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108A -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108A
KR20060025108A KR1020047015642A KR20047015642A KR20060025108A KR 20060025108 A KR20060025108 A KR 20060025108A KR 1020047015642 A KR1020047015642 A KR 1020047015642A KR 20047015642 A KR20047015642 A KR 20047015642A KR 20060025108 A KR20060025108 A KR 20060025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electromotive force
counter electromotive
linear compressor
comman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6032B1 (ko
Inventor
최봉준
장창용
조만석
박신현
김현
신종민
전영환
노철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701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0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6Linea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1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2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4Frequency of the electric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80Devices generating input signals, e.g. transducers, sensors, cameras or strain gau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에 의존하여 가변되는 가동부재의 고유주파수에 운전주파수를 동기화시킴으로 부하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효율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는 리니어 압축기에 대한 전압 지령치(V*)와 입력 전류(i)로부터 역기전력(E)의 위상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위상 검출부와, 상기 입력 전류(i)의 위상을 검출하는 전류 위상 검출부와,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과 입력 전류(i)의 위상을 비교하여 주파수 변화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와, 상기 주파수 변화치에 따라 상기 전압 지령치(V*)를 보정하는 제어부와,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보정된 전압 지령치(V*)에 따라 정현파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에 인가하는 인버터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LINEAR COMPRESSOR CONTROLLING APPARATUS AND ITS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부하에 의존하여 가변되는 가동부재의 고유주파수에 운전주파수를 동기화시킴으로 부하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효율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Compressor)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작동가스를 압축시켜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장치로써, 냉장고와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기기 또는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를 크게 분류하면,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와, 선회 스크롤(Orbi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 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선회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나뉘어진다.
최근에는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특히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는 구동모터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운동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없어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한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압축기는 모터의 직선 구동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흡입, 압축, 토출시키게 되는데, 크게 냉매 가스를 압축시키는 실린더 및 피스톤 등이 포함된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리니어 모터가 포함된 구동부로 나뉘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용기 내부에 실린더가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에 피스톤이 왕복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 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 내부의 압축공간으로 냉매를 유입되도록 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압축공간에는 흡입밸브 어셈블리 및 토출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상기 압축공간 내부의 압력에 따라 냉매의 유입 및 토출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에 직선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터가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실린더 주변에 복수개의 라미네이션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된 이너 스테이터 및 아웃터 스테이터가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이너 스테이터 또는 아웃터 스테이터 내측에는 코일이 감겨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너 스테이터와 아웃터 스테이터 사이의 간극에는 영구 자석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피스톤의 운동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운동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하게 되는데, 보통 상기 리니어 모터는 일정한 운전주파수(fc)로 작동될 뿐 아니라 상기 피스톤이 소정의 스트로크(S)로 왕복 직선 운동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은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해 왕복 직선 운동하더라도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각종 스프링이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기계 스프링의 일종인 코일 스프링이 상기 피스톤의 운동방향으로 상기 밀폐용기 및 실린더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냉매 역시 가스 스프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정한 기계 스프링 상수(Km)를 가지고, 상기 가스 스프링은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가지며, 상기 기계 스프링 상수(Km) 및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고려하여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산출된다.
이와 같이 산출된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는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를 결정하게 되는데, 상기 리니어 모터는 운전주파수(fc)를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와 일치되도록 하여 상기 공진 상태에서 운전시킴으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압축기는 상기 리니어 모터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코일에 전류가 흐름이 따라 상기 아웃터 스테이터 및 이너 스테이터와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 및 이와 연결된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니어 모터는 일정한 운전주파수(fc)로 운전하게 되고,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n)는 상기 스프링의 공진주파수(fn)와 일치하여 공진상태에서 운전되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상기 압축공간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고, 이와 같이 상기 압축공간의 압력 변화에 따라 냉매가 상기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다음, 압축되어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압축기는 상기 리니어 모터가 설계상에서 고려한 부하 하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계 스프링 상수(Km) 및 가스 스프링의 가스 스프링 상수(Kg)에 의해 산출되는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에 일치하는 운전주파수(fc )로 운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단지 설계 상에서 고려한 부하 하에서만 상기 리니어 모터가 공진 상태에서 운전됨으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리니어 압축기는 실제 부하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가스 스프링의 가스 스프링 상수(Kg) 및 이를 고려하여 산출된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 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니어 모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시 중간부하 영역에서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와 일치하도록 운전주파수(fc)가 결정되고, 부하가 가변되더라도 이와 같이 결정된 일정한 운전주파수(fc)로 운전되지만,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는 부하가 커짐에 따라 커지게 된다.
