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154A - Apparatus for covering a built-in camera of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personal portable device in a picture-taking mode by using the apparatu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vering a built-in camera of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personal portable device in a picture-taking mode by using th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154A
KR20060026154A KR1020040074977A KR20040074977A KR20060026154A KR 20060026154 A KR20060026154 A KR 20060026154A KR 1020040074977 A KR1020040074977 A KR 1020040074977A KR 20040074977 A KR20040074977 A KR 20040074977A KR 20060026154 A KR20060026154 A KR 20060026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hutter
cover device
personal portable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41322B1 (en
Inventor
백철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74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322B1/en
Publication of KR2006002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3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개인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커버장치 및 그 커버장치를 이용한 촬영모드 전환방법이 개시된다. 카메라 커버장치는 내장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일정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셔터 구동부,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셔터 구동부를 움직이게 하는 작동 레버, 및 카메라에 인접하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면서 카메라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가리는 셔터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작동 레버를 움직이면, 셔터 구동부는 작동 레버와 함께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셔터 구동부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셔터가 회전하면서 카메라의 렌즈 또는 투명창을 보호할 수가 있다. 또한, 카메라 커버장치에 작동 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카메라 촬영모드로 바로 전환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카메라 기능을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isclosed are a camera cover device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shooting mode switching method using the cover device. The camera cover device is to protect the built-in camera, and is mounted adjacent to the camera to move the shutter drive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terlocked with the shutter drive, and an operating lev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move the shutter drive, and to the camera. It includes a shutter rotatably mounted adjacently and selectively covering the front of the camera while interlocking with the shutter driver. When the user moves the operation lever, the shutter driver moves along the predetermined path along with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hutter physically connected to the shutter driver rotates to protect the lens or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camera. In addition, by mounting a switch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in the camera cover device, the user can use the camera function more conveniently by switching to the camera shooting mode.

카메라 내장, 개인 휴대 단말기, 커버장치, 셔터Built-in camer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ver device, shutter

Description

개인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커버장치 및 그 커버장치를 이용한 촬영모드 전환방법{APPARATUS FOR COVERING A BUILT-IN CAMERA OF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PERSONAL PORTABLE DEVICE IN A PICTURE-TAKING MODE BY USING THE APPARATUS}Camera cover devic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switching shooting mode using the cover device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obile phone with a camera.

도 2는 종래의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amera built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휴대폰의 하우징 일부를 절개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y cutting a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mobile phone.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에서 셔터 구동부 및 셔터 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between the shutter driver and the shutter in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에서 셔터 구동부 및 셔터 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between the shutter driver and the shutter in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9및 도 1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에서 셔터 구동부 및 셔터들 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9 and 10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between the shutter driver and the shutters in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다.11 is a partial cutaway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드 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3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method of switching a shooting mo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300:카메라 커버장치100, 300 : camera cover device

120, 320:셔터 구동부 122, 322, 324:작동 돌기120, 320: Shutter drive part 122, 322, 324: Operation protrusion

130, 330:작동 레버 140, 340, 350:셔터130, 330: Operation lever 140, 340, 350: Shutter

142, 342, 352:작동 슬릿 310:제1 하우징142, 342, 352: working slit 310: first housing

315:제2 하우징 360:스위치 센서315 : second housing 360 : switch sensor

본 발명의 개인 휴대 단말기의 내장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장 카메라의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장치 및 그 커버장치를 이용하여 내장 카메라를 온/오프 하기 위한 카메라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camera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ver device for protecting a lens of a built-in camera and a camera operating method for turning on / off the built-in camera using the cover device.

무선 통신 기술이 날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한 여러 종류의 개인 휴대 단말기들이 생산되고 있다. 종래의 개인 휴대 단말기는 외부의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은 무선으로 외부 전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제3자와 음성을 이용한 통신을 할 수 있으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는 무선으로 외부의 인터넷과 연결되어 인터넷 홈페이지 및 관련 자료를 업로드/다운로드를 할 수가 있다.A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various types of personal portable terminals apply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been produced. Conventional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re used for communication purposes with external network servers. For example, a mobile phone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telephone network to communicate with a third party by voice, and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n wirelessly connect to an external internet to upload an Internet homepage and related materials. You can download it.

