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912A -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912A
KR20060024912A KR1020040073776A KR20040073776A KR20060024912A KR 20060024912 A KR20060024912 A KR 20060024912A KR 1020040073776 A KR1020040073776 A KR 1020040073776A KR 20040073776 A KR20040073776 A KR 20040073776A KR 20060024912 A KR20060024912 A KR 20060024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ductor
terminal
terminals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문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912A/ko
Publication of KR2006002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Holders formed as 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a counter-part to a coupling par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는, 컨넥터 하우징과, 상기 컨넥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그 일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단자와, 상기 다수개의 단자 중 적어도 2개 이상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와, 상기 도체를 감싸고 있는 부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도체는 상기 단자가 끼워짐에 따라 밀려서 구부러지도록 탄성재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단자가 도체에 끼워짐에 따라 도체에 접촉되는 보조단자가 상기 단자에 구비되어, 와이어 길이와 단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시 배선 작업을 할 경우에 이미 조립된 와이어링 하니스의 테이프를 풀어야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와이어 연결용 컨넥터와 와이어 쇼트용 컨넥터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한편, 상기 중간 연결부와 단자의 접촉부가 이중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접촉부에서의 전압 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Multi-function connector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중간 연결부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중간 연결부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연결부와 단자의 접촉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넥터 11 : 하우징
12-1~12-4 : 단자 13-1~13-4 : 와이어
14 : 걸림홈 20 : 중간 연결부
21 : 걸림돌기 22, 24 : 도체
23, 25 : 부도체 30 : 보조단자
본 발명은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각종 와이어들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전장 설비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은 전장 설비는 와이어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거나 기타 신호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시키기 위해서 컨넥터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된 컨넥터들을 서로 결합시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를 영구적인 이음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각종 전장 설비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차량에서 배선 작업시 와이어들의 일부를 쇼트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 쇼트용 컨넥터를 별도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와이어 쇼트용 컨넥터를 별도로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단자의 수도 증가할 수 밖에 없고, 다시 배선 작업을 할 경우에는 이미 조립된 와이어링 하니스의 테이프를 풀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피커, 아웃사이드 미러, 백업 램프, 라이센스 램프, 트렁크 리드 솔레노이드 등과 같은 차량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용 단자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연결용 단자는 차량의 진동에 매우 취약하므로 차량 품질의 저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 연결용 컨넥터에 중간 연결부를 삽입하여 조립함으로써, 와이어 길이와 단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시 배선 작업을 할 경우에 이미 조립된 와이어링 하니스의 테이프를 풀어야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와이어 연결용 컨넥터와 와이어 쇼트용 컨넥터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한편, 상기 중간 연결부와 단자의 접촉부가 이중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접촉부에서의 전압 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는, 컨넥터 하우징과, 상기 컨넥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그 일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단자와, 상기 다수개의 단자 중 적어도 2개 이상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와, 상기 도체를 감싸고 있는 부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도체는 상기 단자가 끼워짐에 따라 밀려서 구부러지도록 탄성재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단자가 도체에 끼워짐에 따라 도체에 접촉되는 보조단자가 상기 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도체는 상기 도체가 구부러지는 방향쪽의 높이가 반대쪽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도체의 외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홈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컨넥터들(10, 30)이 서로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컨넥터(10)의 하우징(11)내에는 다수개의 단자(12-1~12-4)가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단자(12-1~12-4)에는 각각 와이어(13-1~13-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컨넥터(10)의 하우징(11)내에는 상기 다수개의 단자(12-1~12-4)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중간 연결부(20)가 조립되는데, 상기 중간 연결부(20)의 외측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넥터(10)의 하우징(11)에는 상기 걸림돌기(21)가 끼워지는 걸림홈(14)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연결부(20)의 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단자(12-1~12-4)중에서 2개의 단자에 끼워져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22)와, 이 도체(22)를 감싸고 있는 부도체(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연결부(20)의 걸림돌기(21)는 상기 부도체(23)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연결부(20)의 2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단자(12-1~12-4)를 모두 끼워져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24)와, 이 도체(24)를 감싸고 