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560A -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560A
KR20060024560A KR1020040073355A KR20040073355A KR20060024560A KR 20060024560 A KR20060024560 A KR 20060024560A KR 1020040073355 A KR1020040073355 A KR 1020040073355A KR 20040073355 A KR20040073355 A KR 20040073355A KR 20060024560 A KR20060024560 A KR 20060024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message
hospital
information
cli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강경희
양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7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560A/ko
Publication of KR2006002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병원과 개방의원 사이의 신속한 의료정보 전달체계 구축을 위하여 국제 의료정보 표준(Health Level 7: "HL7") 기술을 이용하는 개방병원과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유발(Triggering event) 방식의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은,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HL7 이벤트 유발 방식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개방의원 시스템과 송수신하는 개방병원 시스템; HL7 이벤트 유발 방식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개방병원 시스템과 송수신하는 개방의원 시스템; 및 상기 개방병원 시스템 및 개방의원 시스템에서 생성되어 송수신되는 정보의 리소스 관리, 메시지 저장, 또는 서비스 제어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병원과 개방의원 사이에 HL7 이벤트 유발 방식의 정보전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병원/의원의 내부 또는 외부 사이에 실시간 처리로 인한 시간적, 지리적 및 경제적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병원 내부 시스템간 온라인 처리 형태 구현을 통하여 원무, 진료, 일반관리 등 원활한 최단 프로시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개방병원 서비스, HL7, 이벤트 유발, 개방의원, 게이트웨이, 메시지 서버

Description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 {A HL7 event transfer system between open-hospitals and open-clinics, and a method thereof}
도 1은 개방병원 서비스에 관련된 주체(service entities) 및 업무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개방병원 제도에서 사용되는 현행 서식 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HL7 이행서식 및 관련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정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L7 게이트웨이 내의 HL7 변환기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L7 게이트웨이와 저장소 관리기 사이의 리소스 검증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의원 정보시스템, HL7 게이트웨이, 메시지 서버 사이의 문서 송수신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개방병원과 개방의원 사이의 신속한 의료정보 전달체계 구축을 위하여 국제 의료정보 표준(Health Level 7: "HL7") 기술을 이용하는 개방병원과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유발(Triggering event) 방식의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방병원 제도란 개인의원 환자들이 추가 진료를 원하거나 갖춰지지 않은 의료장비가 필요할 경우, 해당병원과 계약을 맺어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진료 시스템으로서, 구체적으로, 의료장비와 인원이 부족한 1차 및 2차 개원의들이 2차 및 3차 의료기관인 개방병원의 시설 장비 및 인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환자에게 입원진료, 수술, 검사 등이 필요한 경우, 소정의 계약을 맺고 있는 병원의 인력, 장비, 시설을 이용하여 자신의 환자에게 의료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보건 의료체계를 말한다.
상기 개방병원의 주요한 이용 형태는 CT와 MRI 등 고가의 의료장비를 이용한 정밀검사와 수술 또는 입원이 필요할 경우 개방병원의 유휴 수술실과 입원실을 활용해 환자를 치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전화 및 팩스를 통한 진료의뢰 및 진료정보의 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하여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여기서, 의원과 병원을 구분하는 기준은 환자를 입원시킬 수 있는 병상의 숫자이며, 의원이란 통상 병상수가 20개 미만인 병원인 1차 의료기관이다. 이때, 의원에서는 일상적인 건강상담과 함께 해당 전문과목이 아닌 부분도 상담해주고, 그 에 따른 안내도 해준다.
