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928A - 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 Google Patents

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928A
KR20060023928A KR1020040109983A KR20040109983A KR20060023928A KR 20060023928 A KR20060023928 A KR 20060023928A KR 1020040109983 A KR1020040109983 A KR 1020040109983A KR 20040109983 A KR20040109983 A KR 20040109983A KR 20060023928 A KR20060023928 A KR 20060023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eb
concrete member
concrete composite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9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94765B1 (en
Inventor
홍원기
황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밸류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6002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9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7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same, a plurality of hoop rebars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to be embedded, wherein the ends of the web are exposed.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cluding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and at least one tensile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bar;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s disclosed, comprising: installing a formwork and placing concrete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콘크리트 복합 형강, 합성보, 보연결Concrete composite section steel, composite beam, beam connection

Description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연결 방법{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H형강을 이용한 슬래브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to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ab structure using the H-shaped ste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하여 구축된 슬래브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와 평면도이다.5 and 6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slab structure constructed using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inter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9.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0A and 20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concrete composite beam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ure 2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 to the pillar pi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도 21의 XIV-X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V-XIV ′ of FIG. 21.

도 23은 도 21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기둥의 H형강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concrete composite beam of FIG. 21 is connected to an H-beam of a column.

도 24는 도 23의 XVI-X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of FIG. 23.

도 25는 도 21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기둥의 H형강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ncrete composite beam of FIG. 21 is connected to an H-beam of a column.

도 26은 도 25의 XVIII-X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II-XVIII ′ of FIG. 25.

도 2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2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composite beam is connected to a pillar fi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8은 도 27의 XX-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XX 'of FIG. 27.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2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itution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to a pillar pi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도 29의 XXII-X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II-XXII 'of FIG. 29.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3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to the column pi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도 31의 XXIV-XX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IV-XXIV 'of FIG. 31.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3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to the column pi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는 도 33의 XXVI-XX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VI-XXVI 'of FIG. 33.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흙막이벽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35 and 36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 to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래브 구조체에 사용되어 건물의 층고(層高)를 줄일 수 있고, 휨응력과 압축 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내화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in slab structures to reduce the height of buildings, effectively resist bending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and improve fire res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composite beams to each other or to pillars of a structure.

일반적으로, H형강보는 건물의 각 층의 바닥 또는 천장인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12)와 슬래브(11)는 슬래브 구조체(10)를 이룬다.In general, H-beams are widely used to support slabs, which are floors or ceilings of each floor of a building.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H-shaped steel beam 12 and the slab 11 forms a slab structure (10).

한편, 건물의 각 층의 높이는 실내 공간의 높이와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더한 것이다. 즉,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줄일수록 각 층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층수의 건물이라도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가 작을수록 그 층고가 작아지기 때문에 시공비가 줄어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the height of the interior space and the height of the slab structure (10). That is, as the height of the slab structure 10 is reduced, the height of each layer may be reduced. Therefore, even if the building of the same number of floors, as the height of the slab structure 10 is smaller, the height of the floor is smaller,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상기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는 H형강보(12)의 높이(H1)와 슬래브(11)의 높이(H2)를 더한 것이다.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서 H형강보(12)의 높이(H1) 또는 슬래브(11)의 높이(H2)를 줄이게 되면 슬래브 구조체(10)의 지지력 또는 휨 저항력이 약해지게 되어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여기에서, 미설명 참조 부호 11a는 슬래브(11)에 배근된 철근이 다.The height H of the slab structure 10 is obtained by adding the height H1 of the H-shaped steel beam 12 and the height H2 of the slab 11. When the height H1 of the H-shaped steel beam 12 or the height H2 of the slab 11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height H of the slab structure 10, the supporting force or the bending resistance of the slab structure 10 becomes weak. There is a problem that affects the safety of the structure. Here, reference numeral 11a, which is not described, is a reinforcing bar reinforced to the slab 11.

또한,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 H형강보(12)의 크기를 줄이면, 이 경우 H형강보(12’)의 횡단면적도 감소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 및 휨응력에 대해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H-beams 12 is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height H of the slab structure 10, in this c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beams 12 'is also reduced, thereby compressing and bending stress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vulnerable to.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12)의 상부 플렌지(12a)와 상응하는 홈(14a)이 형성된 데크플레이트(14)를 H형강보(12)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구조체(15)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2, the deck plate 14 having the groove 14a corresponding to the upper flange 12a of the H-beam 12 is provided in the H-beam 12. After tha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lab structure 15 by pouring concrete has been proposed.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상기 홈(14a)의 깊이만큼 그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슬래브(13)에 수직 방향(A)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만, 슬래브(13)에 평행한 방향(B)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홈(14a)이 있는 부분의 슬래브(13)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전단 응력 및 휨 응력이 크게 집중되고 압축력에도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slab structure 15 has an advantage that the height is reduced by the depth of the groove (14a). However, while the slab structure 15 is effective for the stress acting in the direction A perpendicular to the slab 13, the groove 14a is not effective for the stress acting in the direction B parallel to the slab 13. Since the thickness of the slab 13 is thi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hear stress and the bending stress are largely concentrated and also susceptible to the compressive force.

도 3은 H형강보(12)의 웹(12b)에 용접된 거치대(16)와, 거치대(16)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17)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19)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웹(12b)에 거치대(16)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거치대(16) 위에 데크플레이트(17)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H형강보(12)의 소정 부분이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한 슬래브 구조체(19)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ab structure 19 including a cradle 16 welded to the web 12b of the H-shaped steel beam 12 and a deck plate 17 installed on the cradle 16. That is, the slab which welds the cradle 16 to the web 12b and installs the deck plate 17 on the cradle 16 to cast concrete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beam 12 is embedded in the concrete. It is a structure 19.

상기 슬래브 구조체(19)는 도 2의 슬래브 구조체(15)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웹(12b)에 거치대(16)를 용접하는 과정을 추가적 으로 거쳐야 하고, 거치대(16)와 웹(12b)의 용접 부분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slab structure 19 has an advantage of being structurally safe compared to the slab structure 15 of FIG. However, the process of welding the cradle 16 to the web (12b) additionally, and if the welded portion of the cradle 16 and the web 12b is not strong, there is a problem that seriously affect the safety of the structure have.

한편, 상기 슬래브 구조체들에서는 H형강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화재에 취약하다. 즉, 화재로 인한 고열이 그대로 H형강에 전달되어 H형강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출된 H형강은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가 되어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lab structures are vulnerable to fire because the H-beam is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high heat due to the fire is transmitted to the H-shaped steel as it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H-shaped steel is deformed. To prevent this, the exposed H-beams must be treated with a separate fireproof coating.

