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668A -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668A
KR20060027668A KR1020040076562A KR20040076562A KR20060027668A KR 20060027668 A KR20060027668 A KR 20060027668A KR 1020040076562 A KR1020040076562 A KR 1020040076562A KR 20040076562 A KR20040076562 A KR 20040076562A KR 20060027668 A KR20060027668 A KR 20060027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ly impaired
unit
position coordinate
magnetic nort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018B1 (ko
Inventor
정동근
노세현
김광년
Original Assignee
정동근
노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근, 노세현 filed Critical 정동근
Priority to KR1020040076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0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 G01S1/10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transmitted sequentially from antennas or antenna systems having differently-oriented overlapping directivity characteristics, e.g. equi-signal A-N type
    • G01S1/12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using amplitude comparison of signals transmitted sequentially from antennas or antenna systems having differently-oriented overlapping directivity characteristics, e.g. equi-signal A-N type the signals being transmitted sequentially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having the orientation of its directivity characteristic periodically varied, e.g. by means of sequentially effective refl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7Displays or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들 간에 상호 인지하고 있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용이하게 하고, 이동 중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방향성을 상실하지 않게 안내하여 주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위치하고 있는 곳을 X축 및 Y축의 좌표로 표시한 위치좌표신호를 생성하는 방향감지부(10)와, 상기 방향감지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위치좌표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30)와, 상기 증폭기(3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인 증폭된 위치좌표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40)와, 시각장애인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서 시각장애인이 자북방향을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방향안내부(5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와, 상기 A/D변환부(40)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좌표신호를 이용하여 자북방향을 나타내는 자북방위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방향안내부(5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로 이루어진다.
시각장애인, 방향, 자북, 안내, 진동모터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Device of direction guidance for a blind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착용한 착용상태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에 구비된 원통형의 탄력밴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시각장애인이 거주하는 장소의 주변약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와 방향안내부가 모자에 일체로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방향감지부 20 : 멀티플렉서
30 : 증폭기 40 : A/D변환부
50 : 방향안내부 51 : 진동모터부
51a : 기준 진동모터 51b : 방위표시 진동모터
52 : 자북방위선택용 멀티플렉서 60 : 전원부
70 : 제어부 80 : 신호발생기
90 : 승압기 100 : 탄력밴드
110 : 기준편 200a,200b : 본체
300 : 거주지 400 : 모자
410 : 모자챙
본 발명은 방향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들 간에 상호 인지하고 있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용이하게 하고, 이동 중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방향성을 상실하지 않게 안내하여 주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는 시각우위의 생명체이기 때문에 시각결손은 다른 감각결손에 의한 장애에 비하여 활동의 제한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인공안(人工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중의 일례로, 세퍼드(Shepherd)가 발표한 연구논문[G.M. Shepherd, Neurobiology, 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을 참조하면, 시각이 제공하는 정보의 종류에는 빛의 유무, 형태 구분, 움직임 인식, 양안시를 통한 거리 인식, 편광 인식, 색깔 시각 등이 있다. 여기서, 인체는 편광인식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시각기능을 통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또한, 시각정보의 종류에서 빛의 유무는 1개의 광감수기를 이용하여 인식이 가능하다. 그러나 나머지는 모두 2차원 배열의 광감수기를 이용해야만 인식이 가능하다. 특히 거리 인식의 경우에는 양안을 통한 입체시가 필요하며 단순히 평면이 아닌 입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인체의 시각은 3차원적인 감각임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움직임에 대한 인식능력이 매우 발달해 있어 단순한 3차원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4차원의 인지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경우에 이러한 시각정보를 상실함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대한 불편의 차원을 넘어, 주위 사람의 도움이 없이는 생존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시각보조의 한 가지 방법으로서, 폰다(Fonda)에 의해 발표된 시력증강법[G.E. Fonda, Management of low vision, New York, Thieme-Stratton, 1981]은 약시의 경우에 CCD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 후 눈앞에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확대되고 밝기가 조절된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나, 이는 완전 실명의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체 감각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에 실린 시각장애인용 장애물 감지보조장치(10-1999-0021050)는 발진되는 초음파신호에 의해 전방에서 장애물이 감지되면 경보수단을 이용하여 알람경보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시각장애인용 장애물 감지보조장치는 전방의 장애물의 유무만 시각장애인에게 경보할 뿐 시각장애인이 이동하고 있는 방향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폐단이 야기된다.