도 1은 일반적인 개방병원 서비스에 관련된 주체(service entities) 및 업무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방병원 제도 하에서 많이 사용하는 업무군은, 첫째, 개방병원 이용계약 신청 및 접수 업무, 둘째, 환자 진료의뢰 신청, 변경 및 취소 업무, 셋째, 진료, 수술, 처방 및 각종 검사결과 회송관련(요청 및 송부) 업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종래의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업무처리 방법은 전화, 팩스 및 인편 등을 통한 진료의뢰 신청, 진료결과 회송 등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개방병원 업무처리 방법은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업무처리 연계가 전화, 팩스, 전자메일 또는 인편 등 비자동화의 형태로 처리되고 있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고, 또한, 개방병원 이용신청, 접수처리 및 결과회신 등 일련의 업무 대장관리가 수기로 이루어짐에 따라 일관성 부재 및 보관 부재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개방병원 업무처리 방법에서, 원무, 진료, 검사 및 일반관리 등 병원 내부업무 시스템들이 독립적으로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업무 자동 연계 기능이 미비한 현실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병원과 개방의원 사이에 이벤트 유발 방식의 정보전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병원/의원의 내부 또는 외부 사이에 실시간 처리로 인한 시간적, 지리적 및 경제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개방병 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원 내부 시스템 사이의 온라인 처리 형태 구현을 통하여 원무, 진료, 일반관리 등 원활한 최단 프로시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은,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HL7(Health Level 7) 이벤트 유발(Triggering event) 방식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개방의원 시스템과 송수신하는 개방병원 시스템;
HL7 이벤트 유발 방식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개방병원 시스템과 송수신하는 개방의원 시스템; 및
상기 개방병원 시스템 및 개방의원 시스템에서 생성되어 송수신되는 정보의 리소스 관리, 메시지 저장, 또는 서비스 제어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병원 시스템은, 상기 개방병원의 회원 관리, 처방 및 결과 조회, 수술신청 및 등록, 또는 각종 검사관리에 대한 의료업무를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개방병원 정보시스템; 상기 개방병원 정보시스템과의 자동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브로커(Interface Broker); 및 상기 인터페이스 브 로커 또는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송수신된 메시지를 변환, 검증, 전자서명 및 암복호화, 또는 적절한 형태의 의료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HL7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 브로커는 송신 메시지 큐를 검색하기 위한 메시지 큐 방식 또는 송신 폴더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 방식으로, 상기 개방병원 정보시스템과 HL7 게이트웨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HL7 게이트웨이는, 상기 개방병원 시스템과 개방의원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전송 프로토콜 형식에 따라 문서 형식을 각각 변환하는 HL7 문서변환기; 상기 송수신되는 문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기; 상기 송수신되는 문서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는 암복화기; 상기 HL7 이벤트 유발 방식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의료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 및 상기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표준 메시지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L7 문서변환기는 사설문서(.flt), HL7 v.2.3 형태의 문서(.h23) 및 HL7 v.2.4 형태의 문서(.h24)의 문서를 입력으로 받아서 HL7 표준 XML 전자문서(.h30) 형태로 변환하거나, 그 역변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HL7 문서변환기는 상기 개방병원/개방의원별로 최신의 XML 문서 스키마, 변환 스크립트 및 계정 매트릭스를 유지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버 내의 리소스 통합 저장소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최신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이벤트 전달 서비스에 등록된 기관을 관리하는 기관정보 관리, 협약한 거래 상대자의 관리를 위한 계정 매트릭스 관리, 또는 협약한 메시지 스키마 및 변환 스크립트에 대한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리소스 관리기; 송수신된 문서에 대한 문서함을 관리하는 메시지 저장기;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처리 및 흐름제어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의원 시스템은,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송수신된 메시지를 변환, 검증, 전자서명 및 암복호화, 또는 적절한 형태의 의료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HL7 게이트웨이; 및 상기 개방의원의 의사진료 서비스, 간호진료 서비스 또는 진료지원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개방의원 정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의원 시스템 및 개방병원 시스템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이행서식은 환자진료의뢰 신청(REF/RRI^112), 변경(REF/RRI^113), 취소(REF/RRI^114), 응답(RRI^112/ ACK), 진료결과 회송요청(RQC/RCI^105) 및 송부(RCI^105/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HL7 이벤트 전달 방법은,