수학식1
Figure 112004044718956-PCT00001
이때, 상기 fn 은 피스톤의 고유주파수이고, Km 및 Kg 는 기계 스프링 상수 및 가스 스프링 상수이며, M 은 피스톤의 질량이다.
보통, 설계 당시 전체 스프링 상수(KT)에서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차지하는 비율이 작기 때문에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고려하지 않거나,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일정한 값으로 실정하여 적용되고, 상기 피스톤의 질량(M) 및 기계 스프링 상수(Km) 역시 일정한 값을 가짐으로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 역시 상기 수학식1에 의존하여 일정한 값으로 산출된다.
그러나, 실제로 부하가 증가할수록 제한된 공간에서 냉매의 압력 및 온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상기 가스 스프링 자체의 탄성력이 커져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커지고, 이러한 가스 스프링 상수(Kg)에 비례하도록 산출되는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 역시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하 영역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와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일치함으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까지 도달하도록 운전되어 안정적으로 압축작용이 이루어지고, 공진 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짐으로 압축기의 효율이 최대가 된다.
하지만, 저부하 영역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보다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작아짐으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 이상으로 과도하게 움직여 과도한 압축력이 작용될 뿐 아니라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의 마찰 및 마모가 발생되고, 공진 상태에서 운전되지 않으므로 압축기 효율이 떨어진다.
마찬가지로, 고부하 영역에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보다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커짐으로 상기 피스톤이 상사점에 못 미치도록 운전되어 압축력이 떨어지고, 공진 상태에서 운전되지 않으므로 압축기 효율이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는 부하가 가변됨에 따라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가변되는 반면,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는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리니어 모터가 공진 상태에서 운전되지 않으므로 그 효율이 떨어지고, 능동적으로 부하에 대응하지 못하여 신속하게 부하를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계적 고유 주파수(fn)와 리니어 모터에 의한 운동 주 파수(fc)를 동기화하여 공진 상태에서 리니어 압축기가 흡입 및 압축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하에 따라 가변하는 기계적 고유 주파수(fn)를 추정하여 운동 주파수(fc)를 가변하여 동기화시킴으로써 리니어 압축기의 기구적인 오차를 해소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는 리니어 압축기에 대한 전압 지령치(V*)와 입력 전류(i)로부터 역기전력(E)의 위상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위상 검출부와, 상기 입력 전류(i)의 위상을 검출하는 전류 위상 검출부와,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과 입력 전류(i)의 위상을 비교하여 주파수 변화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와, 상기 주파수 변화치에 따라 상기 전압 지령치(V*)를 보정하는 제어부와,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보정된 전압 지령치(V*)에 따라 정현파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에 인가하는 인버터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역기전력 위상 검출부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역기전력(E)을 연산하여 상기 위상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4044718956-PCT00002
또한, 상기 주파수 생성부는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과 입력 전류(i)의 위 상이 동위상이 되도록 상기 주파수 변화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된 전압 지령치(V*)를 소정의 인버터 제어신호의 형태로 상기 인버터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방법은 리니어 압축기에 대한 전압 지령치(V*)와 입력 전류(i)로부터 역기전력(E)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전류(i)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또한,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과 입력 전류(i)의 위상을 비교하여 주파수 변화치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변화치에 따라 상기 전압 지령치(V*)를 보정하는 단계와,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보정된 전압 지령치(V*)에 따라 정현파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뒤따르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부하에 따른 스트로크가 도시된 그래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부하에 따른 효율이 도시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부하에 따른 스트로크가 도시된 그래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부하에 따른 효율이 도시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에서 부하에 따른 가스 스프링 상수(Kg)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
