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022A -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022A
KR20060024022A KR1020060018815A KR20060018815A KR20060024022A KR 20060024022 A KR20060024022 A KR 20060024022A KR 1020060018815 A KR1020060018815 A KR 1020060018815A KR 20060018815 A KR20060018815 A KR 20060018815A KR 20060024022 A KR20060024022 A KR 20060024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duct
duct pipe
end cover
pipe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556B1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박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06001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5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공조용 스파이럴덕트관을 서로 연결하거나 스파이럴덕트관과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에 통공이 관통형성된 캡형상으로 형성되며 대향하는 접촉면상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체결되는 암수형 체결부재가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끝단부에 각각 결합설치되는 한 쌍의 단부커버와 한 쌍의 단부커버의 접촉면사이에 개재되는 링형상으로 된 밀폐용 패킹으로 이루어진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므로써, 덕트설치작업시 스파이럴덕트관연결부의 기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스파이럴덕트관과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더욱 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파이럴덕트관, 이음관, 외관, 내관, 연결구, 단부커버, 패킹, 체결부재

Description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Device for connecting spiral duct}
도 1은 종래의 스파이럴덕트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스파이럴덕트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이용한 스파이럴덕트관의 연결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이용한 스파이럴덕트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에 설치되는 암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에 설치되는 암체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스파이럴덕트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구 2 : 평탄부
2a : 패킹설치공 2b : 외관걸림턱
3 : 내관삽입부 3a : 내주연돌출부
4 : 외관삽입부 4a : 외주연돌출부
5 : 제 1단부커버 6 : 평탄부
6a : 외관걸림턱 7 : 내관삽입부
7a : 내주연요홈부 8 : 외관삽입부
8a : 외주연요홈부 9 : 제 2단부커버
10, 11 : 암수형 체결부재 12 : 밀폐용 패킹
12a : 체결부재삽입공 12b : 결합돌기
본 발명은 한 쌍의 공조용 스파이럴덕트관을 서로 연결하거나 스파이럴덕트관과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에 통공이 관통형성된 캡형상으로 형성되며 대향하는 접촉면상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체결되는 암수형 체결부재가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끝단부에 각각 결합설치되는 한 쌍의 단부커버와 한 쌍의 단부커버의 접촉면사이에 개재되는 링형상 으로 된 밀폐용 패킹으로 이루어진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므로써, 덕트설치작업시 스파이럴덕트관연결부의 기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스파이럴덕트관과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더욱 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덕트를 구성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스파이럴덕트관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심원을 이루는 내관(20b)과 외관(20a)사이에 발포스티롤이나 암면 또는 석면 등과 같은 단열재(20c)가 채워진 이중관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스파이럴덕트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이 사용되는데, 이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22)은 스파이럴덕트관(20)과 동일하게 동심원을 이루는 내관(22b)과 외관(22a)사이에 발포스티롤이나 암면 또는 석면 등과 같은 단열재(22c)가 채워진 이중관구조로 이루어지며, 내관(22b)의 양단부가 스파이럴덕트관(20)의 내관(20b)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외관(22a)의 양단부보다 길게 돌출형성되고 내관(22b)의 양단부외주연에는 밀폐용 패킹(23)이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스파이럴덕트관(20)과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22)의 양단부에는 덕트설치작업시 내관과 외관사이에 채워진 단열재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분진 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덕트설치를 위한 운반 및 취급시 내관과 외관사이에 채워진 단열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감테이프를 부착하게 된다.