개방병원, 개방의원 및 메시지 서버 사이의 HL7 이벤트 전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시지 서버 내의 리소스 관리기와 상기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내의 각각의 HL7 게이트웨이 사이의 리소스를 검증하는 단계;
b)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정보시스템에서 HL7 이벤트 유발 방식 으로 이벤트를 유발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정보시스템이 신규로 도착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메시지 서버 내의 리소스 관리기가 통합 저장소를 설정하고, 기관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a-2) 상기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내의 각각의 HL7 게이트웨이가 접속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리소스 관리기가 접속 요청메시지를 검사하는 단계; a-4) 상기 리소스 통합저장소를 참조하여 기관 계정과 버전 정보를 검사하고, 수정된 정보가 있을 경우에 리소스가 부가된 응답 정보 또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a-5) 상기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내의 HL7 게이트웨이가 상기 응답 메시지 또는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a-6) 상기 HL7 게이트웨이가 수정된 리소스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이벤트가 유발되면, 상기 HL7 게이트웨이가 송신 메시지 폴더를 검색하여 메시지의 변환, 유효성 검증, 전자서명 생성 및 암호화, SOAP 봉투처리를 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메시지 서버 내의 서비스 제어기가 SOAP 메시지의 수신, 문서의 유효성 검사, 수신자의 전자문서 사서함에 저장, 결과(ACK) 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b-3)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HL7 게이트웨이의 상기 결과(ACK) 메시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HL7 게이트웨이가 수신 요청 SOAP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메시지 서버의 서비스 제어기가 신규로 수신한 메시지가 있는지를 전자문서 사서함으로부터 검사하여 신규 수신 메시지가 있는 경우, SOAP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c-3)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HL7 게이트웨이가 수신받은 SOAP 메시지를 개별화하고, 저자서명 검증 및 복호화, 문서의 유효성 검증,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정보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문서 형태로의 변환 과정을 거쳐 출력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c-4)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정보시스템이 상기 변환된 정보를 자동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병원과 개방의원 사이에 HL7 이벤트 유발 방식의 정보전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병원/의원의 내부 또는 외부 사이에 실시간 처리로 인한 시간적, 지리적 및 경제적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병원 내부 시스템간 온라인 처리 형태 구현을 통하여 원무, 진료, 일반관리 등 원활한 최단 프로시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웹서비스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국제 의료정보 표준(HL7)기술을 이용한 개방병원과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유발(triggering event) 방식의 정보전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개방병원, 개방의원 사이의 신속한 의료정보 전달체계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웹서비스 기반 기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표현, 전달을 위하여 사설 및 표준 포맷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설 포맷으로 정의된 의료 정보를 국제 의료정보 표준인 HL7(Health Level 7) v.2.3, v.2.4 및 v.3.0의 형태로 상호 변환하고, 의료정보 시스템의 업무처리 절차에 의한 이벤트 유발(triggering event) 방식에 따라 의료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www.w3c.org/TR/REC-xml, 2000년 10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orld Wide Web Consortium: W3C) 권장의 XML 1.0(2판)에 기술된 확장성 마크 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를 활용한다.
상기 XML은 W3C에서 웹 상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 가능하도록 설계된 표준화된 텍스트 형식이며 웹 서비스의 핵심 기술이다. 상기 XML은 문서의 형태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며, 태그(Tag)를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통신 단말 사이에 데이터의 형태에 대한 표준화가 가능하다. 상기 XML 권고안 이후, XHTML, XSLT, Xpath, Xlink, XML Schema 등의 다양한 XML 관련 기술 또한 개발되어 왔다.
또한, 기존의 분산 시스템 기술들, 예를 들어, DCOM(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등 대신에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기술을 표준화함으로써, XML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장점을 지원하게 되었다. 여기서, 상기 DCOM은 네트웍 상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객체가 다른 컴퓨터에 있는 서버 프로그램 객체에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들이다. 또한, DCOM은 여러 가지 분산 서비스들을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CORBA와 대등하다.
