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003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003A
KR20060028003A KR1020040076973A KR20040076973A KR20060028003A KR 20060028003 A KR20060028003 A KR 20060028003A KR 1020040076973 A KR1020040076973 A KR 1020040076973A KR 20040076973 A KR20040076973 A KR 20040076973A KR 20060028003 A KR20060028003 A KR 20060028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user
message
information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7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8003A/ko
Publication of KR20060028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응답형 단문 메시지 기능을 추가하여, 제1 사용자가 일종의 설문 형식으로 응답형 메시지를 작성하여 제2 사용에게 전송하면, 제2 사용자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보고 간단한 응답 선택만을 하여 제1 사용자에게 재전송하여 제1 사용자가 응답 결과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전송 유형 중 응답형 메시지 전송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단순형 또는 열거형을 포함하여 구성된 응답 유형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응답 유형에 대응하여 응답 선택 항목열을 저장하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 유형 및 응답 선택 항목열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응답형 메시지 전송 정보가 헤더(Header)에 포함되고, 상기 응답 유형 정보,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및 제1 결과값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고 그에 대응하는 간단한 응답 항목을 함께 작성한 단문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대방이 특정 응답 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재전송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단문 메시지, 응답형, SM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A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E SHORT MESSAGE SERVICE TO A MOBILE PHONE AND A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메시지 전송 유형 및 응답 유형의 내용이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단순형 및 열거형으로 구성된 응답 유형의 예가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입력부 120 : 데이터 생성부
130 : 통신부 140 : 메시지 판독부
150 : 데이터 갱신부 16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응답형 단문 메시지 기능을 추가하여, 제1 사용자가 일종의 설문 형식으로 응답형 메시지를 작성하여 제2 사용에게 전송하면, 제2 사용자는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보고 간단한 응답 선택만을 하여 제1 사용자에게 재전송하여 제1 사용자가 응답 결과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3~4년 사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급속하게 대중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이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적 소유물이라는 점과 이동성을 지니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는 특징 모두를 갖는다. 이제 사람들은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타인과 연결되고 정보를 주고 받게 되었다. 이동통신 단말기 외의 현대인의 일상 생활에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메신저, 이메일, 블로그, 미니 홈피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들 또한, 기존의 PC를 통해서 서비스할 경우 지적되었던 공간의 제약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모바일(Mobile)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wireless), 이동하는(mobile), 공중(air), 언제 어디서나(anywhere, anytime)라는 말들로 대표되는,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대인의 대표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직접 짧은 글을 입력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상대방과 직접 음성으로 통화를 할 필요 없이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만을 간략하게 작성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그 편리함과 효율성으로 인해 모든 사람들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10대 또는 20대, 더 나아가 30대의 젊은 세대들에게는 극장이나 도서관, 사무실 등 정숙을 요하는 장소에서도 상대방과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상대방과의 음성통화 대신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제1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여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면,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가 전송한 문자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문자로 입력하여 다시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만 서비스되어 다양하게 제1 사용자의 메시지에 응답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불가능하였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오늘 모임에 나올 거야?" 와 같이 제2 사용자에게 예/아 니오 식의 답변을 기대하는 경우, 제2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를 자신의 단말기에서 확인하고,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답변을 작성하여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하여야 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답변을 내용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도 꼭 자신이 작성을 하여 전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었다. 또한, 위와 같은 경우, 제2 사용자가 회의 중이거나,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비교적 간단한 답변만 해야 하는 것임에도, 단말기를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문자를 작성하여야 하므로, 즉시 답변을 하지 못하거나, 하던 일을 멈추고 답변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간결한 답변이 요구되거나 질문에 빠르게 응답할 수 있는 경우, 또는 여러 명에게 간결하게 의사를 묻는 경우에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편리하게 문자 메시지를 서로 전송하고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고 그에 대응하는 간단한 응답 항목을 함께 작성한 단문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면, 상대방이 특정 응답 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재전송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수신자가 즉시 수신한 메시지의 답장을 따로 작성하기 곤란한 상황인 경우에도,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응답 항목에 대한 선택만으로 자신의 의사를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의사소통을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게 해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람들에게 간단한 설문을 하여 그 응답에 대한 통계를 필요로 할 경우, 응답형 단문 메시지를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송하고, 응답 항목이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응답 항목 선택의 결과를 소정의 통계 처리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다수의 사람들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전송 유형 중 응답형 메시지 전송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단순형 또는 열거형을 포함하여 구성된 응답 유형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응답 유형에 대응하여 응답 선택 항목열을 저장하는 단계,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 유형 및 응답 선택 항목열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응답형 메시지 전송 정보가 헤더(Header)에 포함되고, 상기 응답 유형 정보,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및 제1 결과값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의 헤더를 판독하여 메시지 전송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전송 유형이 응답형인 경우,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에 포함된 제1 결과값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제1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이 0인 경우,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에 포함된 응답 유형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된 