종래의 스파이럴덕트관을 서로 연결할 경우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내관(20b)내측으로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22)의 내관(22b)이 삽입되도록 결합한 후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22)이 스파이럴덕트관(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나사(25)를 체결한 다음, 스파이럴덕트관(20)의 외관(20a)과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22)의 외관(22a)사이의 틈새를 실리콘(24)으로 밀봉하고, 실리콘(24)으로 밀봉된 틈새와 고정나사(25)의 체결부위에 테이프(26)를 부착하므로써 연결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파이럴덕트관 연결구조는 스파이럴덕트관(20)의 내관(20b)내부로 삽입된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22)의 내관(22b)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나사(25)가 스파이럴덕트관(20)의 외관(20a)과 내관(20b)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체결되므로써, 복수개의 고정나사(25)가 관통하도록 체결된 부위를 통해 덕트관내부로 유통되는 공기의 누설이 발생하게 되어 스파이럴덕트관 연결부의 기밀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파이럴덕트관 연결구조는 덕트설치시 작업현장에서 스파이럴덕트관(20)과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22)을 연결할 때마다 스파이럴덕트관(20)과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22)사이의 틈새에 대한 실리콘밀봉작업과 복수개의 고정나사체결작업 및 이를 감싸는 테이핑작업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울 뿐 아니라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앙에 통공이 관통형성된 캡형상으로 형성되며 대향하는 접촉면상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체결되는 암수형 체결부재가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끝단부에 각각 결합설치되는 한 쌍의 단부커버와 한 쌍의 단부커버의 접촉면사이에 개재되는 링형상으로 된 밀폐용 패킹으로 이루어진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므로써, 덕트설치작업시 스파이럴덕트관 연결부의 기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스파이럴덕트관과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더욱 더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심원을 이루는 내관과 외관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일측 스파이럴덕트관의 끝단부에 결합설치되는 것으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패킹설치공이 관통형성되고 외주연에 외관걸림턱이 돌출형성된 링형상의 평탄부가 구비되며 상기 평탄부의 내측면내주연에는 스파이럴덕트관의 내관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내관삽입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외주연에는 스파이럴덕트관의 외관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외관삽입부가 형성된 제 1단부커버와, 연결하고자 하는 타측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끝단부에 결합설치되는 것으로, 외주연에 외관걸림턱이 돌출형성된 링형상의 평탄부가 구비되며 상기 평탄부의 내측면내주연에는 스파이럴 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내관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내관삽입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외주연에는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외관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외관삽입부가 형성된 제 2단부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단부커버와 제 2단부커버의 평탄부의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암수형 체결부재가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단부커버의 평탄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삽입공이 관통형성되며 내측면에 제 1단부커버의 패킹삽입공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링형상의 밀폐용 패킹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암체결부재는 '
Figure 112006014195268-PAT00001
'형상으로 된 돌출부 또는 '
Figure 112006014195268-PAT00002
'형상으로 된 돌출부 또는 ㄱ자형상으로 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통공 중 택일된 것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체결부재는 ㄱ자형상으로 된 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제 1단부커버의 평탄부외측면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는 동심원을 이루는 내주연돌출부 및 외주연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단부커버의 평탄부외측면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는 제 1단부커버의 평탄부외측면에 형성된 내주연돌출부 및 외주연돌출부에 각각 대응되는 내주연요홈부 및 외주연요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는 한 쌍의 공조용 스파이럴덕트관을 서로 연결하거나 스파이럴덕트관과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가능한 것이지만, 구성에 대한 동일한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사용하여 스파이럴덕트관과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사용하여 한 쌍의 공조용 스파이럴덕트관을 연결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스파이럴덕트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이용한 스파이럴덕트관의 연결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이용한 스파이럴덕트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에 설치되는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7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에 설치되는 체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스파이럴덕트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결합설치되는 제 1단부커버(5)와, 연결하고자 하는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에 결합설치되는 제 2단부커버(9)와,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의 접촉면상에 개재되는 밀폐용 패킹(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단부커버(5)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패킹설치공(2a)이 관통형성되고 외주연에 외관걸림턱(2b)이 돌출형성된 링형상의 평탄부(2)가 구비되며, 상기 평탄부(2)의 내측면내주연에는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내관(20b)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내관삽입부(3)가 형성되고, 내측면외주연에는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외관(20a)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외관삽입부(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단부커버(9)는 외주연에 외관걸림턱(6a)이 돌출형성된 링형상의 평탄부(6)가 구비되며, 상기 평탄부(6)의 내측면내주연에는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내관(21b)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내관삽입부(7)가 형성되고, 내측면외주연에는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외관(21a)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외관삽입부(8)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에 구비된 링형상의 평탄부(2)(6)의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암수형 체결부재(10)(11)가 각각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암수형 체결부재(10)(11)는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결합설치된 제 1단부커버(5)와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에 결합설치된 제 2단 부커버(9)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암체결부재(10)로는 도 2에 도시된 '