한편, SOAP 스펙은 DevelopMentor, IBM, MS, Lotus, UserLand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SOAP은 XML-RPC(Remote Procedure Call)의 수퍼셋(Super Set)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SOAP 스펙은 비동기 호출 지원,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및 SMTP(Simple Mail Transport Protocol)와 같은 다른 프로토콜 지원도 가능하며, W3C는 SOAP 규격을 보완하여 XMLP Protocol(XMLP)로 제안하기도 하였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개략적으로, 개방병원(100), 메시지 서버 시스템(200) 및 개방의원(30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병원(100), 개방의원(300) 그리고 메시지 서버(200) 사이에는 일반적인 인터넷 망(400)을 통해 연결되어 전술한 SOAP 규격에 따라 XML 또는 HTTP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개방병원(100)은 HL7 게이트웨이(110), 인터페이스 브로커(120) 및 개방병원 정보시스템(130)을 구비하며, 상기 개방의원(300)은 HL7 게이트웨이(310) 및 개방의원 정보시스템(3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방병원(100) 및 개방의원(300)은 물리적인 병원 건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수행되는 의료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개방병원(100) 내의 인터페이스 브로커(120)는 상기 개방병원(100) 내의 여러 의료정보 시스템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상기 개방병원(100) 내의 HL7 게이트웨이(110)는 상기 인터페이스 브로커(120) 또는 메시지 서버(200)로부터 송수신된 메시지를 변환, 검증, 전자서명 및 암복호화, 적절한 형태의 의료정보 메시지의 생성을 담당하며, 상기 개방병원 정보시스템(130)은 기존의 개방병원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서버 시스템(200)은 관련 리소스들을 관리하고 의료정보 메시지의 송수신 및 서비스 관리 기능을 담당하며, 리소스 관리기(210), 메시지 저장기(220), 서비스 제어기(230), 메시지 리스너(240, 250), 전자문서 사서함(260) 및 리소스 통합 저장소(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서버(200)의 중요한 구성요소는 리소스 관리기(210), 메시지 저장기(220), 서비스 제어기(23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리소스 관리기(210)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을 관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등록된 기관을 관리하는 기관정보 관리, 협약한 거래 상대자의 관리를 위한 계정 매트릭스 관리, 협약한 메시지 스키마 및 변환 스크립트에 대한 등록 및 관리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 저장기(220)는 송수신된 문서를 관리하는 문서함 관리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서비스 제어기(230)는 사용자(기관)에 대한 인증처리 및 흐름제어를 관리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개방병원 제도에서 사용되는 현행 서식 현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개방병원 제도를 위한 현행 서식은 개방병원 참여신청서, 개방병원 이용의뢰서, 의사지시 기록지, 입원통지 및 수술신청서, 임상병리 검사신청서 등이 있으며, 각각 소정의 양식에 따라 기록 및 관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현행 서식 중 개방병원 참여신청서를 제외한 나머지 서식들을 국제 의료정보표준인 HL7 표준 규약(ver 2.4)에 따라 적용할 이행 대상서식 및 이벤트 메시지로 분류된다.
