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928A - 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 Google Patents
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3928A KR20060023928A KR1020040109983A KR20040109983A KR20060023928A KR 20060023928 A KR20060023928 A KR 20060023928A KR 1020040109983 A KR1020040109983 A KR 1020040109983A KR 20040109983 A KR20040109983 A KR 20040109983A KR 20060023928 A KR20060023928 A KR 200600239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web
- concrete member
- concrete composite
- embedd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same, a plurality of hoop rebars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to be embedded, wherein the ends of the web are exposed.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cluding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and at least one tensile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bar;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s disclosed, comprising: installing a formwork and placing concrete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콘크리트 복합 형강, 합성보, 보연결Concrete composite section steel, composite beam, beam connection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H형강을 이용한 슬래브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to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ab structure using the H-shaped ste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하여 구축된 슬래브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와 평면도이다.5 and 6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slab structure constructed using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of FIG.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inter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9.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0A and 20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concrete composite beam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ure 2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 to the pillar pi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도 21의 XIV-X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V-XIV ′ of FIG. 21.
도 23은 도 21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기둥의 H형강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concrete composite beam of FIG. 21 is connected to an H-beam of a column.
도 24는 도 23의 XVI-X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XVI 'of FIG. 23.
도 25는 도 21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기둥의 H형강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2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concrete composite beam of FIG. 21 is connected to an H-beam of a column.
도 26은 도 25의 XVIII-X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II-XVIII ′ of FIG. 25.
도 2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2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composite beam is connected to a pillar fi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8은 도 27의 XX-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XX 'of FIG. 27.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29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itution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to a pillar pi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도 29의 XXII-X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II-XXII 'of FIG. 29.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3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to the column pi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도 31의 XXIV-XX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IV-XXIV 'of FIG. 31.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기둥파일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3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to the column pi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4는 도 33의 XXVI-XX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3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VI-XXVI 'of FIG. 33.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흙막이벽에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35 and 36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 to th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래브 구조체에 사용되어 건물의 층고(層高)를 줄일 수 있고, 휨응력과 압축 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내화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in slab structures to reduce the height of buildings, effectively resist bending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and improve fire res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composite beams to each other or to pillars of a structure.
일반적으로, H형강보는 건물의 각 층의 바닥 또는 천장인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12)와 슬래브(11)는 슬래브 구조체(10)를 이룬다.In general, H-beams are widely used to support slabs, which are floors or ceilings of each floor of a building.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H-
한편, 건물의 각 층의 높이는 실내 공간의 높이와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더한 것이다. 즉,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를 줄일수록 각 층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층수의 건물이라도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가 작을수록 그 층고가 작아지기 때문에 시공비가 줄어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is the height of the interior space and the height of the slab structure (10). That is, as the height of the
상기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는 H형강보(12)의 높이(H1)와 슬래브(11)의 높이(H2)를 더한 것이다.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서 H형강보(12)의 높이(H1) 또는 슬래브(11)의 높이(H2)를 줄이게 되면 슬래브 구조체(10)의 지지력 또는 휨 저항력이 약해지게 되어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여기에서, 미설명 참조 부호 11a는 슬래브(11)에 배근된 철근이 다.The height H of the
또한, 슬래브 구조체(10)의 높이(H)를 줄이기 위해 H형강보(12)의 크기를 줄이면, 이 경우 H형강보(12’)의 횡단면적도 감소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 및 휨응력에 대해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H-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H형강보(12)의 상부 플렌지(12a)와 상응하는 홈(14a)이 형성된 데크플레이트(14)를 H형강보(12)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 구조체(15)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상기 홈(14a)의 깊이만큼 그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슬래브 구조체(15)는 슬래브(13)에 수직 방향(A)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만, 슬래브(13)에 평행한 방향(B)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대해서는 홈(14a)이 있는 부분의 슬래브(13)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전단 응력 및 휨 응력이 크게 집중되고 압축력에도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The
도 3은 H형강보(12)의 웹(12b)에 용접된 거치대(16)와, 거치대(16)에 설치된 데크플레이트(17)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19)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웹(12b)에 거치대(16)를 용접하여 설치하고, 거치대(16) 위에 데크플레이트(17)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H형강보(12)의 소정 부분이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한 슬래브 구조체(19)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상기 슬래브 구조체(19)는 도 2의 슬래브 구조체(15)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웹(12b)에 거치대(16)를 용접하는 과정을 추가적 으로 거쳐야 하고, 거치대(16)와 웹(12b)의 용접 부분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한편, 상기 슬래브 구조체들에서는 H형강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화재에 취약하다. 즉, 화재로 인한 고열이 그대로 H형강에 전달되어 H형강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출된 H형강은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가 되어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lab structures are vulnerable to fire because the H-beam is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high heat due to the fire is transmitted to the H-shaped steel as it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H-shaped steel is deformed. To prevent this, the exposed H-beams must be treated with a separate fireproof coating.
