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030A - Coup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Coup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030A
KR20060025030A KR1020040073923A KR20040073923A KR20060025030A KR 20060025030 A KR20060025030 A KR 20060025030A KR 1020040073923 A KR1020040073923 A KR 1020040073923A KR 20040073923 A KR20040073923 A KR 20040073923A KR 20060025030 A KR20060025030 A KR 20060025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gear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5030A/en
Publication of KR2006002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0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커플링 장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장착된 기어에 치합되는 스윙 기어와 상기 스윙 기어를 지지하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스윙 브라켓을 구비한 스윙 기어 조립체;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upling device and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swing gear engaged with a gear mounted to a developing device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swing bracket supporting the swing gear and pivotally mounted inside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Gear assembly;

상기 스윙 브라켓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 제1 링크; 및, A first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swing bracket; And,

상기 제1 링크의 타단부에 그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도어에 힌지 결합된 제2 링크;를 구비하고, A second link hing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hinged to a door provided in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스윙 기어와 현상기에 장착된 기어의 치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윙 브라켓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wing bracket is configur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gagement of the gear mounted to the swing gear and the developer is released.

Description

커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Coup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Coupling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oor closed state,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door open stat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3 ...도어100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103 ... Door

110 ...광주사 유닛 120 ...현상기110 ... light scanning unit 120 ...

130 ...감광매체 140 ...현상롤러130 ... photosensitive medium 140 ... developing roller

160 ...공급롤러 170 ...전사롤러160 ... Feed Roller 170 ... Transfer Roller

202, 203 ...제1, 제2 스윙 기어 204 ...스윙 브라켓202, 203 ... 1st, 2nd swing gear 204 ... swing bracket

210, 220 ...제1, 제2 링크 225 ...가이드210, 220 ... 1st, 2nd link 225 ... guide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 동력을 현상기의 회전체에 전달하는 커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pl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power of a motor to a rotating body of a developing device, and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등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투입하여 가시(可視) 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기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는,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의 외주면에 토너를 전송(傳送)하는 현상롤러 등을 구비하며, 그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여 상기 토너가 다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In general,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es, such as laser printers and digital copiers, scan light onto a photosensitive medium charged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refers to a device that prints an image by developing it as an image and then transferring and fixing the image onto paper.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er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The developing device includes a photosensitive medium on whic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developing roller which transfers toner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and receives new toner when the toner runs out. Replaced.

한편, 상기 현상기에 장착된 감광매체나 현상롤러 등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은 본체 내부에 있는 모터로부터 전달된다. 상기한 회전 동력의 전달을 위하여 상기 현상기가 본체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체는 소정의 커플링 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rotational power for rotating a rotating body such as a photosensitive medium or a developing roller mounted on the developing device is transmitted from a motor inside the main body. When the developing device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the motor and the rotating body are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coupling device.

그런데, 상기 커플링 장치가 기어(gear)를 구비하여 된 경우에, 현상기에 마련된 기어와 이에 치합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기어가, 현상기의 탈착 과정에서 서로 충돌하여 기어 치형에 손상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현상기를 본체 내부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현상기에 마련된 기어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기어를 밀어 회전시키게 되는데,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된 기어가 모터에 연결되어 있어 쉽게 회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현상기의 분리가 상당히 어렵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when the coupl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gear, the gear provided in the developing unit and the gear provided in the main body collide with each other in the developing unit and collide with each other during the detachment process of the developing unit, causing damage to the gear tooth. There is this. In particular, when the developer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gear provided in the developing unit pushes and rotates the gea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 gear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motor so that it is not easily rotat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quite difficult and uncomfortabl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상기를 본체 내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도어를 개방하면 현상기에 마련된 기어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기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빙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 coupling device having a gear that disconnects from a gear provided in the developing device when the doo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opened to separate the developing device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장착된 기어에 치합되는 스윙 기어와 상기 스윙 기어를 지지하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스윙 브라켓을 구비한 스윙 기어 조립체;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ng gear is meshed with the gear mounted on the developing device of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swing gear is supported and pivotally possible inside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 swing gear assembly having a swing bracket mounted thereon;

상기 스윙 브라켓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 제1 링크; 및, A first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swing bracket; And,

