오프셋(Paging_Offset) 값을 전달할 수 있다.
표 6 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에 포함되는 TLV 파라미터들의 일례이다.
Name Type Length Value
Paging Information 4 Bits 15:0 - PAGING_CYCLE - Cycle in which the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within the paging group
Bits 23:16 - PAGING OFFSET - Determines the frame within the cycle in which the paging message is transmitted. Must be smaller than PAGING CYCLE value
Bits 31:24- Paging-group-ID - ID of the paging group the MSS is assigned to
REQ-duration 1 Waiting value for the DREG-REQ message retransmission (measured in frames)
Paging Controller ID 6 This is a logical network identifier for the Serving BS or other network entity retaining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nd/or administering paging activity for the MSS while in IDLE Mode
Idle Mode Retain Information 1 Idle Mode Retain Information is provided as part of this message is indicative only. Network Re-entry from Idle Mode process requirements may change at time of actual reentry. For each Bit location, a value of ‘0’ indicates the information for the associated reentry management messages shall not be retained and managed, a value of ‘1’ indicates the information for the associated re-entry management message shall be retained and managed
Bit #0: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BC-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1: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KM-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2: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REG-REQ/RS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3: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Network Address
Bit #4: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ime of Day
Bit #5: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FTP MAC management messages
Bit #6: Retain MSS service and opera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Full service (MAC state machines, CS classifier information, etc.)
상기와 같이,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는 TLV 파라미터로써 페이징 정보와,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한 후에 기지국에 의해 유지되는 이동국의 관리자원 정보 및 페이징 제어국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할 때 기지국에 의해 유지되는 정보들은 향후에 해당 유휴모드 이동국이 유휴모드를 종료하거나,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네트워크 등록 절차 과정에서 해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국의 빠른 네트워크 등록 및 위치 갱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표 7 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나타낸 일례이다.
Syntax Size Notes
MOB_PAG-ADV_Message_Format(){
Management Message Type =62 8bits
Num_Paging Group IDs 8bits Number of Paging Group IDs in this message
For(i=0; i<Num_Paging_Group_IDs; i++){
Paging Group ID 8bits
}
For(j=0; j<Num_MACs; j++){ Number of MSS MAC Addresses in message can be determined from the length of the message(found in the generic
MSS MAC Address hash 24bits
Action Code 2bitss Paging action instruction to MSS
00=No Action Required
01=Performing Ranging to establish location and acknowledge message
10=Enter Network
11=reserved
Reserved 6bits
}
TLV Encoded Information variable TLV specific
reserved variable Padding bits to ensure octet aligned
}
이동국은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정해진 페이징주기로 페이징오프셋에 수신함으로써 유휴모드를 유지하거나, 유휴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유휴모드의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함으로써 유휴모드를 종료할지,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할 지 또는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하나의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기지국들은, 동일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유휴모드 이동국들의 동작을 지시한다. 이 때, 각 이동국들을 구별해 주는 식별자로서 24 비트의 길이를 가지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 주소 해쉬를 사용할 수 있다. 유휴모드 이동국들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페이징 그룹 아이디 파라미터 설정 값을 통해 페이징 그룹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예를 들면, MAC 주소 해쉬)를 발견함으로써 페이징 그룹 내에서 유휴모드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하게 된다.
유휴모드 이동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하고,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내에서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발견하지 못하면, 유휴모드 동작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유휴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페이징 그룹 내의 모든 기지국들은, 위치 갱신 절차를 수행하거나, 하향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 이동국이라 할지라도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시켜 전송해야 한다.