한편, 상기 H형강보들은 서로 용접하거나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H형강보의 연결 부분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있으므로 부식될 우려가 있고, 특히, 화재시에는 연결 부분이 쉽게 손상 및 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shaped steel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However, this method may be corroded because the connection part of the H-beam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part may be easily damaged and deformed in case of fire.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자는 휨 및 압축재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내화 피복이 필요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기둥 또는 흙막이벽과 같은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that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as the bending and compressive material and does not require a fireproof co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such concrete composite beams to each other or to a pillar of a structure such as a pillar or a retaining wall.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height of the structure without affec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or connecting to the pillar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부에서 응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 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can smoothly transfer stress in a connection part to each other or to a pillar of a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은,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상기 상부 플렌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figured to connect the H-shaped steel a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while the length of the upper flange is wrapped. A plurality of hoop reinforcing bars wel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fill the lower flange, and at least on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bars.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ing a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and a suppo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to support a deck plate;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our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 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the upper flange, the lower flange and the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bars, and the concrete A suppo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er and supporting the deck plate thereon; a fixing portion embedded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n extens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fixing por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Equipped with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s containing negative joints Step;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바람직하게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웹에 고정된다.Preferably, the fixing part of the reinforcing bar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web of the H-beam and is fixed to the web.

바람직하게,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소정간격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된다.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is extended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is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 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ith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concrete member Buried in the concrete member so as to be inscribed on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so as to be inscribed with the hoop rebar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beams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ing a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interconnect the bar reinforcing bars;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ith each other, while both ends of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wrap around the A plurality of hoop reinforcing bar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but,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the lower flange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ement;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comprising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to a hoop reba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dispos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 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lange, the lower flange and the web connecting the H-shaped steel, a plurality of hoop rebar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the lower flange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so as to expose the end of the web,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comprising supports for laying deck plates thereon; 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 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ith each other, and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concrete member A suppo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a fixing portion embedded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 extend late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With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comprising reinforced joints Step; 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 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nd predetermined lengthwise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 plurality of hoop rebars provided at interval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The concrete to support the deck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to support the deck plate, and to be inscribed in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first auxiliary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scribed to the hoop reinforcement A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member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 and the step of having the information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including binding reinforcement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concrete element so as to interconnect the second auxiliary reinforcement; 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ith each other, while both ends of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wrap around the A plurality of hoop reinforcing bar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but,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ing bars, Providing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comprising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to the hoop reba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disposed on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철근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후프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includes at least one exposed reinforcing bar which is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mounting member fixed to an upper edge of the hoop reinforcement so that the exposed reinforcing bar is coupled and supported.

더욱 바람직하게, 그 단부가 상기 후프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코너 내접부에 상기 노출철근이 고정되도록 'L'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More preferably, the end is fixed to the top of the corner of the hoop reinforcement, form a 'L' shape so that the exposed reinforcement is fixed to the corner inner circumferen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노출 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매립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중 어느 하나의 노출 철근은 그 H형강의 상부 플렌지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이웃하는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H형강의 상부 플렌지 상부로 연장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the exposed reinforcing bar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buried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wherein the exposed reinforcing bars of any one of the first and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are locat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s. It extends to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바람직하게, 상기 매립 철근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기둥파일에 용접된다.Preferably, at least one end of the buried rebar is welded to the pillar pi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노출 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매립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에는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노출 철근이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절개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exposed bar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a buried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wherein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s formed with a cut opening, thereby exposing the rebar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It may extend through the cut opening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둥파일에는 용접 평판이 설치되고,상기 인장/압축 철근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용접 평판에 용접되어 지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pile is provided with a welding plate, and at least one end of the tension / compression rebar is welded to and supported by the welding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파일에는 요홈을 가진 커플러가 설치되고, 상기 인장/압축 철근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요홈에 삽입된 채로 용접된다.Preferably, the pillar pile is provided with a coupler having a groove, and at least one end of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is weld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기둥파일은 H형강, 사각형 스틸 튜브 또는 원통형 스틸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illar pile is preferably H-shaped steel, square steel tube or cylindrical steel tube.

바람직하게, 상기 서포트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bracke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And a buried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acket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여기서, 상기 매립부재의 단부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end of the buried member may be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웹이 노출되도록 리세스부가 형성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리세스부에 있는 웹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lange, the lower flange and the web connecting the H-shaped steel, a plurality of hoop rebar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the lower flange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so as to expose the end portion of the web,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Comprising a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same, a plurality of hoop rebars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to be embedded, wherein the ends of the web are exposed.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a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a recess formed to expose the web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Installing a coupling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a web in a recess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Inserting an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to the recess; 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serted into the recess to the coupling plate; A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es a step of installing a formwork and placing concrete to surround the coupling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휨 및 압축재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내화 피복이 필요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which can be used simultaneously as a bending and co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quire a fireproof coating will be described.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는 H형강(12)과, 상기 H형강(12)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후프 철근(20)과, 상기 H형강(12)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콘크리트 부재(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crete composite beam beam 100 includes an H-beam 12, a hoop rebar 2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H-beam 1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beam 12. The concrete member 30 is embedded to be embedded.

상기 H형강(12)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렌지(12a) 및 하부 플렌지(12c)와, 상기 상하부 플렌지(12a)(12c)를 서로 연결하는 웹(12b)을 포함한다. The H-beam 12 includes an upper flange 12a and a lower flange 12c arranged side by side and a web 12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12a and 12c to each othe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H형강(12)의 웹(12b)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타설시 콘크리트가 스며들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의 부착력을 증진시키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web 12b of the H-shaped steel 12 so as to soak the concrete during pouring to enhance the adhesion of the concrete member 30.

바람직하게, 상기 H형강(12)의 하부플렌지(12c) 또는 웹(12b)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에 매립되는 스터드(5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57)는 H형강(12)과 콘크리트 부재(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lower flange 12c or the web 12b of the H-shaped steel 12 has a stud 57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30 protruding. The stud 57 further strengthens the coupling of the H-shaped steel 12 and the concrete member 30.

상기 후프 철근(20)은 H형강(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H형강(12)를 감싸도록 H형강(12)에 용접된다. 바람직하게, 후프 철근(20)의 양끝단이 상부 플렌지(12a)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후프 철근(20)은 H형강(12)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H형강(12)의 횡단면에 걸쳐 고루 분산시키는 작용과, 횡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The hoop rebar 20 is welded to the H-shaped steel 12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1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shaped steel 12. Preferably, both ends of the hoop rebar 20 are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flange 12a. The hoop rebar 20 serves to evenly distribute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 12 over the cross section of the H-beam 12, and to resist the shear force acting perpendicular to the cross section.

상기 콘크리트 부재(30)는 H형강(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H형강(12)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웹(12b)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12c)를 매립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콘크리트 부재(30)의 단면은 그 상면이 하면보다 넓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의 상면이 하면보다 넓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55)가 거치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 concrete member 30 is formed to be integral with the H-shaped steel 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shaped steel 12, and is preferably formed to fill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12b and the lower flange 12c. . Preferably,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member 30 has a trapezoidal shape whose upper surface is wider than the lower surfac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30 is wider than the lower surf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rea on which the deck plate 55 can be mounted becomes wid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30)는 웹(12b)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 지(12c)를 그 내부에 매립하도록 형성된다.Preferably, the concrete member 30 is formed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12b and the lower flange 12c therein.

