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910A - Ink-jet printer - Google Patents

Ink-jet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910A
KR20060023910A KR1020040072834A KR20040072834A KR20060023910A KR 20060023910 A KR20060023910 A KR 20060023910A KR 1020040072834 A KR1020040072834 A KR 1020040072834A KR 20040072834 A KR20040072834 A KR 20040072834A KR 20060023910 A KR20060023910 A KR 20060023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lead screw
main body
belt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04007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3910A/en
Publication of KR2006002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9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35Handling copy materials differ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Landscapes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다른 다양한 인쇄물을 인쇄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피인쇄물을 X축방향으로 로딩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컨베이어의 상부에는 프린트헤드를 갖는 잉크젯 프린팅유닛이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헤드는 피인쇄물에 대하여 Y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잉크를 분사하여 피인쇄물을 인쇄한다. 또한, 본체에는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가 회전할 수 있도록 기립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는 회전조작기구와 연동장치에 의하여 연동되어 회전된다. 제1 및 제2 캐리지는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 중 두개씩에 나사운동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운동하는 제1 및 제2 캐리지는 잉크젯 프린팅유닛을 승강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인쇄물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유닛의 높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의 셀프로킹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팅유닛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인쇄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nkjet printer capable of printing various printed material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yor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load the printed matter in the X-axis direction, and an inkjet printing unit having a print head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so as to move up and down. The print head sprays ink while linearly reciprocating in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o-be-printed object to print the to-be-printed object.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standing so that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 can rotate,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ry operation mechanism and the interlocking device.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are fastened so as to be screwed into two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which are screw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raise and lower the inkjet prin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inkjet printing unit can be easily and precisely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to-be-printed o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inkjet printing unit set by the self-locking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is firmly maintained so that the print quality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잉크젯, 프린터, 높이조절, 스크류, 콘베이어Inkjet, Printer, Height Adjustable, Screw, Conveyor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Inkjet Printer {INK-JET PRIN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에서 톱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cover separated from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에서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yor in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에서 승강장치, 회전조작기구, 연동장치와 제1 및 제2 캐리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device, the rotary operation mechanism, the interlocking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in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에서 승강장치, 회전조작기구, 연동장치와 제1 및 제2 캐리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device, the rotary operation mechanism, the linkage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 in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에서 컨베이어, 승강장치의 제1 스크루, 제2 스크루, 제1 벨트전동장치, 제2 벨트전동장치와 제1 캐리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6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yor, a first screw, a second screw, a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a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and a first carriage in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에서 컨베이어, 승강장치의 제3 스크루, 제4 스크루, 제1 벨트전동장치, 제3 벨트전동장치와 제2 캐리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yor, a third screw, a fourth screw, a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a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and a second carriage in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에서 컨베이어, 승강장치와 잉크젯 프린팅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yor, a lifting device and an inkjet printing unit in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에서 연동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 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terlock device in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피인쇄물 10: 본체1: object 10: main body

11: 베이스 12: 제1 사이드프레임11: base 12: first sideframe

13: 제2 사이드프레임 20: 컨베이어13: second sideframe 20: conveyor

30: 제1 벨트컨베이어 40: 제2 벨트컨베이어30: first belt conveyor 40: second belt conveyor

50: 구동장치 52: 서보모터50: drive device 52: servo motor

54: 테이블 60: 잉크젯 프린팅유닛54: Table 60: Inkjet Printing Unit

61: 섀시 64: 프린트헤드 61: chassis 64: printhead

65: 서보모터 66: 컨테이너 65: servomotor 66: container

67: 벌크잉크통 68: 호스 67: bulk ink container 68: hose

100: 승강장치 101: 제1 리드스크루100: lifting device 101: first lead screw

102: 제2 리드스크루 103: 제3 리드스크루102: second lead screw 103: third lead screw

104: 제4 리드스크루 110: 회전조작기구104: fourth lead screw 110: rotary operation mechanism

111: 축 112: 핸들 111: axis 112: handle

120: 연동장치 130: 제1 벨트전동장치120: linkage device 130: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140: 제2 벨트전동장치 150: 제3 벨트전동장치140: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150: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160: 제1 캐리지 170: 제2 캐리지160: first carriage 170: second carriage

180: 컨트롤러 220: 연동장치180: controller 220: interlocking device

230: 제1 벨트전동장치 240: 제2 벨트전동장치230: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240: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250: 제3 벨트전동장치 260: 제4 벨트전동장치250: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260: fourth belt transmission device

P1: 로딩/언로딩위치 P2: 인쇄위치P1: Loading / Unloading Position P2: Printing Position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다른 다양한 피인쇄물에 잉크젯 프린팅유닛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인쇄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jet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kjet printer capable of printing by easi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nkjet printing unit on various printed matter of different thicknesses.