한편, 상기 H형강보들은 서로 용접하거나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H형강보의 연결 부분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있으므로 부식될 우려가 있고, 특히, 화재시에는 연결 부분이 쉽게 손상 및 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shaped steel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However, this method may be corroded because the connection part of the H-beam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part may be easily damaged and deformed in case of fire.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자는 휨 및 압축재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내화 피복이 필요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기둥 또는 흙막이벽과 같은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that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as the bending and compressive material and does not require a fireproof co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necting such concrete composite beams to each other or to a pillar of a structure such as a pillar or a retaining wall.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height of the structure without affec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or connecting to the pillar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부에서 응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 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can smoothly transfer stress in a connection part to each other or to a pillar of a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은,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상기 상부 플렌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figured to connect the H-shaped steel a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while the length of the upper flange is wrapped. A plurality of hoop reinforcing bars wel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fill the lower flange, and at least one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bars.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ing a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and a suppo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to support a deck plate;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our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 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the upper flange, the lower flange and the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A plurality of hoop bars installed,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s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bars, and the concrete A suppo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mber and supporting the deck plate thereon; a fixing portion embedded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n extens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fixing portion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Equipped with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s containing negative joints Step;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바람직하게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웹에 고정된다.Preferably, the fixing part of the reinforcing bar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web of the H-beam and is fixed to the web.
바람직하게, 상기 이음철근의 고정부는, 상기 H형강의 웹과 소정간격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된다.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is extended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is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 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ith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concrete member Buried in the concrete member so as to be inscribed on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first auxiliary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so as to be inscribed with the hoop rebar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beams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ing a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interconnect the bar reinforcing bars;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H형강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ith each other, while both ends of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wrap around the A plurality of hoop reinforcing bar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but,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the lower flange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ement; Providing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comprising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to a hoop reba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dispos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Installing a coupling plate to extend laterally on the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coupling plate and the web of the H-beam;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 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lange, the lower flange and the web connecting the H-shaped steel, a plurality of hoop rebar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the lower flange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so as to expose the end of the web,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comprising supports for laying deck plates thereon; 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와,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어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 된 이음철근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 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ith each other, and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 plurality of hoop reinforcement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the concrete member A suppo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a fixing portion embedded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fixing portion to extend late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With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comprising reinforced joints Step; 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도록 길이 방향으로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과, 상기 후프철근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보조철근 및 상기 H형강의 웹에 내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보조철근과, 상기 제1 및 제2 보조철근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결속철근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 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Prefera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to each other, and predetermined lengthwise to surround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 plurality of hoop rebars provided at intervals,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The concrete to support the deck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and to support the deck plate, and to be inscribed in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the first auxiliary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to 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scribed to the hoop reinforcement A second auxiliary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member and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 and the step of having the information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including binding reinforcement is installed embedded in the concrete element so as to interconnect the second auxiliary reinforcement; 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면서 그 양단부가 상기 웹의 양측과 맞닿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후프 철근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기둥파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및 제2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둥파일과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with each other, while both ends of the lower flange of the H-shaped steel wrap around the A plurality of hoop reinforcing bar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but,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to bury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upper portion of the hoop reinforcing bars, Providing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comprising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to the hoop reba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disposed on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Install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so as to extend lateral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ar pil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first coupling plate; Engag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installing a formwork so as to surround the pillar pile and the coupling part and placing concrete.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철근이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후프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ement includes at least one exposed reinforcing bar which is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mounting member fixed to an upper edge of the hoop reinforcement so that the exposed reinforcing bar is coupled and supported.
