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265A -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7265A KR20060027265A KR1020040076135A KR20040076135A KR20060027265A KR 20060027265 A KR20060027265 A KR 20060027265A KR 1020040076135 A KR1020040076135 A KR 1020040076135A KR 20040076135 A KR20040076135 A KR 20040076135A KR 20060027265 A KR20060027265 A KR 200600272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gative electrode
- electrode tab
- bent portion
- tab
- positive electr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극탭과 음극탭의 소정 위치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음극탭과 양극탭이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어 캔의 내부에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탭, 절곡부, 단락방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전극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음극탭의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음극탭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3에 음극탭의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음극탭의 정면도.
도 6b는 도 6a의 B-B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음극탭의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C-C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음극탭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음극탭이 장착된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캔 212 - 전극조립체
216- 양극탭 217 - 음극탭
218 - 양극절곡부
219a, 219b, 291c, 219d, 219e, 219f - 절곡부
220 - 캡조립체 230 - 전극단자
240 - 캡플레이트 250 - 절연플레이트
260 - 터미널플레이트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극탭과 음극탭의 소정 위치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음극탭과 양극탭이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어 캔의 내부에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전화, 휴대형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형 무선 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구동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예를 들면,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판(113), 음극판(115) 및 세퍼레이터(114) 및 양극탭(116)과 음극탭(117)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112)는 양극판(113)과 음극판(115)사이에 세퍼레이터(114)가 게재되면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113)은 박막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양극집전체의 표면에 리튬코발트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층이 소정두께로 코팅되며 양측에는 양극활물질층이 코팅되지 않는 양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무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양극탭(11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12)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음극판(115)은 박막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음극집전체의 표면에 음극활물질층이 소정두께로 코팅되며 양측에는 탄소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층이 코팅되지 않는 음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무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음극탭(117)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12)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양극탭(116)과 음극탭(117)은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는 캡조립체의 캡플레이트와 터미널플레이트에 용접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용접되며, 파우치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는 접속리드에 용접되어 보호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는 상기 양극탭(116)과 음극탭(117)이 상기 캡조립체에 용접된 후 소정위치에서 90도 절곡되어 캔에 삽입된다. 상기 양극탭과 음극탭이 절곡되는 과정에서 일정하게 절곡되지 않으면 양극탭과 음극탭이 캔에 삽 입된 후에 캔의 내면 또는 캡조립체에 접촉되어 단락이 발생된다. 특히, 캔은 양극탭과 연결되므로 음극탭이 캔의 내면에 접촉되면 양극탭과 음극탭이 단락되어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양극탭과 음극탭의 소정 위치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음극탭과 양극탭이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어 캔의 내부에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극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과 세퍼레이터 및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에 각각 결합되는 양극탭과 음극탭을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음극탭은 상기 음극탭이 소정위치에서 일정하게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음극탭에 형성되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의 양측단에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각 홈은 상기 음극탭 폭의 25%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음극탭에 형성되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의 내측에 소정 폭과 길이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는 둥근사각형상 또는 사각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폭이 1.0mm 이내, 길이가 상기 음극탭 폭의 50%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적어도 2개의 홀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의 일면에 소정 길이의 스크래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 폭의 적어도 5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의 일면이 소정 길이와 폭으로 압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는 그 길이가 상기 음극탭 폭의 적어도 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극조립체의 상기 양극탭은 상기 양극탭이 소정위치에서 일정하게 절곡되도록 하는 양극절곡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절곡부는 