프린터는 컴퓨터와 인터페이스되어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용지, 물체 등과 같은 다양한 피인쇄물에 출력하여 인쇄하는 장치이다. 프리터는 피인쇄물에 정보를 인쇄하는 방식에 따라서, 기계적 충격을 이용하는 충격식 프린터(Impact print)와 비충격식 프린터(Non-impact print)로 구분된다. 비충격식 프린터로는 잉크젯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감열식 프린터(Thermal print), 정전기식 프린터(Electrostatic printer) 등 다양한 방식의 프린터가 개발되어 있다.A printer is a device that interfaces with a computer and outputs data input from the computer to various printed matters such as paper or an object to print. The printer may be classified into an impact print using a mechanical impact and a non-impact print according to a method of printing information on a printed object. Non-impact printers have been developed for various types of printers, such as inkjet printers, laser printers, thermal printers, and electrostatic printers.

잉크젯 프린터는 미국 특허 제6712450호, 제6726313호, 제6755514호, 제6758544호, 제6781290호 등 많은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기 문헌들에 공개된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트헤드가 피인쇄물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프린트헤드의 노즐들을 통하여 피인쇄물의 표면에 잉크를 도트방식으로 분사하여 인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피인쇄물에 대하여 프린트헤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서, 두께의 차이가 많이 나는 다양한 크기의 피인쇄물을 인쇄하는 데는 부적합하다. 특히, 롤피드(Roll feed)의 피드롤러와 아이들롤러에 의하여 피인쇄물을 로딩하는 구조는 피인쇄물을 로딩할 수 있는 두께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단단한 피인쇄물은 로딩할 수 없어서 인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kjet printers can be found in many documents, such as US Pat. Nos. 6712450, 6726313, 6755514, 6758544, and 66789090. In the inkjet printer disclosed in the above documents, the printhead is configured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o-be-printed object, and to print by jetting ink on the surface of the to-be-printed object through the nozzles of the printhead. . However, since the height of the printhead cannot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to-be-printed object, it is not suitable for printing a to-be-printed object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thickness. In particular, the structure of loading a to-be-printed object by a feed roller and an idle roller of a roll feed is not only limited in thickness to which the to-be-loaded material can be loaded, but also a hard-to-be-printed material that cannot be printed. There is this.

한편, 두께가 다르거나 단단한 피인쇄물의 인쇄를 위한 잉크젯 프린터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273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피인쇄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의 하부에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X"자형 제1 및 제2 링케이지(Linkage)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링케이지의 링크들은 피봇들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제1 및 제2 링케이지의 상단 한쪽에 결합되어 있는 피봇들은 가이드바들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는 볼부시들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볼부시들은 이동바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조절나사축은 프레임을 관통하여 이동바의 나사구멍에 체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절나사축을 회전시키면 이동바는 나사운동하고, 이동바의 나사운동에 의하여 볼부시들이 가이드바들을 따라 미끄럼운동하면서 이동바의 직선운동을 안내한다. 이동바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제1 및 제2 링케이지가 피봇들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며, 이에 따라 테이블이 승강운동하여 프린트헤드에 대하여 피인쇄물의 높이를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an inkjet printer for printing a different thickness or hard to-be-printed object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327398. In this technique, a frame is provided at a lower part of a table on which a printed object can be placed, and "X" shaped first and second linkage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frame. The link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ages are rotatably connected about the pivots, and the pivot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ag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all bushes that slide along the guide bars. It is connected. The ball bushes are connected by a moving bar, and the adjusting screw shaft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s of the moving bar through the frame. When the user rotates the adjusting screw shaft, the moving bar is screwed, and the ball bushes slide along the guide bars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bar by the screw movement of the moving bar. The first and second ring cages are folded or unfolded by rotating the movement bar about the pivots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ing bar, and thus the table is moved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int object with respect to the print head.

그런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27398호의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트헤드를 타이밍벨트 전동장치들에 의하여 X축과 Y축방향으로 직교좌표운동시키기 때문에 잉크젯 프린터의 상부가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테이블 위에 피인쇄물을 로딩 및 언로딩할 때 피인쇄물이 프린트헤드와 타이밍벨트전동장치 등 구성요소들과 간섭될 우려가 매우 높으며, 간섭을 회피하여 피인쇄물을 로딩 및 언로딩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By the way, the inkjet printer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327398 has a complicated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inkjet printer is moved because the printhead is orthogonal to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by the timing belt transmission devices. Therefore, when an operator loads and unloads a substrate on a tabl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ubstrate will interfere with components such as the printhead and the timing belt motor, and there is a lot of trouble in loading and unloading the substrate to avoid interfere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is reduced due to the effort and time.