즉, 유휴모드를 지원하는 모든 기지국들은 동일한 페이징 그룹 내에 속한 모든 유휴모드 이동국들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시키고, 페이징 주기마다 방송(Broadcasting) 형태로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이동국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해당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기지국들이 주기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크기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한편, 이를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한 하향링크 대역이 증가함으로써 기지국들로 하여금 효율적으로 무선자원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또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크기에 비례하여 유휴모드 이동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하고 복호화하기 위한 처리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이동국에 유휴모드 유지를 지시하는 경우,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크기를 줄이고, 무선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며, 해당 이동국이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availibility)을 갱신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페이징 파라미터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3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는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와 그에 따르는 동작코드 및 TLV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로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타입을 정의하고, 메시지 타입에 따라 유휴모드 이동국에 관한 페이징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생략한다. 이 경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모든 유휴모드 이동국이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한하여 페이징 파라미터를 생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로서,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할 때, 기지국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 가능한 횟수를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에 포함하여 이동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로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유휴모드를 유지하는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 되었음을 알려주는 특정 플래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모든 이동국에 상응하는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되는 것이 아니라,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이동국들에 상응하는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되며, 위치갱신 및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이동국에 대한 페이징 파라미터는 포함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로서, 유휴모드의 이동국이 연속된 일정 횟수 동안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 갱신을 위해,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할때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를 통해 상기 횟수를 이동국에 전달할 수 있으며, 페이징 그룹 내의 기지국들은 해당 페이징 파라미터를 상기 횟수 내에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시킴으로써, 이동국으로 하여금 별도의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이 전달하는 페이징광고메시지에 이동국의 식별자를 생략할 수 있는 횟수는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국에 의해 관리되고 갱신될 수 있다.
표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나타낸 일례이다.
Syntax Size Notes
MOB_PAG-ADV_Message_Format() {
Management Message Type=62 8bits
Num_Paging_Group_IDs 8bits Number of Paging Group IDs in this message
For(i=0; i<Num_Paging_Group_IDs; i++) {
Paging Group ID 8bits
}
Paging Type 1bit 0 : Normal type
1 : Compressed type
If(Paging Type == 0) {
Num_MACs 15bits
For (j=0; j<Num_MACs; j++) {
MSS MAC Address hash 24bits The hash is obtained by computing a CRC24 on the MSS 48-bit MAC address. The polynomial for the calculation is 0x864CFB
Action Code 2bits Paging action instruction to MSS
00=No Action Required
01=Perform Ranging to establish location and acknowledge message
10=Enter Network
11=reserved
Reserved 6bits
}
}
else {
reserved 7bits
}
TLV encoded Information variable TLV specific
reserved variable Padding bits to ensure octet aligned
}
else {
reserved 7bits Padding bits to ensure octet aligned
}
}
표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일례이다. 표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의 식별자가 생략되는 횟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상기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에 포함될 수 있다.
Name Type Length Value
Number of skipping MAC Address hash 1 Number of skipping MSS MAC address hash in the MOB_PAG-ADV message when the value of action code associated with the MSS is 0 (No Action). The unit is the number of MOB_PAG-ADV transmission.
표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일례이다.
Name Type Length Value
Interval including MAC Address hash 1 Indicates per which number of MOB_PAG-ADV transmission the BS should include MSS MAC address hash in the MOB_PAG-ADV message when the value of action code associated with the MSS is 0 (No Action).
표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의 식별자가 포함되는 간격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상기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에 포함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유휴모드 이동국의 동작을 주기적으로 지시하는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는 종래 기술에서의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에서 이동국의 유휴모드 전환을 허락하면서 전달했던 이동국 식별자의 생략 가능 횟수에 따라, 해당 이동국이 지속적으로 유휴모드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이동국의 식별자를 규칙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유휴모드 이동국은 페이징 기간 동안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동작을 지시 받는 경우에, 규칙적으로 이동국의 식별자가 생략되므로, 자신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유휴모드 동작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동국 식별자의 생략 가능 횟수에 따라,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자신의 식별자를 통해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한다.
만약, 기지국 간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전송 동기가 맞지 않아 이동국 식별자의 생략 가능 횟수가 넘도록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식별자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이동국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일정 횟수 동안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더 수신하였으나,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유휴모드 동작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하거나,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일정 횟수는, 상기 표 10 의 파라미터 설정 값에 두배를 한 값 혹은, 표 9 의 파라미터 설정 값에 1 을 더한 후, 그 값을 두배한 값으로 할 수 있다.
표 11 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나타낸 일례이다.
Syntax Size Notes
MOB_PAG-ADV_Message_Format(){
Management Message Type=62 8 bits
Num_Paging_Group_IDs 8 bits Number of Paging Group IDs in this message
For (i=0; i<Num_Paging_Group_IDs; i++) {
Paging Group ID 8bits
}
Omit MSS MAC Address hash 1bit 0 : No omission of MSS MAC Address hash
1 : Omission of MSS MAC Address hash which value of Action code is 0.