상기 음극탭에 형성되는 어느 한 형상의 상기 절곡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과 세퍼레이터 및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에 각각 결합되는 양극탭과 음극탭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탭은 상기의 절곡부의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상기 양극탭은 상기 음극탭에 형성되는 절곡부의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양극절곡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음극탭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음극탭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3에 음극탭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음극탭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b는 도 6a의 B-B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음극탭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b는 도 7a의 C-C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음극탭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음극탭이 장착된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212)는, 도 2를 참조하면, 양극판(213), 음극판(215) 및 세퍼레이터(214) 및 양극탭(216)과 음극탭(217)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12)는 양극판(213)과 음극판(215)사이에 세퍼레이터(214)가 게재되면서 권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213)은 박막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양극집전체의 표면에 리튬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층이 소정두께로 코팅되며 양측에는 양극활물질층이 코팅되지 않는 양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무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양극탭(21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음극판(215)은 박막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음극집전체의 표면에 음극활물질층이 소정두께로 코팅되며 양측에는 탄소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층이 코팅되지 않는 음극무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무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음극탭(217)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음극탭(217)은 소정위치에 음극탭(217)이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절곡가이드 역할을 하는 절곡부(219)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19)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극탭(217)이 절곡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음극탭(217)은 0.1mm 정도의 박판 금속으로 형성되므로 강도가 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219)에 의하여 음극탭(217)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형성되는 형상에 따라 적정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219a)는, 도 3의 실시예1을 참조하면, 상기 음극탭(217)이 절곡되는 위치의 양측단에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19a)는 삼각형 또는 반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절곡부(219a)는 상기 음극탭(217)이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므로 적정한 크기로 형성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219a)의 각 홈의 길이는 음극탭(217) 폭의 25% 이내로 형성하여, 음극탭(217)의 강도가 취약해져 절곡되는 과정과 그 후의 공정에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곡부(219b)는, 도 4a와 도 4b의 실시예2를 참조하면, 상기 음극탭(217)이 절곡되는 위치의 내부에 소정폭과 길이의 홀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19b)는 둥근사각형상, 사각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절곡부(219b)는 상기 음극탭(217) 이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므로 적정한 크기로 형성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219b)는 폭이 1.0mm 이내, 길이가 음극탭(217) 폭의 50% 이내로 형성되어, 상기 음극탭(217)의 강도가 취약해져 절곡되는 과정과 그 후의 공정에서 음극탭(217)이 파단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절곡부(219c)는, 도 5의 실시예3을 참조하면, 적어도 2개의 홀이 상기 음극탭(217)의 폭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19c)는 홀이 바람직하게는 지름 또는 폭이 1.0mm 이내로 형성하여 상기 음극탭(217)의 강도가 취약해져 절곡되는 과정과 그 후의 공정에서 파단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상기 절곡부(219)는 도 3과 도 4a 또는 도 3과 도 5의 절곡부 형상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절곡부(219d)는, 도 6a와 도 6b의 실시예4를 참조하면, 상기 음극탭(217)이 절곡되는 위치의 일면에서 절곡되는 선을 따라 소정폭의 스크래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19d)의 스크래치 깊이는 음극탭(217) 두께의 20% 이내로 형성하여 용접 및 절곡 공정 중에 음극탭(217)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곡부(219d)는 그 길이가 음극탭(217) 폭의 적어도 50%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음극탭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19d)는 스크래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깊이가 깊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219d)의 길이가 음극탭(217) 폭의 적어도 50%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절곡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게된다.
상기 절곡부(219e)는, 도 7a와 도 7b의 실시예5를 참조하면, 상기 음극탭(217)이 절곡되는 위치의 일면이 절곡되는 선을 따라 선형으로 압입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음극탭(217)의 타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19e)는 그 길이가 음극탭(217) 폭의 적어도 50%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음극탭(217)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19e)는 소정폭으로 압입되어 형성되므로 깊이가 깊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219e)의 길이가 음극탭(217) 폭의 적어도 50%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절곡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게된다.