이들 개인 휴대 단말기는 사용 용도 및 내장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개인 휴대 단말기가 통신 기능 외에도 카메라 기능 및 영상 저장 기능을 포함시킴으로써 디지털 카메라로서의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These personal portable terminals are increasingly used and built-in functions. Recently, personal portable terminals include camera functions and image storage functions as well as communication functions, and thus also include functions as digital cameras.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with a built-in camera,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amera built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10)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으로서, 상부 몸체(20) 및 하부 몸체(30)를 포함한다. 상부 몸체(20) 및 하부 몸체(30)는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몸체(30)의 후면 상단에는 카메라(40)가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40)를 통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영상은 상부 몸체(20)에 장착된 LCD를 통해서 확인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LCD를 통해서 영상을 확인하면서 지정된 버튼을 누름으로써 카메라(4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저장할 수가 있다.1 and 2, the mobile phone 10 is a slide type mobile phone and includes an upper body 20 and a lower body 30. The upper body 20 and the lower body 30 are connected by a hinge, the camera 40 is mounted on the rear top of the lower body 30. An image may b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40, and the obtained image may be confirmed through an LCD mounted on the upper body 20. The user can store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40 by pressing a designated button while checking the image through the LCD.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0)의 렌즈(42)는 투명창(44)(window)를 사이에 두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투명창(44)이 외부와 직접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창 표면에 이물질이 묻거나 스크래치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이물질 묻음 또는 스크래치 등에 의해서 카메라의 투과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휴대폰은 사용자가 주머니 등에 넣고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환경이 열악하며,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는 렌즈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스크래치에 의한 투과율 저하가 일반 카메라보다 크게 나타나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2, the lens 42 of the camera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 the transparent window 44 interposed therebetween. Since the transparent window 44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foreign matters or scratches, etc., are likely to occur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window,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camera is remarkably inferior due to foreign matters or scratches. In particular, the mobile phone has a poor use environment because the user puts it in a pocket and the like, and the camera embedded in the mobile phone has a small lens so that a decrease in transmittance due to foreign substances or scratches appears to be greater than that of a general camera.

또한, 휴대폰(10)은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폰(10)에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뉴키를 눌러 카메라 촬영 모드를 설정해야 하며, 매번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한 메뉴 서핑으로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가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phone 10 is generally for making a phone call, and in order to use the camera function in the mobile phone 10, the user must set the camera shooting mode by pressing a menu key. You may feel uncomfortab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열악한 사용조건으로부터 내장 카메라의 렌즈 또는 투명창을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cover device that can protect the lens or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built-in camera from poor use condi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뉴 서핑 없이도 바로 카메라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카메라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cover device that can be switched directly to the camera shooting mode without menu surf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뉴 서핑 없이도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커버장치를 이용한 카메라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operating method using a cover device that can switch to a camera shooting mode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thout menu surfing.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는 카메라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일정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셔터 구동부,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셔터 구동부를 움직이게 하는 작동 레버, 및 카메라에 인접하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면서 카메라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가리는 셔터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작동 레버를 움직이면, 셔터 구동부는 작동 레버와 함께 일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셔터 구동부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셔터가 회전하면서 카메라의 렌즈 또는 투명창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cover device for protecting the camera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djacent to the camera and mov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the shutter drive unit and And an operating lever which is interlock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move the shutter driver, and is rotatably mounted adjacent to the camera, and selectively shutters the front of the camera while interlocking with the shutter driver. When the user moves the operation lever, the shutter driver moves along the predetermined path together with the operation lever, and the shutter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shutter driver to open and close the lens or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camera.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셔터를 닫아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카메라 렌즈 등에 묻어 투과율을 저하시키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을 전체적으로 보호함으로써 내장 카메라가 충격에 의해서 고장 나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protect the camera by closing the shutter while not using the camera function, and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getting on the camera lens or the like to reduce the transmittance or cause scratches. In addition, by protecting the camera module as a whole, the built-in camer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by the impact.

일반적으로 셔터 구동부와 작동 레버가 일체로 형성되지만 장착되는 여건을 고려하여 양 부품은 상호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셔터 구동부는 카메라 주변에서 원호 또는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가 있다.Generally, the shutter driver and the operation lever are integrally formed, but both parts may be formed separately in consideration of mounting conditions, and the shutter driver may move along an arc or a straight path around the camera.

카메라 커버장치는 카메라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1 하우징 및 제1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하우징은 카메라 커버장치를 보호하며, 셔터 구동부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셔터는 제1 또는 제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작동 레버는 제1 및 제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camera cover device includes a first housing mounted adjacent to the camera and a second housing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protect the camera cover device, provide a path for the shutter driver to move, and the shutter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irst or second housing. The actuation lever is the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또한, 카메라 커버장치에 작동 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카메라 기능을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위치 센서를 작동 레버 또는 셔터 구동부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사용자가 작동 레버를 돌려 셔터 구동부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스위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셔터의 열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제어부는 열림 신호에 따라 개인 휴대 단말기를 바로 촬영모드로 전환시킬 수가 있으며, 사용자는 커버장치를 이용하여 촬영모드의 전환 및 복귀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In addition, by mounting a switch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in the camera cover device, it is possible to use the camera function more conveniently. The switch senso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peration lever or the shutter drive uni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hutter driving unit by the user by turning the operation lever, the switch sensor may detect this and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shutter. The controller may immediately switch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opening signal, and the user may conveniently switch between the shooting mode and the recovery using the cover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휴대 단말기에 설치되는 카메라 커버장치는 카메라의 주변을 따라 회전을 하는 셔터 구동부, 셔터 구동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셔터 구동부를 움직이게 하는 작동 레버, 카메라와 셔터 구동부 사이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면서 카메라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가리는 제1 셔터, 및 카메라와 셔터 구동부 사이의 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면서 제1 셔터와 함께 카메라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가리는 제2 셔터를 포함한다. 셔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 제1 및 제2 셔터가 동시에 움직이며, 동시에 카메라 전면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cover device installed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utter drive unit, the shutter drive unit to rotate along the periphery of the camera and the personal An operating lev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terminal to move the shutter driver, a first shutter rotatably mounted about a point between the camera and the shutter driver, and selectively interposing the front of the camera while interlocking with the shutter driver; And a second shutter rotatably mounted around another point between the shutter drivers and selectively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mera together with the first shutter while interlocking with the shutter driver.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simultaneously move as the shutter driver rotates, and simultaneously opens and closes the front of the camer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실시예 1Example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휴대폰의 하우징 일부를 절개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y cutting a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mobile phon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커버장치(100)는 셔터 구동부(120), 작동 레버(130) 및 셔터(140)를 포함한다. 카메라 렌즈부(L)의 주변으로 카메라 커버장치(100)가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130) 이외의 다른 요소들은 휴대폰(HP)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3 and 4, the camera cover device 100 includes a shutter driver 120, an operation lever 130, and a shutter 140. The camera cover device 100 is installed around the camera lens unit L, and as shown,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operation lever 130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f the mobile phone HP.