응답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정보를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정보와 연관된 특정 응답 항목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 결과값 정보를 제2 사용자의 상기 응답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제2 결과값 정보로 갱신하여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의 헤더를 판독하여 메시지 전송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전송 유형이 응답형인 경우,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에 포함된 제2 결과값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제2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이 0이 아닌 경 우, 제2 결과값 정보에 포함된 제2 사용자의 상기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된 제2 사용자의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구현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두 명이 각각의 제1 사용자 단말기(1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200)로 소정의 통신망(300)을 이용하여 서로 응답형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설정한 하나의 일례일 뿐,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통신망(300)은 제1 사용자 단말기(1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단문 메시지 송신과 수신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주는 네트워크 수단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신망이라 함은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 또는 CDMA 1x 또는 EV-DO 이동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 사용자 단말기는 본 발명의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크게 입력부(110), 데이터 생성부(120), 통신부(130), 메시지 판독부(140), 데이터 갱신부(15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으로 구성된다. 이는 동일한 성능을 가진 제2 사용자 단말기(200)에도 적용되어, 제1 사용자 단말기(100)와 제2 사 용자 단말기(20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편의상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기(1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200)의 예를 혼용하여 상기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셀룰라폰, PCS폰, 스마트폰, DMB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핸드헬드 PC 등 소정의 메모리를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입력부(11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인 일반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인 응답형의 메시지 전송 유형 선택을 입력 받고, 제1 사용자가 응답형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였을 경우, 긍정 또는 부정의 선택이 가능한 단순형 또는 특정 개념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응답 항목의 선택이 가능한 열거형으로 구성된 응답 유형의 선택을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또한, 입력부(110)는 제1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응답 유형에 따라 제1 사용자로부터 응답 선택 항목열을 입력 받는다. 응답 선택 항목열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구현되는 경우,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로부터 응답 받기를 원하는 응답 항목의 집합으로써, 예를 들면, 단순형의 응답 유형인 경우, "예/아니오", "가능/불가능", "YES/NO" 등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열거형의 응답 유형인 경우에는, "월/화/수/목/금", "종로/강남/압구정", "메가박스/CGV/씨네시티" 등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 입력부(11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 선택 항목열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을 입력 받는다. 메시지 내용은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질문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금 전화 받을 수 있니?", "우리 무슨 요일에 만날까?" 등의 내용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10)는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한 응답 항목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선택 항목열이 "예/아니오"인 경우, "예"의 선택, 응답 선택 항목열이 "종로/강남/압구정"인 경우, "압구정"의 선택을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입력부(110)는 제1 사용자로부터 접속 설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숫자 또는 문자(자국어, 알파벳, 또는 특수문자 등) 등의 입력 문자열을 입력 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1 사용자로부터 터치 스크린 입력을 위한 터치 패널(touch panel)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120)는 일반형 또는 응답형의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헤더(Header)로 구성되고, 응답 유형 정보,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및 결과값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한다. 결과값 정보는 응답 여부 필드값 또는 응답 항목 선택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아래 도 2의 응답형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130)는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 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통신부(130)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화 호 설정 또는 소정의 시스템으로의 네트워크 접속을 담당하는데,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접속은 물론, 코드분할다중화접속방식(CDMA), WCDMA, ALL IP, GSM, GPRS 접속 방식, 및 현존하는 모든 이동통신 관련 접속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고, H.323, MGCP(Message Gateway Control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Megaco 등의 VoIP 호 연결을 위한 호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판독부(140)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2 사용자의 응답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판독하여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 응답 유형 정보,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응답 항목 선택 정보, 또는 결과값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응답 항목 선택 정보의 내용을 소정의 통계처리를 통하여 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0명에게 "이번 동창회에 참석할 수 있어?"라는 메시지 내용과 "예/아니오"의 응답 선택 항목열을 포함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전송하였을 경우, 10명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판단하고 각각의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예-7명, 아니오-3명"의 형태로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갱신부(250)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0)가 제1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응답 선택 항목열에 대한 응답 항목 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응답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결과값 정보로 상기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 제1 사용자 단말기(100)가 전송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이 0인 경우, 제2 사용자 단말기(200)의 데이터 갱신부(250)에 의해 갱신된 상기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의 응답 여부 필드값은 1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상기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또는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STN LCD, TFT LCD, 유기 EL LC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의 선택을 입력 받고, 일반형과 응답형의 단문 메시지 전송 유형 중 응답형 메시지 전송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단계211). 제1 사용자로부터 응답형 메시지 전송 선택을 입력 받으면,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응답형 메시지 전송 유형 중, 단순형 또는 열거형을 포함하여 구성된 응답 유형을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제1 사용자로부터 단순형 또는 열거형의 응답 유형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단계212).