도 5는 리니어 모터를 역기전력이 있는 R-L 회로로 모형화할 때의 등가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2) 일측에 냉매가 유,출입되는 유입관(2a) 및 유출관(2b)이 설치되고, 상기 밀폐용기(2) 내측에 실린더(4)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 내부의 압축공간(P)으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4) 내부에 상기 피스톤(6)이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6)의 운동방향에 탄성 지지되도록 각종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6)은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리 니어 모터(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부하에 의존하여 가변되더라도 상기 리니어 모터(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와 동기화되도록 그 운전주파수(fc)를 제어하여 모든 부하 영역에서 공진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압축공간(P)과 접하고 있는 상기 피스톤(6)의 일단에 흡입밸브(22)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간(P)과 접하고 있는 상기 실린더(4)의 일단에 토출밸브 어셈블리(24)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밸브(22) 및 토출밸브 어셈블리(24)는 각각 상기 압축공간(P)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용기(2)는 내부가 밀폐되도록 상,하부 쉘이 서로 결합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관(2a) 및 냉매가 유출되는 유출관(2b)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 내측에 상기 피스톤(6)이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4) 외측에 상기 리니어 모터(10)가 프레임(18)에 의해 서로 조립되어 조립체를 구성하고, 이러한 조립체가 상기 밀폐용기(2) 내측 바닥면에 지지스프링(29)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밀폐용기(2) 내부 바닥면에는 소정의 오일이 담겨지고, 상기 조립체 하단에는 오일을 펌핑하는 오일공급장치(30)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조립체 하측 프레임(18) 내부에는 오일을 상기 피스톤(6)과 실린더(4) 사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오일공급관(18a)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오일공급장치(30)는 상기 피스톤(6)의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작동되어 오일을 펌핑하고, 이러한 오일은 상기 오일공급관(18a)을 따라 상기 피스톤(6)과 실린더(4) 사이의 간극으로 공급되어 냉각 및 윤활 작용을 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실린더(4)는 상기 피스톤(6)이 왕복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 압축공간(P)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2a) 내측에 일단이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관(2a)과 동일 직선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실린더(4)는 상기 유입관(2a)과 근접한 일단 내부에 상기 피스톤(6)이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2a)과 반대방향 측 일단에 상기 토출밸브 어셈블리(2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토출밸브 어셈블리(24)는 상기 실린더(4)의 일단 측에 소정의 토출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토출커버(24a)와, 상기 실린더의 압축공간(P) 측 일단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토출밸브(24b)와, 상기 토출커버(24a)와 토출밸브(24b) 사이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일종의 코일 스프링인 밸브 스프링(24c)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4)의 일단 내둘레에 오링(R)이 끼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토출밸브(24a)가 상기 실린더(4) 일단을 밀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토출커버(24a)의 일측과 상기 유출관(2b) 사이에는 굴곡지게 형성된 루프 파이프(28)가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루프 파이프(28)는 압축된 냉매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할 뿐 아니라 상기 실린더(4), 피스톤(6), 리니어 모터(10)의 상호 작용에 의한 진동이 상기 밀폐용기(2) 전체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6)이 상기 실린더(4)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소정의 토출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 스프링(24c)이 압축되어 상기 토출밸브(24b)를 개방시키고, 냉매가 상기 압축공간(P)으로부터 토출된 다음, 상기 루프 파이프(28) 및 유출관(2b)을 따라 완전히 외부로 토출된다.
다음, 상기 피스톤(6)은 상기 유입관(2a)으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냉매유로(6a)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2a)과 근접한 일단이 연결부재(17)에 의해 상기 리니어 모터(10)가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유입관(2a)과 반대방향 측 일단에 상기 흡입밸브(22)가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6)의 운동방향으로 각종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흡입밸브(22)는 박판 형상으로 중앙부분이 상기 피스톤의 냉매유로(6a)를 개폐시키도록 중앙부분이 일부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피스톤(6a)의 일단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6)이 상기 실린더(4)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함에 따라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상기 토출압력보다 더 낮은 소정의 흡입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흡입밸브(22)가 개방되어 냉매가 상기 압축공간(P)으로 흡입되고, 상기 압축공간(P)의 압력이 소정의 흡입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흡입밸브(2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압축공간(P)의 냉매가 압축된다.