상기 절곡부(219f)는, 도 8의 실시예6을 참조하면, 상기 음극탭(217)이 절곡되는 선을 따라 불연속적인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소정길이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219f)의 홈은 도 6a와 도 7a에서와 같이 스크래치 또는 압입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19f)를 형성하는 각 홈의 길이는 제한이 없으나 전체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음극탭(217) 폭의 적어도 50%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양극탭(216)에도 상기 양극탭(216)이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절곡가이드 역할을 하는 양극절곡부(2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절곡부(218)는 도 3 내지 도 8에 형성된 절곡부 형상중의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곡부(219)가 형성된 상기 음극탭(217)과 상기 양극절곡부(218)가 형성된 양극탭(216)은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또는 파우치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절곡부가 형성된 음극탭을 적용한 전극조립체를 구비한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다만 도 9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일 실시예이며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 서 캔형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이차전지에 대하여도 절곡부가 형성된 음극탭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도 9를 참조하면, 캔(210)과, 캔(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조립체(212)와,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를 밀봉하는 캡조립체(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캔(210)은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가볍고 연성이 있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되나 여기서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캔(210)은 그 일면이 개구된 상단개구부(210a)를 포함하며, 상단개구부(210a)를 통해 전극조립체(212)가 수용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12)는 양극판(213)과 음극판(215) 및 세퍼레이터(214)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213)과 음극판(215)은 세퍼레이터(214)를 개재하여 적층된 후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213)에는 양극탭(216)이 용접되어 있으며, 양극탭(216)의 단부는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215)에도 음극탭(217)이 용접되어 있으며, 음극탭(217)의 단부도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음극탭(217)의 소정위치에는 음극탭(217)이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하는 상기 절곡부(21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극탭(216)의 소정위치에는 양극탭(216)이 일정한 위치에서 절곡되도록 하는 상기 양극절곡부(218)가 형성된다.
상기 캡조립체(220)는 캡플레이트(240)와 절연플레이트(250)와 터미널플레이트(260)와 전극단자(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조립체(220)는 캔(210)의 상단 개구부(210a)에 결합되어 캔(210)을 밀봉하게 된다.
상기 양극탭(216)은 상기 캡플레이트(240)에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극탭(217)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에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양극판(213)과 음극판(215) 및 양극탭(216)과 음극탭(217)은 기종에 따라 반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캡플레이트(240)는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단자통공4(241)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전해액주입공(242)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통공4(241)에는 전극단자(230)가 삽입되며, 상기 단자통공4(241)의 내면에는 전극단자(230)와 캡플레이트(240)의 절연을 위하여 튜브형의 개스킷튜브(246)가 조립된다.
상기 캡조립체(220)가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조립된 후 전해액주입공(242)을 통하여 전해액이 주입되고 전해액주입공(242)은 별도의 밀폐수단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절연플레이트(250)는 개스킷과 같은 절연물질로 형성되며,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안착홈(252)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플레이트(250)의 일측에는 상기 캡플레이트(240)의 단자통공4(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통공5(251)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단자(230)가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Ni 합금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플레이트(250) 의 안착홈(252)에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의 일측에는 캡플레이트(240)의 단자통공4(2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에 단자통공6(261)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단자(230)가 삽입된다.
상기 전극단자(230)는 상기 개스킷튜브(246)에 의하여 절연되면서 상기 단자통공4(241)와 단자통공5(251) 및 단자통공6(261)을 통하여 삽입되어 터미널플레이트(26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캡조립체(220)에서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는 상기 캡플레이트(24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상기 전극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절연케이스(270)는 양극탭홀(271)과 음극탭홀(272)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조립체(2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조립체(220)와 전극조립체(212)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게 된다. 상기 양극탭(216)은 상기 양극탭홀(271)을 통과하여 상기 캡플레이트(240)에 용접된다. 또한 상기 음극탭(217)은 상기 음극탭홀(272)을 통하여 상기 터미널플레이트(260)에 용접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절곡부가 형성된 음극탭이 적용된 전극조립체를 구비한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캡조립체가 캔에 조립된 후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전극조립체(212)의 양극탭(216)과 음극탭(217)은 각각 상기 캡플레이트(240)와 터미널플레이트(260)의 소정위치에 용접된다. 