Num_MACs 15 bits Number of MSS MAC addresses
For (j=0; j<Num_MACs; j++) {
MSS MAC Address hash 24bits The hash is obtained by computing a CRC24 on the MSS 48-bit MAC address. The polynomial for the calculation is 0x864CFB
Action Code 2bits Paging action instruction to MSS
00=No Action Required
01=Perform Ranging to establish location and acknowledge message
10=Enter Network
11=reserved
Reserved 6 bits
}
TLV Encoded Information variable TLV specific
Reserved variable Padding bits to ensure octet aligned
}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는 이동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생략되었는지를 플래그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위치갱신 및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 이동국이 있는 경우에도,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줄일 수 있다.
단, 제 1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전달하는 동안 이동국의 유휴모드 유지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더라도, 모든 이동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본 발명에서, 제 1 실시예의 페이징 타입(paging type) 값을 0으로 설정하거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Omit MSS MAC Address hash' 값을 0으로 설정)를 적절하게 전달함으로써, 유휴모드 이동국들로 하여금 유휴모드의 동작 유효성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표 12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REQ)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일례이다.
Name Type Length Value
MAC Hash Skip Threshold
1 Maximum number of skipping MSS MAC address hash in the MOB_PAG-ADV message successively in case the MSS shall maintain Idle Mode(i.e. Action code is 0, 'No Action Required'). The unit is the number of MOB_PAG-ADV transmission.
표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징 파라미터가 페이징광고메시지에서 생략될 수 있는 최대 횟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상기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REQ)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에 포함될 수 있다. 표 12 에 설정되는 값은 기지국이 특정 이동국의 이동국 식별자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연속해서 생략할 수 있는 최대 횟수로써 사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이동국이 상기 횟수 동안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지 않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하는 경우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이동국은 페이징광고메시지에서 이동국의 식별자가 연속해서 생략될 수 있는 최대 횟수를 요청하기 위하여 표 12 와 같이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REQ)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때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를 통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이동국에게 이동국 식별자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생략될 수 있는 최대 횟수를 표 12 와 같이 알려준다. 또한,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생략 가능 횟수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REQ)를 수신하더라도,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에 표 12와 같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생략 가능 횟수를 포함시켜 이동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생략 가능 횟수는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국에 의해 관리될 수 있으며, 동일한 페이징 그룹 내의 기지국들은 표 12 에서 설정한 값(이동국 식별자를 생략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가 전송될 수 있는 최대 횟수)이내에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해당 이동국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생략할 수 있다.
즉, 동일한 페이징 그룹 내의 기지국들은,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를 생략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최대 전송 가능 횟수에 관한 파라미터(표 12 에 나타탬)를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전송함에 있어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해당 이동국에 상응하는 페이징 파라미터를 표 12 에서 설정한 값(페이징 파라미터를 생략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최대 전송 가능 횟수)에 이르기 전에 최소한 1 번 이상은 포함시켜야 한다. 또한, 이동국은 유휴모드 전환 후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하면, 별도의 동작 없이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하고, 이동국 식별자가 포함되지 않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표 12 에서 설정한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하기 위하여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국에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이 유휴모드로 동작 중인 이동국의 식별자를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생략하는 경우는 해당 이동국의 동작 코드가 ‘No Action’ 즉,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한해서 적용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동작설명에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전달되는 해당 이동국의 동작코드는 유휴모드 유지를 지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낸 제 1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를 통해 기지국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다(S201).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 메시지를 통해 이동국의 유휴모드 전환을 허가한다(S202).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춰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203). 이때,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가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포함하는 경우(예를 들어,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가 이동국의 MAC 주소 해쉬를 포함하는 타입(Normal type)인 경우),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동작 코드에 따른 동작(유휴모드 유지 또는 위치갱신 절차 수행 또는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는, 이동국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여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한다. 만약 이때,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수신 못한 경우, 기지국에 네트워크 등록 또는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유휴모드의 동작에 대한 유효성을 갱신할 수 있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춰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204).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가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 타입이 이동국의 식별자인 MAC 주소 해쉬를 포함하지 않는 타입(Compressed type)인 경우),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한다. 이 경우,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유휴모드의 동작 상태에 대한 유효성을 갱신하지는 못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낸 제 2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통해 기지국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다(S301). 상기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수신한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를 통해 이동국의 유휴모드 전환을 허가한다(S302). 이때, 기지국은 페이징 그룹 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유휴모드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본 발명의 동작설명에서 예를 든 값은 2임)를 이동국에게 전달한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춰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303).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를 통해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함으로써,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한다.