특히, 상기 피스톤(6)은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관(2a)과 근접한 피스톤(6)의 일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피스톤 플랜지(6b)가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기계 스프링(8a, 8b)에 의해 상기 피스톤(6)의 운동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유입관(2a)과 반대방향 측 압축공간(P)에 포함된 냉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가스스프링으로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6)을 탄성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계 스프링(8a,8b)은 부하와 상관없이 일정한 기계 스프링 상수(Km)를 가지되, 상기 기계 스프링(8a,8b)은 상기 피스톤 플랜지(6b)를 기준으로 상기 리니어 모터(10)에 고정되는 소정의 지지프레임(26)과 상기 실린더(4)에 각각 축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프레임(26)에 지지되는 기계 스프링(8a)과 상기 실린더(4)에 설치되는 기계 스프링(8a)이 동일한 기계 스프링 상수(Km)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가스 스프링은 부하에 의존하는 가변되는 가스 스프링 상수(Kg)를 가지되, 상기 압축공간(P)에 포함된 가스는 주변온도가 높아질수록 냉매의 압력이 커짐에 따라 자체 탄성력이 커짐으로 상기 가스 스프링은 부하가 커질수록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커지게 된다.
이때, 상기 기계 스프링 상수(Km)는 일정한 반면,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는 부하에 의존하여 가변되기 때문에 전체 스프링 상수 역시 부하에 의존하 여 가변되고, 상기의 수학식1에 의존하여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 역시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에 의존하여 가변된다.
따라서, 부하가 가변되더라도 상기 기계 스프링 상수(Km) 및 피스톤의 질량(M)은 일정한 반면,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가변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는 부하에 의존하는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가 부하에 따라 가변되는 알고리즘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리니어 모터의 운전주파수(fc)가 피스톤의 고유주파수(fn)와 동기화되도록 제어함으로 보다 압축기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속하게 부하를 해소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부하는 다양하게 측정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리니어 압축기는 냉매가 압축, 응축, 증발, 팽창되는 냉동/공조용 사이클에 포함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부하는 냉매가 응축되는 압력인 응축압과 냉매가 증발되는 압력인 증발압의 차이로 정의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응축압과 증발압을 평균낸 평균압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상기 부하는 상기 응축압과 증발압의 차 및 평균압에 비례하도록 산출되며, 상기 부하가 커질수록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커지게 되는데, 일예로 응축압과 증발압의 차가 클수록 부하가 커지고, 응축압과 증발압의 차가 동일하더라도 평균압이 클수록 부하가 커지도록 산출되며, 이와 같은 부하에 대응하여 상기 가스 스프링 상수(Kg)가 커지도록 산출된다.
이때, 상기 부하는 실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압에 비례하는 응축온도 및 증발압에 비례하는 증발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응축온도와 증발온도의 차 및 평균온도에 비례하도록 산출된다.
다음, 상기 리니어 모터(10)는 복수개의 라미네이션(12a)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8)에 의해 상기 실린더(4) 외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2)와, 코일이 감겨지도록 구성된 코일 권선체(14a) 주변에 복수개의 라미네이션(14b)이 원주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18)에 의해 상기 실린더(4) 외측에 상기 이너 스테이터(12)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는 아웃터 스테이터(14)와, 상기 이너 스테이터(12)와 아웃터 스테이터(14) 사이의 간극에 위치되어 상기 피스톤(6)과 연결부재(17)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영구자석(1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 권선체(14a)는 상기 이너 스테이터(12) 외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리니어 모터(10)에서 상기 코일 권선체(14a)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전자기력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전자기력과 상기 영구자석(16)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16)이 왕복 직선 운동하게 되고, 상기 영구자석(16)과 연결된 피스톤(6)이 상기 실린더(4)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게 된다.