한편, 테이블의 상면에는 피인쇄물의 고정을 위하여 피인쇄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홈을 형성하거나 클램프(Clamp), 고정장치(Fixture)를 설치해야 하므로, 테이블은 피인쇄물의 고정에 적합한 구조로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의 교체를 위해서는 프레임으로부터 설치되어 있던 테이블을 분리하고 다른 테이블을 프레임에 고정해야만 한다. 그러나 프린트헤드와 제1 및 제2 링케이지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테이블을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준비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프린트헤드에 테이블이 접촉하여 프린트헤드가 파손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op surface of the table must be formed with a groove for mounting the printed matter, or a clamp or a fixture must be installed to fix the printed material. have. In order to replace such a tabl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table from the frame and fix another table to the frame. However, changing the table in a small space between the printhead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cages is very cumbersome, which delays the preparation time and inadvertently damages the printhead due to operator contact with the table. It often happens.

또한, 제1 및 제2 링케이지의 링크들은 피봇들의 연결 구조에 의하여 프린트헤드의 직교좌표운동시 발생하는 기계적 진동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요동되면서 테이블의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피인쇄물의 인쇄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프린트헤드의 직교좌표운동시 발생하는 기계적 진동과 지터(Jitter)는 프린트헤드의 오류를 발생하여 피인쇄물의 인쇄 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link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cages are easily shaken by external shocks and mechanical vibrations generated during the Cartesian coordinate movement by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ivots, thereby generating vibration of the table, thereby printing quality of the to-be-printed object. There is a problem that greatly lowers. In particular, mechanical vibrations and jitter generated during the Cartesian coordinate movement of the printhead may cause errors in the printhead, resulting in poor printing of the to-be-printed objec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다른 다양한 피인쇄물에 대하여 잉 크젯 프린팅유닛의 높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jet printer that can easily and accurately adjust the height of the inkjet printing unit for a variety of prints of different thicknesse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팅유닛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기계적인 진동과 지터에 의한 오류가 방지되어 인쇄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jet printer capable of improving the printing quality and reliability by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 and jitter, since the position of the inkjet printing unit set by a simple structure is firmly maintaine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인쇄물의 Y축운동과 프린트헤드의 X축운동에 의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구조에 의하여 본체의 전방에 노출되는 피인쇄물의 로딩/언로딩위치에서 피인쇄물을 탑재하기 위한 테이블의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테이블 위에 피인쇄물을 간편하게 로딩 및 언로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 to-be-printed object in the loading / unloading position of the to-be-exposed object to be ex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by the printing by the Y-axis motion of the to-be-printed object and the X-axis motion of the printhea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kjet printer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a table replacement and improving productivity by easily loading and unloading a substrate on a t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젯 프린팅유닛의 인쇄위치에 피인쇄물을 로딩하는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장치가 컨베이어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는 구조에 의하여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kjet printer capable of improving a design by a structure in which a driving device of a belt conveyor for loading an object on a printing position of an inkjet printing unit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a conveyor frame.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는, 본체와; 상부에 피인쇄물을 장착하여 X축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의 일측 근방에서 상기 콘베이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리드스크류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의 타측 근방의 상기 제1 및 제2 리드스크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콘베이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3 및 제4 리드스크류와; 상기 본 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회전조작수단과; 상기 회전조작수단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조작수단과 상기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를 연결하는 연동수단과; 상기 회전조작수단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하게 상기 콘베이어의 상부에서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제1 캐리지와, 상기 제3 및 제4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제2 캐리지와; 일단은 상기 제1 캐리지에 타단은 상기 제2캐리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수직인 Y축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면서 잉크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프린트헤드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A convey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mount the to-be-printed object on the upper side and to transfer the printed matter in the X-axis direction; First and second lead screw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one side of the conveyo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near the other side of the conveyor. Third and fourth lead screws arranged to protrude upward of the convey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ad screws; Rotating operation means installed to rotate on the main body; Interlocking means for connecting the rotary operating means and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such that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rotate by rotation of the rotary operating means; A first carriage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s and a second screwed to the third and fourth screws such that vertical movement is possible at the top of the conveyor horizontally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operation means. Carriage; An inkjet printing unit having a printhea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carriag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rranged to eject ink while being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는 상기 콘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콘베이어의 중앙부에 설치하여 컴팩트한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ompact printer by installing a drive means for driving the conveyor in the center of the conveyo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는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1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의 상면 양측에 용지, 다양한 물체 등 피인쇄물(1)의 이송방향(X축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 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10)의 제1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 13)은 제1 및 제2 사이드커버(14, 15)에 의하여 둘러싸여져 있고, 제1 및 제2 사이드커버(14, 15)의 상부 중앙에는 톱커버(16)가 장착되어 있 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The main body 10 is mounted on the base 11 an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 so as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to-be-printed object 1 such as paper and various objects. It consists of side frames 12 and 13.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2 and 13 of the main body 10 are surrounded by the first and second side covers 14 and 15,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covers 14 and 15. Top cover (16) is mounted in the center.

