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166A - 해류 실험장치 - Google Patents

해류 실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166A
KR20060026166A KR1020040074991A KR20040074991A KR20060026166A KR 20060026166 A KR20060026166 A KR 20060026166A KR 1020040074991 A KR1020040074991 A KR 1020040074991A KR 20040074991 A KR20040074991 A KR 20040074991A KR 20060026166 A KR20060026166 A KR 2006002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s
tank
blower
current
open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송연
Original Assignee
박송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송연 filed Critical 박송연
Priority to KR102004007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6166A/ko
Publication of KR2006002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0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 G09B23/1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of liquids or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송류, 밀도류 및 용승류 등의 해류의 종류와 발생원인을 시각적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는 해류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류 확인용 액체가 채워지고, 상부 측면의 일측에 송풍구가 형성되며, 상부 측면의 타측에 개구창이 형성되고, 저면의 일측에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판이 설치된 제 1 수조; 상기 송풍구에 연결된 송풍관을 통해 제 1 수조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 및 상기 개구창을 통해 제 1 수조에 염기성액체를 공급하도록 부착된 제 2 수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취송류, 밀도류 및 용승류 등의 해류의 종류 및 발생원인을 하나의 실험장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류에 관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기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수조, 셀로판지, 송풍기, 발열판, 해류

Description

해류 실험장치{APPARATUS FOR EXPERIMENTING A OCEANIC CURR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류 실험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류 실험장치를 통한 해류의 발생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수조 11 : 물
12 : 송풍구 13 : 개구창
14 : 발열판 15 : 셀로판지
16 : 모래 20 : 송풍기
21 : 송풍관 30 : 제 2 수조
본 발명은 해류 실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송류, 밀도류 및 용승류 등의 해류의 종류와 발생원인을 시각적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는 해류 실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류는 바닷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거의 같은 속도를 유지하면서 수평운동을 하는 것을 말하며, 바다에서 한 방향으로 바람이 계속 불 때와 바닷물의 밀도차 및 경사차에 의해 발생하는데, 그 종류에는 취송류, 밀도류 및 용승류 등이 있다.
이러한 해류의 측정에는 해류병을 바다의 특정 장소에 띄운 후, 해류병을 발견한 사람이 발견 위치와 시각을 기록해서 보내면, 그것을 정리하여 해류를 측정하는 방법과, 해류중에 염료나 혼합물을 투하하여 그 염료의 확산 경로를 시각적으로 추적하거나 혼합물을 다시 분석하여 해류를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해류를 측정하기 위해,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과학시간에는 수조에 스티로폼 조각을 넣은 후, 부채 등을 이용해 바람을 불어 취송류를 확인하는 방법과, 얼음물을 넣은 수조에 물감을 섞은 따뜻한 소금물을 부은 후, 바람을 불어 밀도류 및 용승류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류를 측정하는 방법은 해류의 발생원인을 학생들에게 쉽게 이해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취송류, 밀도류 및 용승류 등의 해류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잘 보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취송류, 밀도류 및 용승류 등의 해류의 종류 및 발생원인을 하나의 실험장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는 해류 실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해류 실험장치 는 해류 확인용 액체(11)가 채워지고, 상부 측면의 일측에 송풍구(12)가 형성되며, 상부 측면의 타측에 개구창(13)이 형성되고, 저면의 일측에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판(14)이 설치된 제 1 수조(10); 상기 송풍구(12)에 연결된 송풍관(21)을 통해 제 1 수조(10)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20); 및 상기 개구창(13)을 통해 제 1 수조(10)에 염기성액체를 공급하도록 부착된 제 2 수조(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해류 확인용 액체(11)에는 소정의 불순물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수조(10)의 발열판(14)을 포함하는 저면에는 모래(16)가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송풍구(12) 및 개구창(13)은 상기 해류 확인용 액체(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류 실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류 실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류 실험장치를 통한 해류의 발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류 실험장치는 제 1 수조(10), 송풍기(20) 및 제 2 수조(30)로 구성된다.
제 1 수조(1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해류를 확인할 수 있는 액체 예컨 대, 잉크 또는 물감이 섞인 물(11)로 채워진다.
또한, 제 1 수조(10)의 상부 측면의 일측에는 송풍구(12)가 형성되고, 상부 측면의 타측에는 개구창(13)이 형성되며, 저면의 일측에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판(14)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물(11)의 상부 및 내부에는 해류의 흐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불순물 예컨대, 셀로판지, 종이조각 및 방습지 중의 어느 하나가 표류 및 침전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셀로판지(15)가 표류 및 침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수조(10)의 발열판(14)을 포함한 저면에는 해저를 나타내는 모래(16)가 채워지며, 상기 송풍구(12) 및 개구창(13)은 상기 물(11)의 해수면 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송풍기(20)는 상기 송풍구(12)에 연결된 송풍관(21)을 통해 제 1 수조(10)에 바람을 공급한다.
제 2 수조(30)는 상기 개구창(13)을 통해 제 1 수조(10)에 염기성액체 예컨대, 소금물을 공급하며 상기 개구창(13)에 일치하도록 제 1 수조(10)의 외측에 부착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류 실험장치를 통한 해류의 발생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관(21)을 통해 송풍기(20)로부터 송풍구(12)에 바람이 공급되면, 제 1 수조(10)의 물(11) 상에 표류해 있는 셀로판지(15)가 화 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바람에 의한 취송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송풍구(12)를 통해 바람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개구창(13)을 통해 제 2 수조(30)로부터 제 1 수조(10)의 한쪽에 소금물을 공급하면, 물(11) 또는 셀로판지(15)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밀도차에 의한 밀도류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송풍구(12)를 통해 바람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발열판(14)을 통해 제 1 수조(10)의 다른 한쪽에 열을 발생시키면, 물(11) 또는 셀로판지(15)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수온 또는 밀도차에 의한 용승류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해류 실험장치를 통해 취송류, 밀도류 및 용승류 등의 해류의 종류 및 그와 같은 해류의 발생원인을 한 눈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해류 실험장치에 따르면, 취송류, 밀도류 및 용승류 등의 해류의 종류 및 발생원인을 하나의 실험장치를 통해 시각적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해류에 관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기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해류 확인용 액체(11)가 채워지고, 상부 측면의 일측에 송풍구(12)가 형성되며, 상부 측면의 타측에 개구창(13)이 형성되고, 저면의 일측에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판(14)이 설치된 제 1 수조(10);
    상기 송풍구(12)에 연결된 송풍관(21)을 통해 제 1 수조(10)에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20); 및
    상기 개구창(13)을 통해 제 1 수조(10)에 염기성액체를 공급하도록 부착된 제 2 수조(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류 실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류 확인용 액체(11)에는 소정의 불순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류 실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조(10)의 발열판(14)을 포함하는 저면에는 모래(16)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류 실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12) 및 개구창(13)은 상기 해류 확인용 액체(11)의 상부에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류 실험장치.
KR1020040074991A 2004-09-20 2004-09-20 해류 실험장치 KR20060026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91A KR20060026166A (ko) 2004-09-20 2004-09-20 해류 실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91A KR20060026166A (ko) 2004-09-20 2004-09-20 해류 실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166A true KR20060026166A (ko) 2006-03-23