도 3은 메시지 전송 유형 및 응답 유형의 내용이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일반형과 응답형으로 구성된 메시지 전송 유형을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제1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메시지 전송 유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사용자가 응답형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였을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응답형 메시지 전송 유형 중, 단순형과 열거형으로 구성된 응답 유형을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입력 받는다. 단순형 메시지는 긍정 또는 부정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열거형 메시지는 특정 개념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응답 항목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212에서 제1 사용자로부터 응답 유형의 선택을 입력 받으면,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응답 선택 항목열을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도 4는 단순형 및 열거형으로 구성된 응답 유형의 예가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응답 선택 항목열이란 본 발명의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가 구현될 경우,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로부터 응답 받기를 원하는 응답 항목의 집합으로써, 예를 들면, 단순형의 응답 유형인 경우, "예/아니오", "가능/불가능", "YES/NO" 등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열거형의 응답 유형인 경우에는, "월/화/수/목/금", "종로/강남/압구정", "메가박스/CGV/씨네시티" 등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응답 선택 항목열은 제1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고,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에 소정의 양식으로 미리 저장되어 제1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도 있다.
응답 선택 항목열이 제1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 소정의 양식으로 미리 저 장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단순형 또는 열거형을 포함하는 각각의 응답 유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유지하고,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응답 유형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응답 유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열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열을 제1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된 응답 선택 항목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열의 선택을 입력 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응답 선택 항목열이 제1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는 정형화된 간단한 메시지 내용을 입력부를 통해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입력부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응답 선택 항목열을 보다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응답 선택 항목열을 제1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는 경우는 사용자가 보다 다양하게 자신만의 응답 선택 항목열을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선택 항목열을 상영하는 영화가 서로 다른 극장으로 구성할 경우, "매트릭스 상영하는 CGV / 아이로봇 상영하는 씨네시티 / 스타워즈 상영하는 메가박스" 와 같이 보다 자신의 생각을 가미하여 응답 선택 항목열을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계 213에서 응답 선택 항목열을 입력 받으면,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 유형 및 응답 선택 항목열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을 입력 받는다. 메시지 내용은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질문하고 싶은 내용으로 구성되고, 단계 213에서 입력된 응답 선택 항목열에 대응하여 작성된다. 예를 들어, 단계 213에서 응답 선택 항목열이 "예/아니오" 의 내용의 단순형으로 입력되었을 경우, 메시지 내용은 "지금 전화 받을 수 있어?" 또는 "오늘 저녁 모임에 나올거야?" 등의 내용으로 작성될 수 있고, 응답 선택 항목열이 "①강남역/②종로/③압구정/④신촌/⑤홍대앞" 의 내용의 열거형으로 입력되었을 경우, 메시지 내용은 "우리 토요일에 어디서 만날래?" 또는 "자기가 데이트하고 싶은 장소 골라~" 등의 내용으로 작성될 수 있다.
단계 215를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내용까지 입력 받으면, 제1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한다(단계215)
도 5는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215에서 생성된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는 상기 선택된 응답형 메시지 전송 정보가 헤더(Header)로 구성되고,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가 포함하는 응답 유형 정보 및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에 따라 타입(Type) 정보가 결정되며, 메시지 내용 정보 및 제1 결과값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결과값 정보는 제1 사용자가 응답형 단문 메시지를 최초로 작성하였을 경우, 즉, 제2 사용자의 답변이 작성되지 않은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O의 응답 여부 필드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한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제2 사용자가 수신하여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에 대하여 특정 응답 항목을 선택하였을 경우, 상기 선택된 응답 항목 정보를 포함하며 1 의 응답 여부 필드값을 갖는 제2 결과값 정보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가 단계 215에서 생성된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통신부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단계216),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수신하고(단계217), 상기 수신한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의 헤더를 판독하여(단계218), 메시지 전송 유형을 판단한다(단계219). 상기 메시지 전송 유형이 응답형 단문 메시지가 아니라면, 즉, 일반형 단문 메시지라면,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제1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내용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220).