도 5는 리니어 모터를 역기전력이 있는 R-L 회로로 모형화할 때의 등가회로도이다. 이 등가회로도에서, 피스톤(6)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이론적인 근거하는 하 기의 수학식2과 같은 비선형 연립미분방정식으로 설명되며, 여기서 수학식2는 전기적 등가방정식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04044718956-PCT00003
여기서, R은 등가적 저항이고, L은 등가적 인덕턴스 계수이고, i는 모터에 흐르는 전류이고, V*은 인버터부(도 6 참조)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지령치이다. 상술된 변수들은 모두 측정이 가능하므로, 상기 수학식2를 통하여 역기전력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6)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이론적인 근거하는 하기의 수학식3과 같은 기계적 운동방정식으로 설명된다.
수학식 3
Figure 112004044718956-PCT00004
여기서, x는 피스톤(6)의 변위이고, m은 피스톤(6)의 질량이고, C는 댐핑계수이고, k는 등가적 스프링 상수이고, α는 역기전력 상수이다. 상기 수학식3을 복소수 형태로 변환한 기계적 방정식은 하기의 수학식4와 같다.
수학식 4
Figure 112004044718956-PCT00005
여기서, ω는 진동수이다.
기계적 공진이 이루어질 때는 역기전력과 전류가 동위상이 될 때이다. 따라서, 상기의 수학식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론적으로는 분모에 있는 복소수 부분이 0이 되면 된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등가적 스프링 상수(k)는 부하에 따라 변경되므로, 수학식 4에서 운동 주파수(fc)를 확정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이에 본 발명은 운동주파수(fc)를 가변하면서 공진 주파수(fn=fc 일 때의 주파수)를 추정하는 것으로, 하기에서는 수학식3을 이용하여, 역기전력의 위상과 전류의 위상을 검출하여 운동 주파수(fc)를 가변하여 동기화시키는 제어장치가 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는 외부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전압을 생성하는 정류부(41)와, 상기 정류부(41)로부터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전압 지령치(V*)에 따라 정현파 전압을 생성하여 리니어 압축기(43)에 인가하는 인버터부(42)와, 상기 인버터부(42)로부터 인가된 정현파 전압에 따라 압축 및 흡입 행정을 수행하는 리니어 압축기(43)와, 상기 리니어 압축기(43)로 인가되는 입력 전류(i)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44)와, 상기 전압지령치(V*)와 입력 전류(i)로부터 역기전력(E)의 위상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위상 검출부(45)와, 상기 입력 전류(i)의 위상을 검출하는 전류 위상 검출부(46)와,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과 입력 전류(i)의 위상을 비교하여 주파수 변화치(Δf)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47)와, 상기 주파수 변화치( Δf)에 따라 상기 전압 지령치(V*)를 보정하여 상기 인버터부(42)로 인가하는 제어부(48)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역기전력 위상 검출부(45)는 수학식2에 따라 인가된 전압지령치(V*)와 입력 전류(i)를 처리하여 역기전력(E)을 산정하고,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을 검출한다.
또한, 주파수 생성부(47)는 상기 역기전력 위상 검출부(45)로부터 역기전력 위상과, 상기 전류 위상 검출부(46)로부터 전류 위상을 인가받아, 이 역기전력 위상과 전류 위상을 비교하여,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주파수 변화치(Δf)를 생성하여, 제어부(48)로 인가한다.
이에, 제어부(48)는 주파수 생성부(47)로부터 인가된 주파수 변화치(Δf)를 사용하여 이전의 전압 지령치(V*)의 주파수를 보정하여, 이 보정된 전압 지령치(V*)를 다시 인버터부(42)로 인가한다. 이러한 순환 처리 과정을 통하여, 제어부(48)는 기계적 고유 주파수(fn)와 공진하는 주파수(운전주파수(fc))를 지닌 전압 지령치(V*)를 인버터부(42)로 인가하게 되어, 리니어 압축기가 공진 운동을 하도록 한다.
다만, 이 제어부(48)는 상기 인버터부(42)로 전압 지령치(V*)를 인버터 제어신호(예를 들면, PWM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된다.