자신(시각장애인)이 습득한 위치정보의 공유가 용이하지 않다. 즉, 자신이 알고 있는 위치정보 설명 시 절대적인 기준점(자북)을 기준으로 위치정보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기준점(시각장애인의 이동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위치정보를 설명하기 때문에 이동진행방향이 자주 바뀌는 위치정보의 경우 그 위치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위치정보 공유자(시각장애인)에게 상대적인 기준점을 이용하여 설명 시 위치정보 공유자가 방향성을 상실할 수도 있다.
더욱이, 시각장애인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집 주변의 골목길 위치 습득)의 인지는 안내자의 도움을 통하여 일정기간 동안 반복이동에 의해 습득되어지는데 이때, 안내자의 도움이 없는 경우 시각장애인의 거주지에서 해당 위치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암기한 후 혼자서 이동해야 한다. 그럴 경우, 암기한 위치정보로 이동하는 방향 또한 상대적인 기준점을 이용하여 설명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은 해당 위치정보로 이동 도중에 방향성을 상실할 수도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북쪽방향에서 남동쪽방향(자북방향을 중심으로 135°회전된 방향)으로 돌아 이동 시 시각장애인이 정확하게 남동쪽방향으로 회전을 하였는지에 대해 인지할 수 없으며, 그 뿐만 아니라 현재 이동중인 남동쪽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도 인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중인 시각장애인에게 정확한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절대적인 기준점(자북)을 기준으로 한 정확한 위치정보를 공유자에게 제공하여주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장애인이 거리 및 방향을 암기한 특정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절대적인 기준점(자북)을 기준으로 한 정확한 방향을 0.2초 간격마다 안내하여 줌으로써 특정 위치로 이동 중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그 회전된 방향을 계속 인지할 수 있어 방향성을 상실하지 않게 하여 주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착용한 착용상태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에 구비된 원통형의 탄력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는 시각장애인의 이동진행방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이 위치하고 있는 곳을 X축 및 Y축의 좌표로 표시한 위치좌표신호를 생성하는 방향감지부(10)와, 상기 방향감지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위치좌표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30)와, 상기 증폭기(3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인 증폭된 위치좌표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40)와, 시각장애인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서 시각장애인이 자북방향을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방향안내부(5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와, 상기 A/D변환부(40)로부터 입력되는 X축 위치좌표신호 및 Y축 위치좌표신호로 이루어진 위치좌표신호의 자기장값을 벡터분석하고, 그 벡터분석된 값을 기준으로 자북방향을 측정하며, 그 측정된 자북방향을 나타내는 자북방위신호를 상기 방향안내부(5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향감지부(10)는 자기감지센서로서 빠른 응답속도와 히스테리시스가 작은 자기저항 브리지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감지부(10)인 자기감지센서가 외부자계에 의해 자기배열이 변화될 시 그 변화된 자기배열을 원상태의 자기배열로 복원시켜야만 정확한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향감지부(10)의 일단에는 변화된 자기배열을 원상태의 자기배열로 복원시키는 Set/Reset신호(이하 S/R신호라 표기함)를 생성하는 신호발생기(80)가 배치된다.
여기서, S/R신호는 S/R신호의 라인에 양의 전류, 또는 음의 전류가 흐름에 따라 출력값이 2.5V를 중심으로 반전되는데, 그 2.5V를 중심으로 반전되는 양의 전류 및 음의 전류의 차이와 자기의 세기는 비례하기 때문에 방향감지부(10)의 변화된 자기배열을 원상태의 자기배열로 복원시킨다.
또한, S/R신호가 방향감지부(10)의 변화된 자기배열을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20V의 전원이 요구되는데, 전원부(6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5V이기 때문에 5V를 20V로 승압시키는 승압기(90)가 포함된다.