기지국은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적용하여 페이징 주기마다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는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생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동국 식별자를 생략하는 경우,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1 만큼 감소시킨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추어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304). 이동국이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서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하고,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다만,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전환시 기지국으로부터 전달 받은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바탕으로, 유휴모드 동작에 문제가 있는지를 점검한다.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초과하고, 유휴모드 동작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간(본 발명에서는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에 1을 더한 값에 두 배를 한 값으로 예를 들었음) 동안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수신 못한 경우, 기지국에 네트워크 등록 또는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유휴모드의 동작에 대한 유효성을 갱신한다.
기지국은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고, 해당 이동국의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가 1 이상이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생략하고,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1 만큼 감소시킨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추어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305).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하고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단,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전환시 기지국으로부터 전달 받은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바탕으로, 유휴모드 동작에 문제가 있는 지를 점검한다.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초과하고, 유휴모드 동작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간 동안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수신 못한 경우, 기지국에 네트워크 등록 또는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유휴모드의 동작에 대한 유효성을 갱신한다.
기지국은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고 해당 이동국의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가 0 인 경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와 유휴모드 유지를 지시하는 동작 코드를 포함하여 전달한다(S306). 이 때, 기지국은 해당 이동국에 대한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갱신한다. 이동국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된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를 통해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함으로써,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한다.
기지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이동국의 위치 갱신 및 유효성 갱신을 위한 레인징 수행을 명령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이동국이 레인징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과 이동국은 이동국 식별자의 생략 횟수를 갱신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의 기지국 간 이동으로 인하여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초과하도록 페이징 메시지에 자신의 식별자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동국은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통해 제 1 기지국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다(S401). 제 1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를 통해 이동국의 유휴모드 전환을 허가한다(S402). 이때, 제 1 기지국 페이징 그룹 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유휴모드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본 발명의 동작설명에서 예를 든 값은 2 임)를 이동국에 전달한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따라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403). 이동국은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된 이동국의 식별자를 통해 자신이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함으로써,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한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춰서 제 1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404). 이동국은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하고,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이동국이 제 2 기지국으로 이동한 경우, 제 2 기지국과의 하향링크 프레임 동기를 획득하고, 페이징 주기 및 페이징 오프셋에 따라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405). 이동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하고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기지국 간에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전송 동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 간 이동국 식별자의 생략 가능 횟수가 갱신되는 시점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S406). 따라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가 포함되어야 하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기지국의 변경으로 인해 이동국의 식별자가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국은 유휴모드 동작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시점(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에 1 을 더한 값에 두 배를 한 값)이 되었는지를 점검한다. 그 결과, 유휴모드 동작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시점이 아니면,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하고,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만약 유휴모드 이동국이 유휴모드 동작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간 동안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기지국에 네트워크 등록 또는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유휴모드의 동작에 대한 유효성을 갱신한다.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고, 해당 이동국의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가 0 인 경우, 제 2 기지국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와 유휴모드 유지를 지시하는 동작 코드를 포함하여 전달한다(S407). 이 때, 제 2 기지국은 해당 이동국에 대한 이동국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를 갱신한다. 이동국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된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를 통해 자신이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함으로써,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유휴모드 유지를 지시하는 이동국 뿐 아니라 위치갱신 및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이동국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유휴모드 유지 이동국의 식별자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 방법을 나타낸 제 3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이동국은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통해 기지국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다(S501).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를 통해 이동국의 유휴모드 전환을 허가한다(S502). 유휴모드 상태로 전환된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503).
이 때,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가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동작 코드에 따라 유휴모드 유지하거나,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하거나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한다. 한편,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여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가 이동국의 식별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는,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특정 플래그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504). 이때,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된 특정 플래그를 통해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는 이동국의 식별자를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생략한다는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가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는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이동국이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면,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한다. 이 경우,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유휴모드의 동작 상태에 대한 유효성을 갱신하지는 못한다. 만약, 모든 이동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설정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_PAG-ADV)를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동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수신 못한 경우, 기지국에 네트워크 등록 또는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유휴모드의 동작에 대한 유효성을 갱신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방법을 나타낸 제 4 실시예의 제1 흐름도로서,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기지국이 관리하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통해 기지국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며, 이때 이동국 식별자를 생략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최대 전송 가능 횟수를 등록해제요청메시지에 포함시켜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S601) 상기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수신한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를 통해 이동국의 유휴모드 전환을 허가한다(S602). 이때, 상기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는 이동국 식별자를 생략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최대 전송 가능 횟수(본 발명의 동작설명에서 예를 든 값은 4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생략 가능 횟수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REQ)를 수신하더라도, 이동국 식별자를 생략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최대 전송 가능 횟수에 관한 정보를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CMD)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 파라미터는 하나의 페이징 그룹 내에서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국이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국 식별자를 생략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최대 전송 가능 횟수는 페이징 그룹 내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춰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603).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수신된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를 통해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함으로써,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한다.