도 4는 HL7 이행서식 및 관련 이벤트 메시지에 대한 정보 흐름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의원(330) 및 개방병원(110) 사이의 환자진료의뢰 신청(REF/RRI^112), 변경(REF/RRI^113), 취소(REF/RRI^114), 응답(RRI^112/ ACK), 진료결과 회송요청(RQC/RCI^105) 및 송부(RCI^105/ACK)로 분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방병원 업무에 사용되는 REF/RRI^112, REF/RRI^113, REF/RRI^11, RRI^112/ACK, RQC/RCI^105 및 RCI^105/ACK 등 이행서식 6종을 정의하고, 이들 문서에 대하여 공통 전자문서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HL7 표준 XML 스키마와 XML 전자문서 구조를 설계한다. 즉, 기존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의 의료정보 시스템이 HL7 표준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대응되는 사설 포맷의 문서 형태를 정의하고, 이를 HL7 표준 XML 전자문서로의 변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변환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 시스템(200) 내의 리소스 관리기(210)에 의해 리소스 통합 저장소(270)에 보관 및 관리한다. 만일, 기존 의료정보 시스템이 HL7 표준을 지원할 경우에는 버전 형태별로 HL7 표준 XML 전자문서로 변 환해주는 변환 스크립트도 생성하여 상기 리소스 통합 저장소(270)에 보관 및 관리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L7 게이트웨이(110) 내의 HL7 변환기의 세부 구성도로서, HL7 변환기는 사설문서(.flt)(141), HL7 v.2.3 형태의 문서(.h23)(142) 및 HL7 v.2.4 형태의 문서(.h24)(143)의 문서를 입력으로 받아서 HL7 표준 XML 전자문서(.h30)(144) 형태로 변환하고, 또한 그 역변환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HL7 버전별 코드관리 테이블(111), XML 문서 스키마 및 변환 스크립트 등을 필요로 하며, 개방병원/개방의원별 최신의 XML 문서 스키마, 변환 스크립트 및 협약 거래상대자(계정 매트릭스) 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200) 내의 리소스 통합 저장소(270)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최신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L7 게이트웨이와 저장소 관리기 사이의 리소스 검증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리소스(Resource)는 HL7 표준 XML 문서 스키마(schema), 자기 기관에서 정의한 변환 스크립트들, 그리고 자기 기관과 거래 협약을 맺은 상대 기관의 계정 매트릭스 등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메시지 서버(200) 내의 리소스 관리기(210)는 시스템을 초기화할 때, 상기 리소스 통합 저장소(270)의 디렉토리를 설정하고, 기관(사용자) 계정정보에 대한 등록, 수정, 삭제 등의 관리 기능, 리소스 정보에 대 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S601).
다음으로, 상기 HL7 게이트웨이(110, 310)가 상기 메시지 서버(200)에 접속요청을 하기 위하여 자신의 기관계정과 버전정보를 포함한 접속요청 정보를 생성하여(S602), 이후, 접속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S603), 상기 메시지 서버(200) 내의 리소스 관리기(210)는 수신된 상기 접속요청 메시지를 검사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S604), 이때, 요청한 버전 정보와 리소스 통합 저장소(270)에서 관리하는 해당 기관의 버전정보를 비교한다(S605). 만일, 최근에 수정사항이 발생하여 버전이 다른 경우 변경된 리소스 등을 부가한 응답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시지 서버(200) 내의 리소스 관리기(210)는 응답 메시지 또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S606), 이후, 응답 메시지 또는 에러 메시지를 상기 HL7 게이트웨이(110, 310)에게 전송하면(S607), 상기 HL7 게이트웨이(110, 310)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S608), 최신 리소스 정보를 내부에 저장한다(S609).
그리고 상기 병원/의원 정보시스템(130, 320) 또는 메시지 서버(200)로부터 이벤트가 유발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개방병원(100) 및 개방의원(300) 사용자는 자체 의료정보 시스템의 업무처리 절차에 따라 이벤트를 유발시킬 수 있다(S610). 이때, 상기 이벤트 유발 정보는 자체 내부 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전에 정의한 서식 형태, 예를 들어, 사설문서(.flt), HL7 ver.2.3(.h23), HL7 ver.2.4(.h24) 등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L7을 지원하지 않는 대부분의 의료정보 시스템은 사전에 정의 한 사설문서 형태로 이벤트 유발 정보를 구성한다. 이러한 이벤트 유발 정보는 인터페이스 브로커(120)를 통하여 HL7 게이트웨이(110)로 전달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브로커(120)의 역할은 기존 개방병원 의료정보 시스템(130)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개방병원(100)의 특성에 따라 메시지 큐 방식 또는 파일시스템 방식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HL7 게이트웨이(110, 310)는 상기 인터페이스 브로커(120)를 통해 이벤트 유발 정보를 받아서, XML 기반의 표준문서로의 변환, 검증, 전자서명 생성 및 암호화, 표준 메시지 송수신 등의 일을 대행하고, 메시지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메시지 서버 시스템(200)의 서비스 제어기(230)에게 전달하게 된다(S611). 또한, 송수신한 메시지에 대한 송수신 검증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 수단으로 SOAP 기술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의원 정보시스템, HL7 게이트웨이, 메시지 서버 사이의 문서 송수신 흐름도로서, 전술한 도 2의 병원/의원 정보시스템(130, 320), HL7 게이트웨이(110, 310) 송수신부, 메시지 서버(200) 사이의 문서 송수신을 위한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 송신 단계 및 문서 수신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문서 송신 단계는, 먼저, 도 6의 HL7 게이트웨이(110, 310)와 리소스 관리기(220) 사이의 리소스 검증이 완료된 이후, 상기 HL7 게이트웨이(110, 310)는 병원/의원 정보시스템(130, 320)의 송신부에서 각각 이벤트 유발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브로커(120)가 메시지 큐를 사용하면 송신 메시지 큐를 검색하고, 파일 시스템인 경우에는 송신 폴더를 주기적으로 검색한다(S701).