도 1 내지 도 3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는 베이스(11)의 상부 중앙에 피인쇄물(1)을 로딩 및 언로딩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Conveyer: 20)를 구비하며, 컨베이어(20)는 베이스(11)의 전방과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20)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의 제1 및 제2 컨베이어프레임(31, 41)은 베이스(11)의 상부 양측에 피인쇄물(1)의 이송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 각각의 제1 및 제2 원동풀리(32, 42)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프레임(31, 41)의 내측 중앙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4 종동풀리(33, 34, 43, 44)는 제1 및 제2 컨베이어프레임(31, 41)의 내측 양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1 벨트컨베이어(30)의 제1 벨트(35)는 제1 원동풀리(32), 제1 및 제2 종동풀리(33, 34)에 감아 걸려 있고, 제2 벨트컨베이어(40)의 제2 벨트(45)는 제2 원동풀리(42), 제3 및 제4 종동풀리(43, 44)에 감아 걸려 있다.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의 제1 및 제2 원동풀리(32, 42), 제1 내지 제4 종동풀리(33, 34, 43, 44)는 타이밍풀리(Timing pulley)로 구성하고, 제1 및 제2 벨트(35, 45)는 타이밍벨트(Timing belt)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로 구성되는 타이밍벨트컨베이어에 의해서는 미끄럼 없이 정확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1 to 3 and 6 to 8,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or (20) that is installed to load and unload the substrate 1 in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11) ), The conveyor 20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base (11). The conveyor 20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which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frames 31 and 41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are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to-be-printed object 1 on both sides of the base 11 so as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It is installed.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pulleys 32 and 42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are rotatably mount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frames 31 and 41. The first to fourth driven pulleys 33, 34, 43, and 44 are mounted on both inn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frames 31 and 41 so as to rotate. The first belt 35 of the first belt conveyor 30 is wound around the first prime pulley 32, the first and second driven pulleys 33 and 34, and the second belt conveyor 40 is wound on the second belt conveyor 40. The belt 45 is wound around the second prime pulley 42 and the third and fourth driven pulleys 43 and 44. The first and second driven pulleys 32 and 42 and the first to fourth driven pulleys 33, 34, 43, and 44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are timing pulleys. The first and second belts 35 and 45 may be configured with a timing belt. Thus, the timing belt conveyor composed of the timing pulley and the timing belt can accurately transmit power without slipping.

또한,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의 제1 및 제2 원동풀리(32, 42)는 서로 연동하도록 축(21)에 의하여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벨트(35)는 제1 컨베이어프레임(31)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아이들롤러(36a~36c)에 의하여 텐션(Tension)이 유지되어 있으며, 제2 벨트(45)는 제2 컨베이어프레임(41)에 장착되어 있는 제4 내지 제6 아이들롤러(46a~46c)에 의하여 텐션이 유지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아이들롤러(36a~36c)와 제4 내지 제6 아이들롤러(46a~46c) 각각은 제1 내지 제3 축(22a~22c)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Further,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pulleys 32 and 42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are coaxially connected by the shaft 21 so as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 first belt 35 is tensioned by the first to third idle rollers 36a to 36c mounted on the first conveyor frame 31, and the second belt 45 has a second tension. The tension is maintained by the fourth to sixth idler rollers 46a to 46c attached to the conveyor frame 41. Each of the first to third idle rollers 36a to 36c and the fourth to sixth idler rollers 46a to 46c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to third axes 22a to 22c.

도 3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20)는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의 제1 및 제2 원동풀리(35, 45)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2 원동풀리(4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50)를 갖추고 있다. 구동장치(50)는 제2 컨베이어프레임(41)의 외측 중앙과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마운팅플레이트(Mounting plate: 51)와, 마운팅플레이트(51)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서보모터(52)와, 이 서보모터(52)의 구동력을 축(21)에 전달하는 기어열(Gear train: 53; 53a~53d)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동장치(50)가 제2 컨베이어프레임(45)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컨베어(20)를 베이스(11)의 상부에 설치할 경우, 구동장치(50)는 제1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 13) 사이에 은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는 컨베이어프레임의 선단 또는 후단에 서보모터가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일반적인 컨베이어에 비하여 그 디자인을 좋게 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7, the conveyor 20 may be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rime pulleys 35 and 45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for example, the first one. The drive device 50 which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two-driven pulley 45 is provided. The driving device 50 includes a mounting plate 51 moun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outer center of the second conveyor frame 41, and a servo motor mounted to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mounting plate 51. 52 and a gear train 53 (53a to 53d)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ervomotor 52 to the shaft 21. In this way, when the driving device 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1, the conveyor 20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conveyor frame 45, the driving device 50 is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 12, 13). Therefore,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by improving the design compared to the general conveyor that is mounted so that the servo motor is exposed to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conveyor frame.