기지국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적용하여 페이징 주기마다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는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생략할 수 있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추어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604). 이동국이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서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한다. 다만,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전환시 기지국으로부터 전달 받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바탕으로, 유휴모드 동작에 문제가 있는지를 점검한다.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횟수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넘어서지 않은 경우, 이동국은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기지국은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고, 해당 이동국의 이동국 식별자 최대 생략 가능 횟수 이내로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를 페이징광고메시지로부터 연속해서 생략한 경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생략할 수 있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추어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605).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하고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단,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전환시 기지국으로부터 전달 받은 이동국 식별자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바탕으로, 유휴모드 동작에 문제가 있는 지를 점검한다.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횟수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넘어서지 않은 경우, 이동국은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기지국은 유휴모드 유지가 요구되는 이동국에 대하여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 이내에,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와 유휴모드 유지를 지시하는 동작 코드를 포함하여 전달한다(S606). 이때,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국은 해당 이동국에 대한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갱신한다. 이동국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된 해당 이동국의 식별자를 통해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함으로써,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한다.
기지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이동국의 위치 갱신 및 유효성 갱신을 위한 레인징 수행을 명령하고, 상기 명령에 따라 이동국이 레인징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국과 이동국은 이동국 식별자의 생략 횟수를 갱신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방법을 나타낸 제 4 실시예의 제2 흐름도로서, 이동국이 이동국 식별자를 생략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의 최대 전송 가능 횟수를 초과하여 이동국 식별자를 생략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동국은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통해 기지국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다(S701). 기지국은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를 통해 이동국의 유휴모드 전환을 허가한다(S702). 이때, 기지국은 페이징 그룹 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유휴모드 식별자 생략 가능 횟수(본 발명의 동작설명에서 예를 든 값은 4 임)를 이동국에 전달한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703). 이동국은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 포함된 이동국의 식별자를 통해 자신이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점검함으로써,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한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춰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704~S706). 이동국은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한다. 다만,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전환시 기지국으로부터 전달 받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바탕으로, 유휴모드 동작에 문제가 있는지를 점검한다.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횟수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넘어서지 않은 경우, 이동국은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춰서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수신한다(S707). 이동국이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에서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와 비교한다. 만약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 이상의 페이징 광고 메시지에서 연속적으로 이동국의 식별자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유휴모드 동작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기지국 또는 페이징 제어국에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유휴모드의 동작에 대한 유효성을 갱신할 수 있다. 이동국은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레인징을 요청한다(S708). 이동국으로부터 레인징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은 해당 이동국의 위치를 갱신하고 레인징 응답을 전달함으로써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시킨다(S709).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모드 수행방법을 나타낸 제 4 실시예의 제3 흐름도로서,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를 페이징 제어국이 관리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이동국은 등록해제요청메시지(DREG_REQ)를 통해 기지국에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며, 이때 표12와 같은 이동국 식별자의 최대 생략 가능 횟수(이하, MAC 해쉬 생략 한도값 파라미터로 지칭)를 등록해제요청메시지에 포함시켜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S801).
등록해제요청메시지를 통한 유휴모드 전환 요청을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기지국은 이동국의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알리기 위하여 표 13과 같은 유휴모드 정보 요청 메시지(Idle-Info-REQ)를 페이징 제어국에 전송한다(S802).
표 13은 유휴모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나타낸 일례이다.