Family

ID=3713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991A KR20060026166A (ko) 2004-09-20 2004-09-20 해류 실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61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73Y1 (ko) * 2009-05-28 2011-04-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조 내에서의 밀도성층 조성을 위한 수체 확산기
CN105023479A (zh) * 2015-07-15 2015-11-04 浙江大学 一种混杂过程控制实验装置
CN109448507A (zh) * 2018-11-15 2019-03-08 安徽徽煌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地理教学用洋流演示装置
CN111445771A (zh) * 2020-03-26 2020-07-24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广州) 海底洋流模拟装置及其控制方法
RU2748723C1 (ru) * 2020-09-24 2021-05-31 ФГБУН Институт океанологии им. П.П. Ширшова РАН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оделирования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х и конвективных процессов в водоемах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73Y1 (ko) * 2009-05-28 2011-04-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조 내에서의 밀도성층 조성을 위한 수체 확산기
CN105023479A (zh) * 2015-07-15 2015-11-04 浙江大学 一种混杂过程控制实验装置
CN109448507A (zh) * 2018-11-15 2019-03-08 安徽徽煌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地理教学用洋流演示装置
CN111445771A (zh) * 2020-03-26 2020-07-24 南方海洋科学与工程广东省实验室(广州) 海底洋流模拟装置及其控制方法
RU2748723C1 (ru) * 2020-09-24 2021-05-31 ФГБУН Институт океанологии им. П.П. Ширшова РАН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оделирования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х и конвективных процессов в водоема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ppeth et al. The cycle of turbulent dissipation in the presence of tidal straining
CN105424475B (zh) 用于试件疲劳试验的环境模拟装置和疲劳试验设备
CN104597284B (zh) 漂浮式河渠水流速测量仪
KR20060026166A (ko) 해류 실험장치
CN206410759U (zh) 液位检测装置及液位控制装置
Davidson et al. Weakly advected jets in cross-flow
CN102818691A (zh) 超大型冷却塔模拟试验装置及特性测试方法
CN107833502A (zh) 一种海洋洋流模拟实验装置
CN207712246U (zh) 一种海上监控浮标
CN110873787B (zh) 海水二氧化碳传感器高精度高效校准装置及其方法
CN207826479U (zh) 一种集成式多用途浮标
CN101793888A (zh) 高速气流挟水形成射流生成过饱和总溶解气体的实验装置
CN109556900A (zh) 隧道排水管中结晶堵塞的模拟试验装置及试验系统
Stips et al. Measurement and simulation of viscous dissipation in the wave affected surface layer
CN105115480A (zh) 海底热液冷泉观测方法及观测系统
CN105173004A (zh) 海底热液冷泉观测潜标水下控制系统及相关观测方法
CN208021676U (zh) 一种具有安全警示功能的水文风向浮标装置
KR890017370A (ko) 용융금속 교반장치
CN211904301U (zh) 一种水利工程用的水位监测装置
JP2001120970A (ja) 水圧を利用した酸素溶解方法
CN206656780U (zh) 一种精确测量水位的水位计
CN206374933U (zh) 一种测量浮标
KR20090023925A (ko) 유속 측정용 전자 봉 부자
CN203310451U (zh) 一种用于tpee合成反应的氮气流量计
TW200940973A (en) Experiment facilitating device capable of simulating intertidal zone corro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