도 1 내지 도 3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의 제1 및 제2 벨트(35, 45)에는 피인쇄물(1)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54)이 장착되어 있고, 테이블(54)의 하면에는 제1 및 제2 벨트(35, 45)의 내측단에 지지되어 테이블(54)이 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55)가 장착되어 있다. 스페이서(55)는 제1 및 제2 벨트(35, 45)의 내측단에 지지되도록 테이블(54)의 하면 양측에 돌출되는 한쌍의 레그(Leg)로 대신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의 제1 및 제2 사이드프레임(31, 32) 사이에는 축(21)과 제1 내지 제3 축(22a~22c)을 덮는 커버(56)가 장착되어 있다. 도 1, 도 2와 도 6 내지 도 8에는 테이블(54)의 상면에 하나의 피인쇄물(1)이 올려놓여져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테이블(54)의 상면에는 다수의 피인쇄물(1)을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54)의 상면에 올려놓여지는 피인쇄물(1)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테이블(54)에 피인쇄물(1)을 정합시킬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안착시키거나 클램프, 고정장치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2,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은 테이블(54)에 피인쇄물(1)을 로딩하고 테이블(54)로부터 인쇄가 완료된 피인쇄물(1)을 언로딩하는 로딩/언로딩위치(P1)로 된다. 컨베이어(20)의 중앙은 피인쇄물(1)에 인쇄를 하는 인쇄위치(P2)로 된다.1 to 3 and 8, a table 54 on which the printed matter 1 can be placed on the first and second belts 35 and 45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54 and is supported by the inn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lts 35 and 45 so as to prevent the table 54 from flowing in the Y-axis direction. Is equipped. The spacer 55 may be replaced by a pair of leg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54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inn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lts 35 and 45.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31 and 32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a cover 56 covering the shaft 21 and the first to third shafts 22a to 22c is provided. It is installed. 1, 2, and 6 to 8 illustrate that one object 1 is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able 54,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 plurality of objects on the top surface of the table 54 are illustrated. (1) can be put up. And the to-be-printed object 1 pu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54 forms a groove which can align the to-be-printed object 1 in the table 54, as it is well known, and is seated or fixed by a clamp or a fixing device. can do. As shown in Figs. 2 and 6 to 8,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loads the to-be-printed object 1 on the table 54 and freezes the to-be-printed object 1 from which the printing of the table 54 is completed. The loading / unloading position P1 is loaded. The center of the conveyor 20 is a printing position P2 which prints the to-be-printed object 1.

잉크젯 프린터의 대형화를 위하여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 사이의 간격을 멀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 사이의 중앙에는 하나 이상의 벨트컨베이어를 추가할 수도 있다. 추가되는 벨트컨베이어에 의해서는 크기가 큰 테이블(54)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20)의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는 직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폐곡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폐곡선형의 컨베이어에 의해서는 테이 블(54)을 복수개로 사용하여 피인쇄물(1)의 로딩/언로딩과 인쇄를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는 필요에 따라 롤러컨베이어나 체인컨베이어로 대신할 수도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keep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far in order to enlarge the inkjet printer, one or more belt conveyors may be placed in the cent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You can also add The added belt conveyor can stably maintain the conveyance of the large table 54.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of the conveyor 20 are illustrated as being straight, they may also be configured as closed curves. The closed curved conveyor can be used to continuously load / unload and print the printed matter 1 by using a plurality of tables 54.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may be replaced by roller conveyors or chain conveyors as necessary.

한편, 컨베이어(20)는 베이스(11)에 장착되는 서보모터와, 이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리드스크루와, 리드스크루에 체결되어 있으며 테이블(54)에 결합되는 볼부시로 구성되는 리니어모션액츄에이터(linear motion acture)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리니어모션액츄에이터는 베이스(11)에 장착되는 서보모터와, 이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과, 피니언(Pinion)과 맞물려 있으며 테이블(54)에 장착되는 랙(Rack)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리니어모션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테이블(54)의 직선운동은 리니어모션가이드에 의하여 안내할 수 있다. 리니어모션가이드는 베이스(11)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끄럼운동하도록 장착되며 테이블(54)에 고정되는 슬라이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리니어모션가이드는 베이스(11)에 장착되는 가이드바와, 이 가이드바를 따라 미끄럼운동하도록 장착되며 테이블(54)에 고정되는 볼부시로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veyor 20 includes a servo motor mounted on the base 11, a lead screw rotated by the drive of the servo motor, and a ball bush fastened to the lead screw and coupled to the table 54. Linear motion acture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linear motion actuator may include a servo motor mounted on the base 11, a pinion rotating by driving the servo motor, and a rack engaged with the pinion and mounted on the table 54. Can be. And the linear motion of the table 54 by the operation of the linear motion actuator can be guided by the linear motion guide. The linear motion guide may include a guide rail mounted on the base 11 and a slider mounted to slide along the guide rail and fixed to the table 54. In addition, the linear motion guide may be composed of a guide bar mounted on the base 11 and a ball bush mounted to slide along the guide bar and fixed to the table 54.