셔터 구동부(1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로테이터로서, 휴대폰(HP)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다. 셔터 구동부(120)는 작동 레버(1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레버(130)의 이동에 따라, 셔터 구동부(120)는 카메라 렌즈부(L)의 주변을 따라 회전을 한다. 작동 레버(130)는 휴대폰(HP)의 하우징 밖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의해서 일정 각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The shutter driver 120 is a rotator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mounted in the housing of the mobile phone HP. Since the shutter driver 1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peration lever 130, the shutter driver 120 rotate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amera lens part L as the operation lever 130 moves. The operation lever 130 is partially exposed outside the housing of the mobile phone HP, and can move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by a hole formed in the housing.

셔터(140)는 휴대폰(HP)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셔터(140)의 회전축은 카메라 렌즈부(L) 및 셔터 구동부(120) 사이에 위치하며, 이를 위해서 샤프트(144)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셔터(140)의 수용홈이 샤프트(144)를 수용함으로써, 셔터(1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shutter 140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housing of the mobile phone HP.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hutter 140 is located between the camera lens portion L and the shutter driver 120. For this purpose, the shaft 144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hutter 140 opens the shaft 144. By accommodating, the shutter 140 is rotatably mounted.

셔터(140)와 셔터 구동부(120)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해서 작동 돌기(122) 및 작동 슬릿(142)이 사용된다. 작동 돌기(122)는 셔터 구동부(120)에 형성되며, 작동 슬릿(142)은 작동 돌기(122)에 대응하여 셔터(14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 슬릿(142)이 일단이 개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작동 슬릿(142)의 양단이 폐쇄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가 있다.The actuating protrusion 122 and the actuating slit 142 are used to bind the shutter 140 and the shutter driver 120 to each other. The actuating protrusion 122 is formed in the shutter driver 120, and the actuating slit 142 is formed in the shutter 140 in correspondence with the actuating protrusion 122. While one end of the operating slit 142 is open in this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operating slit 142 may also be used in a closed form.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에서 셔터 구동부 및 셔터 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between the shutter driver and the shutter in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셔터(140)의 작동 슬릿(142)은 셔터 구동부(120)의 작동 돌기(122)와 결속되어 있으며, 작동 돌기(122)는 작동 슬릿(142)과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 슬릿(142)에 대해 제한된 범위 내로 이동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operation slit 142 of the shutter 140 is engaged with the operation protrusion 122 of the shutter driver 120, and the operation protrusion 122 remains engaged with the operation slit 142. While moving within the limited range relative to the working slit 142.

작동 레버(130)가 열림 위치(A)에 있을 때에도 셔터 구동부(120)의 작동 돌기(122)는 셔터(140)의 작동 슬릿(142)과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때 셔터(140)는 카메라 렌즈부(L)를 덮고 있지 않다.Even when the operation lever 130 is in the open position A, the operation protrusion 122 of the shutter driver 120 remains engaged with the operation slit 142 of the shutter 140. In this case, the shutter 140 Does not cover the camera lens portion (L).

그런데 작동 레버(130)가 닫힘 위치(B)로 이동하게 되면, 셔터 구동부(120)도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작동 돌기(122)가 작동 슬릿(142)을 통해 셔터(140)를 밀어냄으로써 셔터(140)가 카메라 렌즈부(L)를 가리게 된다. However, when the operation lever 130 is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B), the shutter driver 120 also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operation protrusion 122 pushes the shutter 140 through the operation slit 142. The shutter 140 hides the camera lens part L by turning off.

사용자는 작동 레버(130)를 이동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서 카메라 렌즈부(L)를 개폐할 수 있다. 닫혀진 셔터(140)가 카메라 렌즈부(L)를 덮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을 주머니 등에 넣고 있어도 카메라 렌즈부(L)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악한 환경에 대해서 카메라 모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셔터(140)로 카메라 렌즈부(L)를 보호할 수가 있기 때문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카메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camera lens part L through a simple process of moving the operation lever 130. Since the closed shutter 140 covers the camera lens unit L, foreign matter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camera lens unit L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placed in a pocket, or the camera module can be safely protected against a harsh environment. have. In addition, since the camera lens portion L can be protected by the shutter 140 while the camera function is not used, scratche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the life of the camera can be extended.