상기 제1 링크의 타단부에 그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도어에 힌지 결합된 제2 링크;를 구비하고, A second link hing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hinged to a door provided in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스윙 기어와 현상기에 장착된 기어의 치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윙 브라켓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를 제공한다.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wing bracket and the gear mounted to the developing device provides a coup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ng bracket is configur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시에 상기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힌지 결합부가 소정 경로를 따라 왕복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 비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upl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for guiding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reciproca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링크와 스윙 브라켓의 힌지 결합부는, 상기 제1 링크와 스윙 브라켓 중 하나에 형성된 장홈과,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보스(boss)를 구비하여, 상기 스윙 브라켓이 제1 링크에 대하여 회전 및 선형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link and the swing bracket has a long groove formed in one of the first link and the swing bracket and a boss formed in the other, so that the swing bracket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rotational and linear motion with respect to.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구비한 케이스와, 개방된 상기 도어를 통해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기, 및 상기한 커플링 장치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case having a door, a developing device detachably mounted therein through the opened door, and the coupling device described abo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upling device and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 3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and FIG.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케이스(101)와, 이 케이스(101) 내부에 마련되는 광주사 유닛(110), 및 현상기(12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ransfer 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1, a light scanning unit 110 provided inside the case 101, and a developing device 120. ).

상기 광주사 유닛(110)은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상응하는 광빔(L)을 후술할 감광매체(130)에 주사하여 감광매체(130)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광주사 유닛(110)은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광원(미도시)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상기 빔 편향기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면서 광을 주사하는 폴리곤미러(polygon mirror, 112)가 채용될 수 있다. The optical scanning unit 110 scans the light beam L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be printed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13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130. The optical scanning unit 110 includes a light source (not shown)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and a beam deflector for deflecting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s the beam deflector, as illustrated in FIG. 2, a polygon mirror 112 that scans light while being rotated by a driving source may be employed.

상기 현상기(120)는 케이스(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외장을 이루는 현상기 프레임(122)의 내부에는, 감광매체(130), 대전롤러(139), 폐토너 클리너(138), 현상롤러(140), 닥터 블레이드(158), 공급롤러(160), 및 애지테이터(1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프레임(122) 내부에는 상기 폐토너 클리너(138)가 감광매체(130) 외주면에서 긁어낸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보관공간(123)과,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저장공간(125)이 마련된다. 상기 현상기(120)의 토너 저장공간(125)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케이스(101)의 상측부에는 케이스(101) 내부로 상기 현상기(120)가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103)가 마련된다. The developing unit 120 is a cartridge typ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case 101. The developing unit 120 includes a photosensitive medium 130, a charging roller 139, and a waste toner cleaner 138 inside the developing frame 122. ), A developing roller 140, a doctor blade 158, a supply roller 160, and an agitator 162 are provided. In addition, a waste toner storage space 123 in which the waste toner scrap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dium 130 by the waste toner cleaner 138 is stored, and a toner storage space accommodating toner, which is a developer, in the developer frame 122. 125 is provided. When all the toner contained in the toner storage space 125 of the developing unit 120 is exhausted, it is replaced with a new one. The upper part of the case 101 is provided with a door 103 so that the developing unit 120 can enter the case 101.

상기 감광매체(130)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 물질층이 형성된 감광드럼이다. 상기 감광드럼(130)은 대전롤러(139)를 통하여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그 외주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광주사 유닛(110)에서 조사된 광빔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롤러(140)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30)에 현상제인 토너를 전송(傳送)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가시(可視)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이고, 상기 공급롤러(160)는 현상롤러(140)에 토너를 공급해주는 것이며, 상기 애지테이터(162)는 토너 저장공간(125)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요동시켜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닥터 블레이드(158)는 공급롤러(160)로부터 공급되어 현상롤러(14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하는 것이며, 상기 폐토너 클리너(138)는 인쇄용지(P)에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드럼(130) 외주면에 잔류한 폐토너를 긁어내 제거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는 상기 폐토너 보관공간(123)에 쌓이게 된다. The photosensitive medium 130 is a photosensitive drum having a photocondu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ylindrical metal drum by deposition or the like. The photosensitive drum 130 is charged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through the charging roller 139, and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be printed by the light beam irradiated from the optical scanning unit 11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s described above. do. The developing roller 140 transfers the toner as a developer to the photosensitive drum 130 on which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and develops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nto a visible image, and the supply roller 160 is a developing roller ( 140 toner is supplied to the toner, and the agitator 162 swings the toner in the toner storage space 125 so as not to harden. On the other hand, the doctor blade 158 is supplied from the supply roller 160 to regulate the thickness of the toner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0, the waste toner cleaner 138 is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aper (P) By scraping and removing the waste toner remain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30, the waste toner removed thereby is accumulated in the waste toner storage space 123.