상기 병원/의원 정보시스템(130, 320)으로부터 이벤트가 유발되어(S702), 이벤트가 도착하면, HL7 게이트웨이(110, 310)는 사전에 정의된 규약에 따라 메시지의 변환(S703), 메시지의 유효성 검사(S704), 전자서명 및 암호화(S705), SOAP 봉투(Enveloping) 처리(S706)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메시지 서버(200)로 SOAP 메시지를 전송한다(S707).
이후, 상기 메시지 서버(200)의 서비스 제어부(230)는 상기 SOAP 메시지를 수신하여(S708), 전자문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S709), 이후, 해당 수신자의 전자문서 사서함(260)에 문서를 저장한다(S710). 이때, 상기 서비스 제어부(230)는 상기 메시지 저장기(220)를 호출하여 해당 수신자의 전자문서 사서함(260)에 문서를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메시지 저장기(220)가 성공적으로 메시지를 저장하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230)는 ACK 메시지를 생성하여(S711), 상기 HL7 게이트웨이(110, 310)에게 ACK 메시지 또는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다(S712). 따라서, 상기 병원/의원 정보시스템(130, 320)은 상기 ACK 메시지 또는 에러 메시지를 확인하게 된다(S713).
한편, 상기 문서수신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서를 수신하려는 HL7 게이트웨이(110, 310)는 주기적으로 메시지 서버에게 수신요청 SOAP 메시지를 전송한다(S801). 이 수신요청 메시지를 받은 메시 지 서버(200)의 서비스 제어부(230)는 상기 메시지 저장기(220)를 호출하여 해당 병원/의원의 신규 수신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S802).
이후, 신규로 배달된 메시지가 있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SOAP 봉투에 넣어 SOAP 메시지를 생성하여(S803), 생성된 SOAP 메시지를 상기 HL7 게이트웨이(110, 310)로 전송한다(S804).