Figure 112006014195268-PAT00003
'형상으로 된 돌출부 또는 도 6의 (가)(나)에 도시된 '
Figure 112006014195268-PAT00004
'형상으로 된 돌출부 또는 도 7의 (가)(나)에 도시된 ㄱ자형상으로 된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통공 중 택일하여 형성되며, 수체결부재(11)로는 도 2에 도시된 ㄱ자형상으로 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수형 체결부재(10)(11)는 도 2와 도 6 및 도 7에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된 것 외에도 원주방향으로 체결가능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고안된 암수형 체결부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암수형 체결부재(10)(11)는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수량을 2 ~ 4개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연결하고자 하는 스파이럴덕트관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그 수량을 증대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암수형 체결부재 중에서 1종류만 선택하여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2)(6)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거나, 상기한 암수형 체결부재 중에서 2종류이상을 선택하여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2) (6)에 각각 교대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사이에 개재되는 밀폐용 패킹(12)은 탄력있는 고무재질로서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제 1단부커버(5)의 외측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암체결부재(10)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삽입공(12a)이 관통형성되고, 내측면에 제 1단부커버(5)의 패킹삽입공(2a)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12b)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외측면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 동심원을 이루는 내주연돌출부(3a) 및 외주연돌출부(4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6)외측면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는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외측면에 형성된 내주연돌출부(3a) 및 외주연돌출부(4a)에 각각 대응되는 내주연요홈부(7a) 및 외주연요홈부(8a)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의 설치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구성하는 제 1단부커버(5)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되는데, 이때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의 내측면외주연에 형성된 외관삽입부(4)는 평탄부(2)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외관걸림턱(2b)에 스파이럴덕트관(20)의 외관(20a)끝단부가 걸릴 때까지 외관(20a)내측으로 삽입된 후 스파이럴덕트관(20)의 외관(20a)과 제 1단부커버(5)의 외관삽입부(4)만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짧은 고정나사(14)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의 내측면내주연에 형성된 내관삽입부(3)는 스파이럴덕트관(20)의 내관(20b)내측으로 삽입되어 실리콘(13)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에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밀폐용 패킹 (12)이 안착설치된다. 이때,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에 안착설치되는 밀폐용 패킹(12)은 밀폐용 패킹(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12b)가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에 관통형성된 복수개의 패킹설치공(2a)에 각각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써, 덕트설치작업을 위한 스파이럴덕트관(20)의 취급시 제 1단부커버(5)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를 구성하는 제 2단부커버(9)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대향되는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되는데, 이때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6)의 내측면외주연에 형성된 외관삽입부(8)는 평탄부(6)의 외주연에 돌출형성된 외관걸림턱(6a)에 스파이럴덕트관(21)의 외관(21a)끝단부가 걸릴 때까지 외관(21a)내측으로 삽입된 후 스파이럴덕트관(21)의 외관(21a)과 제 2단부커버(9)의 외관삽입부(8)만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짧은 고정나사(16)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6)의 내측면내주연에 형성된 내관삽입부(7)는 스파이럴덕트관(21)의 내관(21b)내측으로 삽입되어 실리콘(15)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스파이럴덕트관(20)(21)의 끝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는 스파이럴덕트관(20)(21)의 끝단부를 각각 커버하게 되므로써, 덕트설치작업을 위한 스파이럴덕트관의 취급시 스파이럴덕트관의 외관과 내관사이에 삽입된 단열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단열재로부터의 분진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끝단부에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가 각각 고정설치된 스파이럴덕트관(20)(2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1단부커버(5)에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2단부커버(9)가 대향되도록 한 후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를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관의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밀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1단부커버(5)와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2단부커버(9)가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4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6)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체결부재(11)가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에 설치된 복수개의 암체결부재(10)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체결되므로써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와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6)사이에 개재된 밀폐용 패킹(12)에 의해 견고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연결된 스파이럴덕트관(20)(21)은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을 체결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2)(6)에 설치된 암수형 체결부재(10)(11)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키므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덕트의 유지보수 및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는 스파이럴덕트관 및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제조시 스파이럴덕트관 및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양단부에 고정설치하여 스파이럴덕트관 및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과 일체로 제조되도록 하므로써, 덕트시공현장에서 특별한 공구나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하고자 하는 스파이럴덕트관 및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더욱 더 용이하고 간편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켜 덕트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1단부커버(5)에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2단부커버(9)가 대향되도록 한 후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를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밀착시킬 