상기 콘크리트 부재(30)는 H형강(12)과 함께 휨응력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한다. 또한, 콘크리트 부재(30)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의 횡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휨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한다.The concrete member 30 effectively resists the bending stress and the compressive force acting in the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H-shaped steel 12. In addition, the concrete member 30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bending stress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100).

또한, 상기 H형강(12)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와 후술하는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로 축조된 구조물의 내화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이다.In addition, since the H-shaped steel 12 is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30 and the slab concre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shaped steel 1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ireproof coating treatment. This is a poin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fire resistance of the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의 상면은 소정의 거칠기(roughness)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상면에 타설되는 슬래브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roughness. This i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slab cast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는 콘크리트 부재(30) 내에 길이 방향으로 배근된 인장/압축 철근(5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압축 철근(51)(52)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에 저항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노출 철근(51)과 그 내부에 매립되는 매립 철근(52)으로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이들은 후프 철근(20) 내측면에 용접되거나 또는 철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인장/압축 철근은 후프 철근(20)의 간격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및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지지체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출 철근(51)과 매립 철근(52)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The concrete composite beams 100 may include tension / compression rebars 51 and 52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ncrete member 30.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51, 52 is to resist the tensile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100. Preferably, the tensile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is composed of exposed reinforcing bar 51 and the buried reinforcing bar 52 embedded therein without being embedded in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100, more preferably they are hoop reinforcement (20) It is welded to the inner side or fix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wire. This tension / compression rebar not only maintains the spacing of the hoop rebar 20 but also serves as a support for resisting tensile and compressive stress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and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52 is illust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r may be arranged in various configurations.

바람직하게, 상기 노출 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의 일측에 위치하면, 상기 매립 철근(52)은 하부 플렌지(12b)와 후프 철근(20)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출 철근(51)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상부 플렌지(12a)의 상부 또는 하부로 변경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flange 12a, the buried reinforcing bar 52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flange 12b and the hoop rebar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exposed rebar 51 may be chang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upper flange 12a as necessary.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30) 위에는 그 위에 데크플레이트(55)가 놓여져 지지되는 서포트(53)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53)는, 데크플레이트(55)를 지지하는 브라켓(53a)과, 상기 브라켓(53a)과 일체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부재(30)에 매립되는 매립부재(53b)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ncrete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support 53 on which the deck plate 55 is placed and supported thereon. The support 53 includes a bracket 53a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55 and a buried member 53b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53a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30.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53a)은 콘크리트 부재(30)의 상면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콘크리트 부재(30)의 상면 모서리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 예컨대 장방형의 "L"자 형상의 단면을 이룬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53a)은 미관을 위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그 외측 표면이 콘크리트 부재(30)의 외측 표면과 연속적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racket 53a is installed a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30, and more preferabl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edge shape of the concrete member 30, for example, a rectangular “L” shaped cross section. Achieve. More preferably, the bracket 53a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outer surface thereof is continuous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30 without protruding to the outside for aesthetic appearance.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하여 축조한 슬래브 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서는 철근(61)(62)과 H형강(12) 및 슬래브(60)만이 도시되었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편의상 생략되었다.5 and 6 illustrate a slab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 FIG. 6, only reinforcing bars 61 and 62, an H-beam 12, and a slab 60 are shown,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상기 슬래브 구조체는 슬래브(60)와, 상기 슬래브(60)를 지지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를 포함한다.The slab structure includes a slab (60), and a concrete composite beam (100) for supporting the slab (60).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의 서포트(53) 위에 데크플레이트(55)가 놓 여진다. 상기 데크플레이트(55)는 통상적으로 스틸 소재이며 용접에 의해 상기 서포트(53)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슬래브 구조체가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55)는 해체되지 않고 영구구조물로서 사용된다.The deck plate 55 is placed on the support 53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100. The deck plate 55 is typically made of steel and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53 by welding. The slab structure can then be completed by reinforcing bars and pouring concrete. At this time, the deck plate 55 is used as a permanent structure without being dismantl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60)에 배근되는 철근은 바람직하게, H형강(12)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보강 철근(61)과, 상기 H형강(12)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철근(62)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철근(62)은 보강 철근(61)과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일측의 보강 철근(61)에 미치는 압축력을 타측에 있는 보강 철근(61)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철근들이 서로 소정 간격 이내로 접근된 경우에 철근들 사이에서 응력이 상호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to the slab 60, preferably, reinforcing bar 6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shaped steel 12, a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a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H-shaped steel 12 62 is provided. Preferably,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62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reinforcing bar 61, and serves to transfer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61 on one side to the reinforcing bar 61 on the other side. It is already known that stresses can be transferred between reinforcing bars when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concrete are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31)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룬다. 직사각형 형태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거푸집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서포트(54)의 브라켓(54a)은 콘크리트 부재(31)의 상면 모서리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member 31. The rectangular concrete composite beam makes it easy to form formwork. In addition, the bracket 54a of the support 54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top edge of the concrete member 31.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편의를 위해 후프 철근(도 4의 20참조)은 도시를 생 략하였다.8 is a front view of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or convenience, the hoop reinforcing bars (see 20 in FIG. 4) are omitted.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있어서, H형강(12)의 양단부 근처에는 콘크리트 부재(31)가 형성되지 않고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함이다.I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rete member 31 is not formed near the both ends of the H-shaped steel 12 is maintained in an exposed state. This is to interconnect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s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노출된 H형강(12)의 웹(12b)의 적어도 일부는 절개되어 개구부(18)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상호 연결할 때 이웃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상부 인장/압축 철근이 개구부(18)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osed web 12b of the H-beam 12 is cut to form an opening 18, which is the upper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of the adjacent concrete composite beam when inter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This is for allowing the opening 18 to penetrate.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서로 연결된 연결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7에 도시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대한 연결예를 나타내었으며, 도면에는 H형강과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나머지 부재는 그 도시가 생략되었다.9 and 10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concrete composite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a connection example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shown in FIG. 7 is shown. In the drawing, only the H-beam and the concrete member are shown schematically, and the rest of the members are omitted.

상기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와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의 연결 방법을 설명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method of connecting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110a and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10b will be described.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현장에서 제작되거나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는 이웃하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1 H형강(12)의 단부 근처에는 콘크리트 부재(31)가 형성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H형강(12)의 단부에는 볼트(42)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The concrete composite beam may be manufactured in the field or supplied in advance in the factory. As described above, the concrete member 31 is not formed near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H-beam 12 to be coupled to the neighboring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10b. Are exposed. Preferably, the end of the first H-shaped steel 12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into which the bolt 42 is inserted.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와 결합되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0b)의 결합부에는 제2 콘크리트 부재(31‘)의 일부가 형성되지 않은 리세스부(70)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70)에는 제1 H형강(12)의 단부가 삽입된다.A recessed part 70 in which a part of the second concrete member 31 ′ is not formed is form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10b coupled to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10a. An end portion of the first H-shaped steel 12 is inserted into the recess 70.