도 6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에서 셔터 구동부 및 셔터 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between the shutter driver and the shutter in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도 셔터 구동부(220), 셔터 구동부(220)와 일체로 형성된 작동 레버(230), 및 셔터 구동부(220)와 연동하는 셔터(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shutter driver 220, an operation lever 230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utter driver 220, and a shutter 240 interlocked with the shutter driver 220. Include.

셔터 구동부(220)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동 레버(2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레버(230)의 이동에 따라, 셔터 구동부(220)는 카메라 렌즈부(L)의 주변에서 직선 경로를 따라 왕복을 한다. 역시 작동 레버(230)는 휴대폰(HP)의 하우징 밖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의해서 일정 길이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다.Since the shutter driver 22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peration lever 230, the shutter driver 220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230. Round trip along a straight path around. The operating lever 230 is also partially exposed out of the housing of the mobile phone HP,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length by a hole formed in the housing.

셔터 구동부(220)와는 다르게, 본 실시예에서도 셔터(240)는 휴대폰(HP)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셔터(240)의 회전축은 카메라 렌즈부(L) 및 셔터 구동부(220) 사이에 위치한다. Unlike the shutter driver 2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utter 240 is rotatably mounted in the mobile phone HP housing.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hutter 240 is located between the camera lens unit L and the shutter driver 220.

셔터(240)와 셔터 구동부(220)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해서 작동 돌기(222) 및 작동 슬릿(242)이 사용된다. 작동 돌기(222)는 셔터 구동부(220)에 형성되며, 작동 슬릿(242)은 작동 돌기(222)에 대응하여 셔터(240)에 형성된다. 작동 레버(230)가 상하로 이동하면, 셔터 구동부(220)도 같이 상하로 이동을 하고, 셔터 구동부(220)의 작동 돌기(222)가 작동 슬릿(242)을 통해 셔터(240)를 밀어냄으로써 셔터(240)가 회전 운동을 하면서 카메라 렌즈부(L)를 개폐하게 된다. 이전 실시예와는 다르게,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 구동부(220)는 직선 운동을 하며, 셔터 구동부(220)의 직선 운동은 작동 돌기(222) 및 작동 슬릿(242)을 통해 셔터(24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된다.The actuating protrusion 222 and the actuating slit 242 are used to bind the shutter 240 and the shutter driver 220 to each other. The actuating protrusion 222 is formed in the shutter driver 220, and the actuating slit 242 is formed in the shutter 240 in correspondence with the actuating protrusion 222. When the operation lever 230 moves up and down, the shutter driver 220 moves up and down as well, and the operation protrusion 222 of the shutter driver 220 pushes the shutter 240 through the operation slit 242. The shutter 240 opens and closes the camera lens part L while performing a rotational motion.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hutter driver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a linear motion, and the linear motion of the shutter driver 220 is controlled by the shutter 240 through the actuating protrusion 222 and the actuating slit 242. Switch to rotary motion.

실시예 2Example 2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카메라 커버장치(300)는 제1 하우징(310), 제2 하우징(315), 셔터 구동부(320), 작동 레버(330), 제1 셔터(340), 제2 셔터(350) 및 스위치 센서(360)를 포함한다. 셔터 구동부(320) 내지 제2 셔터(350)의 구성요소들은 제1 및 제2 하우징(310, 315) 사이에 장착되며, 제1 하우징(310)이 부착됨으로써 카메라 커버장치(300)가 휴대폰(HP)에 설치된다. 7 and 8, the camera cover device 300 includes a first housing 310, a second housing 315, a shutter driver 320, an operation lever 330, a first shutter 340, and a first shutter. Two shutters 350 and a switch sensor 360. Components of the shutter driver 320 to the second shutter 350 may be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10 and 315, and the first housing 310 may be attached to the camera cover device 300 so as to provide a mobile phone ( HP).

제1 하우징(310) 및 제2 하우징(315)은 카메라 커버장치(300)의 구성 부품들을 수용하며, 제1 및 제2 하우징(310, 315)은 셔터 구동부(3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를 가진다. 카메라 커버장치(3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휴대폰(HP)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카메라 커버장치(300)는 수용홈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카메라 렌즈부(L)의 전면으로 카메라 커버장치(300)가 설치되며, 작동 레버(330) 이외의 다른 요소들은 제1 및 제2 하우징(310, 315) 내부에 배치된다.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second housing 315 accommodate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cover device 300,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10 and 315 are us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hutter driver 320. It has a guide structur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mobile phone (HP)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camera cover device 300 is installed, the camera cover device 300 is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The camera cover device 30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amera lens unit L, and elements other than the operation lever 330 are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310 and 315.