더욱 바람직하게, 그 단부가 상기 후프 철근의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코너 내접부에 상기 노출철근이 고정되도록 'L'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More preferably, the end is fixed to the top of the corner of the hoop reinforcement, form a 'L' shape so that the exposed reinforcement is fixed to the corner inner circumferen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노출 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매립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중 어느 하나의 노출 철근은 그 H형강의 상부 플렌지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이웃하는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H형강의 상부 플렌지 상부로 연장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the exposed reinforcing bar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buried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wherein the exposed reinforcing bars of any one of the first and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s are locat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s. It extends to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바람직하게, 상기 매립 철근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기둥파일에 용접된다.Preferably, at least one end of the buried rebar is welded to the pillar pi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지 않는 노출 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매립 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에는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노출 철근이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절개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exposed bar not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And a buried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wherein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s formed with a cut opening, thereby exposing the rebar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It may extend through the cut opening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둥파일에는 용접 평판이 설치되고,상기 인장/압축 철근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용접 평판에 용접되어 지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ar pile is provided with a welding plate, and at least one end of the tension / compression rebar is welded to and supported by the welding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파일에는 요홈을 가진 커플러가 설치되고, 상기 인장/압축 철근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요홈에 삽입된 채로 용접된다.Preferably, the pillar pile is provided with a coupler having a groove, and at least one end of the tension / compression reinforcing bar is weld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기둥파일은 H형강, 사각형 스틸 튜브 또는 원통형 스틸 튜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illar pile is preferably H-shaped steel, square steel tube or cylindrical steel tube.
바람직하게, 상기 서포트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uppor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bracke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And a buried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bracket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member.
여기서, 상기 매립부재의 단부가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에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end of the buried member may be fix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이를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감싸도록 용접되어 설치된 복수의 후프 철근과,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되 상기 웹의 끝단부는 노출되도록 상기 H형강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후프 철근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웹이 노출되도록 리세스부가 형성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리세스부에 있는 웹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를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부에 삽입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웹의 노출된 끝단부와 상기 결합 플레이트를 상호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lange, the lower flange and the web connecting the H-shaped steel, a plurality of hoop rebar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the lower flange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shaped steel so as to expose the end portion of the web,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installed on and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Comprising a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ck plate; An H-shaped steel consisting of an upper flange, a lower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same, a plurality of hoop rebars welded to surround the H-shaped stee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eb and a lower flange to be embedded, wherein the ends of the web are exposed. A concrete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H-beam, at least one tension / compression rebar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hoop reinforcement,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a deck plate installed on and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ember, Providing a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a recess formed to expose the web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crete member; Installing a coupling plate extending laterally from a web in a recess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Inserting an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into the recess; Coupling the exposed end of the web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inserted into the recess to the coupling plate; A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includes a step of installing a formwork and placing concrete to surround the coupling por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휨 및 압축재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내화 피복이 필요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of connecting a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which can be used simultaneously as a bending and co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quire a fireproof coating will be described.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는 H형강(12)과, 상기 H형강(12)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후프 철근(20)과, 상기 H형강(12)의 적어도 일부를 매립하도록 콘크리트 부재(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crete
상기 H형강(12)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상부 플렌지(12a) 및 하부 플렌지(12c)와, 상기 상하부 플렌지(12a)(12c)를 서로 연결하는 웹(12b)을 포함한다. The H-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H형강(12)의 웹(12b)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타설시 콘크리트가 스며들어서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의 부착력을 증진시키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바람직하게, 상기 H형강(12)의 하부플렌지(12c) 또는 웹(12b)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에 매립되는 스터드(5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57)는 H형강(12)과 콘크리트 부재(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상기 후프 철근(20)은 H형강(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H형강(12)를 감싸도록 H형강(12)에 용접된다. 바람직하게, 후프 철근(20)의 양끝단이 상부 플렌지(12a)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후프 철근(20)은 H형강(12)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H형강(12)의 횡단면에 걸쳐 고루 분산시키는 작용과, 횡단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콘크리트 부재(30)는 H형강(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H형강(12)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웹(12b)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지(12c)를 매립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콘크리트 부재(30)의 단면은 그 상면이 하면보다 넓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의 상면이 하면보다 넓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55)가 거치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30)는 웹(12b)의 적어도 일부와 하부 플렌 지(12c)를 그 내부에 매립하도록 형성된다.Preferably, the