또한, 제2 H형강(12‘)에는 상기 제1 H형강(12)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플레이트(40)가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플레이트(40)는 제2 H형강(12’)의 웹(12b')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0)는 용접이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웹(12b')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beam 12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late 40 for coupling with the first H-beam 12, preferably, the coupling plate 40 is a second H-beam 12'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web 12b '. The coupling plate 40 may be coupled to the web 12b 'using fastening means such as welding or bolts.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110b)를 연결함에 있어서, 먼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의 제1 H형강(12)의 단부를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에 형성된 리세스부(70)로 삽입시킨다.I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10a, 110b), first ends of the first H-beams 12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110a)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 It inserts into the recessed part 70 formed in 110b).

그런 다음, 상기 결합 플레이트(40)와 상기 제1 H형강(12)의 웹(12b)을 상호 체결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0)는 용접 또는 볼트(42)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제1 웹(12b)에 고정될 수 있다.Then, the coupling plate 40 and the web 12b of the first H-shaped steel 12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plate 40 may be fixed to the first web 12b by welding or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42.

이어서,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110b)의 연결부 및 공간을 둘러싸도록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한다.Subsequently, after the formwork (not shown)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necting portions and the sp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10a and 110b, the concrete is poured and completed.

상기 거푸집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은 연결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서 보 연결 후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슬래브와 함께 일괄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도 있다.The concrete pouring by the formwork can be carried out at the time of connection, alternatively, after the beam connection, the deck plate can be installed and concrete batching can be done together with the slab.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시킬 때, H형강(12)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노출된 인장/압축 철근(도 4의 51)은 연결되는 인접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세스부(70)에서는 상기 노출 철근(51)이 설 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xposed tensile / compressed reinforcing bars (51 in FIG. 4)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beams 12 interfere with adjacent concrete composite beams to be connect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cannot be installed in the recess 70.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의 H형강(12) 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8)가 형성된다. 동시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의 노출 철근(51')은 상기 개구부(18)에 상응하는 위치 즉, 콘크리트 부재(31)의 상면과 상부 플랜지(12a) 사이의 높이에 설치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an opening 18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H-shaped steel 12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10a as shown in FIG. 8. At the same time,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10b coupled as shown in FIG. 11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8,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31 and the upper flange ( It is installed at a height between 12a).

이러한 구성을 가진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110b)를 상호 결합하면,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의 노출 철근(51)이 이웃하는 제1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의 개구부(18)를 관통하게 되므로, 노출 철근(51)이 H형강을 간섭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10a and 110b having such a structur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adjacent to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10b ( Since it penetrates through the opening 18 of 110a,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H-beam.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51a)가 형성된 후프 철근(21)의 상부 내측면에 노출된 인장/압축 철근(51")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출 철근(51)은 H형강(12)의 상부 플렌지(12a)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인접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H형강과 부딪히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노출 철근(51")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응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한다. As another alternative, as shown in Fig. 12, an exposed tension / compression rebar 51 " may be loca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op rebar 21 having the bent portion 51a formed therein. The 51 is locat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a of the H-beam 12 so that it does not collide with the H-beam of the adjacent concrete composite beam. In this case, the exposed reinforcing bars 51 " It can be installed as a support for stress eff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구성이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13 to 20 show the construction of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H형강 (12)의 웹(12b)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음철근(150)을 구비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3,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joint reinforcing bar 150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from the web 12b of the H-beam 12.

상기 이음철근(150)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위에 가설되는 슬래브(미도시)와의 이음을 강화하고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H형강(12)의 웹(12b)으로부터 슬래브와 평행하게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0a)와, 상기 웹(12b)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된 채로 상기 콘크리트 부재(31)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는 고정부(150b)를 포함하여, 바람직하게 "L"자 형상을 이룬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150b)는 상기 웹(12b)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bar 150 is for reinforcing and reinforcing a joint with a slab (not shown) installed on a concrete composite beam, preferably extending in both sides in parallel with the slab from the web 12b of the H-beam 12 It comprises an extension part 150a and a fixing part 150b which is embedd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31 while extending downwardly in parallel with the web 12b, thereby forming an L shape. . More preferably, the fixing part 150b may be fixed to the web 12b by welding or the like.

상기 이음철근(150)은 상기 후프철근(20)의 사이 또는 그것에 접촉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후프철근(2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용접 등으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The joint reinforcing bar 150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or between the hoop reinforcing bars 20,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the like when contacting the hoop reinforcing bar 20.

본 실시예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이음철근(15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 연결철근(62)이 대체될 수 있다.Whe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is provided with a joint reinforcing bar 15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6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may be replaced.

아울러, 상기 이음철근(15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55)를 설치하고 슬래브(60)를 타설할 경우 슬래브 내로 매립되어 슬래브와의 결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킨다.In addition, the joint reinforcing bar 150 is embedded in the slab when the deck plate 55 is installed and the slab 60 is placed as shown in FIG. 5 to more firmly maintain the binding with the slab.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이음철근을 구비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31)와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스터드를 구비하지 않으며, 대신에 상기 이음철근을 통해 콘크리트 부재(31)와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having the joint reinforcing bar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stud for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member 31, instead of the concrete member ( 31) can increase the binding strength.

상기와 같은 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철근(150')은 H형강 (12)의 웹(12b)으로부터 슬래브와 평행하게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0'a)와, 상기 웹(12b)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H형강(12)의 하부 플렌지(12c)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된 채로 상기 콘크리트 부재(31) 내에 매립되는 고정부(150b')를 포함한다.As such an example, as shown in FIG. 14, the joint reinforcing bar 150 'is extended from the web 12b of the H-beam 12 to both sides parallel to the slab 150'a, and Fixing part 150b which extends downwardly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web 12b and is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31 with its end joined to the lower flange 12c of the H-shaped steel 12, for example, by welding. Contains').

이 경우, 상기 하부 플렌지(12c)에는 별도의 스터드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이음철근(150')의 고정부(150b')에 의해 콘크리트 부재(31)와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flange 12c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tud, and the bi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member 31 may be increased by the fixing part 150b 'of the joint reinforcing bar 150'.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결착력을 높이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30)에 구비된 서포트(54)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54)는 데크플레이트(도 5의 55)를 지지하는 브라켓(54a), 및 상기 브라켓(54a)과 일체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부재(30)에 매립되도록 상기 H형강(12)의 하부 플렌지(12c)까지 연장되는 매립부재(54b)를 포함한다.Another method for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to the concrete member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5, the concret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54 provided in the concrete member 30, and the support 54 includes a bracket 54a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55 of FIG. 5. And a buried member 54b formed integrally with the bracket 54a and extending to the lower flange 12c of the H-shaped steel 12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30.

