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942A - Display unit which can separate stand from supporter - Google Patents

Display unit which can separate stand from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942A
KR20060027942A KR1020040076859A KR20040076859A KR20060027942A KR 20060027942 A KR20060027942 A KR 20060027942A KR 1020040076859 A KR1020040076859 A KR 1020040076859A KR 20040076859 A KR20040076859 A KR 20040076859A KR 20060027942 A KR20060027942 A KR 20060027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basket
display device
cas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7942A/en
Publication of KR20060027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9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relates to a 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스켓을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황에 따라서 거치대에 스탠드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body for outputting an image; A stand rotatably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It provides a 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radle having a basket in which the stand is detachably inser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 can be separated or coupled to the crad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us it is convenient to use.

디스플레이장치, 스탠드, 거치대Display Units, Stands, Cradles

Description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unit which can separate stand from supporter}Display unit which can separate stand from supporter}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Figure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display device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2a is a side view showing a cradl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도2b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결합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2c is a sid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coupled to th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가 착탈되는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nd detachable stan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를 거치대에 삽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4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inserting the stan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radle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가 거치대에 완전히 삽입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4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an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adle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탠드를 거치대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Figure 4c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for leaving the stan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cradl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는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는 거치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거치대 10...본체1 ... base 10 ... body

30...스탠드 101...제1케이스30.Stand 101 ... 1st case

102...제2케이스 108...토션 스프링102 2nd Case 108 Torsion Spring

132...가이드 보스 180...힌지플레이트132 ... Guide Boss 180 ... Hinge Plate

201...제1바스켓 202...제2바스켓201 ... 1st basket 202 ... 2nd basket

250...관통공 300...연결플레이트250 ... through hole 300 ... connection plate

400...누름부 500...작동부400 ... pusher 500 ... operating part

508...압축 코일 스프링 550...걸림부508.Compression coil spring 550

580...이탈 방지 브라켓 800...베이스580 ... Breakaway bracket 800 ... Bas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디스플레이장치 본체(11)의 후면에는 브라켓(21)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21)에 스탠드(31)가 설치된다.The bracket 21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11, and the stand 31 is installed on the bracket 21.

그리고, 상기 스탠드(31)는 바닥면에 놓여지는 베이스(41)에 수직으로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tand 31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base 41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이 때, 상기 베이스(41)와 스탠드(31)는 일체형 구조를 이루거나, 다수개의 나사체결로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At this time, the base 41 and the stand 31 forms an integrated structure or a structure coupled to a plurality of screws.

또한, 상기 베이스(41)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11)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ase 41 is formed to a size large enough to support the load of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11.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브라켓(21)과 스탠드(31) 사이에는 힌지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어셈블리가 형성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전후로의 회동동작인 틸팅(tilting) 동작도 가능해 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hown, in general, a hinge assembly is provided between the bracket 21 and the stand 31, and a tilting operation, which is a pivoting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back and forth around the hinge axis formed by the hinge assembly. It is also desirable to be able to.

그러나, 상술한 종래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에 구비된 스탠드가 베이스에 완전히 결합된 구조에서는, 스탠드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할 수 없거나, 또는 나사체결방식의 경우에는 분리가 가능하더라도 각 나사를 하나씩 모두 풀어주어야 되므로 그 분해에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First,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and provided in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base as described above, the stand cannot be detached from the base, or in the case of the screw fastening method, each screw must be released one by one even if the stand is detachable. The decomposition took considerable time.

이렇게 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 전체 부피가 베이스를 포함하게 되어 그 이동이 쉽지 않게 되거나, 또는 분리 자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is case, when the display device is to be moved, the entire volume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base, and thus the movement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easy or the separation itself is not easy.                         

둘째, 안정된 구조를 위하여 상기와 같이 본체와 분리가 안 되는 일정 크기 이상의 스탠드 및 베이스가 부착됨으로 인하여, 설치 공간상의 제약을 가져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there is a problem that due to the mounting of the stand and base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that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s described above for a stable structure, bringing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that is easy to combine and detac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스켓을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body for outputting an image; A stand rotatably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It provides a 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radle having a basket in which the stand is detachably insert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황에 따라서 상기 거치대에 스탠드를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 can be detached from or coupled to the hold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us it is convenient to use.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을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e prior art are given the same nam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10)에는 연결브라 켓(4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브라켓(40)에는 본체(10)를 지지하도록,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의 구조를 이루는 스탠드(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2A,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10 forming the exterior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bracket 40, and the connection bracket 40 supports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2B. The stand 30 which forms a substantially "U" shaped structure is rotatably installed.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10)와 스탠드(30) 사이에는 일정 토오크를 발생하여 본체(10)의 기울임을 지지하도록 힌지어셈블리(20)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hinge assembly 20 is installed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10 and the stand 30 to generate a predetermined torque to support the tilt of the main body 10.