셔터 구동부(3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로테이터이며, 셔터 구동부(320)는 작동 레버(3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 레버(330)의 이동에 따라, 셔터 구동부(320)는 카메라 렌즈부(L)의 주변을 따라 회전을 한다. The shutter driver 320 is a rotator formed in a ring shape, and since the shutter driver 3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peration lever 330, the shutter driver 320 is moved to the camera lens uni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330. Rotate along the periphery of (L).

제1 셔터(340)는 제2 하우징(31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셔터(340)의 회전축으로 제1 샤프트(344)가 사용되며, 제1 샤프트(344)는 카메라 렌즈부(L) 및 셔터 구동부(320) 사이에 대응하도록 장착된다. The first shutter 340 is rotatably mounted in the second housing 315. The first shaft 344 is used as the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shutter 340, and the first shaft 344 is mounted to correspond between the camera lens unit L and the shutter driver 320.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셔터(350)는 제1 셔터(340)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2 하우징(31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셔터(350)의 회전축으로 제2 샤프트(354)가 사용되며, 제2 샤프트(354)도 제1 샤프트(344)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카메라 렌즈부(L) 및 셔터 구동부(320) 사이에 장착된다.Similarly, the second shutter 350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second housing 315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shutter 340. The second shaft 354 is used as a rotation axis of the second shutter 350, and the second shaft 354 is also disposed between the camera lens part L and the shutter driver 320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shaft 344. Is mounted on.

제1 셔터(340)와 셔터 구동부(320)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해서 제1 작동 돌기(322) 및 제1 작동 슬릿(342)이 사용된다. 제1 작동 돌기(322)는 셔터 구동부(320)에 형성되며, 제1 작동 슬릿(342)은 제1 작동 돌기(322)에 대응하여 제1 셔터(340)에 형성된다. 제2 셔터(350) 역시 제2 작동 슬릿(352)를 포함하며, 셔터 구동부(320)는 제2 작동 슬릿(352)에 대응하는 제2 작동 돌기(324)를 포함한다. The first actuating protrusion 322 and the first actuating slit 342 are used to bind the first shutter 340 and the shutter driver 320 to each other. The first actuating protrusion 322 is formed in the shutter driver 320, and the first actuating slit 342 is formed in the first shutter 340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actuating protrusion 322. The second shutter 350 also includes a second operating slit 352, and the shutter driver 320 includes a second operating protrusion 324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rating slit 352.

제1 셔터(340) 및 제2 셔터(350)가 상호 대칭을 이루며 장착되어 있고, 셔터 구동부(320)의 이동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이동하면서 카메라 렌즈부(L)를 개폐한다. 셔터들의 작동 슬릿은 셔터 구동부의 작동 돌기와 결속되어 있으며, 작동 돌기는 작동 슬릿과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 슬릿에 대해 제한된 범위 내로 이동할 수가 있다.The first shutter 340 and the second shutter 350 are mount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and open and close the camera lens unit L while symmetr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the shutter driver 320. The actuating slit of the shutters is engaged with the actuating projection of the shutter driver, and the actuating projection can move within a limited range with respect to the actuating slit while remaining engaged with the actuating slit.

도 9및 도 1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에서 셔터 구동부 및 셔터들 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로서, 도 9는 셔터들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셔터들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9 and 10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between the shutter driver and the shutters in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9 shows the shutters open, and FIG. 10 shows the shutters closed. It is shown.

도 9를 참조하면, 작동 레버(330) 및 셔터 구동부(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치우쳐진 상태에 있으며, 제1 및 제2 셔터(340, 350)도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operation lever 330 and the shutter driver 320 ar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340 and 350 also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maintain the open state. Keeping up.

작동 레버(330) 및 셔터 구동부(320)가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작동 돌기(322, 324)가 제1 및 제2 작동 슬릿(342, 35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및 제2 셔터(340, 350)도 각각 제1 및 제 2 샤프트(344, 354)를 축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렌즈부(L)가 개방된다.As the operating lever 330 and the shutter driver 320 rotate,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protrusions 322 and 324 rotate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slits 342 and 35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shutters 340 and 350 als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shafts 344 and 354 axially, respectively, so that the camera lens part L is opened.

도 10을 참조하면, 셔터들(340, 350)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 레버(330) 및 셔터 구동부(3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제1 및 제2 셔터(340, 350)도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힌 상태로 전환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operation lever 330 and the shutter driver 320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the shutters 340 and 350 open,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340 and 350 may also be rotated. Rotate clockwise to switch to closed state.

작동 레버(330) 및 셔터 구동부(320)가 회전하면서, 작동 돌기들(322, 324)가 작동 슬릿들(342, 35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및 제2 셔터(340, 350)도 각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렌즈부(L)가 폐쇄한다.As the actuation lever 330 and the shutter driver 320 rotate, the actuation protrusions 322, 324 rotate the actuation slits 342, 352 clockwise, an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340, 350. Each of them rotates clockwise to close the camera lens portion L. FIG.