다음으로, 상기 SOAP 메시지를 수신받은 HL7 게이트웨이(110, 310)는 수신 SOAP 메시지를 개별화하는 과정(S805), 전자서명 검증 및 복호화(S806), 문서의 유효성 검증(S807), 메시지 역변환(S808) 과정을 거쳐 상기 인터페이스 브로커(120)로 출력한다(S809). 이후, 상기 인터페이스 브로커(120)로 출력된 결과물은 병원/의원 정보시스템(130, 320)의 수신부로 자동 입력된다(S810).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벤트 유발방식의 개방 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의료정보 전달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실시간 업무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병원과 개방의원 사이에 HL7 이벤트 유발 방식의 정보전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병원/의원의 내부 또는 외부 사이에 실시간 처리로 인한 시간적, 지리적 및 경제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내부 시스템 사이의 온라인 처리 형태 구현을 통하여 원무, 진료, 일반관리 등 원활한 최단 프로시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13)

  1.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HL7(Health Level 7) 이벤트 유발(Triggering event) 방식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개방의원 시스템과 송수신하는 개방병원 시스템;
    HL7 이벤트 유발 방식으로 생성된 메시지를 개방병원 시스템과 송수신하는 개방의원 시스템; 및
    상기 개방병원 시스템 및 개방의원 시스템에서 생성되어 송수신되는 정보의 리소스 관리, 메시지 저장, 또는 서비스 제어를 제공하는 메시지 서버
    를 포함하는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병원 시스템은,
    상기 개방병원의 회원 관리, 처방 및 결과 조회, 수술신청 및 등록, 또는 각종 검사관리에 대한 의료업무를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개방병원 정보시스템;
    상기 개방병원 정보시스템과의 자동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브로커(Interface Broker); 및
    상기 인터페이스 브로커 또는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송수신된 메시지를 변환, 검증, 전자서명 및 암복호화, 또는 적절한 형태의 의료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HL7 게이트웨이
    를 포함하는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브로커는 송신 메시지 큐를 검색하기 위한 메시지 큐 방식 또는 송신 폴더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파일 시스템 방식으로, 상기 개방병원 정보시스템과 HL7 게이트웨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HL7 게이트웨이는,
    상기 개방병원 시스템과 개방의원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전송 프로토콜 형식에 따라 문서 형식을 각각 변환하는 HL7 문서변환기;
    상기 송수신되는 문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기;
    상기 송수신되는 문서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는 암복화기;
    상기 HL7 이벤트 유발 방식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의료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기; 및
    상기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표준 메시지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HL7 문서변환기는 사설문서(.flt), HL7 v.2.3 형태의 문서(.h23) 및 HL7 v.2.4 형태의 문서(.h24)의 문서를 입력으로 받아서 HL7 표준 XML 전자문서 (.h30) 형태로 변환하거나, 그 역변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L7 문서변환기는 상기 개방병원/개방의원별로 최신의 XML 문서 스키마, 변환 스크립트 및 계정 매트릭스를 유지하도록 상기 메시지 서버 내의 리소스 통합 저장소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최신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이벤트 전달 서비스에 등록된 기관을 관리하는 기관정보 관리, 협약한 거래 상대자의 관리를 위한 계정 매트릭스 관리, 또는 협약한 메시지 스키마 및 변환 스크립트에 대한 등록 및 관리를 수행하는 리소스 관리기;
    송수신된 문서에 대한 문서함을 관리하는 메시지 저장기; 및
    사용자에 대한 인증처리 및 흐름제어를 관리하는 서비스 제어기
    를 포함하는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의원 시스템은,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송수신된 메시지를 변환, 검증, 전자서명 및 암복호화, 또는 적절한 형태의 의료정보 메시지를 생성하는 HL7 게이트웨이; 및
    상기 개방의원의 의사진료 서비스, 간호진료 서비스 또는 진료지원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개방의원 정보시스템
    을 포함하는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의원 시스템 및 개방병원 시스템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이행서식은 환자진료의뢰 신청(REF/RRI^112), 변경(REF/RRI^113), 취소(REF/RRI^114), 응답(RRI^112/ ACK), 진료결과 회송요청(RQC/RCI^105) 및 송부(RCI^105/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L7 이벤트 전달 시스템.