여기에서, 상기 매립부재(54b)는 그 단부가 상기 하부 플렌지(12c)에 예컨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콘크리트 부재(31)와의 결착력을 높이는 보강 부재로 작용한다.Here, the buried member 54b has an end thereof fixed to the lower flange 12c by, for example, welding or the like, and serves as a reinforcing member for increasing bi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member 31.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16은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축방향 응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보여준다.FIG. 16, which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concrete composite beam that can effectively resist axial stress while improving the binding force on the concrete memb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부재(31) 내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제1 및 제2 보조철근(181)(182)이 더 설치되는데, 제1 보조철근(181)은 후프철근(20)에 내접하도록 설치되고, 제2 보조철근(182)은 H형강(12)의 웹(12b)에 내접하도록 설치된다. 이 보조철근은 축방향 응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역할도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air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s 181 and 182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concrete member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s 181 are hoop reinforcing bars 20. And the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 182 is installed to be inscribed in the web 12b of the H-shaped steel 12. This secondary rebar also effectively resists axial stress.

또한, 상기 보조철근(181)(182)들은 결속철근(18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상기 결속철근(180)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보조철근(181)(182)과 결속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용접되어 고정된 채로, 콘크리트 부재(31) 내에 매립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reinforcing bars (181, 182) are interconnected by the binding reinforcing bar 180, the binding reinforcement 180 is both ends of the secondary reinforcing bars (181, 182), or selectively welded It is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31 with it being fixed.

상기 결속철근(180)은 소정 간격으로 상기 후프철근(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후프철근(20)과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철근(180)은 후프철근(20)과 함께 폐쇄 철근 형태를 이루어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binding reinforcement 1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op reinforcement 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but may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hoop reinforcement 20. In this case, the binding reinforcement 180 forms a closed reinforcement shape together with the hoop reinforcement 20 to more effectively resist the stress applied in the axial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후프철근의 양끝단부는 H형강의 상부 플렌지에 고정되거나 용접되지 않고 그 보다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hoop rebar may be maintained at a higher position or lower position without being fixed or weld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즉, 도 17에서 보듯이 노출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 하부에 위치하고, 후프철근(20')은 그 양단이 H형강(12)과 접촉하여 고정되지 않고 상부 플렌지(12a) 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7,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is positioned under the upper flange 12a, and the hoop reinforcing bar 20' has both ends in contact with the H-shaped steel 12 and is not fixed to the upper flange 12a. It is located low.

또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듯이 노출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 상부에 위치하고 후프철근(20")은 그 양단이 H형강(12)과 접촉하여 고정되지 않고 상부 플렌지(12b)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8,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 is positioned above the upper flange 12a, and the hoop reinforcing bar 20 ″ is not fixed by contacting the H-shaped steel 12 at both ends thereof, rather than the upper flange 12b. It is located high up.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 ㅁ'자 형태의 후프철근(190)을 포함한다. 상기 후프철근(190)은 그 양단이 H형강(12)의 웹(12b)의 양측과 맞닿아 있으며 하부 플렌지(12c)를 감싸는 폐쇄형을 이루며 상기 양단은 별도의 고정없이 거치되거나 또는 용접처리된다.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9 includes a hoop reinforcing bar 190 in the form of 'ㅁ'. Both ends of the hoop reinforcement 190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eb 12b of the H-shaped steel 12 and form a closed type surrounding the lower flange 12c. .

또한, 상기 후프철근(190)의 상부는 콘크리트 부재(31)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슬래브(도 5의 60) 타설시에 슬래브 내에 매립되어 상호 결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이음철근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ement 190 is exposed without being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31 is embedded in the slab at the time of slab (60 of FIG. 5) to increase the mutual binding force.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joint rebar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출철근(51')이 설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철근(51')이 용접되거나 결속되어 거치되는 거치부재(191)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rtion where the exposed rebar 51 'needs to be installed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191 on which the exposed rebar 51' is welded or bound and mounted.

상기 거치부재(191)는 실질적으로 'L'자 형태를 이루며, 그 단부가 상기 후프철근(190)의 모서리 상단에 용접되거나 결속되어 고정되며, 코너 내접부에 노출철근(51')이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거치부재(19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노출철근(51')이 설치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The mounting member 191 has a substantially 'L' shape, the end is fixed or welded to the top of the corner of the hoop reinforcement 190, so that the exposed reinforcement (51 ') is fixed to the corner inner circumference Combined. The mounting member 191 is general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optionally installed in the area where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is installed as necessar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31)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장방형의 커버부재(195)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0A,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may include a rectangular cover member 195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concrete member 31.

상기 커버부재(195)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31)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The cover member 195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including carbon fiber FRP or glass fiber FRP,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concrete member 31.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19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제작할 때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커버부재(195)에 H형강(12)을 비롯한 매립 철근(52), 서포트(54), 이음철근(150)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커버부재(195)가 일체로 피복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cover member 195 may serve as a formwork when manufactur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ver member 195, including reinforcing bars 52, including H-shaped steel 12, When the support 54, the joint reinforcing bars 150, etc. are installed and the concrete is poured and cured,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in which the cover member 195 is integrally coated can be obtained.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19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운반 또는 시공 과정에서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ver member 195 can prevent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ing scratched or damaged during the transport or construction proces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콘크리트 부재(31)의 하단 모서리 코너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곡된 코너부재(195')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0B, the corner member 195 ′ b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corner corner of the concrete member 31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이 경우 상기 코너부재(195')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거나 스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코너부재(195')와 콘크리트 부재(31)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코너부재(19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rner member 195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containing carbon fiber FRP or glass fiber FRP or made of steel.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stud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orner member 195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corner member 195' and the concrete member 31.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로 설명된 구성들은 비록 단면이 사각형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대해서 한정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20 are limited to concrete composite beams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y are equally applicable to concrete composite beams having a trapezoidal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4. It must be understood.