Field Size Notes
Idle-Info-REQ message format(){
Global Message Header 12 bits
For(i=0;i<Num Records;i++){
MSS MAC Address 48 bits
Action Code 4 bits 0000:Idle Mode Initiation Request
0001:DL Traffic has arrived to MSS
0010:MSS session information
0011:MSS re-entry complete
0100:MSS has transitioned to another paging group
0101:Location Update requested
0101-1111:reserved
reserved 4 bits
TLV encoded information variable
Security Field TBD A means to authenticate this message
}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휴모드 정보 요청 메시지는 특정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이동국의 MAC 주소와 해당 단말로부터 수신한 표 12와 같은 MAC Hash 생략 한도값 TLV를 포함한다.
상기 유휴모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페이징 제어국은 유휴모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기지국에 표 14와 같은 유휴모드 정보응답(Idle-Info- RSP)메시지를 전송한다(S803).
표 14는 유휴모드 정보 응답(Idle-Info-RSP) 메시지의 일례이다.
Field Size Notes
Idle-Info-RSP message format()
Global Message Header 152 bits
For(i=0; i<Num Records;i++)
MSS MAC Address 48 bits
Action Code 4 bits 0000:MSS enters Idle Mode
0001:MSS exits Idle Mode
0010:MSS session information
0011:Deliver DL Traffic to Current Attachment BS
0100: Location Update Success
0101: Location Update Failure
0110-1111:reserved
reserved 4 bits
TLV encoded information Variable
Security Field TBD A means to authenticate this message
}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휴모드 정보 응답(Idle-Info-RSP)메시지는 유휴모드로 전환되는 단말의 MAC 주소와 표 12와 같은 MAC 해쉬 생략 한도값 TLV(본 발명의 동작설명에서 예를 든 값은 4임)를 포함한다. 또한, 페이징 제어국은 MAC 해쉬 생략 한도값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유휴모드 정보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MAC 해쉬 생략 한도값 파라미터를 유휴모드 정보응답 메시지(Idle-Info-RSP)에 포함하여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유휴모드 정보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유휴모드 전환을 요청한 상기 단말에 등록 해제 명령 메시지(DREG-CMD)를 통해 이동단말의 유휴모드 전환을 지시한다(S804).이때, 상기 등록 해제 명령 메시지는 유휴모드 전환을 지시하는 정보, 페이징 주기 및 페이징 오프셋, 페이징 그룹 아이디 등의 페이징 정보 TLV, 페이징 제어국 ID TLV, 유휴 모드 유지 정보 TLV와 함께 MAC 해쉬 생략 한도값 TLV를 포함한다.
페이징 제어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마다 이동국의 유휴모드로의 전환을 허락한 기지국과 동일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모든 기지국들에게 다음 페이징 구간(Paging Interval)에 이동국으로 하여금 특정 동작을 지시하는 페이징 광고 메시지(MOB-PAG-ADV)를 전송할 것을 알리는 페이징 알림(Paging-announce)메시지를 전달한다(S805). 이때, MAC 해쉬 생략 한도값을 적용하여 유휴모드를 유지해야 하는 이동국에 대하여 기지국이 이동국들에게 전송하는 페이징 광고 메시지에 MAC 해쉬 주소의 포함 여부를 알려준다. 즉, MAC 주소를 페이징 광고 메시지로부터 생략하는 이동국에 대해서 페이징 제어국은 페이징 알림 메시지에 해당 이동국의 MAC 주소와 동작코드를 포함시키지 않으며, 이동국의 MAC 주소를 페이징 광고 메시지에 포함시키도록 지시하기 위해서는 페이징 알림 메시지에 해당 이동국의 MAC 주소와 동작코드(No action Required)를 포함시켜 페이징 그룹 내의 기지국들에게 전달한다. 페이징 알림 메시지에서 이동국의 MAC 주소를 생략한 경우 페이징 제어국은 해당 이동국에 대한 MAC 해쉬 생략 한도값을 1씩 감소시키고, 이동국의 MAC 주소를 포함시킨 경우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갱신(리셋)한다.
표 15는 페이징 알림 메시지의 일례이다.
Field Size Notes
Paging-announce message format()
Global Message Header 152 bits
For(i=0;i<Num Records;i++){
MSS MAC Address 48 bits
Action Code 4 bits 0000:MSS shall be paged to re-enter network
0001:MSS shall be paged to perform ranging
0010:MSS needs no action required
0011-1111:reserved
reserved 4 bits
}
Security Field TBD A means to authenticate this message
}
페이징 제어국으로부터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추어 이동국에게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전달하며 이동국은 상기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통해서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 해쉬)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다고 판단하며,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하고,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갱신(리셋)한다(806).