상기 방향안내부(50)는 원통형의 탄력밴드(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진동모터의 수는 시각장애인의 이동진행방향에 위치하는 1개의 기준 진동모터(51a)와 23개의 방위표시 진동모터(51b)가 상기 원통형의 탄력밴드의 내부에 15°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진동모터부(51)와, 상기 진동모터부(51)에 배치된 24개의 진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입력되는 자북방위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진동모터 중 자북방향을 가리키는 해당 진동모터로 자북방위신호를 입력시키는 자북방향선택용 멀티플렉서(5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력밴드(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24개의 진동모터 중 신체장애자의 이동진행방향인 전방(두부의 정면)에 해당하는 곳에 장착된 기준 진동모터(51a)에 대응하는 탄력밴드(100)의 외부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기준편(섬유재질)(110)이 부착된다. 그리고 기준 진동모터(51a)는 방위각이 0°로 지정되고 그 외 23개의 진동모터인 방위표시 진동모터(51b)를 15°의 간격으로 전방위에 배치되다.
또한, 상기 방향감지부(10)에서 출력되는 위치좌표신호인 X축 위치좌표신호와 Y축 위치좌표신호가 상기 증폭기(30)로 입력 시 교대로 입력되도록 상기 방향감지부(10)와 상기 증폭기(30) 사이에는 멀티플렉서(20)가 포함된다.
상기 증폭기(30)는 브리지회로를 구동하는 인스트루멘테이션 증폭기이며, 자기장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차동출력으로 제공한다.
미설명부호 200a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의 방향안내부(50) 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탑재된 본체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이 방향안내를 받고자 할 경우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구성하는 탄력밴드(100) 및 본체(200a)를 신체에 착용해야 한다.
먼저, 탄력밴드(100)의 경우 시각장애인의 두부(頭部)(이마)에 착용되는데 탄력밴드(100)에 부착된 기준편(110)이 시각장애인의 이동진행방향 즉, 이마의 정중앙에 위치되도록 착용한다. 그리고 본체(200a)는 시각장애인의 복부(腹部)에 착용되는데 이 또한 탄력밴드(100)의 착용방향과 동일하게 본체(200a)가 시각장애인의 이동진행방향 즉, 배꼽부분에 위치되도록 착용한다.
이와 같이, 탄력밴드(100) 및 본체(200a)를 신체에 착용한 후 본체(200a)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이동 시 시각장애인의 복부에 착용된 본체(200a)에 구비된 방향감지부(10)는 제어부(70)의 제어하에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X축 및 Y축의 평면좌표로 표시되는 자기(磁氣)에너지인 위치좌표신호를 검출한다.
검출된 위치좌표신호는 멀티플렉서(20)로 입력되어 증폭기(30)로 출력되는데 이때, 위치좌표신호는 X축 위치좌표신호 및 Y축 위치좌표신호로 이루어져 있어 멀티플렉서(20)는 X축 위치좌표신호 및 Y축 위치좌표신호가 교대로 출력되도록 한다.
증폭기(30)는 입력되는 위치좌표신호를 3배 증폭한 후 A/D변환부(40)로 출력한다.
A/D변환부(40)는 입력된 아날로그신호인 위치좌표신호의 자기장세기를 12bit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70)로 출력한다.
제어부(70)는 입력된 X축 위치좌표신호 및 Y축 위치좌표신호로 이루어진 위치좌표신호의 자기장값을 벡터분석하고, 그 벡터분석된 값을 기준으로 자북방향을 측정한다.
이후, 측정된 자북방향을 참조하여 탄력밴드(100)의 내부에 15°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기준 진동모터(51a) 및 방위표시 진동모터(51b)로 이루어진 24개의 진동모터 중 자북방향에 해당하는 임의의 하나의 진동모터로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자북방위신호를 생성하여 자북방향선택용 멀티플렉서(52)로 입력한다.
자북방향선택용 멀티플렉서(52)는 입력된 자북방위신호를 참조하여 도선으로 연결된 24개의 진동모터 중 자북방위를 가리키는 해당 진동모터로 자북방위신호를 출력하면 자북방위신호가 입력된 해당 진동모터가 진동한다.