도 2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는 테이블(54)에 올려놓여져 로딩되는 피인쇄물(1)의 표면을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을 구비하며,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은 테이블(54)의 상부에 승강운동(Z축방향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은 제1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 13) 사이에 Y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섀시(61)와, 섀시(61)에 Y축방향을 따라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바(62)들과, 이 가이드바(62)들을 따라 직선왕 복운동하면서 다수의 노즐(63)들을 통하여 피인쇄물(1)에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하는 프린트헤드(64)와, 섀시(61)에 장착되어 프린트헤드(64)의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65)로 구성되어 있다.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의 구성 및 작용은 미국 특허 제6712450호, 제6726313호, 제6755514호, 제6758544호, 제6781290호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포함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and 8,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printing unit 60 which prints the surface of the to-be-printed object 1 which is placed on the table 54 and loaded, and an inkjet printing unit 60. Is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able 54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Z-axis movement). The inkjet printing unit 60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2 and 13 along the Y-axis direction and parallel to the chassis 61 along the Y-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guide bars 62 and a printhead 64 for printing ink by spraying ink onto the object 1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s 63 while linearly reciprocating along the guide bars 62; It is composed of a servo motor 65 mounted to the chassis 61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rint head 64.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inkjet printing unit 60 includes the contents of US Pat. Nos. 6712450, 6726313, 6755514, 6758544, and 6678290, which are not described in detail.

도 1, 도 2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사이드커버(14, 15)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사이드커버(14)의 외면에는 컨테이너(66)가 장착되어 있으며, 컨테이너(66)에는 다양한 색상의 잉크가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벌크잉크통(Bulk ink tank: 67)들이 수납되어 있다. 노즐(63)들과 벌크잉크통(67)들은 제2 사이드커버(15)의 슬롯(Slot: 15a)을 통하여 배관되어 있는 유연성을 갖는 호스(68)들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2 and 8, a container 66 is mount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covers 14 and 15,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cover 14. The container 66 accommodates a plurality of bulk ink tanks 67 in which various colors of ink are stored. The nozzles 63 and the bulk ink barrels 67 are connected by flexible hoses 68 that are piped through slots 15a of the second side cover 15.

벌크잉크통(67)들의 잉크는 노즐(63)들의 분사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펌핑력에 의하여 벌크잉크통(67)들로부터 호스(68)를 통하여 노즐(63)들에 충분히 공급된다. 벌크잉크통(67)들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의 액면(67b)은 그 최고 수위가 프린트헤드(64)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는 노즐(63)들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노즐(63)들을 통한 잉크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벌크잉크통(67)이 노즐(63)들보다 높게 위치될 경우, 프린트헤드(64)의 정지 상태에서도 호스(68)들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잉크가 노즐(63)들을 통하여 누출되는 바, 벌크잉크통(67)의 잉크는 노즐(63)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되어 호스(68)를 통한 잉크의 지속적인 공급이 차단되면서 노들(63)들을 통한 잉크의 누설이 방지된 다. 벌크잉크통(67)들은 필요에 따라 톱커버(16)에 의하여 은폐될 수 있도록 잉크젯프린팅유닛(60)의 섀시(61)에 설치할 수도 있다.The ink of the bulk ink bottles 67 is sufficiently supplied from the bulk ink bottles 67 to the nozzles 63 through the hoses 68 by the pumping force generated by the injection force of the nozzles 63. The liquid level 67b of the ink stored in the bulk ink bottles 67 is positioned so that its highest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nozzles 63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head 64, and thus the nozzle 63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ink through the That is, when the bulk ink container 67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nozzles 63, ink is continuously leaked through the nozzles 63 while the print head 64 is stopped and the ink is leaked through the nozzles 63. The ink in the bulk ink bottle 67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nozzle 63 to prevent the continuous supply of ink through the hose 68,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ink through the nozzles 63. The bulk ink bottles 67 may be installed in the chassis 61 of the inkjet printing unit 60 so as to be concealed by the top cover 16 as necessary.

한편, 벌크잉크통(67)들은 투명한 유리,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되어 작업자가 잉크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벌크잉크통(67)들의 뚜껑(67a)을 개방하여 잉크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벌크잉크통(67)들에 잉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프리필 카트리지(Free-fill cartridge) 구조에 의하여 소모된 잉크만을 충전할 수 있으므로, 잉크의 사용을 최적으로 실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노즐(63)들과 벌크잉크통(67)들을 연결하는 호스(68)들의 길이가 길어져 노즐(63)들의 분사력에 의한 잉크의 펌핑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벌크잉크통(67)들의 잉크는 통상적인 펌프의 펌핑에 의하여 노즐(63)들에 공급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ulk ink container 67 is made of a transparent glass,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ink, and can easily fill the ink by opening the lid 67a of the bulk ink container (67). In this way, the ink can be filled only by the pre-fill cartridge structure in which the ink is filled in the bulk ink bottles 67, so that the use of the ink can be optimally performed to reduce the cost. When the length of the hoses 68 connecting the nozzles 63 and the bulk ink bottles 67 is too long to pump the ink by the injection force of the nozzles 63, the ink of the bulk ink bottles 67 is pumped conventionally. It may be supplied to the nozzles 63 by pumping.