있는 부도체(2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연결부(20)의 걸림돌기(21)는 상기 부도체(25)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22, 24)는 상기 단자(12-1~12-4)가 끼워짐에 따라 밀려서 구부러지도록 탄성재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12-1~12-4)에는 보조단자(3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단자(30)는 상기 단자(12-1~12-4)가 도체(22, 24)에 끼워짐에 따라 도체(22, 24)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도체(23, 25)는 상기 도체(22, 24)가 구부러지는 방향쪽의 높이가 반대쪽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도체(22, 24)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넥터(10)의 하우징(11)내에 와이어(13-1~13-4)와 각각 연결된 단자들(12-1~12-4)을 조립한 다음,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 연결부(20)를 상기 단자들(12-1~12-4)의 일부 또는 전부에 끼워서 조립하는데, 상기 중간 연결부(20)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1)가 상기 컨넥터(10)의 하우징(11)에 형성된 걸림홈(14)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단자들(12-1~12-4)에 구비된 보조단자(30)가 중간 연결부(20)의 도체(22, 24)에 접촉되면서, 상기 단자들(12-1~12-4)이 도체(22, 24)에 이중으로 접속됨에 따라, 상기 단자들(12-1~12-4)이 도체(22, 24)의 접촉부에서 전압이 강하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컨넥터(10)를 다른 컨넥터(30)와 조립하게 되면 상기 중간 연결부(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및 이 단자와 접속되는 다른 컨넥터(30)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쇼트 상태가 되어, 와이어 쇼트용 컨넥터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 연결부(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단자는 정상적으로 와이어를 연결하게 되어, 와이어 연결용 컨넥터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 연결부(20)를 컨넥터(10)에 조립할 경우에, 컨넥터(10, 30)를 서로 결합시키면 좌측 정지등(40)과 연결된 와이어와 우측 정지등(50)과 연결된 와이어가 하나의 전원 공급용 단자(1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좌측 정지등(40)의 와이어를 우측 정지등(50)의 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용 단자가 필요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연결용 컨넥터에 중간 연결부를 삽입하여 조립함으로써, 와이어 길이와 단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시 배선 작업을 할 경우에 이미 조립된 와이어링 하니스의 테이프를 풀어야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와이어 연결용 컨넥터와 와이어 쇼트용 컨넥터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한편, 상기 중간 연결부와 단자의 접촉부가 이중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접촉부에서의 전압 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컨넥터 하우징과, 상기 컨넥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며 그 일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단자와, 상기 다수개의 단자 중 적어도 2개 이상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체와, 상기 도체를 감싸고 있는 부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도체는 상기 단자가 끼워짐에 따라 밀려서 구부러지도록 탄성재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단자가 도체에 끼워짐에 따라 도체에 접촉되는 보조단자가 상기 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는 상기 도체가 구부러지는 방향쪽의 높이가 반대쪽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의 외측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넥터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걸림홈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1020040073776A 2004-09-15 2004-09-15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20060024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776A KR20060024912A (ko) 2004-09-15 2004-09-15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776A KR20060024912A (ko) 2004-09-15 2004-09-15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12A true KR20060024912A (ko) 2006-03-20

Family

ID=3713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776A KR20060024912A (ko) 2004-09-15 2004-09-15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9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97B1 (ko) * 2006-07-07 2007-03-14 쟈베스코리아전자(주) 차량용 콘넥터
KR101865884B1 (ko) 2017-03-23 2018-06-08 윤근환 테스트용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97B1 (ko) * 2006-07-07 2007-03-14 쟈베스코리아전자(주) 차량용 콘넥터
KR101865884B1 (ko) 2017-03-23 2018-06-08 윤근환 테스트용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22559A1 (en) Jack; jack assembly; and methods
US5403193A (en) Small junction box for connecting a wire harness
US8210878B2 (en) Electrical connector
TW427586U (en) Modular high speed connector
JP3400076B2 (ja) 短絡部材付きコネクタ
KR100568073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20060024912A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CA1303242C (en) Mounting and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al communications equipment
KR10059182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20110062476A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JP4076183B2 (ja) スイッチ装置−プリント配線板−組合せ
US6368118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6147875A (en) Circuit body
JPH01154596A (ja) 電気ジャック盤
KR100566430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US4929186A (en) Circuit board terminal assembly
KR20070006011A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JPS5873297A (ja) 通信ラインのタ−ミナル構造
JPH0223014A (ja) 電気通信用接続装置
JP3317627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電子ユニット
JP3085207B2 (ja) 電気接続箱
KR20050009361A (ko) 릴레이 공통단자 연결기능을 갖춘 내장형 소켓장치
KR200171676Y1 (ko) 전원입력용접속기
JP3888089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20050027743A (ko) 자동차용 정션박스의 기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