상기 콘크리트 부재(30)는 H형강(12)과 함께 휨응력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한다. 또한, 콘크리트 부재(30)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의 횡단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휨응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H형강(12)은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와 후술하는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내화 피복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로 축조된 구조물의 내화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점이다.In addition, since the H-shaped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30)의 상면은 소정의 거칠기(roughness)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상면에 타설되는 슬래브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는 콘크리트 부재(30) 내에 길이 방향으로 배근된 인장/압축 철근(5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압축 철근(51)(52)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 및 압축 응력에 저항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압축 철근은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노출 철근(51)과 그 내부에 매립되는 매립 철근(52)으로 구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이들은 후프 철근(20) 내측면에 용접되거나 또는 철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인장/압축 철근은 후프 철근(20)의 간격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및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지지체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출 철근(51)과 매립 철근(52)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 철근이 배근될 수 있다.The concrete
바람직하게, 상기 노출 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의 일측에 위치하면, 상기 매립 철근(52)은 하부 플렌지(12b)와 후프 철근(20)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출 철근(51)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상부 플렌지(12a)의 상부 또는 하부로 변경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exposed reinforcing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부재(30) 위에는 그 위에 데크플레이트(55)가 놓여져 지지되는 서포트(53)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53)는, 데크플레이트(55)를 지지하는 브라켓(53a)과, 상기 브라켓(53a)과 일체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부재(30)에 매립되는 매립부재(53b)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53a)은 콘크리트 부재(30)의 상면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콘크리트 부재(30)의 상면 모서리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 예컨대 장방형의 "L"자 형상의 단면을 이룬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53a)은 미관을 위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그 외측 표면이 콘크리트 부재(30)의 외측 표면과 연속적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이용하여 축조한 슬래브 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서는 철근(61)(62)과 H형강(12) 및 슬래브(60)만이 도시되었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편의상 생략되었다.5 and 6 illustrate a slab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 FIG. 6, only reinforcing
상기 슬래브 구조체는 슬래브(60)와, 상기 슬래브(60)를 지지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를 포함한다.The slab structure includes a slab (60), and a concrete composite beam (100) for supporting the slab (60).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의 서포트(53) 위에 데크플레이트(55)가 놓 여진다. 상기 데크플레이트(55)는 통상적으로 스틸 소재이며 용접에 의해 상기 서포트(53)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슬래브 구조체가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55)는 해체되지 않고 영구구조물로서 사용된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60)에 배근되는 철근은 바람직하게, H형강(12)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보강 철근(61)과, 상기 H형강(12)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연결 철근(62)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철근(62)은 보강 철근(61)과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일측의 보강 철근(61)에 미치는 압축력을 타측에 있는 보강 철근(61)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된 철근들이 서로 소정 간격 이내로 접근된 경우에 철근들 사이에서 응력이 상호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to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31)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룬다. 직사각형 형태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거푸집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서포트(54)의 브라켓(54a)은 콘크리트 부재(31)의 상면 모서리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편의를 위해 후프 철근(도 4의 20참조)은 도시를 생 략하였다.8 is a front view of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or convenience, the hoop reinforcing bars (see 20 in FIG. 4) are omitted.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있어서, H형강(12)의 양단부 근처에는 콘크리트 부재(31)가 형성되지 않고 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함이다.I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노출된 H형강(12)의 웹(12b)의 적어도 일부는 절개되어 개구부(18)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상호 연결할 때 이웃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상부 인장/압축 철근이 개구부(18)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osed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서로 연결된 연결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7에 도시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대한 연결예를 나타내었으며, 도면에는 H형강과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나머지 부재는 그 도시가 생략되었다.9 and 10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concrete composite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a connection example of the concrete composite beam shown in FIG. 7 is shown. In the drawing, only the H-beam and the concrete member are shown schematically, and the rest of the members are omitted.
상기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와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의 연결 방법을 설명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method of connecting the first concrete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현장에서 제작되거나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는 이웃하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1 H형강(12)의 단부 근처에는 콘크리트 부재(31)가 형성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H형강(12)의 단부에는 볼트(42)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The concrete composite beam may be manufactured in the field or supplied in advance in the factory.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와 결합되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110b)의 결합부에는 제2 콘크리트 부재(31‘)의 일부가 형성되지 않은 리세스부(70)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70)에는 제1 H형강(12)의 단부가 삽입된다.A recessed