도 1, 도 2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는 테이블(54)에 올려놓여져 있는 피인쇄물(1)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을 승강운동시키는 승강장치(100)를 구비한다. 승강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 102, 103, 104), 회전조작기구(110), 연동장치(120)와 제1 및 제2 캐리지(Carriage: 160, 170)로 구성되어 있다.1, 2 and 4 to 7,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ing device 10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inkjet printing unit 60 with respect to the printed matter 1 placed on the table 54 ). The elevating device 100 includes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102, 103, 104, a rotary operation mechanism 110, an interlock device 120, and first and second carriages 160 and 170. Consists of.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 리드스크루(101)와 제2 리드스크루(102)는 본체(10)의 베이스(11)와 제1 사이드프레임(101)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하여 기립되어 있고, 제3 리드스크루(103)와 제4 리드스크루(104)는 본체(10)의 베이스(11)와 제2 사이드프레임(13)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하여 기립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의 상하부는 제1 및 제2 사이드프레임(12, 13)에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10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each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to 104 is arranged to form a quadrangle in plan view.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the second lead screw 102 are erected so as to freely rotate the base 11 and the first side frame 101 of the main body 10, and the third lead screw ( 103 and the fourth lead screw 104 are erected so as to freely rotate the base 11 and the second side frame 13 of the main body 10. 6 to 8,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to 104 are supported by the bearings 105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 frames 12 and 13. It is.

도 1, 도 2와 도 4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회전조작기구(110)는 작업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리드스크루(10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베이스(11)를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하여 직립되어 있는 축(111)과, 축(111)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핸들(112)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조작기구(110)는 필요에 따라 제1 리드스크루(101)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1, 2 and 4 to 7 again, the rotation operation mechanism 110 is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 (101 ~ 104), for example, the first by the operator's manual operation I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lead screw 101. It consists of the shaft 111 which penetrates upright so that the base 11 may rotate, and the handle 112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111. As shown in FIG. The rotation operation mechanism 110 may be configured as a servo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first lead screw 101 as necessary.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동장치(120)는 회전조작기구(110)의 회전에 의하여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회전조작기구(110)와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를 연결하는 제1 벨트전동장치(130), 제2 벨트전동장치(140)와 제3 벨트전동장치(15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벨트전동장치(130)는 베이스(11)의 하면에 장착되어 축(111)의 회전력을 제1 리드스크루(101)와 제3 리드스크루(103)에 전달한다. 제1 벨트전동장치(130)는 축(11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원동풀리(131)와, 제1 리드스크루(10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종동풀리(132)와, 제3 리드스크루(103)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종동풀리(133)와, 원동풀리(131), 제1 및 제2 종동풀리(132, 133)에 감아 걸려 있는 벨트(134)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to 7, the linkage device 120 rotates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to 104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operation mechanism 110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peration mechanism 110. ) And a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130, a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140, and a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150 connecting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to 104.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13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1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111 to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the third lead screw 103.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130 includes a first driven pulley 131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111, a first driven pulley 132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lead screw 101, The second driven pulley 133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third lead screw 103 and the belt pulley 134 wound around the primary pulley 131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n pulleys 132 and 133. It is.

한편, 연동장치(120)의 제2 벨트전동장치(140)는 제1 사이드프레임(12)의 상 부에 장착되어 제1 리드스크루(101)와 제2 리드스크루(102)를 한쌍으로 연결한다. 제2 벨트전동장치(140)는 제1 리드스크루(101)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원동풀리(141)와, 제2 리드스크루(102)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3 종동풀리(142)와, 제2 원동풀리(141)와 제3 종동풀리(142)에 감아 걸려 있는 벨트(143)로 구성되어 있다. 연동장치(120)의 제3 벨트전동장치(150)는 제2 사이드프레임(13)의 상부에 장착되어 제3 리드스크루(103)와 제4 리드스크루(104)를 한쌍으로 연결한다. 제3 벨트전동장치(150)는 제2 리드스크루(102)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3 원동풀리(151)와, 제4 리드스크루(104)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4 종동풀리(152)와, 제3 원동풀리(151)와 제4 종동풀리(152)에 감아 걸려 있는 제3 벨트(15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벨트전동장치(130, 140, 150) 각각의 제1 내지 제3 원동풀리(131, 141, 151)와 제1 내지 제4 종동풀리(132, 133, 142, 152)는 타이밍풀리로 구성하고, 제1 내지 제3 벨트(133, 143, 153)는 타이밍벨트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벨트(133, 143, 153)의 텐션은 아이들롤러의 지지에 의하여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140 of the interlock device 12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frame 12 to connect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the second lead screw 102 in pairs. .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140 includes a second driving pulley 141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a third driven pulley 142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ad screw 102. ) And a belt 143 wound around the second prime pulley 141 and the third driven pulley 142. The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150 of the interlock device 120 is mounted on the second side frame 13 to connect the third lead screw 103 and the fourth lead screw 104 in pairs. The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150 includes a third prime pulley 151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ad screw 102 and a fourth driven pulley 152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ourth lead screw 104. ) And a third belt 153 wound around the third prime pulley 151 and the fourth driven pulley 152. The first to third driven pulleys 131, 141 and 151 and the first to fourth driven pulleys 132, 133, 142 and 152 of the first to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s 130, 140 and 150 are respectively timingd. The pulley may be configured, and the first to third belts 133, 143, and 153 may be configured as timing belts. The tension of the first to third belts 133, 143, and 153 can be maintained by the support of the idle rollers.