때,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외측면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 내주연돌출부(3a) 및 외주연돌출부(4a)가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끝단부에 고정설치된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6)외측면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 각각 형성된 내주연요홈부(7a) 및 외주연요홈부(8a)에 그 요철형상대로 꼭 맞게 결합되므로써, 스파이럴덕트관의 연결시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과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중심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제 1단부커버(5)의 내주연돌출부(3a) 및 외주연돌출부(4a)와 제 2단부커버(9)의 내주연요홈부(7a) 및 외주연요홈부(8a)가 그 요철형상대로 꼭 맞게 결합된 상태로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타측 스파이럴덕트관(21)의 중심과 일측 스파이럴덕트관(20)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지 않고 일치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암수체결부재(10)(11)의 체결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는 중앙에 통공이 관통형성된 캡형상으로 형성되며 대향하는 접촉면상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체결되는 암수형 체결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끝단부에 각각 결합설치되는 한 쌍의 단부커버와 한 쌍의 단부커버의 접촉면사이에 개재되는 링형상으로 된 밀폐용 패킹으로 구성되므로써, 덕트설치작업시 스파이럴덕트관 연결부의 기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스파이럴덕트관과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더욱 더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는 한 쌍을 이루는 단부커버의 외측면의 외주연과 내주연에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상의 돌출부와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므로써, 스파이럴덕트관의 연결작업시 연결하고자 하는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중심맞추기 및 암수체결부재의 체결을 더욱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동심원을 이루는 내관과 외관사이에 단열재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일측 스파이럴덕트관의 끝단부에 결합설치되는 것으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패킹설치공(2a)이 관통형성되고 외주연에 외관걸림턱(2b)이 돌출형성된 링형상의 평탄부(2)가 구비되며 상기 평탄부(2)의 내측면내주연에는 스파이럴덕트관의 내관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내관삽입부(3)가 형성되고 내측면외주연에는 스파이럴덕트관의 외관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외관삽입부(4)가 형성된 제 1단부커버(5)와,
    연결하고자 하는 타측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끝단부에 결합설치되는 것으로, 외주연에 외관걸림턱(6a)이 돌출형성된 링형상의 평탄부(6)가 구비되며 상기 평탄부(6)의 내측면내주연에는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내관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내관삽입부(7)가 형성되고 내측면외주연에는 스파이럴덕트관 또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이음관의 외관내측으로 삽입되는 관형상의 외관삽입부(8)가 형성된 제 2단부커버(9)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단부커버(5)와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2)(6)의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암수형 체결부재(10)(11)가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삽 입공(12a)이 관통형성되며 내측면에 제 1단부커버(5)의 패킹삽입공(2a)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12b)가 형성된 링형상의 밀폐용 패킹(12)이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부재(10)는 '
    Figure 112006014195268-PAT00005
    '형상으로 된 돌출부 또는 '
    Figure 112006014195268-PAT00006
    '형상으로 된 돌출부 또는 ㄱ자형상으로 된 돌출부가 삽입되는 통공 중 택일된 것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체결부재(11)는 ㄱ자형상으로 된 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외측면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는 동심원을 이루는 내주연돌출부(3a) 및 외주연돌출부(4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단부커버(9)의 평탄부(6)외측면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는 제 1단부커버(5)의 평탄부(2)외측면에 형성된 내주연돌출부(3a) 및 외주연돌출부(4a)에 각각 대응되는 내주연요홈부(7a) 및 외주연요홈부(8a)가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KR1020060018815A 2006-02-27 2006-02-27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KR10073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815A KR100736556B1 (ko) 2006-02-27 2006-02-27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815A KR100736556B1 (ko) 2006-02-27 2006-02-27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367U Division KR200416030Y1 (ko) 2006-02-27 2006-02-27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022A true KR20060024022A (ko) 2006-03-15
KR100736556B1 KR100736556B1 (ko) 2007-07-10

Family

ID=3713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815A KR100736556B1 (ko) 2006-02-27 2006-02-27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965A (ko) * 2022-05-1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설치 키트 및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689B1 (ko) 2005-06-10 2005-10-11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관체의 플랜지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965A (ko) * 2022-05-1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설치 키트 및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556B1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6770B2 (ja) パイプ要素を継合するための継手
WO2020119654A1 (zh) 一种快连卡箍
JP2020169727A (ja) リップ突起を有するシール
EP2759779B1 (en) Ventilation duct coupl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WO2021093316A1 (zh) 一种密封结构
TWI752424B (zh) 管組件之隔熱及防潮層
CA2502267A1 (en) Improved gasket for duct, pipe and tube joints
KR100736556B1 (ko)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KR20050123062A (ko) 환기덕트 연결구 및 연결구조
KR200416030Y1 (ko) 스파이럴덕트관용 연결구
JP2005299827A (ja) 自在継手
CN214618401U (zh) 连接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WO2020119655A1 (zh) 一种管道快连卡箍
US9285066B2 (en) Positive pressure pipe coupling
KR101161717B1 (ko) 배관용 조인트
CN216948806U (zh) 一种地下室用防水穿墙套管结构
CN219140166U (zh) 一种聚乙烯排水管道连接结构
CN209856581U (zh) 一种通风管道及通风管道连接装置
CN211118198U (zh) 一种连接用曲型管结构
JPS5851492Y2 (ja) 管の継手部構造
KR200483803Y1 (ko)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0204995Y1 (ko) 덕트조인트
KR10180637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 장치
EP2938915A1 (en) Sealing element and arrangement
HU216690B (hu) Tömítés két cső szivárgásmentes öszekötésé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