상술된 본 발명인 제어장치 및 방법은 기계적인 변수인 스프링 상수(K)를 정 확하게 산정하여 고유주파수(fn)를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인 모델에서 측정가능한 변수(R, L, i, V*)를 사용하여 공진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므로, 실제 리니어 압축기를 제조할 때, 기구적인 정확도에 민감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제어장치 및 방법은 리니어 압축기를 제조할 때, 제조 과정에서 야기되는 기구적인 오차를 쉽게 극복하고, 공진 상태에서 압축 및 흡입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무빙 마그네트 타입의 리니어 모터가 작동되고, 이와 연결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이동되면서 냉매를 흡입, 압축, 토출시키는 리니어 압축기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Claims (8)

  1. 리니어·압축기에 대한 전압 지령치(V*)와 입력 전류(i)로부터 역기전력(E)의 위상을 검출하는 역기전력 위상 검출부와;
    상기 입력 전류(i)의 위상을 검출하는 전류 위상 검출부와;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과 입력 전류(i)의 위상을 비교하여 주파수 변화치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와;
    상기 주파수 변화치에 따라 상기 전압 지령치(V*)를 보정하는 제어부와;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보정된 전압 지령치(V*)에 따라 정현파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에 인가하는 인버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 위상 검출부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역기전력(E)을 연산하여 상기 위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Figure 112004044718956-PCT00006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생성부는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과 입력 전류(i)의 위상이 동 위상이 되도록 상기 주파수 변화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된 전압 지령치(V*)를 소정의 인버터 제어신호의 형태로 상기 인버터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5. 리니어 압축기에 대한 전압 지령치(V*)와 입력 전류(i)로부터 역기전력(E)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전류(i)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과 입력 전류(i)의 위상을 비교하여 주파수 변화치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변화치에 따라 상기 전압 지령치(V*)를 보정하는 단계와;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보정된 전압 지령치(V*)에 따라 정현파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 검출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역기전력을 연산하여 상기 위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Figure 112004044718956-PCT0000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화치의 생성 단계는 상기 역기전력(E)의 위상과 입력 전류(i)의 위상이 동위상이 되도록 상기 주파수 변화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보정된 전압 지령치(V*)를 소정의 인버터 제어신호의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방법.
KR1020047015642A 2004-10-01 2004-08-30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57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5642A KR100576032B1 (ko) 2004-10-01 2004-08-30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5642A KR100576032B1 (ko) 2004-10-01 2004-08-30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108A true KR20060025108A (ko) 2006-03-20
KR100576032B1 KR100576032B1 (ko) 2006-05-02

Family

ID=3713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642A KR100576032B1 (ko) 2004-10-01 2004-08-30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0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284B1 (ko) * 2007-10-30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KR101316194B1 (ko) * 2007-10-26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CN109386999A (zh) * 2017-08-07 2019-02-26 大连新明华电子科技有限公司 高效智能化二氧化碳压缩机控制器的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52B1 (ko) 2006-10-16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81322B1 (ko) * 2009-12-08 2016-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194B1 (ko) * 2007-10-26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KR101316284B1 (ko) * 2007-10-30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
US8562312B2 (en) 2007-10-30 2013-10-22 Lg Electronics Inc. Linear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employing the same
CN109386999A (zh) * 2017-08-07 2019-02-26 大连新明华电子科技有限公司 高效智能化二氧化碳压缩机控制器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6032B1 (ko) 200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324B1 (ko) 리니어 압축기
US8550789B2 (en) Linear compressor
KR100764277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JP4662991B2 (ja) リニア圧縮機
KR20090090248A (ko) 모터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니어 압축기
US9194386B2 (en) Linear compressor having a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near compressor
JP4851457B2 (ja) リニア圧縮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9217429B2 (en) Linear compressor
KR100576032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495185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00000105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 장치
KR100690153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783239B1 (ko) 리니어 압축기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EP2503149B1 (en) Linear compressor
KR101852430B1 (ko) 압축기 제어장치 및 압축기 제어방법
KR10202328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61631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63369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588718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80079053A (ko) 리니어 압축기 및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방법
KR101379125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667417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100104951A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