또한, 제2 H형강(12‘)에는 상기 제1 H형강(12)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플레이트(40)가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플레이트(40)는 제2 H형강(12’)의 웹(12b')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0)는 용접이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웹(12b')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beam 12 'is provided with a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110b)를 연결함에 있어서, 먼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의 제1 H형강(12)의 단부를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에 형성된 리세스부(70)로 삽입시킨다.In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10a, 110b), first ends of the first H-
그런 다음, 상기 결합 플레이트(40)와 상기 제1 H형강(12)의 웹(12b)을 상호 체결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0)는 용접 또는 볼트(42)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제1 웹(12b)에 고정될 수 있다.Then, the
이어서,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110b)의 연결부 및 공간을 둘러싸도록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한다.Subsequently, after the formwork (not shown)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necting portions and the sp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상기 거푸집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은 연결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서 보 연결 후에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슬래브와 함께 일괄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도 있다.The concrete pouring by the formwork can be carried out at the time of connection, alternatively, after the beam connection, the deck plate can be installed and concrete batching can be done together with the slab.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시킬 때, H형강(12)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노출된 인장/압축 철근(도 4의 51)은 연결되는 인접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세스부(70)에서는 상기 노출 철근(51)이 설 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xposed tensile / compressed reinforcing bars (51 in FIG. 4)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의 H형강(12) 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8)가 형성된다. 동시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의 노출 철근(51')은 상기 개구부(18)에 상응하는 위치 즉, 콘크리트 부재(31)의 상면과 상부 플랜지(12a) 사이의 높이에 설치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an
이러한 구성을 가진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110b)를 상호 결합하면,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b)의 노출 철근(51)이 이웃하는 제1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10a)의 개구부(18)를 관통하게 되므로, 노출 철근(51)이 H형강을 간섭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51a)가 형성된 후프 철근(21)의 상부 내측면에 노출된 인장/압축 철근(51")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출 철근(51)은 H형강(12)의 상부 플렌지(12a)의 표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므로 인접하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H형강과 부딪히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노출 철근(51")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응력을 효과적으로 지탱한다. As another alternative, as shown in Fig. 12, an exposed tension /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구성이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13 to 20 show the construction of a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H형강 (12)의 웹(12b)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음철근(150)을 구비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3,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joint reinforcing
상기 이음철근(150)은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위에 가설되는 슬래브(미도시)와의 이음을 강화하고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H형강(12)의 웹(12b)으로부터 슬래브와 평행하게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0a)와, 상기 웹(12b)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된 채로 상기 콘크리트 부재(31) 상면으로부터 내부로 매립되는 고정부(150b)를 포함하여, 바람직하게 "L"자 형상을 이룬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150b)는 상기 웹(12b)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상기 이음철근(150)은 상기 후프철근(20)의 사이 또는 그것에 접촉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후프철근(20)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용접 등으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The joint reinforcing
본 실시예와 같이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이음철근(15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 연결철근(62)이 대체될 수 있다.Whe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is provided with a joint reinforcing
아울러, 상기 이음철근(150)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55)를 설치하고 슬래브(60)를 타설할 경우 슬래브 내로 매립되어 슬래브와의 결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킨다.In addition, the joint reinforc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이음철근을 구비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31)와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스터드를 구비하지 않으며, 대신에 상기 이음철근을 통해 콘크리트 부재(31)와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having the joint reinforcing bar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stud for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with the
상기와 같은 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철근(150')은 H형강 (12)의 웹(12b)으로부터 슬래브와 평행하게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0'a)와, 상기 웹(12b)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H형강(12)의 하부 플렌지(12c)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결합된 채로 상기 콘크리트 부재(31) 내에 매립되는 고정부(150b')를 포함한다.As such an example, as shown in FIG. 14, the joint reinforcing bar 150 'is extended from the
이 경우, 상기 하부 플렌지(12c)에는 별도의 스터드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이음철근(150')의 고정부(150b')에 의해 콘크리트 부재(31)와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결착력을 높이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30)에 구비된 서포트(54)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54)는 데크플레이트(도 5의 55)를 지지하는 브라켓(54a), 및 상기 브라켓(54a)과 일체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부재(30)에 매립되도록 상기 H형강(12)의 하부 플렌지(12c)까지 연장되는 매립부재(54b)를 포함한다.Another method for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to the concrete member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5, the concret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여기에서, 상기 매립부재(54b)는 그 단부가 상기 하부 플렌지(12c)에 예컨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콘크리트 부재(31)와의 결착력을 높이는 보강 부재로 작용한다.Here, the buri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16은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축방향 응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보여준다.FIG. 16, which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concrete composite beam that can effectively resist axial stress while improving the binding force on the concrete member.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부재(31) 내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제1 및 제2 보조철근(181)(182)이 더 설치되는데, 제1 보조철근(181)은 후프철근(20)에 내접하도록 설치되고, 제2 보조철근(182)은 H형강(12)의 웹(12b)에 내접하도록 설치된다. 이 보조철근은 축방향 응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역할도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air of first and second