도 21 및 도 2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기둥과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H형강, 노출 철근 및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시하였으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 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21 and 22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composite beam is connected to a colum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only the H-shaped steel, exposed steel bars and concrete member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s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previous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가 기둥(80)을 구성하는 H형강(84)과 같은 기둥파일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and 100b are vertically coupled to column pillars such as H-beams 84 constituting the column 80.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H형강(12)은 기둥(80)의 H형강(84)에 비해 크기가 작고,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H형강(12)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이다.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앞서 설명된 도 7에도시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는 앞서 설명된 도 12에 도시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기둥(80)의 플렌지(84b)에 결합되고,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는 웹(84a)에 결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H-beams 12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are smaller in size than the H-beams 84 of the columns 80, and the H-beams 12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b are the same. This is the case with size.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shown in FIG. 7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b have the concrete composite shown in FIG. 12 described above. I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tion beam. The case where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00a is coupled to the flange 84b of the pillar 80 and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00b is coupled to the web 84a will be described.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기둥의 결합을 위해서, 기둥(80)의 웹(84a) 및/또는 플렌지(84b)에는 결합 플레이트(41a)(41b)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1a)(41b)는 용접 또는 볼트, 리벳 등에 의해 웹(84a) 및/또는 플렌지(84b)에 결합된다.In order to bond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nd the column, the coupling plate 41a and 41b are installed in the web 84a and / or the flange 84b of the pillar 80 so as to extend laterally. The coupling plates 41a and 41b are coupled to the web 84a and / or the flange 84b by welding or bolts, rivets or the like.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80)의 웹(84a)에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41a)와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웹(12b)을 볼트(42a)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기둥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00b includes a coupling plate 41a formed in the web 84a of the pillar 80 and a web 12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00b.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lumn by engaging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42a.

이때,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노출 철근(도 12의 51")은 상부 플 렌지(12a)보다 상측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상부 플렌지(12a)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이웃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상부 플렌지(12a)에 간섭되지 않고 그 상부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in Fig. 12)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00b) is located at the height of the upper side than the upper flange (12a), the neighboring agent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12a) 1 can be extend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osite flanged steel beam (100a) of the upper flange 12a without interference.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기둥(80)의 플렌지(84b)에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41b)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웹(12b)을 볼트(42b)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기둥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그 단부가 H형강(84)의 플렌지(84b)에 직접 용접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00a fastens the coupling plate 41b formed on the flange 84b of the pillar 80 and the web 12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00a, such as a bolt 42b.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lumn by joining by means. As an alternative,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00a may be welded directly to the flange 84b of the H-beam 84.

이 경우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노출 철근(51)의 단부는 절단되어 플렌지(84b)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노출 철근(51)이 기둥(80)의 플렌지(84b)에 수직으로 설치된 용접 평판(85)에 용접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In this case, since the size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00a) is relatively small, the end of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is cut and fixed to the flange (84b). Preferably, 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00a is welded to the welding plate 85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lange 84b of the column 80. By doing so, it is more firmly combined.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80)의 플렌지(84b)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노출 철근(51)과 상응하는 요홈이 형성된 커플러(86)에 노출 철근(51)의 단부가 삽입된 후 용접됨으로써 플렌지(84b)에 결합될 수 있다. As another alternative, as shown in FIGS. 25 and 26, the exposed rebar 51 is installed in a coupler 86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lange 84b of the column 80 and having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rebar 51. The end of can be coupled to the flange 84b by being welded after insertion.

또한, 매립 철근(52)도 그 단부가 절단되어 상기 플렌지(84b)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52 is preferably cut and welded to the flange (84b).

이상과 같이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를 H형강(84)에 결합한 후, 기둥(80)에 수직 철근(81) 및 루프 철근(82) 등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완성한다.After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100b) to the H-beams (84)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reinforcement 81 and the loop reinforcement 82 and the like to the column 80 to form a formwork After completion, the concrete is poured to complete the column.

도 27 및 도 2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기둥과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H형강, 노출 철근 및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시하였으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27 and 28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composite beam is connected to a pilla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only H-shaped steel, exposed steel bars, and concrete member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의 웹(12b)의 노출된 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b)의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The exposed end 18 of the web 12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30a is formed with a cutout opening 18 as shown in FIG. 8.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30b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130b)가 기둥(80)의 H형강(84)에 결합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런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의 웹(12b)의 단부에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b)의 노출 철근(51L)(51R)이 상기 개구부(18)를 관통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를 간섭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도 28에서 보듯이,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b)의 좌측 노출 철근(51L)은 기둥(80)의 H형강(84) 옆으로 비껴서 연장되고, 우측 노출 철근(51R)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의 개구부(18)를 관통함으로써 연장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30a, 130b is coupled to the H-beams 84 of the column 8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However, since the opening 18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eb 12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30a, the exposed reinforcing bars 51L and 51R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130b are formed in the opening ( 18) and thus do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30a).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28, the left exposed reinforcement 51L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30b extends by the side of the H-beam 84 of the pillar 80, and the right exposed reinforcement 51R is It extends through the opening 18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30a.

본 실시예의 연결 방법에 따르면, 노출 철근을 절단하지 않고 계속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철근의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xposed rebar can be continuously extended without cutting, the reinforcement of the rebar can be improved by that much.

도 29 및 도 3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 합 형강보가 기둥과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H형강, 노출 철근 및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시하였으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29 and 30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composite beam is connected to a pilla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only H-shaped steel, exposed steel bars, and concrete member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본 실시예에서 기둥을 이루는 기둥파일은 사각형의 스틸 튜브(87)이다.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130b)는 상기 사각형 스틸 튜브(87)의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llar pile constituting the pillar is a rectangular steel tube 87.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30a and 130b are respectively coupled to side surfaces of the rectangular steel tube 87.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스틸 튜브(87)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스틸 튜브(87)의 측면에는 결합 플레이트(41a)(41b)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1a)(41b)는 용접 또는 볼트, 리벳 등에 의해 스틸 튜브(87)의 측면에 결합된다.In order to couple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nd the steel tube 87, the side of the steel tube 87 is installed so that the coupling plate (41a, 41b) extends laterally. The coupling plates 41a and 41b are coupled to the side of the steel tube 87 by welding or bolts, rivets, or the like.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130b)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틸 튜브(87)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b)의 일측 노출 철근(51L)은 스틸 튜브(87) 옆으로 비껴서 연장되고, 타측 노출 철근(51R)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의 개구부(18)를 관통함으로써 연장된다. Subsequently,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30a and 130b are coupled to the steel tube 87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milarly, one exposed reinforcing bar 51L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30b extends along the steel tube 87, and the other exposed reinforcing bar 51R extends out of the opening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130a. 18) through.

바람직하게, 노출 철근을 사각형 스틸 튜브(87)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술한 용접 평판(85) 또는 커플러(86)가 사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eld plate 85 or coupler 86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o couple the exposed rebar to the square steel tube 87.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틸 튜브(87)에는 복수의 스터드(87a)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스틸 튜브(87)와 콘크리트를 일체화시켜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의해 스틸 튜브(87)가 찢어지 는 것을 방지한다.More preferably, the steel tube 87 may be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studs 87a penetrate therein, which not only reinforces the strength by integrating the steel tube 87 and concrete, but also i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This prevents the steel tube 87 from tearing.