전사롤러(170)는 상기 감광드럼(130)의 외주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30)의 외주면에 현상된 가시화상은 전사 바이어스 또는 감광드럼(130)과 전사롤러(170)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70)와 감광드럼(130)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용지(P)에 전사된다. The transfer roller 170 is installed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30. The printing paper which is develop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30 passes between the transfer roller 170 and the photosensitive drum 130 by a transfer bias or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130 and the transfer roller 170. Transferred to (P).

정착기(175)는, 히트롤러(176), 및 그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가압롤러(177)를 구비하여, 가시화상이 전사된 인쇄용지(P)가 히트롤러(176)와 가압롤러(177)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을 이용한 열압착에 의해 상기 화상이 인쇄용지(P)에 정착된다. The fixing unit 175 includes a heat roller 176 and a pressure roller 177 positioned to face the heat roller 176 so that the printing paper P on which the visible image is transferred is placed between the heat roller 176 and the pressure roller 177. When passing through, the image is fixed to the printing paper P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using heat and pressure.

또한, 상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케이스(101) 하측부의 제1 및 제2 급지카세트(105, 106)에 적재된 인쇄용지(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는 픽업롤러(180, 182)를 각각 구비하며, 픽업된 인쇄용지(P)에 이송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인쇄용지(P)가 감광드럼(130)과 전사롤러(170)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인쇄용지(P)의 원하는 부분에 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인쇄용지(P)를 가지런히 정렬하는 용지정렬기(190)를 구비한다. 또한, 정착기(175)를 통과하여 소정의 화상이 인쇄된 인쇄용지(P)를 케이스(101) 외부의 배지대(102)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롤러(179)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100 may pick-up one sheet of printing paper P loaded in the first and second paper feed cassettes 105 and 106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101. Pick-up rollers 180 and 182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provide a transfer force to the picked-up printing paper P, and before the printing paper P passes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130 and the transfer roller 170. A paper sorter 190 is provided to align the printing paper P so that the image can be transferred to a desired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P. FIG. In addition, a discharge roller 179 for discharging the printing paper P on which the predetermined image is printed through the fixing unit 175 to the discharge tray 102 outside the case 101 is provided.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감광드럼(130)은 상기 대전롤러(139)를 통해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상기 광주사 유닛(110)에서 주사된 광빔(L)에 감응하여 그 외주면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의 토너 저장공간(125) 내부의 토너는 애지테이터(162)에 의해 교반되고, 공급롤러(160) 및 현상롤러(140)를 통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30)에 공급되어, 상기 감광드럼(130)의 외주면에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이 현상된다. 한편, 상기 제1 또는 제2 급지카세트(105 또는 106)의 가장 위에 적재되어 있던 인쇄용지(P)는 픽업롤러(180 또는 182)에 의해 픽업되고, 용지정렬기(190)에 의해 급지 및 정렬되어 상기 감광드럼(130)과 전사롤러(170) 사이를 통과하며, 이 때 상기 인쇄용지(P)의 감광드럼(130) 대향면에 상기 감광드럼(130) 외주면에 현상되었던 가시화상이 전사된다. 상기 인쇄용지(P)에 전사된 가시화상은, 정착장치(175)를 통과하며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P) 위에 정착되며, 배지롤러(179)에 의해 이송되어 배지대(102)에 적재된다. The operation of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s follows. The photosensitive drum 130 is charged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through the charging roller 139, and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to be printed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response to the light beam L scanned by the optical scanning unit 110. Is formed. The toner inside the toner storage space 125 of the developer is agitated by the agitator 162 and suppli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130 hav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through the supply roller 160 and the developing roller 140, thereby The visual image by the toner is develop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130. On the other hand, the printing paper P loaded on the top of the first or second paper feed cassette 105 or 106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180 or 182 and fed and aligned by the paper sorter 190. Passed between the photosensitive drum 130 and the transfer roller 170, the visible image develop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30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30 of the printing paper (P) is transferred. The visible image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aper P passes through the fixing device 175 and is fixed on the printing paper P by heat and pressure, and is transported by the delivery roller 179 to be loaded on the discharge table 102. do.