여기서, 상기 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은 이미 여러 형태로 공지된 기술이 나와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assembly is already known in various forms, and sinc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본체(10)는 따로 베이스(800)를 구비하는 거치대(1)에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탠드(30)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조를 이룬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c,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stand 30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in the holder (1) having a base 800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fit the structure.

상기 거치대의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holder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먼저, 상기 거치대(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를 구비한다.First, the holder 1 is provided with a case 100 forming an appearance.

이 때, 상기 케이스(100)는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가 소정의 내부공간(140)을 형성하며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cas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ase 101 and the second case 102 form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140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제1케이스(101)와 제2케이스(102) 사이에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스탠드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바스켓(200)이 설치된다.Meanwhile, a basket 20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case 101 and the second case 102 in which a st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is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ase 100.

상기 바스켓(2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대략 사선방향을 이루며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basket 20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substantially oblique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ase 100.                     

이 경우, 상기 바스켓(200)은 제1바스켓(201)과 제2바스켓(202)의 결합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basket 200 is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basket 201 and the second basket 202.

한편, 상기 제2케이스(102)의 내측 상부에는 힌지플레이트(18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plate 180 is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102.

그리고, 상기 힌지플레이트(180)에 대략 수직방향으로 힌지브라켓(185)이 양쪽 대칭구조로 형성되고,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을 하향으로 전달하는 누름부(400)가 상기 힌지브라켓(185)에 힌지핀(12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hinge bracket 185 is formed in both symmetrical structur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hinge plate 180, and a pressing part 400 for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acting downward is hinged to the hinge bracket 185. The pin 128 is rotatably installed.

이 때, 상기 누름부(400)에 외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제2케이스(102)의 상부에는 개방홈(105)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홈(105)에 누름부(400)가 설치된다. At this time, an opening groove 105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102, and a pressing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opening groove 105 so that the external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pressing unit 400. .

그리고, 상기 누름부(400)와 상기 힌지플레이트(180) 사이로는 상기 누름부(400)가 외력의 제거 시에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스프링(108)이 상기 힌지핀(128)에 결합된다.In addition, a spring 108 is coupled to the hinge pin 128 between the pressing part 400 and the hinge plate 180 so that the pressing part 40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

이 경우 설치되는 스프링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토션 스프링(108)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torsion spring 108 is preferably used as the spring installed in FIG. 3.

또한, 상기 제2케이스(102)에는 내측 면상에 돌출된 구조로 가이드 보스(13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보스(13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도록 작동부(500)가 관통되며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ase 102 is formed with a guide boss 132 protruding on the inner surface, the operating part 500 is installed through the guide boss 132 to move slidingly.

이 때, 상기 작동부(500)에는 상기 가이드 보스(132)가 관통되는 관통홀(53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part 50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532 through which the guide boss 132 passes.

그리고, 작동부(500)는 상기 누름부(400)의 하단부에 연접하도록 설치되어, 누름부(400)를 통하여 외력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상기 외력방향에 대략 수직방향으 로 가이드 보스(13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500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unit 400, while receiving the external force through the pressing unit 400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boss 132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rnal force direction. Move along.

이 경우, 외력의 제거 시에는 상기 작동부(5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부(500)와 제2케이스(102) 사이에는 스프링(508)이 설치된다.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 spring 508 is installed between the operating part 500 and the second case 102 so that the operating part 50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이 경우, 상기 작동부(500)와 제2케이스(508)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508)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compression coil spring 508 is preferably used as the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operation part 500 and the second case 508.

그리고, 상기 작동부(500)에 있어 상기 누름부(400)와 접촉하게 되는 상부 부위는 용이하게 힘의 전달을 받을 수 있도록 경사부(507)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ng part 500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part 400 may include an inclined part 507 so as to easily receive a force transmission.

이 경우, 작동부(500)의 경사부(507)에 대응된 구조로 상기 누름부(400)의 하부에도 경사부(407)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portion 407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400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507 of the operation part 500.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202)에는 관통공(250)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500)의 하부에는 상기 관통공(250)을 관통하여 바스켓(200) 상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5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250 is formed in the second basket 202, and a locking portion 550 protruding onto the basket 200 through the through hole 25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art 500. Is formed.