상기 전극조립체(212)가 상기 캔(2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양극탭(216)과 음극탭(217)이 소정위치에서 90도로 절곡되면서 상기 전극조립체(212)에 연결된 캡조립체(220)가 수평방향으로 되어 캔(21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양극탭(216)과 음극탭(217)은 절곡되어야 하는 일정한 위치에 형성된 절곡부(218, 219)에 의하여 대략 90도로 절곡되므로 음극탭(217)과 양극탭(216)이 캔(210)의 내측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캔(210)의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조립체(220)는 상기 캔(210)의 상단개구부(210a)에 조립된 후 용접되어 캔(210)을 완전하게 밀폐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의하면, 음극탭의 소정위치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음극탭이 캡조립체에 용접된 후 절곡될 때 일정한 위치에서 대략 90도 정도로 절곡되도록 함으로써 캔의 내측과 음극탭이 접촉되어 내부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극탭과 양극탭에 형성된 절곡부는 음극탭과 양극탭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여 절곡공정 시간을 줄이고 절곡위치의 산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 양극판과 음극판과 세퍼레이터 및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에 각각 결합되는 양극탭과 음극탭을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에 있어서,상기 음극탭은 상기 음극탭이 소정위치에서 일정하게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의 양측단에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삼각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의 각 홈은 상기 음극탭 폭의 25%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의 내측에 소정 폭과 길이의 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둥근사각형상 또는 사각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폭이 1.0mm 이내, 길이가 상기 음극탭 폭의 50%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적어도 2개의 홀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의 일면에 소정 길이의 스크래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 폭의 적어도 5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상기 음극탭의 일면이 소정 길이와 폭으로 압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절곡부는 그 길이가 상기 음극탭 폭의 적어도 5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양극탭은상기 양극탭이 소정위치에서 일정하게 절곡되도록 하는 양극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양극절곡부는제 2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절곡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 양극판과 음극판과 세퍼레이터 및 상기 음극판과 양극판에 각각 결합되는 양극탭과 음극탭을 구비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상기 음극탭은제 2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절곡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제 15항에 있어서,상기 양극탭은제 2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양극절곡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6135A KR20060027265A (ko) | 2004-09-22 | 2004-09-22 |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6135A KR20060027265A (ko) | 2004-09-22 | 2004-09-22 |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7265A true KR20060027265A (ko) | 2006-03-27 |
Family
ID=3713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6135A KR20060027265A (ko) | 2004-09-22 | 2004-09-22 |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27265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3310B1 (ko) * | 2007-12-21 | 2010-07-3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용 전극 탭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
KR101048963B1 (ko) * | 2009-09-30 | 2011-07-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WO2020071049A1 (ja) * | 2018-10-03 | 2020-04-0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二次電池 |
-
2004
- 2004-09-22 KR KR1020040076135A patent/KR2006002726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3310B1 (ko) * | 2007-12-21 | 2010-07-3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용 전극 탭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
US8709649B2 (en) | 2007-12-21 | 2014-04-29 | Samsung Sdi Co., Ltd. | Electrode tab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KR101048963B1 (ko) * | 2009-09-30 | 2011-07-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WO2020071049A1 (ja) * | 2018-10-03 | 2020-04-0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二次電池 |
CN112789763A (zh) * | 2018-10-03 | 2021-05-11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二次电池 |
JPWO2020071049A1 (ja) * | 2018-10-03 | 2021-09-0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二次電池 |
US12107298B2 (en) | 2018-10-03 | 2024-10-01 | Panasonic Holdings Corporation | Secondary batte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13851B2 (en)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 |
US7858227B2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0709873B1 (ko) | 이차전지 | |
US7666548B2 (en) | Can type secondary battery | |
US7964306B2 (en) |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pin | |
US20040126656A1 (en) |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US20120148884A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060111838A (ko) |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US20090155683A1 (en) | Insulating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KR100601526B1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101233466B1 (ko) |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0637440B1 (ko) |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단자 조립체 | |
US8663835B2 (en) |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 |
KR100646520B1 (ko) | 이차 전지 및 그 조립방법 | |
KR100788559B1 (ko) | 이차전지 | |
KR100472510B1 (ko) |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의 와인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리튬이차전지 | |
KR100889769B1 (ko) | 각형 리튬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 |
KR20060027265A (ko) |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100601522B1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20060087182A (ko) |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 |
KR100601524B1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100601561B1 (ko) |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 | |
KR101222244B1 (ko) | 이차전지 | |
KR100614355B1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 | |
KR100659859B1 (ko) |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