또한, 상기 보조철근(181)(182)들은 결속철근(18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상기 결속철근(180)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보조철근(181)(182)과 결속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용접되어 고정된 채로, 콘크리트 부재(31) 내에 매립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reinforcing bars (181, 182) are interconnected by the binding reinforcing
상기 결속철근(180)은 소정 간격으로 상기 후프철근(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후프철근(20)과 접촉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철근(180)은 후프철근(20)과 함께 폐쇄 철근 형태를 이루어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bin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후프철근의 양끝단부는 H형강의 상부 플렌지에 고정되거나 용접되지 않고 그 보다 높은 위치 또는 낮은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hoop rebar may be maintained at a higher position or lower position without being fixed or weld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즉, 도 17에서 보듯이 노출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 하부에 위치하고, 후프철근(20')은 그 양단이 H형강(12)과 접촉하여 고정되지 않고 상부 플렌지(12a) 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7,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is positioned under the
또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듯이 노출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 상부에 위치하고 후프철근(20")은 그 양단이 H형강(12)과 접촉하여 고정되지 않고 상부 플렌지(12b)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8, the exposed reinforcing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 ㅁ'자 형태의 후프철근(190)을 포함한다. 상기 후프철근(190)은 그 양단이 H형강(12)의 웹(12b)의 양측과 맞닿아 있으며 하부 플렌지(12c)를 감싸는 폐쇄형을 이루며 상기 양단은 별도의 고정없이 거치되거나 또는 용접처리된다.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9 includes a
또한, 상기 후프철근(190)의 상부는 콘크리트 부재(31) 내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되어 슬래브(도 5의 60) 타설시에 슬래브 내에 매립되어 상호 결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이음철근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출철근(51')이 설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철근(51')이 용접되거나 결속되어 거치되는 거치부재(191)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rtion where the exposed rebar 51 'needs to be installed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상기 거치부재(191)는 실질적으로 'L'자 형태를 이루며, 그 단부가 상기 후프철근(190)의 모서리 상단에 용접되거나 결속되어 고정되며, 코너 내접부에 노출철근(51')이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거치부재(19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노출철근(51')이 설치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The moun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콘크리트 부재(31)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장방형의 커버부재(195)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0A,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may include a
상기 커버부재(195)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31)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The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19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제작할 때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커버부재(195)에 H형강(12)을 비롯한 매립 철근(52), 서포트(54), 이음철근(150)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커버부재(195)가 일체로 피복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19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운반 또는 시공 과정에서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콘크리트 부재(31)의 하단 모서리 코너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곡된 코너부재(195')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0B, the
이 경우 상기 코너부재(195')는 카본섬유 FRP 또는 유리섬유 FRP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거나 스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코너부재(195')와 콘크리트 부재(31)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코너부재(195')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터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rner member 195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containing carbon fiber FRP or glass fiber FRP or made of steel.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stud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orner member 195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corner member 195' and the
도 13 내지 도 20을 참조로 설명된 구성들은 비록 단면이 사각형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대해서 한정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lthough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20 are limited to concrete composite beams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y are equally applicable to concrete composite beams having a trapezoidal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4. It must be understood.
도 21 및 도 2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기둥과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H형강, 노출 철근 및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시하였으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 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21 and 22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composite beam is connected to a colum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only the H-shaped steel, exposed steel bars and concrete member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s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previous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가 기둥(80)을 구성하는 H형강(84)과 같은 기둥파일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H형강(12)은 기둥(80)의 H형강(84)에 비해 크기가 작고,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H형강(12)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이다.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앞서 설명된 도 7에도시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는 앞서 설명된 도 12에 도시된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기둥(80)의 플렌지(84b)에 결합되고,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는 웹(84a)에 결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H-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기둥의 결합을 위해서, 기둥(80)의 웹(84a) 및/또는 플렌지(84b)에는 결합 플레이트(41a)(41b)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1a)(41b)는 용접 또는 볼트, 리벳 등에 의해 웹(84a) 및/또는 플렌지(84b)에 결합된다.In order to bond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nd the column, the
상기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80)의 웹(84a)에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41a)와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웹(12b)을 볼트(42a)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기둥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the second concrete
이때,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노출 철근(도 12의 51")은 상부 플 렌지(12a)보다 상측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상부 플렌지(12a)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이웃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상부 플렌지(12a)에 간섭되지 않고 그 상부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exposed reinforcing bar (51 "in Fig. 12) of the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100b) is located at the height of the upper side than the upper flange (12a), the neighboring agent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12a) 1 can be extend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osite flanged steel beam (100a) of the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기둥(80)의 플렌지(84b)에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41b)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웹(12b)을 볼트(42b)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기둥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그 단부가 H형강(84)의 플렌지(84b)에 직접 용접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ncrete