이때, 제1 및 제2 셔터(340, 350)는 상호 대칭을 이루며 움직이기 때문에, 작동 레버(330)의 시계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셔터(340, 350)도 서로 맞닿아 카메라 렌즈부(L)를 가린다.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340 and 350 move in symmetry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340 and 350 also contact each other in response to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330. The lens part L is covered.

사용자는 작동 레버(330)를 이동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서 카메라 렌즈부(L)를 개폐할 수 있다. 닫혀진 제1 및 제2 셔터(340, 350)가 카메라 렌즈부(L)를 덮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을 주머니 등에 넣고 있어도 카메라 렌즈부(L)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악한 환경에 대해서 카메라 모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셔터(340)로 카메라 렌즈부(L)를 보호할 수가 있기 때문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카메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The user may open and close the camera lens part L through a simple process of moving the operation lever 330. Since the closed first and second shutters 340 and 350 cover the camera lens portion L, foreign matters can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camera lens portion L even when the mobile phone is placed in a pocket or the like. You can also secure the camera module. In addition, since the camera lens portion L can be protected by the shutter 340 while the camera function is not used, scratche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the life of the camera can be extended.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다.11 is a partial cutaway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작동 레버(330)가 휴대폰의 내부로 연장되고, 작동 레버(330)의 이동 경로에 인접하게 스위치 센서(360)가 장착된다. 스위치 센서(360)는 작동 레버(330)가 시계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 즉 제1 및 제2 셔터(340, 350)가 닫힌 상태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작동 레버(330)가 닫힘 상태에 있는 것은 동시에 작동 레버(330)는 스위치 센서(360)를 누르고 있는다.Referring to FIG. 11, the operation lever 330 extends into the mobile phone, and the switch sensor 360 is mounted adjacent to the movement path of the operation lever 330. The switch sensor 360 is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s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330 is clockwise,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340 and 350 are closed. Thus, while the actuation lever 330 is in the closed state, the actuation lever 330 depresses the switch sensor 360.

사용자가 작동 레버(3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 레버(330)의 회전과 함께 셔터들(340, 350)이 열리게 되고, 작동 레버(330)도 스위치 센서(360)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스위치 센서(360)는 셔터들(340, 350)의 열림에 대응하는 열림 신호(open signal)를 발생하게 되고, 열림 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된다.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lever 330 counterclockwise, the shutters 340 and 350 are opened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330, and the operation lever 330 is also released from the switch sensor 360. In this case, the switch sensor 360 generates an ope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shutters 340 and 350, and the open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witching the photographing mode of the camera using the camera cove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커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드 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cover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nd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카메라 커버장치(300) 중 스위치 센서(360)는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C)는 촬영모드 전환회로와 연결되어 촬영모드 전환회로의 구동을 제어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switch sensor 360 of the camera cover device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 and the control unit C is connected to the shooting mode switching circuit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hooting mode switching circuit. You can do it.

도 13을 참조하면, 스위치 센서(360)는 작동 레버(330)에 인접하게 설치되 며, 작동 레버(330)가 닫힘 위치에 있으면 스위치 센서(360)를 누르게 되고, 작동 레버(330)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이동하면서 작동 레버(330)는 스위치 센서(360)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스위치 센서(360)는 작동 레버(330)의 이탈 여부를 감지한다(S10). 작동 레버(330)에 닫힘 위치에 있는 동안, 제어부(C)는 스위치 센서(360)를 통해서 셔터(340, 350)의 개폐 여부를 간접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S20). Referring to FIG. 13, the switch sensor 36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peration lever 330. When the operation lever 33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witch sensor 360 is pressed, and the operation lever 330 is closed. The actuation lever 330 is disengaged from the switch sensor 360 while moving from the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switch sensor 360 detects whether the operation lever 330 is separated (S10). While in the closed position on the operation lever 330, the controller C may indirectly monitor whether the shutters 340 and 350 are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switch sensor 360 (S20).

사용자가 작동 레버(330)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면, 셔터(340, 350)의 열림 여부를 확인하게 되고, 스위치 센서(360)는 열림 신호를 생성한다(S30). 생성된 열림 신호는 제어부(C)로 전달되며, 제어부(C)는 열림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모드 전환회로를 구동하고, 촬영모드 전환회로에 의해서 휴대폰은 촬영모드로 전환된다(S40). 구체적으로 촬영모드로 전환되면서 카메라 모듈로부터 얻어진 영상은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되며, 휴대폰은 촬영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다음 작업을 대기한다.When the user moves the operation lever 330 to the open posit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shutters 340 and 350 are open, and the switch sensor 360 generates an open signal (S30). The generated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C. The controller C drives the photographing mode switching circuit in response to the opening signal, and the mobile phone is switched to the photographing mode by the photographing mode switching circuit (S40). In detail, the image obtained from the camera module is displayed on the LCD display while switching to the shooting mode, and the mobile phone waits for the user's next work in the shooting mode.

상술한 과정들(S10~S40)을 통해서 촬영모드의 전환과정이 1차적으로 완료된다. 촬영모드로 전환된 다음 사용자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기록할 수 있으며, 이미 기록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확인할 수도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S10 ~ S40),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shooting mode is completed first. After switching to the shooting mode, the user can record a picture or a video, and can check the already recorded picture or a video.