페이징 제어국은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이 0이 되지 않는 횟수 내에서 페이징 알림 메시지에 이동국의 MAC 주소와 동작코드를 생략하여 기지국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807). 이때, MAC 주소를 생략한 이동국에 대한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1씩 감소시킨다.
기지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가 되면 페이징 제어국으로부터 수신한 페이징 알림 메시지에 MAC 주소와 동작코드가 포함된 해당 이동국의 MAC 주소와 동작코드를 포함하여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방송형태로 전송한다. 이동국은 정해진 페이징 주기에 맞춰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며, 페이징 광고 메시지에 자신의 MAC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유휴모드를 유지하도록 지시하는 동작코드를 수신한 것과 동일하게 간주한다. 다만, 이동국은 유휴모드로 전환시 기지국으로부터 전달 받은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바탕으로, 유휴모드 동작에 문제가 있는지를 점검한다.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횟수가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넘어서지 않은 경우, 이동국은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808).
페이징 제어국은 MAC 해쉬 생략 한도 값 내에서 이동국의 MAC 주소와 동작코드를 생략하여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809),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페이징 주기에 맞춰서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바탕으로 설정된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방송형태로 전달한다. 또한 이동국은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횟수가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넘어서지 않은 경우, 이동국은 유휴모드를 계속 유지한다(810).
페이징 제어국은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갱신하기 위하여 유휴모드를 유지해야 하는 이동국의 MAC 주소와 동작코드(No Action Required)를 포함한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기지국들에게 전달하며,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초기화(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4로 예를 듦)한다(811).
기지국은 페이징 주기에 맞춰서 페이징 알림 메시지를 바탕으로 설정된 페이징 광고 메시지를 방송형태로 전달하며, 이동국은 페이징 광고 메시지로부터 자신의 이동국 식별자(MAC 주소)를 수신한 경우 유휴모드로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다고 판단하며,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하고,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갱신(리셋)한다(812).
만약 이동국이 MAC 해쉬 생략 한도 값 이상의 페이징 광고 메시지에서 연속적으로 자신의 식별자(MAC 주소)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유휴모드 동작이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동국은 레인징 절차를 통해 페이징 제어국에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유휴모드의 동작에 대한 유효성을 갱신할 수 있다. 이동국은 위치갱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레인징을 요청하고, 이때 페이징 제어국 식별자와 위치갱신을 나타내는 지시자 파라미터를 포함시킨다. 위치갱신을 위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해당 이동국의 MAC 주소와 위치갱신 동작코드를 포함시킨 유휴모드 정보 요청 메시지를 페이징 제어국에 전달하고, 페이징 제어국은 해당 이동국에 대한 위치 갱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국에 대한 유효성과 MAC 해쉬 생략 한도 값을 갱신(리셋)한다. 위치 갱신을 수행한 이후에 페이징 제어국은 유휴모드 정보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에 위치갱신 결과를 알려주고,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게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이동국의 유휴모드 동작의 유효성을 갱신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유휴모드 유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의 크기 를 줄임으로서, 하향링크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유휴모드 상태인 이동국에서 메시지 처리를 위한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적용되는 유휴모드(Idle Mode) 수행 방법에 있어서,
    페이징 영역내에 유휴모드 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이동국들에 대하여, 유휴 모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페이징 영역 내에 유휴모드 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이동국들이 유휴 모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방송(Broadcasting)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는, 이동국 매체 접속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주소 해쉬(hash), 동작 코드(Action Code) 및 페이징을 위한 TLV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3. 삭제
  4.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적용되는 유휴모드(Idle Mode) 수행 방법에 있어서,
    특정 이동국에 페이징 파라미터의 생략 가능 횟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특정 이동국이 존재하는 페이징 영역내에 유휴모드 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이동국들에 대하여, 유휴 모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페이징 영역 내에 유휴모드 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이동국들이 유휴 모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방송(Broadcasting) 하는 단계; 및
    상기 생략 가능 횟수를 기초로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방송(Broadcasting) 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방송(Broadcasting) 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가 종료되면, 상기 페이징 파라미 터를 포함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방송(Broadcasting)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6.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적용되는 유휴모드(Idle Mode) 수행 방법에 있어서,
    페이징 영역 내에 유휴 모드를 유지해야 하는 이동국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페이징 파라미터의 생략여부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결과에 따라, 유휴 모드를 유지해야 하는 이동국에 상응하는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를 방송(Broadcasting)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7.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적용되는 유휴모드(Idle Mode) 수행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페이징 영역에 공통적으로 방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페이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타입의 메시지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의 타입에 따라, 유휴모드를 유지하거나,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페이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타입의 메시지인 경우에는, 유휴 모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페이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타입의 메시지인 경우에는,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는, 이동국 매체 접속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주소 해쉬(hash), 동작 코드(Action Code) 및 페이징을 위한 TLV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11.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적용되는 이동국의 유휴모드(Idle Mode) 수행 방법에 있어서,