이 경우 상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노출 철근(51)의 단부는 절단되어 플렌지(84b)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노출 철근(51)이 기둥(80)의 플렌지(84b)에 수직으로 설치된 용접 평판(85)에 용접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In this case, since the size of the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100a) is relatively small, the end of the exposed reinforcing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80)의 플렌지(84b)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노출 철근(51)과 상응하는 요홈이 형성된 커플러(86)에 노출 철근(51)의 단부가 삽입된 후 용접됨으로써 플렌지(84b)에 결합될 수 있다. As another alternative, as shown in FIGS. 25 and 26, the exposed
또한, 매립 철근(52)도 그 단부가 절단되어 상기 플렌지(84b)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embedded reinforcing
이상과 같이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를 H형강(84)에 결합한 후, 기둥(80)에 수직 철근(81) 및 루프 철근(82) 등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완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완성한다.After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100b) to the H-beams (84) as described above, the
도 27 및 도 2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기둥과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H형강, 노출 철근 및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시하였으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27 and 28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composite beam is connected to a pilla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only H-shaped steel, exposed steel bars, and concrete member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의 웹(12b)의 노출된 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b)의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The expos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130b)가 기둥(80)의 H형강(84)에 결합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런데,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의 웹(12b)의 단부에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b)의 노출 철근(51L)(51R)이 상기 개구부(18)를 관통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를 간섭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도 28에서 보듯이,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b)의 좌측 노출 철근(51L)은 기둥(80)의 H형강(84) 옆으로 비껴서 연장되고, 우측 노출 철근(51R)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의 개구부(18)를 관통함으로써 연장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본 실시예의 연결 방법에 따르면, 노출 철근을 절단하지 않고 계속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철근의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xposed rebar can be continuously extended without cutting, the reinforcement of the rebar can be improved by that much.
도 29 및 도 3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 복 합 형강보가 기둥과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H형강, 노출 철근 및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시하였으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29 and 30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a concrete composite beam is connected to a pilla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only H-shaped steel, exposed steel bars, and concrete member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본 실시예에서 기둥을 이루는 기둥파일은 사각형의 스틸 튜브(87)이다.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130b)는 상기 사각형 스틸 튜브(87)의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llar pile constituting the pillar is a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스틸 튜브(87)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스틸 튜브(87)의 측면에는 결합 플레이트(41a)(41b)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1a)(41b)는 용접 또는 볼트, 리벳 등에 의해 스틸 튜브(87)의 측면에 결합된다.In order to couple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nd the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130b)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틸 튜브(87)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b)의 일측 노출 철근(51L)은 스틸 튜브(87) 옆으로 비껴서 연장되고, 타측 노출 철근(51R)은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30a)의 개구부(18)를 관통함으로써 연장된다. Subsequently,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바람직하게, 노출 철근을 사각형 스틸 튜브(87)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술한 용접 평판(85) 또는 커플러(86)가 사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스틸 튜브(87)에는 복수의 스터드(87a)가 내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스틸 튜브(87)와 콘크리트를 일체화시켜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에 의해 스틸 튜브(87)가 찢어지 는 것을 방지한다.More preferably, the
도 31 및 도 32는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와 도 12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가 사각형 스틸 튜브(88) 기둥파일에 연결되는 구성을 보여준다. 31 and 32 are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노출 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보다 상측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상부 플렌지(12a)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이웃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상부 플렌지(12a)에 간섭되지 않고 그 상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posed reinforc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이 결합되는 부분의 상기 사각형 스틸 튜브(88)의 내측면에는 보강리브(88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보강리브(88a)는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에 의하여 사각형 스틸 튜브(88)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reinforcing
도 33 및 도 3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와 도 12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가 기둥과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H형강, 노출 철근 및 콘크리트 부재만을 도시하였으며,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33 and 34 show a first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a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and a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 having a configuration shown in FIG. 12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lumn. In the drawings, only H-shaped steel, exposed steel bars, and concrete member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본 실시예에서 기둥을 이루는 기둥파일은 원통형의 스틸 튜브(89)이다.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는 상기 원통형 스틸 튜브(89)의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illar pile constituting the pillar is a cylindrical steel tube (89).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100b)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cylindrical steel tube (89).