상기 현상기(120) 내부의 감광드럼(130), 현상롤러(140), 공급롤러(160), 및 애지테이터(162)와 같은 회전체는 케이스(101) 내부에 마련된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감광드럼(130)과 현상롤러(140)는 별개의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공급롤러(160)와 애지테이터(162)는 현상기(120)에 마련된 일련의 기어들(미도시)에 의해 현상롤러(140)에 종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Rotors such as the photosensitive drum 130, the developing roller 140, the supply roller 160, and the agitator 162 in the developing unit 120 may be driven by a mo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case 101. Rotate after receiving. In this embodiment, the photosensitive drum 130 and the developing roller 140 are connected and rotated to separate motors, and the supply roller 160 and the agitator 162 are a series of gears (not shown) provided in the developing unit 120. Is driven by the developing roller 140 to rotat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현상롤러(140)에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200)는 현상롤러(140)와 동축 연결된 현상롤러 구동기어 (142)에 치합되는 제1 스윙 기어(202)와, 상기 모터(미도시)의 회전축에 마련된 모터 기어(104)와 치합되는 제2 스윙 기어(203)와, 상기 제1 및 제2 스윙 기어(202, 203)를 서로 치합되게 지지하는 스윙 브라켓(204)을 구비하여 된 스윙 기어 조립체(201)를 구비한다. 상기 스윙 브라켓(204)은 케이스(101) 내부의 소정의 프레임(미도시)에 소정의 피봇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피봇(pivot) 가능하게 장착된다. 2 and 3, a coupling device 200 for transmitting power of a motor (not shown) to the developing roller 140 is connected to the developing roller drive gear 142 coaxially connected with the developing roller 140. The first swing gear 202 to be engaged, the second swing gear 203 to be engaged with the motor gear 104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not shown), and the first and second swing gears 202 and 203. ) Is provided with a swing gear assembly (201) having a swing bracket (204)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wing bracket 204 is pivotally mounted on a predetermined frame (not shown) inside the case 101 about a predetermined pivot axis (not shown).

또한, 상기 커플링 장치(200)는 상기 스윙 브라켓(204)에 하단부가 힌지(hinge) 결합된 제1 링크(210)와, 상기 제1 링크(210)의 상단부에 그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그 상단부는 상기 도어(103)에 힌지 결합된 제2 링크(220)를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coupling device 200 includes a first link 210 hinged to a lower end of the swing bracket 204, a lower end of the first link 210 is hinged, The upper end has a second link 220 hinged to the door 103.

상기 제1 링크(210)와 스윙 브라켓(204)의 힌지 결합부는, 제1 링크(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장홈(212)과, 스윙 브라켓(204)에 형성된 보스(boss, 205)를 구비한다. 상기 보스(205)는 상기 장홈(212)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遊動)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link 210 and the swing bracket 204 includes a long groove 21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nk 210 and a boss 205 formed on the swing bracket 204. . The boss 205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groove 2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is rotatably fastened.

상기 제1 링크(210)와 제2 링크(220)의 힌지 결합부는, 케이스(101) 내부의 소정의 프레임(미도시)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에 고정 결합된 가이드(225)를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예컨데, 상기 가이드(225)에는 아래에서 위로 장홈이 형성되고 제1 링크(210)와 제2 링크(220)의 힌지축이 상기 가이드(225)의 장홈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遊動)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The hinge coupler of the first link 210 and the second link 220 may reciprocate along the guide 225 integrally formed or fixedly coupled to a predetermined frame (not shown) inside the case 101. It is configured to be. For example, the guide 225 has a long groove formed from below, and the hinge axis of the first link 210 and the second link 220 can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groove of the guide 225. It will be possible to fasten the configuration.

이하에서 상기 커플링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upl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현상기(120)가 케이스(101) 내부에 장착되고 도어(103)가 닫힌 상태에 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기어(104)에 제2 스윙 기어(203)가 치합되고 제1 스윙 기어(202)에 현상롤러 구동기어(142)가 치합되어 있어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 이의 회전력이 현상롤러(140)에 전달된다. When the developing unit 120 is mounted inside the case 101 and the door 103 is closed, the second swing gear 203 is engaged with the motor gear 104 and the first swing as shown in FIG. 2. When the developing roller drive gear 142 is engaged with the gear 202, and a motor (not shown) is driven, its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0.

한편, 현상기(120)를 케이스(101)에서 분리하기 위해 도어(103)를 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3)에 힌지 연결된 제2 링크(220)가 상승하여, 그 하단부의 제1 링크(210)와의 힌지 연결부도 가이드(225)에 안내되어 상승하고, 제1 링크(210)도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1 링크(210)의 하단부가 스윙 브라켓(204)의 측단부를 위로 잡아당기고 상기 스윙 브라켓(204)이 피봇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스윙 기어(202)와 현상롤러 구동기어(142)의 치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윙 기어(202)와 현상롤러 구동기어(142)가 연결되어 현상기(120)의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103 is opened to separate the developer 120 from the case 101, the second link 220 hinged to the door 103 is raised, as shown in FIG. The hinge connection with the first link 210 is also guided and raised by the guide 225, and the first link 210 is also raised.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nk 210 pulls up the side end of the swing bracket 204 and the swing bracket 204 rotates about a pivot axis (not shown) to develop with the first swing gear 202. The engagement of the roller drive gear 142 is released. Therefore, the first swing gear 202 and the developing roller drive gear 142 are connect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eparation of the developer 120 becomes difficult.