  10. 개방병원, 개방의원 및 메시지 서버 사이의 HL7 이벤트 전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메시지 서버 내의 리소스 관리기와 상기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내의 각각의 HL7 게이트웨이 사이의 리소스를 검증하는 단계;
    b)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정보시스템에서 HL7 이벤트 유발 방식으로 이벤트를 유발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정보시스템이 신규로 도착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L7 이벤트 전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메시지 서버 내의 리소스 관리기가 통합 저장소를 설정하고, 기관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a-2) 상기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내의 각각의 HL7 게이트웨이가 접속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리소스 관리기가 접속 요청메시지를 검사하는 단계;
    a-4) 상기 리소스 통합저장소를 참조하여 기관 계정과 버전 정보를 검사하고, 수정된 정보가 있을 경우에 리소스가 부가된 응답 정보 또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a-5) 상기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내의 HL7 게이트웨이가 상기 응답 메시지 또는 에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a-6) 상기 HL7 게이트웨이가 수정된 리소스 정보를 내부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L7 이벤트 전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이벤트가 유발되면, 상기 HL7 게이트웨이가 송신 메시지 폴더를 검색하여 메시지의 변환, 유효성 검증, 전자서명 생성 및 암호화, SOAP 봉투처리를 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메시지 서버 내의 서비스 제어기가 SOAP 메시지의 수신, 문서의 유효성 검사, 수신자의 전자문서 사서함에 저장, 결과(ACK) 메시지의 생성 및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b-3)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HL7 게이트웨이의 상기 결과(ACK) 메시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L7 이벤트 전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HL7 게이트웨이가 수신 요청 SOAP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메시지 서버의 서비스 제어기가 신규로 수신한 메시지가 있는지를 전자문서 사서함으로부터 검사하여 신규 수신 메시지가 있는 경우, SOAP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c-3)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내의 HL7 게이트웨이가 수신받은 SOAP 메시지를 개별화하고, 저자서명 검증 및 복호화, 문서의 유효성 검증,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정보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문서 형태로의 변환 과정을 거쳐 출력 디렉토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c-4) 상기 개방병원 또는 개방의원 정보시스템이 상기 변환된 정보를 자동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HL7 이벤트 전달 방법.
KR1020040073355A 2004-09-14 2004-09-14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60024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355A KR20060024560A (ko) 2004-09-14 2004-09-14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355A KR20060024560A (ko) 2004-09-14 2004-09-14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560A true KR20060024560A (ko) 2006-03-17

Family

ID=3713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355A KR20060024560A (ko) 2004-09-14 2004-09-14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5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7973A3 (en) * 2006-11-01 2008-08-07 Microsoft Corp Health integration platform api
CN111383748A (zh) * 2020-03-09 2020-07-07 武汉比邻软件有限公司 基于弹性计算和5g技术的医疗集成平台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7973A3 (en) * 2006-11-01 2008-08-07 Microsoft Corp Health integration platform api
CN111383748A (zh) * 2020-03-09 2020-07-07 武汉比邻软件有限公司 基于弹性计算和5g技术的医疗集成平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9858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одключениями на основе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US723406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atient authorizations relating to digital medical data
US886843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istributed digital medical data
US9961156B2 (en) Healthcare semantic interoperability platform
RU2517697C2 (ru) Способ для обмена данными
US84582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solidating medical information
JP2014071881A (ja) 医用画像交換システム、画像中継サーバ、医用画像送信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受信システム
KR100805642B1 (ko) 병원간의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CN107004059A (zh) 用于加密、转换和交互医学图像的系统和方法
JP2010186249A (ja) 分散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分散情報アクセ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22785B2 (ja) 医療情報システムおよび医療情報出力方法
WO2012112820A2 (en) Sending healthcare information securely
Hutchison et al. Electronic data interchange for health care
WO2014054303A1 (ja) 医用画像交換システム及び画像中継サーバ
KR20060024560A (ko) 개방병원 및 개방의원 사이의 이벤트 전달 시스템 및 그방법
Hristidis et al. A flexible approach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exchange
Motta et al. Towards an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medical image sharing
JP5213289B1 (ja) 医用画像交換システム、画像中継サーバ、医用画像送信システム、医用画像受信システム、中継サーバ及び院内情報システム
Dodero et al. Wireless networking with a PDA: the Ward-In-Hand project
KR20010097669A (ko) 다중매체를 이용한 의료기관의 원격환자관리방법
DePalo et al. Implementing interoperability using an IHE profile for interfacility patient transport
Anzbock et al. Modeling and implementing medical e-services
Pambrun et al. Interoperability testing of integration profiles based on HL7 standard version 3
CN115472275A (zh) 基于线上线下一体化管理的就诊系统及就诊方法
Toussaint et al. The complexity of transactions: a means for assessing interoper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