이때, 두부에 착용된 탄력밴드(100)의 기준편(110)의 진행방향이 시각장애인의 이동진행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은 자신이 이동하고 있는 이동진행방향을 인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북방위신호가 입력된 해당 진동모터가 기준 진동모터(51a)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9번째 방위표시 진동모터(51b)가 진동된 경우 그 진동된 9번째 방위표시 진동모터(51b)가 자북방향을 가리키는 진동모터로서 시각장애인은 자신이 이동하는 방향이 남서방향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위치좌표신호 검출부터 진동모터의 자북방향표시 까지의 일련의 과정은 0.2초 간격으로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시각장애인이 거주하는 장소의 주변약도를 나 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거주지(300)에서 지하철까지의 이동경로(A)인 거리(이동구간으로서, A-1, A-2, A-3, A-4로 표시함)와 절대적인 기준점인 자북을 기준으로 한 방향을 암기한 시각장애인이 거주지(300)에서 지하철까지 이동하고자 거주지(300)를 나온 경우 시각장애인의 방향은 남쪽으로서 탄력밴드(100)에 장착된 복수의 진동모터 중 기준편(110)에 대응하는 기준 진동모터(51a)를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12번째 방위표시 진동모터(51b)가 진동되어 자북방향을 알림으로써 시각장애인은 전방의 방향이 남쪽임을 인지한다.
이후 암기한 방향을 참조하여, 12번째 방위표시 진동모터(51b)의 진동에 의해 인지한 자북 기준 방향에 따라 동쪽으로 돌아 암기한 거리인 [A-1] 이동구간까지 이동한다. 이때, 자북방향을 가리키는 진동모터는 18번째 방위표시 진동모터(51b)이다. 또한, 자북방향을 안내하는 진동모터는 0.2초 간격으로 진동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은 다른 방향으로의 이탈 없이 가고자 하는 동쪽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은 [A-1] 이동구간까지 이동한 후 암기한 방향을 참조하여, 18번째 방위표시 진동모터(51b)의 진동에 의해 인지한 자북 방향 기준에 따라 남쪽으로 돌아 암기한 거리인 [A-2] 이동구간까지 이동하며, 이후 이동구간인 [A-3], [A-4] 구간도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반복하여 이동한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거주하고 있는 거주지(300)의 주변 도로(골목길)는 상술한 이동경로(A)인 90°의 방향회전을 가지는 도로 뿐만 아니라 거주지(300)에서 시 장까지의 이동경로(B) 중 [B-2] 이동구간에서 [B-3] 이동구간으로 이동시와 같이 북쪽에서 남동쪽으로 330° 회전해서 가야하는 도로가 있는 경우에도 탄력밴드(100) 내부에 장착된 진동모터가 15° 간격마다 배치되어지기 때문에 자북방향을 기준으로 정확한 이동방향을 안내 받아 시각장애인은 다른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 없이 정확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와 방향안내부가 모자에 일체로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는 착용이 간편하도록 모자(400)에 일체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모자(400)의 전방 중앙에 방향감지부(10), 증폭기(30), A/D변환부(40), 전원부(60), 제어부(70)가 포함되는 본체(200b)를 부착시키고, 부착된 본체(200b)의 하부에 방향안내부(50)를 부착한다.
이때, 방향안내부(50)를 구성하는 진동모터부(51)인 1개의 기준 진동모터(51a)와 23개의 방위표시 진동모터(51b) 중 기준 진동모터(51a)는 시각장애인의 이동진행방향인 모자(400)의 전방 중앙에 위치하고, 모자 둘레를 따라 15°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모자(400)에는 상술한 기준편(110)이 부착되지 않는데 이는, 모자챙이 기준편(110)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를 구성하는 본체는 전동휠체어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치정보를 자북방향을 기준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들 간에 위치정보의 공유를 용이하게 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거리 및 방향을 암기한 위치로 이동 시 절대적인 기준점(자북)을 기준으로 한 정확한 방향을 0.2초 간격마다 안내하기 때문에 특정 위치로 이동 중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그 회전된 방향을 계속 인지할 수 있어 방향성을 상실하지 않게 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시각장애인의 이동진행방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이 위치하고 있는 곳을 X축 및 Y축의 좌표로 표시한 위치좌표신호를 생성하는 방향감지부(10)와,
    상기 방향감지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위치좌표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30)와,
    상기 증폭기(3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인 증폭된 위치좌표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40)와,
    시각장애인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서 시각장애인이 자북방향을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방향안내부(50)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와,
    상기 A/D변환부(40)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좌표신호를 이용하여 자북방향을 나타내는 자북방위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방향안내부(5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부(10)에서 출력되는 위치좌표신호인 X축 위치좌표신호와 Y축 위치좌표신호가 상기 증폭기(30)로 입력 시 교대로 입력되도록 상기 방향감지부(10)와 상기 증폭기(30) 사이에는 멀티플렉서(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안내부(50)는, 원통형의 탄력밴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진동모터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진동모터부(51)와,