도 31 및 도 32는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와 도 12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가 사각형 스틸 튜브(88) 기둥파일에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준다. 31 and 32 are rectangular steel tube 88 column piles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and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b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2. Shows the configuration connected to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노출 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보다 상측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상부 플렌지(12a)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이웃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상부 플렌지(12a)에 간섭되지 않고 그 상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00b is locat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upper flange 12a, the neighboring first one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12a. The upper flange 12a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100a is extend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thereof.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이 결합되는 부분의 상기 사각형 스틸 튜브(88)의 내측면에는 보강리브(88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보강리브(88a)는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에 의하여 사각형 스틸 튜브(88)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reinforcing rib 88a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steel tube 88 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and 100b are coupled. The 88a is to prevent the rectangular steel tube 88 from being torn by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and 100b.

도 33 및 도 3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와 도 12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가 기둥과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H형강, 노출 철근 및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시하였으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33 and 34 show a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a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and a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a configuration shown in FIG. 12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lumn. In the drawings, only H-shaped steel, exposed steel bars, and concrete member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본 실시예에서 기둥을 이루는 기둥파일은 원통형의 스틸 튜브(89)이다.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는 상기 원통형 스틸 튜브(89)의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illar pile constituting the pillar is a cylindrical steel tube (89).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100b)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cylindrical steel tube (89).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스틸 튜브(89)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스틸 튜브(89)의 측면에는 결합 플레이트(41a)(41b)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1a)(41b)는 용접 또는 볼트, 리벳 등에 의해 스틸 튜브(89)의 측면에 결합된다.In order to couple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nd the steel tube 89, the side of the steel tube 89 is installed so that the coupling plate (41a, 41b) extends laterally. The coupling plates 41a and 41b are coupled to the side of the steel tube 89 by welding or bolts, rivets, or the like.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틸 튜브(89)에 결합된다.Subsequently,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and 100b are coupled to the steel tube 89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노출 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보다 상측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상부 플렌지(12a)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이웃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상부 플렌지(12a)에 간섭되지 않고 그 상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00b is locat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upper flange 12a, the neighboring first one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12a. The upper flange 12a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100a is extend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thereof.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이 결합되는 원통형 스틸 튜브(89)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보강리브(89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89a)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에 의하여 원통형 스틸 튜브(89)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inforcing ribs 89a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teel tube 89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and 100b are coupled. The reinforcement ribs 89a are to prevent the cylindrical steel tube 89 from being torn by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and 100b.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기둥 뿐만 아니라 흙막이벽의 H형강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것에 대한 실시예는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되어 있다.Concrete composite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H-beams of the retaining wall as well as the pillar in the same manner, an embodiment thereof is shown in Figures 35 and 36.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결합 플레이트(40)에 의하여 흙막이 벽(90)의 기둥파일인 H형강(91)과 연결되며 그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The concrete composite beam beam 100a is connected to the H-shaped steel 91 which is a pillar pile of the retaining wall 90 by the coupling plate 40, and the method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를 흙막이 벽(90)과 결합시킨 다음에, 연결 부(75)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부(75)를 매립시킨다.After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is combined with the retaining wall (90), the formwork is installed in the connecting portion 75 and the concrete is poured to bury the connecting portion 75.

본 명세서에서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H형강, 사각형 스틸 튜브, 원통형 스틸 튜브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방식으로 다양한 구조의 기둥파일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connected to an H-beam, a rectangular steel tube, and a cylindrical steel tube,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pillar files having various structures in the same mann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휨 및 압축재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내화 피복이 필요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ending and co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quire a fireproof coating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o each other or to pillars of a structure,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height without affec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둘째, 구조물에 작용하는 휨응력 및 압축 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Second, it provides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can effectively resist the bending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applied to the structure to each other or to the pillar of the structure.

셋째, H형강에 별도의 내화 피복 또는 내식 피복을 할 필요가 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do not need to have a separate fireproof coating or corrosion resistant coating on H-beams, or to a column of a structure.

넷째, 연결부에서 압축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Fourth, it provides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can smoothly transmit the compressive force in the connection portion to each other or to the pillar of the structure.