또한, 커버장치에서 작동 레버(330)에 이동에 대응하여 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휴대폰에는 사용자 설정 값들이 저장된 설정 메모리를 유지하고, 제어부는 촬영모드로 전환하기 이전에 설정 메모리로부터 카메라 커버장치를 이용한 촬영모드 전환 설정을 검사하 고, 촬영모드 전환 설정에 따라 휴대폰의 촬영모드 전환 여부를 선택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to the shooting mod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330 in the cover device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 To this end, the mobile phone maintains a setting memory in which user setting values are stored, and the controller checks the shooting mode switching setting using the camera cover device from the setting memory before switching to the shooting mode, and captures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shooting mode switching setting. You can select whether to switch modes.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폰이 촬영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스위치 센서(360)는 작동 레버(330)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감지한다(S50). 만약 작동 레버(330)가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복귀하면, 스위치 센서(360)를 다시 누르게 되고, 제어부(C)는 스위치 센서(360)를 통해서 셔터(340, 350)의 닫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0). 셔터(340, 350)의 닫힘에 대응하여 스위치 센서(360)는 닫힘 신호를 생성한다(S70). 생성된 닫힘 신호는 제어부(C)로 전달되며, 제어부(C)는 닫힘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모드 전환회로의 구동을 정지하고, 촬영모드로 전환하기 이전의 상태로 휴대폰을 복귀할 수 있다(S80). 이를 위해 제어부(C)는 메모리를 이용하여 전환 이전의 상태를 기억할 수가 있다. 촬영모드로 전환한 이후의 과정(S50~S80)은 2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그 이전들의 과정만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또는 설정을 다르게 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13 again, the switch sensor 360 continuously detects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lever 330 while the mobile phone is switched to the photographing mode (S50). If the operation lever 330 returns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 switch sensor 360 is pressed again, and the control unit C may check whether the shutters 340 and 350 are closed through the switch sensor 360. There is (S60). In response to the closing of the shutters 340 and 350, the switch sensor 360 generates a closing signal (S70). The generated clo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C, and the control unit C may stop driving of the photographing mode switching circuit in response to the closing signal and return the mobile phone to a state before switching to the photographing mode (S80). ).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C may store a state before switching using a memory. The process after switching to the shooting mode (S50 to S80) is a secondary process, which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nd is designed or set to perform only the previous processes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Can be different.

본 발명의 카메라 커버장치는 열악한 사용조건으로부터 내장 카메라의 렌즈 또는 투명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내장 카메라의 투과율을 양호하게 유지함으로써 깨끗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가 있고, 매번 카메라 투명창을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가 있다.The camera co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protect the lens or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built-in camera from poor use conditions, can maintain a good transmittance of the built-in camera to obtain a clean image, and to clean the camera transparent window every time You can reduce the hassle.