    상기 진동모터부(51)에 배치된 복수의 진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70)로부터 입력되는 자북방위신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진동모터 중 자북방향을 가리키는 해당 진동모터로 자북방위신호를 입력시키는 자북방향선택용 멀티플렉서(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의 수는 시각장애인의 이동진행방향에 위치하는 1개의 기준 진동모터(51a)와 23개의 방위표시 진동모터(51b)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탄력밴드의 내부에 15°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부(10)는 자기감지센서이고,
    상기 제어부(70)에서 생성되는 자북방위신호는 상기 A/D변환부(40)로부터 입력되는 X축 위치좌표신호 및 Y축 위치좌표신호로 이루어진 위치좌표신호의 자기장 값을 벡터분석하고, 그 벡터분석된 값을 기준으로 자북방향을 측정하며, 그 측정된 자북방향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감지센서가 외부자계에 의해 자기배열이 변화될 시 그 변화된 자기배열을 원상태의 자기배열로 복원시켜 주는 S/R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기(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는 방향감지부(10), 증폭기(30), A/D변환부(40), 전원부(60), 제어부(70)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의 복부에 착탈되는 벨트타입의 본체(200a)와, 방향안내부(50)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시각장애인의 두부에 착용되는 원통형의 탄력밴드(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는 방향감지부(10), 증폭기(30), A/D변환부(40), 전원부(60), 제어부(70)가 포함되는 본체(200b)와, 방향안내부(50)로 구분되고,
    상기 본체(200b)는 모자(400)의 전방 중앙에 부착되고, 상기 방향안내부(50) 는 상기 모자(400)의 둘레를 따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KR1020040076562A 2004-09-23 2004-09-23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KR100683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562A KR100683018B1 (ko) 2004-09-23 2004-09-23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562A KR100683018B1 (ko) 2004-09-23 2004-09-23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668A true KR20060027668A (ko) 2006-03-28
KR100683018B1 KR100683018B1 (ko) 2007-02-15

Family

ID=3713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562A KR100683018B1 (ko) 2004-09-23 2004-09-23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72A (ko) 2014-09-04 2016-03-14 고중광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646A (ja) * 2000-04-06 2001-10-19 Ap One System Co Ltd 位置情報表示システム
KR100355659B1 (ko) * 2000-09-30 2002-10-11 박동윤 시각장애인용 빛의 방향인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018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n implementation of an intelligent assistance system for visually impaired/blind people
Riehle et al. Indoor magnetic navigation for the blind
Andò et al. A haptic solution to assist visually impaired in mobility tasks
US20120092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Visually Impaired Users Of Nearby Objects
Riehle et al. Indoor inertial waypoint navigation for the blind
WO2012040703A2 (en) White cane with integrated electronic travel aid using 3d tof sensor
KR101106076B1 (ko)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WO20101450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visually impaired users of nearby objects
Bhatlawande et al. Way-finding electronic bracelet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100683018B1 (ko) 시각장애인용 방향안내장치
Ni et al.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alking assistant system with vibrotactile indication and voice prompt for the visually impaired
Palmer et al. Wearable range-vibrotactile field: design and evaluation
KR20120064921A (ko) 휴대용 무선전송형 근전도 센서 및 모션 센서 시스템
JP6145663B2 (ja) 生体信号計測システム、および生体信号計測方法
Wei et al. Object localization assistive system based on CV and vibrotactile encoding
KR20060027669A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장치
WO2016072621A1 (ko) 인공전정기관 시스템
Sessner et al. Multimodal feedback to support the navigation of visually impaired people
Deshpande et al. Ultralow Power On-the-Eye Vergence and Distance Sensing Through Differential Magnetometry
Priyadarshana et al. Sensing environment through mobile: A personalized wearable obstacle detec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20080017900A (ko) 동작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Etzi et al. Conveying trunk orientation information through a wearable tactile interface
WO2018142642A1 (ja) 脳機能計測装置
Park et al. An electronic ai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an ultrasonic sensor
CN210698194U (zh) 出行的视觉辅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