Claims (38)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상기 상부 플렌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reinforcing bars welded to the upper flang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surrounding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the web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Compris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the concret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 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nd at least one of the web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Concrete composite steel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 plate, and a reinforcing bar including a fixing portion embedded in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fixing por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a beam;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the concre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웹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fixing part of the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web.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소정간격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fixing part of the reinforcing bar is extended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web of the H-beam, th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concrete composite beam connecting method.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 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the web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auxiliary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cribed in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cone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rebars.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ing a binding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rete member;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the concret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The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It further comprises a joint reinforcing bar made of a fixed portion embedded in the interio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 extend late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How to connect.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H-shaped steel composed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nd the lower flanges of the H-shaped steel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eb.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ement, and at least on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and a concrete composite beam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the concret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고, The tension / compression rebar includes at least one exposed reinforcing bar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상기 노출철근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후프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unting member fixed to the upper edge of the hoop rebar so that the exposed reinforcing bar is couple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거치부재는, The mounting member, 그 단부가 상기 후프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코너 내접부에 상기 노출철근이 고정되도록 'L'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end is fixed to the top of the corner of the hoop reinforcement,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L' shape to form a fixed shape of the exposed reinforcing bar in the corner inner circumferenc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same, a plurality of hoop rebars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to be embedded, wherein the ends of the web are exposed.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the concret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nd at least one of the web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first and second joints includ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n extension, a fixing part embedded in an interior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 extend late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the concret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the web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auxiliary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cribed in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cone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rebars. Comprising the steps of having the information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comprising a coupling, which is installed rebar is embedded in the discrete members;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the concret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H-shaped steel composed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nd the lower flanges of the H-shaped steel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eb.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ement, and at least on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Comprising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comprising a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the concret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고,The tension / compression rebar includes at least one exposed reinforcing bar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상기 노출철근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후프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unting member fixed to the upper edge of the hoop rebar so that the exposed reinforcing bar is coupled.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거치부재는, The mounting member, 그 단부가 상기 후프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코너 내접부에 상기 노출철근이 고정되도록 'L'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end is fixed to the top of the corner of the hoop reinforcement,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L' shape to form a fixed shape of the exposed reinforcing bar in the corner inner circumference.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5,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The tension / compression rebar,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노출 철근; 및Exposed reinforcing bars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매립 철근;을 포함하고,Includes; the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상기 제1 및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중 어느 하나의 노출 철근은 그 H형강의 상부 플렌지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이웃하는 상 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H형강의 상부 플렌지 상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exposed reinforcing bar of any one of the first and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is locat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s, thereby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s of the adjacent second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s Connection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to the top.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매립 철근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기둥파일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t least one end of the embedded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pile beam, characterized in that welded to the pillar pile.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5,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The tension / compression rebar,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노출 철근; 및Exposed reinforcing bars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매립 철근;을 포함하고,Includes; the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에는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Opened cutouts are formed at exposed ends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노출 철근이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절개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connecting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osed reinforcement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extends through the cut opening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상기 기둥파일에는 용접 평판이 설치되고,The pillar pile is provided with a welding plate, 상기 인장/압축 철근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용접 평판에 용접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at least one end of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is welded to and supported by the welding plate.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기둥파일에는 요홈을 가진 커플러가 설치되고,The pillar pile is provided with a coupler having a recess, 상기 인장/압축 철근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요홈에 삽입된 채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at least one end of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is weld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상기 기둥파일은 H형강, 사각형 스틸 튜브 또는 원통형 스틸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pillar pile is H-shaped steel, rectangular steel tube or cylindrical steel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상기 서포트는,The support,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A bracke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to support the deck plate; And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a buried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acket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매립부재의 단부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end of the buried member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상면이 하면보다 넓은 사다리꼴 형상의 횡단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 The concrete member is a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a cross section of a trapezoidal shape wider than the lower surface.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Connection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 membe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rround the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커버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cover member is a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ynthetic resin containing carbon fiber FRP or glass fiber FRP.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same, a plurality of hoop rebars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to be embedded, wherein the ends of the web are exposed.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1 hav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웹이 노출되도록 리세스부가 형성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same, a plurality of hoop rebars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to be embedded, wherein the ends of the web are exposed.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a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a recess formed to expose the web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리세스부에 있는 웹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a web in a recess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an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to the recess;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serted into the recess to the coupling plate; And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coupling part and pouring concrete. 제7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13,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The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 및A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hoop reinforcement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cribed in the web of the H-beam; And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a binding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s.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하단 코너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코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Connection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rner membe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wer corner of the concrete member. 제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코너부재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또는 스틸 소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corner member is a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y one of synthetic resin or steel material including carbon fiber FRP or glass fiber FRP.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상기 H형강의 웹에는 콘크리트가 스며들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The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so that concrete can seep. 제17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15, 외부로 노출된 상기 H형강의 단부에는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Connection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end of the H-beam exposed to the outsid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the web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auxiliary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cribed in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cone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rebars. Binding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lit member, and a fixed part embedded in the interio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joint reinforcement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 extend late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ortion and pouring concrete; Connection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further comprises.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nd at least one of the web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 first concrete composite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 joint, and a reinforcing bar including a fixing part embedded in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late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from the fixing portion. Providing a beam;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 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웹이 노출되도록 리세스부가 형성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An H-shape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nd at least one of the web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joint, and a reinforcing bar including a fixing part embedded in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n extension part extending late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from the fixing part. Recess portions are formed to expose the web on at least part of the member Comprising a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리세스부에 있는 웹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a web in a recess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an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to the recess;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serted into the recess to the coupling plate; And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coupling part and pouring concret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the web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auxiliary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cribed in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cone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rebars. Providing a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ing a binding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rete member;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웹이 노출되도록 리세스부가 형성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the web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auxiliary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cribed in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cone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rebars. The method comprising: having two concrete composite beams in the beam portion includes a recess formed such that the binding is reinforced, which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discrete member, at least the web is exposed to a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리세스부에 있는 웹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a web in a recess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an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to the recess;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serted into the recess to the coupling plate; And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coupling part and pouring concret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the web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auxiliary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cribed in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cone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rebars. Binding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lit member, and a fixed part embedded in the interio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joint reinforcement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 extend late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a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 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웹이 노출되도록 리세스부가 형성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the web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to fill a portion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deck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ate, a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cribed in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second auxiliary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cribed in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The cone to interconnect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s. Bonded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crete member, and a fixed part embedded in the interio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 joint reinforcement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extending late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providing a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to expose the web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리세스부에 있는 웹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a web in a recess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an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to the recess;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serted into the recess to the coupling plate; And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coupling part and pouring concret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 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nd the lower flanges of the H-shaped steel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both ends thereof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eb.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ement, and at least on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Comprising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comprising a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웹이 노출되도록 리세스부가 형성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H-shaped steel composed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nd the lower flanges of the H-shaped steel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eb.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ement, and at least on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second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cluding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dispos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having a recessed portion to expose the web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리세스부에 있는 웹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a web in a recess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an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to the recess;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serted into the recess to the coupling plate; And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coupling part and pouring concrete.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H-shaped steel composed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nd the lower flanges of the H-shaped steel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eb.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ement, and at least on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above tension / compression rebar,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scribed with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H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so as to be inscribed in the web of the shaped stee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roviding a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ing a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 installed and a binding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s;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웹이 노출되도록 리세스부가 형성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H-shaped steel composed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nd the lower flanges of the H-shaped steel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that both ends thereof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web.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ement, and at least on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above tension / compression rebar,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scribed with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H A length room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inscribe the web of the section steel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installed to be installed and a binding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so as to interconnect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s, and a recess part to expose the web to at least a part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a forme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리세스부에 있는 웹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Installing a coupling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a web in a recess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an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to the recess;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serted into the recess to the coupling plate; And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And installing the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coupling part and pouring concrete.
KR1020040109983A 2004-09-11 2004-12-22 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KR1006947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2842 2004-09-11
KR1020040072842 2004-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928A true KR20060023928A (en) 2006-03-15
KR100694765B1 KR100694765B1 (en) 2007-03-14

Family

ID=3713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983A KR100694765B1 (en) 2004-09-11 2004-12-22 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47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887B1 (en) * 2007-09-04 2009-08-05 김용우 Fabricated manhole
KR102696086B1 (en) * 2023-05-22 2024-08-19 (주)보루 Non-supporting composite beam system for reducing a floor heigh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78B1 (en) 2008-12-02 2011-07-26 이승환 Basement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C me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887B1 (en) * 2007-09-04 2009-08-05 김용우 Fabricated manhole
KR102696086B1 (en) * 2023-05-22 2024-08-19 (주)보루 Non-supporting composite beam system for reducing a floor h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4765B1 (en)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147B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97194B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6691880B2 (en) Precast wall balustrade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KR102004419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column using V-shaped ties
KR100761786B1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KR20090068536A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of slab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10032687A (en) Construction method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KR101112195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781155B2 (en) Precast concrete board
JP2006328631A (en) Building floor structure system
KR100761785B1 (en) Mold-concrete composite crossbeam
KR200469319Y1 (en)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KR100694765B1 (en) 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JPH07292783A (en) Connective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JP4447632B2 (en) Beam and beam-column joint structure and method of joining the same
KR100694763B1 (en) Construction methods of underground structure adopting concrete-composite crossbeam
JP2016205054A (en)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building using the same
KR102491762B1 (en) the reinforcement member for half slim composite beam, the improved half slim composite beam and the improved half slim composite beam structure using the same
JP7427507B2 (en) Bonding structure and bonding method
KR200384109Y1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KR100640250B1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KR100452976B1 (en) Joint structure of steel plate reinforced RC beam and slab for slim floor system
KR20170036949A (en)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KR200423643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i-slab using plate
KR100452977B1 (en)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C beam and slab for slim flo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