상기 걸림부(550)는 바스켓(200)으로 스탠드(30)가 삽입된 경우에, 걸림부(550)에 걸리어 이탈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또한 스탠드(30)가 삽입되는 쪽으로는 스탠드(30)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경사부(557)로 형성된다.When the stand 30 is inserted into the basket 200, the catching part 550 has a size that cannot be detached by being caught by the catching part 550, and the stand 30 is inserted into the stand 30. The inclined portion 557 is formed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stand 30.

한편, 상기 작동부(500)가 가이드 보스(1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 방지 브라켓(58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 브라켓(580)은 양측에 형성된 나사홀(580b)을 통하여 가이드 보스(132)에 나사체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80 is provided to prevent the operation unit 500 is separated from the guide boss 132.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580 is screwed to the guide boss 132 through screw holes 580b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이 때, 상기 작동부(500)는 중앙에 돌출부(500a)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 및 크기로 이탈 방지 브라켓(580)에는 중앙홀(580a)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part 500 has a protrusion 500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center hole 580a is formed at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580 at a position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그리고, 상기 중앙홀(580a)에 상기 돌출부(500a)가 관통되며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어, 가이드 보스(13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작동부(500)의 움직임이 보다 더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500a penetrates the central hole 580a to be installed, and thus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unit 500 sliding along the guide boss 132 becomes more stable.

그리고, 본 발명 거치대는 제1케이스(101)와 제1바스켓(201) 사이로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800)와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30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ase 101 and the first basket 201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300 connected to the base 80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연결플레이트(300)는 하부에 연결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800)에는 연결홈(81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10)를 연결홈(810)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게 된다.The connection plate 300 has a connection portion 310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onnection groove 810 is formed at the base 800 to insert and connect the connection portion 310 to the connection groove 810.

이 경우, 상기 제2케이스(102)의 하부에는 연결부(310)가 안착되는 안착홈(115)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300)와 상기 제1바스켓(201)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 seating groove 115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310 is seate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102, and the connection plate 300 and the first basket 201 may be integrally formed. .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스탠드(30)를 바스켓(200)의 상부개구부를 통해 삽입시키면, 스탠드(30)의 하단부가 걸림부(550)의 경사부(557)에 접촉하여 걸림부(550)가 뒤로 물러나게 되면서 스탠드(30)가 삽입된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stand 3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asket 200,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tand 30 contacts the inclined portion 557 of the locking portion 550 and the locking portion 550. As the back is retracted, the stand 30 is inserted.

그리고, 도 4b에서와 같이, 스탠드(30)가 걸림부(550)를 넘어 바스켓(200)의 하단에 이르도록 완전히 삽입되면, 작동부(500)는 스프링(508)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b, when the stand 30 is fully inserted to the bottom of the basket 200 beyond the locking portion 550, the operating portion 5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508 Come.

이렇게 되면, 상기 작동부(500)와 연결구조를 이루는 걸림부(550)도 또한 다시 관통공(250)을 통하여 바스켓(200) 상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고, 스탠 드(30)는 걸림부(550)에 막히게 되어 바스켓(200)으로부터 이탈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In this case, the engaging portion 550 forming a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operation part 500 also forms a structure projecting onto the basket 200 through the through hole 250 again, the stand 30 is the engaging portion Blocked at 550 is a structure that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basket 200.

반대로, 스탠드(30)를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누름부(400)에 손가락 등을 이용 외력(F)을 가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400)가 힌지플레이트(180)의 힌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 stand 30 is to be separated, as shown in FIG. 4C, when the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400 using a finger or the like, the pressing portion 400 is hinged ( 180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128).

이렇게 되면, 누름부(400)의 경사부(407)와 작동부(500)의 경사부(507)가 서로 경사진 구조로 맞닿아 있으므로, 작동부(500)가 가이드 보스(132)를 따라서 뒤로 후퇴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inclined portion 407 of the pressing portion 400 and the inclined portion 507 of the operating portion 5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n inclined structure, the operating portion 500 moves backward along the guide boss 132. You will retreat.

이렇게 되면, 작동부(500) 또한 뒤로 후퇴하게 되어, 스탠드(30)를 바스켓(200)으로부터 빼냄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 본체(10)와 거치대(1)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unit 500 also retreats back, and by pulling the stand 30 out of the basket 200,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10 and the holder 1 can be separated.