또한, 카메라 커버장치에 셔터의 열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위치 센서를 장착하고, 스위치 센서를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에 연결함으로써 번거로운 메 뉴 서핑 없이도 개인 휴대 단말기를 카메라 촬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cover device is equipped with a switch sensor for checking whether the shutter is opened, and by connecting the switch sensor to the controller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n be switched to the camera shooting mode without cumbersome menu surf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3)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내장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에 있어서, In the camera cover device for protecting the built-in camera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상기 카메라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일정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셔터 구동부;A shutter driver mounted adjacent to the camera and moving along a predetermined path; 상기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셔터 구동부를 움직이게 하는 작동 레버; 및An operation lever interlocked with the shutter driv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move the shutter driver; And 상기 카메라에 인접하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면서 상기 카메라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가리는 셔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커버장치.And a shutter rotatably mounted adjacent to the camera and selectively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camera while interlocking with the shutter dri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셔터 구동부 및 상기 작동 레버는 상호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And the shutter driver and the operation lever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의 주변을 따라 회전하는 로테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And the shutter driver is a rotator rotat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camer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셔터 구동부에는 작동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셔터에는 상기 작동 돌기와의 결속을 위한 작동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 돌기의 이동이 상기 작동 슬릿을 통해서 상기 셔터의 회전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An operat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shutter driving unit, and an operating slit is formed in the shutter to bind with the operating protrusion, and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protrusion is converted into rotation of the shutter through the operating slit. Device.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카메라 커버장치는 상기 카메라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 구동부 및 상기 셔터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The camera cover device includes a first housing mounted adjacent to the camera and a second housing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wherein the shutter driver and the shutter are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the operation le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작동 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센서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셔터의 개폐 여부에 따라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And a switch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wherein the switch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outputs a different signal depending on whether the shutter is opened or closed. .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내장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카메라 커버장치에 있어서, In the camera cover device for protecting the built-in camera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상기 카메라의 주변을 따라 회전을 하는 셔터 구동부;A shutter driver rotat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camera; 상기 셔터 구동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셔터 구동부를 움직이게 하는 작동 레버;An operation lev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utter driv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move the shutter driver; 상기 카메라와 상기 셔터 구동부 사이의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면서 상기 카메라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가리는 제1 셔터; 및A first shutter rotatably mounted about a point between the camera and the shutter driver and selectively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camera while interlocking with the shutter driver; And 상기 카메라와 상기 셔터 구동부 사이의 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셔터 구동부와 연동하면서 상기 제1 셔터와 함께 상기 카메라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가리는 제2 셔터;를 구비하는 카메라 커버장치.And a second shutter rotatably mounted about another point between the camera and the shutter driver and selectively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camera with the first shutter while interlocking with the shutter driver. 제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셔터 구동부는 링 형상으로 형상되며, 상기 셔터 구동부에는 제1 작동 돌기 및 제2 작동 돌기가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셔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작동 돌기와의 각각 결속을 위한 제1 및 제2 작동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작동 돌기의 이동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작동 슬릿을 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셔터의 회전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The shutter driver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shutter driver includes a first operating protrusion and a second operating protrus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respectively engage with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protrusions. And first and second actuating slits are formed,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ing projections is converted to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ctuating slits, respectively. Camera cover device. 제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카메라 커버장치는 상기 카메라에 인접하게 장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 구동부,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The camera cover device includes a first housing mounted adjacent to the camera and a second housing covering a front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wherein the shutter driver, the first shutter, and the second shutter are the first and second shutters. 2 is mounted between the housing, the operation lever is a camera cov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제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작동 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센서는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셔터의 개폐 여부에 따라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And a switch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wherein the switch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outputs a different signal depending on whether the shutter is opened or closed. . 제6항 또는 제10항의 카메라 커버장치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갖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촬영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switching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to a shooting mode using the camera cover device of claim 6 or 10, 상기 스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 레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a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using the switch sensor; 상기 스위치 센서가 상기 셔터의 열림에 대응하여 열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by the switch sensor, an opening signal in response to opening of the shutter; An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림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카메라 커버장치를 촬영모드 전환방법.And the controller converti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to a photographing mode in response to the opening signal.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스위치 센서는 상기 셔터의 닫힘에 대응하여 닫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힘 신호에 대응하여 촬영모드인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전환 이전의 단계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를 이용한 촬영모드 전환방법.The switch sensor generates a clos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closing of the shutter, and the control unit returns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n a photographing mode to a step before switching in response to the closing signal. How to switch shooting mod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 값들이 저장된 설정 메모리를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메모리로부터 상기 카메라 커버장치를 이용한 촬영모드 전환 설정을 검사하고, 상기 촬영모드 전환 설정에 따라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촬영모드 전환 여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커버장치를 이용한 촬영모드 전환방법.Maintains a setting memory in which user setting value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re stored, and the controller checks a shooting mode switching setting using the camera cover device from the setting memory, and photographs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hooting mode switching setting. Shooting mode switching method using a camera cov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whether to switch modes.
KR1020040074977A 2004-09-20 2004-09-20 Apparatus for covering a built-in camera of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personal portable device in a picture-taking mode by using the apparatus KR1006413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77A KR100641322B1 (en) 2004-09-20 2004-09-20 Apparatus for covering a built-in camera of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personal portable device in a picture-taking mode by using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977A KR100641322B1 (en) 2004-09-20 2004-09-20 Apparatus for covering a built-in camera of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personal portable device in a picture-taking mode by using th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154A true KR20060026154A (en) 2006-03-23
KR100641322B1 KR100641322B1 (en) 2006-11-02

Family

ID=3713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977A KR100641322B1 (en) 2004-09-20 2004-09-20 Apparatus for covering a built-in camera of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personal portable device in a picture-taking mode by using th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32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764B1 (en) * 2004-10-22 2006-08-22 주식회사 엠투시스 Protective device for camera in mobile phone
KR100690826B1 (en) * 2005-08-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camera switching apparatus
KR100790156B1 (en) * 2006-11-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folder type mobile pho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764B1 (en) * 2004-10-22 2006-08-22 주식회사 엠투시스 Protective device for camera in mobile phone
KR100690826B1 (en) * 2005-08-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camera switching apparatus
KR100790156B1 (en) * 2006-11-06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doo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folder type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322B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999B1 (en) Bar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1453305B1 (en) Folding type camera device and folding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683083B1 (en) Portable Device
KR10105316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606003B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4730270B2 (en) Portable device
JP4946432B2 (en) Mobile device with camera function
JP4241241B2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641322B1 (en) Apparatus for covering a built-in camera of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a personal portable device in a picture-taking mode by using the apparatus
KR100632099B1 (en) a macro lens rotating apparatus of a camera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022476B2 (en) Camera phone
KR2005003612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cover for auto-conversion of photograph mode
JP409673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4263067B2 (en) Portable device
KR200342944Y1 (en) Camera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4276569B2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0941537B1 (en) Mobile phone
KR20060074289A (en) Mobile terminal of slide type
KR100531936B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KR100661578B1 (en) A two axial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whoes camera is protruded
JP2021157024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lid unit
KR101166265B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36395B1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JP2005051301A (en) Portable terminal
JP2004349809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