상기 메시지 전송 유형이 응답형 단문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어 있는 제1 결과값 정보를 판독한다(단계221).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에 따라, 제1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이 0이라고 판단되면,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가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최초로 작성된 단문 메시지라고 판단하여,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응답 유형 정보를 판독한다(단계222).
단계 222에서 단순형 또는 열거형으로 응답 유형 정보가 판독되면, 상기 판독된 응답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정보를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하여(단계223) 제2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2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단계224).
제2 사용자는 단계 224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정보를 시청하여, 상기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정보와 연관된 특정 응답 항목의 선택을 입력한다(단계225).
도 6은 제2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 유형이 단순형이 경우, 메시지 내용 정보는 "동창회 나올 수 있니? 대답해줘~" 라고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메시지 내용 정보에 대응하여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는 "예/아니오" 의 내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응답 유형이 열거형인 경우, 메시지 내용 정보는 "내일 어디서 만날래? 골라봐~" 라고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메시지 내용 정보에 대응하여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는 "강남역/종로/압구정/홍대앞" 의 내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표시된 응답 선택 항목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한다.
단계 225에서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에 대한 제2 사용자의 특정 응답 항목의 선택이 입력되면, 제2 사용자 단말기는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 결과값 정보를 제2 사용자의 상기 특정 응답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제2 결과값 정보로 갱신하고(단계226), 제2 사용자의 상기 특정 응답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제2 결과값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한다(단계227). 이때, 제2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은 예를 들어 1의 값을 갖도록 하여, 제1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과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제2 사용자 단말기가 단계 227에서 생성된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면(단계228),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수신하고(단계229), 상기 수신한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의 헤더를 판독하여(단계230), 메시지 전송 유형을 판단한다(단계231). 상기 메시지 전송 유형이 응답형 단문 메시지가 아니라면, 즉, 일반형 단문 메시지라면, 종래 기술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제2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내용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단계232).
상기 메시지 전송 유형이 응답형 단문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되어 있는 제2 결과값 정보를 판독한다(단계233).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에 따라, 제2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이 0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1이라고 판단되면, 제1 사용자 단말기는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가 제2 사용자에 의해 답변이 작성된 단문 메시지라고 판단하여,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판독한다(단계234).
단계 234에서 판독된 응답 항목 선택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어 제1 사용자에게 제공되는데(단계235), 상기 응답 항목 선택 정보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것이라면, 소정의 통계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통계 처 리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제1 사용자가 10명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소정의 설문 내용이 담긴 응답형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10명의 다른 사용자들이 상기 설문 내용에 응답한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한 결과가 도시되고 있다. 제1 사용자가 "동창회 나올 수 있니? 대답해줘~" 라는 내용의 메시지 내용 정보와 "예/아니오" 의 단순형 응답 선택 항목열을 포함하는 응답형 단문 메시지를 10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한 경우, 상기 10명의 다른 사용자가 선택한 응답 항목을 통계 처리하여 "예 7명, 아니오 3명, 총10"의 형식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가 "내일 어디서 만날래? 골라봐~" 라는 내용의 메시지 내용 정보와 "강남역/종로/압구정/홍대앞" 의 열거형 응답 선택 항목열을 포함하는 응답형 단문 메시지를 10명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한 경우, 상기 10명의 다른 사용자가 선택한 응답 항목을 통계 처리하여 "강남역 3명, 종로 1명, 압구정 5명, 홍대앞 1명" 의 형식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의 응답 항목 통계 처리는 특정한 방식의 경우만을 일예로 든 것이고, 당업자에 의해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통계 처리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고 그에 대응하는 간단한 응답 항목을 함께 작성한 단문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대방이 특정 응답 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재전송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수신자가 즉시 수신한 메시지의 답장을 따로 작성하기 곤란한 상황인 경우에도, 상기 수신한 메시지의 응답 항목에 대한 선택만으로 자신의 의사를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의사소통을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사람들에게 간단한 설문을 하여 그 응답에 대한 통계를 필요로 할 경우, 응답형 단문 메시지를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송하고, 응답 항목이 선택된 메시지를 상기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응답 항목 선택의 결과를 소정의 통계 처리하여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다수의 사람들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전송 유형 중 응답형 메시지 전송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단순형 또는 열거형을 포함하여 구성된 응답 유형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응답 유형에 대응하여 응답 선택 항목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 유형 및 응답 선택 항목열에 대응하는 메시지 내용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응답형 메시지 전송 정보가 헤더(Header)에 포함되고, 상기 응답 유형 정보,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및 제1 결과값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제2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선택 항목열은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 유형 중 단순형의 선 택을 입력 받았을 경우, 긍정 또는 부정의 내용으로 구성된 응답 선택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선택 항목열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 유형 중 열거형의 선택을 입력 받았을 경우, 특정 개념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응답 유형에 대응하여 응답 선택 항목열을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응답 유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을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응답 유형에 대응하여 응답 선택 항목열을 저장하는 상기 단계는,