한편, 상기 작동부(500)가 가이드 보스(13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도 3에서는, 이탈 방지 브라켓(580)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작동부(500)의 관통홀(5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나사(135)를 가이드 보스(132)의 끝단에 체결하여 작동부(500)가 가이드 보스(13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unit 500 is not separated from the guide boss 132, in Figure 3, but showing a state with a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580, as shown in Figure 5, simply operating A screw 135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532 of the part 500 may be fastened to the end of the guide boss 132 to prevent the operating part 5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boss 132. .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스켓(202)에 상기 가이드 보스(132)의 끝단에 접촉할 정도로 돌출부(202a)를 구비하여, 조립 시 상기 제2바스켓(202)의 돌출부(202a)가 상기 가이드 보스(132)의 끝단을 막음으로써 작동부(500)가 가이드 보스(13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basket 202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202a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guide boss 132, so that the protrusion 202a of the second basket 202 is assembled during assembly. May block the end of the guide boss 132 so that the operating part 50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guide boss 132.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스탠드를 거치대에 삽입시킨 후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re stable installation structure can be obtained by inserting a stand provided in the rear of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into a holder.

둘째, 상기 거치대와 스탠드를 상황에 따라 간단한 누름동작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용이한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올 수 있는 잇점이 있다.Second, the cradle and the stand can be separated by a simple pr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so that the movement and storage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by bringing convenience in use.

Claims (10)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와; A display apparatus main body for outputting an image;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와; A stand rotatably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apparatus main body; 상기 스탠드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스켓을 구비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radle having a basket that the stand is detachably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거치대는,The cradle is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A case forming an exterior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가 삽입되는 바스켓과,A basket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into which the stand is inserted; 상기 바스켓으로 상기 스탠드가 삽입된 경우, 상기 바스켓 상에서 상기 스탠드를 착탈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When the stand is inserted into the basket, the 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ocking devi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tand on the baske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잠금장치는,The locking device,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회전 이동되는 누름부와, A press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and rotatably moved by an external force acting externally; 상기 누름부를 통하여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탠드를 상기 바스켓 상에서 착탈시키는 작동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The 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peration unit for detaching the stand on the basket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거치대는,The cradle is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누름부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And a resilient member for returning the pressing portion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거치대는,The cradle is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작동부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And a resilient member for returning the operating uni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작동부는,The operation unit, 상기 바스켓 상에서 삽입 및 이탈되어 상기 스탠드를 상기 바스켓 상에 착탈시키는 걸림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And a locking part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basket to attach and detach the stand to the baske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작동부를 관통하여 상기 작동부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보스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And the guide boss is formed in the cas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part through the operating par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누름부와 상기 작동부가 서로 접촉하는 부위는 각각 대향되는 면이 서로 대응된 구조의 경사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 The pressing unit and the operation uni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tand-alon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posite surface is made of a slope of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가이드 보스에는 상기 작동부가 가이드 보스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브라켓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The guide boss detach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is installed to prevent the operation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guide boss.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가이드 보스는 상기 브라켓에 접면하는 구조를 이루어 상기 작동부가 상기 가이드 보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분리형 디스플레이장치.The guide boss h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bracket so that the operat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guide bos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nd detachable display device.
KR1020040076859A 2004-09-24 2004-09-24 Display unit which can separate stand from supporter KR200600279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859A KR20060027942A (en) 2004-09-24 2004-09-24 Display unit which can separate stand from supp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859A KR20060027942A (en) 2004-09-24 2004-09-24 Display unit which can separate stand from suppo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942A true KR20060027942A (en) 2006-03-29

Family

ID=3713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859A KR20060027942A (en) 2004-09-24 2004-09-24 Display unit which can separate stand from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79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22307B2 (en) Front plate fixing device for drawer
KR100662454B1 (en) Stand structure for flat panel display
KR100846898B1 (en) Stand of an image display divice
KR100640369B1 (en) Internal battery pack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8214000B2 (en) Locking device for internal battery pack cover of mobile phone
CN212131952U (en) Adapter
KR20050109109A (en) Monitor
KR20130055765A (en) Mounted apparatus of mobile devices
KR20060027942A (en) Display unit which can separate stand from supporter
JP4206114B2 (en) Chair with quick connection device for backrest
KR200431126Y1 (en)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mobile terminal
JP2821427B2 (en) Battery pack detachable structure
KR100564025B1 (en) Tripod Holder Device for Fix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22957B1 (en) Stand device for lcd monitor
JPH1042999A (en) Armrest structure for chair
CN220081075U (en) Fence
JP3150658U (en) Coffin support equipment
KR101187485B1 (en) Reading stan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reof
CN220096273U (en) Vehicle-mounted hanging frame convenient for wire collection
CN220096274U (en) Suspension type vehicle-mounted bracket
KR100465798B1 (en) Monitor
KR100578173B1 (en) Electronic products with a attachable speaker
KR0116861Y1 (en) Fixing apparatus
JP2554195B2 (en) Handle device
KR100582075B1 (en) Display moun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