    페이징 파라미터의 가능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페이징 영역에 공통적으로 방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페이징 파라미터가 포함 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상기 메시지의 수신 횟수를 카운트 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의 생략 가능 회수 및 상기 카운트 정보를 기초로 유휴모드를 유지하거나 네트워크 등록 절차 또는 위치 갱신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의 생략 가능 횟수에 관한 정보는, 등록해제명령메시지(DREG_CMD)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의 생략 가능 횟수에 관한 정보는, 유효하게 유휴모드를 수행하는 단말에 대하여,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가 전송될 수 있는 주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의 생략 가능 횟수에 관한 정보는, 유효하게 유휴모드를 수행하는 단말에 대하여, 상기 페이징 파라미터가 생략된 페이징광고메시지(MOB-PAG-ADV)가 전송될 수 있는 최대 횟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16.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에 적용되는 이동국의 유휴모드(Idle Mode) 수행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이 유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페이징 영역에 공통적으로 방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페이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상기 이동국에 상응하는 페이징 파라미터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페이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이동국에 관한 페이징 파라미터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유휴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휴 모드 수행 방법.
KR1020050017039A 2004-11-28 2005-02-28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KR10110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3252 WO2006070993A1 (en) 2004-12-28 2005-09-30 Performing idle mod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CA2584322A CA2584322C (en) 2004-12-28 2005-09-30 Performing idle mod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498 2004-11-28
KR20040114498 2004-12-28
KR1020050001254 2005-01-06
KR20050001254 2005-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766A KR20060059766A (ko) 2006-06-02
KR101108850B1 true KR101108850B1 (ko) 2012-02-09

Family

ID=3715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039A KR101108850B1 (ko) 2004-11-28 2005-02-28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08850B1 (ko)
CA (1) CA2584322C (ko)
WO (1) WO2006070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6577B2 (en) 2005-10-31 2009-12-2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implement efficient paging in a wireless network
CN101312571B (zh) * 2007-05-24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空闲终端在跨无线控制点移动后进行位置更新的方法
US8588155B2 (en) 2007-10-23 2013-11-1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ing information
US8179813B2 (en) * 2008-12-18 2012-05-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ranging using ranging loading fa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7549A1 (en) * 2000-06-16 2001-12-20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internet protocol regional pag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6764B2 (en) * 2003-01-08 2007-06-2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locations of dormant mobile st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7549A1 (en) * 2000-06-16 2001-12-20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internet protocol regional p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766A (ko) 2006-06-02
CA2584322A1 (en) 2006-07-06
WO2006070993A1 (en) 2006-07-06
CA2584322C (en)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6563B2 (en) Performing idle mod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EP1759491B1 (en) Controlling idle mode of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7949352B2 (en) Supporting idle mode of mobile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EP1767035B1 (en) Method of controll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EP1776839B1 (en) Method of transmitting network information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20080031160A1 (en) Method for Allocating Paging Cycle in Mobile Communication
US20080095088A1 (en) Method for Reestablishment of Ip Address for Idle Mode Ms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ereof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20070116469A (ko) 유휴모드 전환 제어 방법
KR20060091132A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및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KR101108850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KR2006004212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지원 방법
KR10087541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모드 단말의 유효성 확인방법
KR101057058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수행 방법
EP1832124B1 (en) Performing idle mode in a wireless access system
KR101119109B1 (ko)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모드 전환 방법 및모드 전환 제어 방법
KR100893862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제어 방법
KR100935294B1 (ko) 유휴모드 단말의 단말 정보 관리 방법
KR10112879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유휴모드 지원 방법
KR100908260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이동통신 시스템
KR20060043092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유휴모드 제어 방법
KR200900449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