현상기(120)를 다시 케이스(101) 내부에 장착할 때에도 상기 스윙 기어 조립체(201)가 회전된 상태로 있어 제1 스윙 기어(202)와 현상롤러 구동기어(142)가 충돌하지 아니한다. 상기 도어(103)를 다시 닫으면 상기 제1 스윙 기어(202)가 현상롤러 구동기어(142)에 접촉하고, 스윙 브라켓(204)이 제1 링크(210)의 장홈(212)의 길이 범위 내에서 유동(遊動)하며 제1 스윙 기어(202)와 현상롤러 구동기어(142)가 다시 치합된다. Even when the developer 120 is mounted in the case 101 again, the swing gear assembly 201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swing gear 202 does not collide with the developing roller drive gear 142. When the door 103 is closed again, the first swing gear 202 is in contact with the developing roller drive gear 142, and the swing bracket 204 is within the length of the long groove 212 of the first link 210. The first swing gear 202 and the developing roller drive gear 142 engage with each other during the movemen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의 탈착시 어려움과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현상기의 기어와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기어의 충돌을 방지하여 상기 기어들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The cou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an reduce the difficulty and inconvenience of the developing device, and can prevent the gears of the developing device from colliding with the gears inside the image forming device to prevent damage to the gears. It can be prevented.

Claims (4)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에 장착된 기어에 치합되는 스윙 기어와 상기 스윙 기어를 지지하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스윙 브라켓을 구비한 스윙 기어 조립체;A swing gear assembly having a swing gear meshed with a gear mounted to a developing device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swing bracket supporting the swing gear and pivotally mounted inside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상기 스윙 브라켓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 제1 링크; 및, A first link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swing bracket; And, 상기 제1 링크의 타단부에 그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도어에 힌지 결합된 제2 링크;를 구비하고, A second link hing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hinged to a door provided in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상기 도어가 열리면 상기 스윙 기어와 현상기에 장착된 기어의 치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윙 브라켓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And the swing bracket rotates when the door is opened to engage the swing gear and the gear mounted to the developer.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도어의 개폐시에 상기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힌지 결합부가 소정 경로를 따라 왕복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And a guide for guiding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reciproca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링크와 스윙 브라켓의 힌지 결합부는, 상기 제1 링크와 스윙 브라켓 중 하나에 형성된 장홈과, 다른 하나에 형성된 보스(boss)를 구비하여,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link and the swing bracket includes a long groove formed in one of the first link and the swing bracket and a boss formed in the other. 상기 스윙 브라켓이 제1 링크에 대하여 회전 및 선형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And the swing bracket is configured to allow rotational and linear mo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도어를 구비한 케이스와, 개방된 상기 도어를 통해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기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상기 제1 내지 제3 항의 커플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ase having a door and a developing device detachably mounted therein through the opened door, the coupling device of claim 1 to 3.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0040073923A 2004-09-15 2004-09-15 Coup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200600250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923A KR20060025030A (en) 2004-09-15 2004-09-15 Coup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923A KR20060025030A (en) 2004-09-15 2004-09-15 Coup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030A true KR20060025030A (en) 2006-03-20

Family

ID=3713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923A KR20060025030A (en) 2004-09-15 2004-09-15 Coup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503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9892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with projected shaped portion for contacting toner seal member
US504780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tachably mountable process cartridge
JP2773056B2 (en)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the same
JP3472108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783563A1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with a shutter
KR100608069B1 (en) Develop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EP0677795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248819B2 (en) Developer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2123143A (en) Clean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the cleaning device
US105093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rtridge mountable on the same
JP2000284594A (en) Toner carrying device
JP3339274B2 (en) Image forming device
JP202313863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S63244059A (en) Image forming device
KR20060025030A (en) Coupl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100601669B1 (en) Develop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S63244064A (en) Image forming device
JP6381378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63082A (en) Ton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H11184351A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2024002823A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1147479A (en) Process cartridge for image forming device
JPH09244514A (en) Image forming cartridge and device
JP2000284668A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H09190063A (en) Develo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