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와 스틸 튜브(89)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스틸 튜브(89)의 측면에는 결합 플레이트(41a)(41b)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41a)(41b)는 용접 또는 볼트, 리벳 등에 의해 스틸 튜브(89)의 측면에 결합된다.In order to couple the concrete composite beam and the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틸 튜브(89)에 결합된다.Subsequently, the first and second concrete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b)의 노출 철근(51")은 상부 플렌지(12a)보다 상측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상부 플렌지(12a)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이웃하는 제1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의 상부 플렌지(12a)에 간섭되지 않고 그 상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xposed reinforc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이 결합되는 원통형 스틸 튜브(89)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보강리브(89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89a)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100b)에 의하여 원통형 스틸 튜브(89)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inforcing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는 기둥 뿐만 아니라 흙막이벽의 H형강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것에 대한 실시예는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되어 있다.Concrete composite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H-beams of the retaining wall as well as the pillar in the same manner, an embodiment thereof is shown in Figures 35 and 36.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는 결합 플레이트(40)에 의하여 흙막이 벽(90)의 기둥파일인 H형강(91)과 연결되며 그 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The concrete
상기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100a)를 흙막이 벽(90)과 결합시킨 다음에, 연결 부(75)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결부(75)를 매립시킨다.After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100a) is combined with the retaining wall (90), the formwork is installed in the connecting
본 명세서에서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가 H형강, 사각형 스틸 튜브, 원통형 스틸 튜브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방식으로 다양한 구조의 기둥파일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crete composite beam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connected to an H-beam, a rectangular steel tube, and a cylindrical steel tube,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to pillar files having various structures in the same mann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휨 및 압축재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내화 피복이 필요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의 연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that can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ending and compress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quire a fireproof coating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구조물의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층고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o each other or to pillars of a structure,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he height without affect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둘째, 구조물에 작용하는 휨응력 및 압축 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Second, it provides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can effectively resist the bending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applied to the structure to each other or to the pillar of the structure.
셋째, H형강에 별도의 내화 피복 또는 내식 피복을 할 필요가 없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do not need to have a separate fireproof coating or corrosion resistant coating on H-beams, or to a column of a structure.
넷째, 연결부에서 압축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를 서로 연결하거나 구조물의 기둥에 연결하는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Fourth, it provides a connection method for connecting the concrete composite beams that can smoothly transmit the compressive force in the connection portion to each other or to the pillar of the structure.
Claims (3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72842 | 2004-09-11 | ||
KR1020040072842 | 2004-09-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3928A true KR20060023928A (en) | 2006-03-15 |
KR100694765B1 KR100694765B1 (en) | 2007-03-14 |
Family
ID=3713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9983A KR100694765B1 (en) | 2004-09-11 | 2004-12-22 | 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476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0887B1 (en) * | 2007-09-04 | 2009-08-05 | 김용우 | Fabricated manhole |
KR102696086B1 (en) * | 2023-05-22 | 2024-08-19 | (주)보루 | Non-supporting composite beam system for reducing a floor heigh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1978B1 (en) | 2008-12-02 | 2011-07-26 | 이승환 | Basement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C member |
-
2004
- 2004-12-22 KR KR1020040109983A patent/KR10069476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0887B1 (en) * | 2007-09-04 | 2009-08-05 | 김용우 | Fabricated manhole |
KR102696086B1 (en) * | 2023-05-22 | 2024-08-19 | (주)보루 | Non-supporting composite beam system for reducing a floor heigh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94765B1 (en) | 2007-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7147B1 (en)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97194B1 (en)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6691880B2 (en) | Precast wall balustrade mount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 |
KR102004419B1 (en) | Structure for reinforcing column using V-shaped ties | |
KR100761786B1 (en) | Concrete-composite Crossbeam | |
KR20090068536A (en) |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of slab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20110032687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 |
KR101112195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2781155B2 (en) | Precast concrete board | |
JP2006328631A (en) | Building floor structure system | |
KR100761785B1 (en) | Mold-concrete composite crossbeam | |
KR200469319Y1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 |
KR100694765B1 (en) | Connection methods of concrete-composite crossbeam | |
JPH07292783A (en) | Connective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 |
JP4447632B2 (en) | Beam and beam-column joint structure and method of joining the same | |
KR100694763B1 (en) | Construction methods of underground structure adopting concrete-composite crossbeam | |
JP2016205054A (en) |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building using the same | |
KR102491762B1 (en) | the reinforcement member for half slim composite beam, the improved half slim composite beam and the improved half slim composite beam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7427507B2 (en) | Bonding structure and bonding method | |
KR200384109Y1 (en) | Concrete-composite Crossbeam | |
KR100640250B1 (en) | Concrete-composite Crossbeam | |
KR100452976B1 (en) | Joint structure of steel plate reinforced RC beam and slab for slim floor system | |
KR20170036949A (en)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
KR200423643Y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i-slab using plate | |
KR100452977B1 (en) |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C beam and slab for slim floo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