    단순형 또는 열거형을 포함하는 각각의 응답 유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열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응답 유형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응답 유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열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된 응답 선택 항목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응답 선택 항목열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은 O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에게 전송한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제2 사용자가 수신하여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에 대하여 특정 응답 항목을 선택하였을 경우, 상기 선택된 응답 항목 정보를 포함하며 1의 응답 여부 필드값을 갖는 제2 결과값 정보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7.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의 헤더를 판독하여 메시지 전 송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전송 유형이 응답형인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에 포함된 제1 결과값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1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이 0인 경우, 상기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에 포함된 응답 유형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된 응답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정보를 상기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및 메시지 내용 정보와 연관된 특정 응답 항목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제1 결과값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제2 결과값 정보로 갱신하여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수 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의 헤더를 판독하여 메시지 전송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전송 유형이 응답형인 경우, 상기 제2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에 포함된 제2 결과값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2 결과값 정보의 응답 여부 필드값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제2 결과값 정보에 포함된 제2 사용자의 상기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된 제2 사용자의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전송 유형 선택, 응답 유형 선택, 응답 선택 항목열, 메시지 내용, 또는 응답 항목 선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가 헤더(Header)로 구성되고, 상기 응답 유형 정보,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및 결과값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 는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판독하여 메시지 전송 유형 정보, 응답 유형 정보,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응답 항목 선택 정보, 또는 결과값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메시지 판독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응답 선택 항목열에 대한 응답 항목 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응답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결과값 정보로 상기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부; 및
    상기 응답 선택 항목열 정보, 메시지 내용 정보, 또는 응답 항목 선택 정보를 상기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필드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단말 시스템.
KR1020040076973A 2004-09-24 2004-09-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8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973A KR20060028003A (ko) 2004-09-24 2004-09-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973A KR20060028003A (ko) 2004-09-24 2004-09-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003A true KR20060028003A (ko) 2006-03-29

Family

ID=3713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973A KR20060028003A (ko) 2004-09-24 2004-09-24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80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28A1 (ko) * 2016-08-25 2018-03-0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문자 송수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521A (ko) * 1999-08-12 2001-03-05 서평원 이동단말기에서 요구/응답이 가능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30097427A (ko) * 2002-06-21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KR20040036393A (ko) * 2002-10-25 2004-04-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태그 메세지 전송 방법
KR20050089509A (ko) * 2004-03-05 2005-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 응답요구용 단문 메시지의 작성을지원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521A (ko) * 1999-08-12 2001-03-05 서평원 이동단말기에서 요구/응답이 가능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30097427A (ko) * 2002-06-21 2003-12-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KR20040036393A (ko) * 2002-10-25 2004-04-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태그 메세지 전송 방법
KR20050089509A (ko) * 2004-03-05 2005-09-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 응답요구용 단문 메시지의 작성을지원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28A1 (ko) * 2016-08-25 2018-03-01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문자 송수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029B2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messaging client and a remote device running a browsing application
US7167703B2 (en) Wireless mobile image messaging
US200300841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ird-party initiation of an anonymous tele-chat session
CN101243679B (zh) 用于提供语音通信的语音通信器
US20070003029A1 (en) Priority elements in instant messaging conversations
KR20060073574A (ko) 음성인식을 활용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 스케쥴 관리 등부가서비스 제공
JP2014170397A (ja) メッセージシステム
US20050119019A1 (en) Method for searching for SMS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KR2005005064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554436B1 (ko) 웹제공시스템
CN103002112A (zh) 一种用于移动终端的联系人与服务的自动关联提供方法
US20060107238A1 (en) Graphical language messaging
CN100461810C (zh) 数字文本信息系统和方法
CN100411467C (zh) 一种移动通信终端的文字短消息编辑方法
KR2006002800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응답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2016701A (ja) 携帯電話機向けの音声/テキスト変換サービス装置
Giles et al. Txting librarians@ curtin
CN103002595A (zh) 基于电信网及互联网的综合通讯控制系统、装置及方法
JP6360227B2 (ja) メッセージシステム
KR100878349B1 (ko) 특수 효과가 적용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이동통신단말기
Brannon SMS reference
KR102338960B1 (ko)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2339429B1 (ko)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개인화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20010109939A (ko) 무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명함 전송 방법
JP2011199500A (ja) 点字データ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