또한, 승강장치(100)의 제1 및 제2 캐리지(160, 170)는 임의의 평면에 정렬되도록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캐리지(160)에는 제1 및 제2 리드스크루(101, 102)가 대응하는 관계로 체결되는 제1 및 제2 나사구멍(161, 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캐리지(170)에는 제3 및 제4 리드스크루(103, 104)가 대응하는 관계로 체결되는 제3 및 제4 나사구멍(171, 1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캐리지(160, 170)는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의 동시 회전에 의하여 나사운동 하여 승강운동한다. 제1 및 제2 캐리지(160, 170)에는 섀시(61)의 고정에 의하여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이 탑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160 and 170 of the elevating device 100 are provided at the same height so as to be aligned in an arbitrary plane. The first carriage 160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screw holes 161 and 162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lead screws 101 and 102 are fastened in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and the second carriage 170 is formed in the first carriage 160. Third and fourth screw holes 171 and 172 are formed to which the third and fourth lead screws 103 and 104 are fastened in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160 and 170 are screwed up and down by simultaneous rotation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to 104. The inkjet printing unit 60 i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160 and 170 by fixing the chassis 61.

도 9에는 회전조작기구의 회전력을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에 전달하는 연동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예의 연동장치(220)는 제1 내지 제4 벨트전동장치(230, 240, 250, 26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벨트전동장치(230)는 베이스(11)의 하면에 장착되어 제1 리드스크루(101)와 회전조작기구(110)의 축(111)을 연결한다. 제1 벨트전동장치(230)는 축(11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원동풀리(231)와, 제1 리드스크루(10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종동풀리(232)와, 원동풀리(231)와 종동풀리(232)에 감아 걸려 있는 벨트(233)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벨트전동장치(230)는 필요에 따라서 축(111)의 회전력을 제1 리드스크루(101)에 전달하는 기어열로 대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조작기구(110)와 제1 벨트전동장치(230)는 필요에 따라 제1 리드스크루(101)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와 기어열로 대신할 수도 있다.Figure 9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linkage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operation mechanism to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 Referring to FIG. 9, another example of the linkage device 220 includes first to fourth belt transmission devices 230, 240, 250, and 260.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23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1 to connect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the shaft 111 of the rotary operation mechanism 110.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230 includes a first driven pulley 231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111, a first driven pulley 232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lead screw 101, The belt pulley 231 is wound around the pulley 231 and the driven pulley 232.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230 may be replaced by a gear train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111 to the first lead screw 101 as needed. In addition, the rotation operation mechanism 110 and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230 may be replaced by a servo motor and a gear train that provide a driving force capable of directly rotating the first lead screw 101 as necessary.

한편, 연동장치(220)는 제2 내지 제4 벨트전동장치(240, 250, 260)는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를 한쌍으로 연결한다. 제2 벨트전동장치(240)는 제1 사이드프레임(12)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벨트전동장치(240)는 제1 리드스크루(101)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원동풀리(241)와, 제2 리드스크루(102)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종동풀리(242)와, 제2 원동풀리(241)와 종동풀리(242)에 감아 걸려 있는 벨트(243)로 구성되어 있다. 제3 벨트전동장치(250)는 제2 사이드프레임(13)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3 벨트전동장치(250)는 제2 리드스크루(102)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3 원동풀리(251)와, 제4 리드스크루(104)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3 종동풀리(252)와, 제3 원동풀리(251)와 제3 종동풀리(252)에 감아 걸려 있는 제3 벨트(253)로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nkage device 220, the second to fourth belt transmission device (240, 250, 260) is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 101 to 104 so that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 101 ~ 104 at the same time to rotate Pair 104).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24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ide frame 12.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240 includes a second driving pulley 241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a second driven pulley 242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ad screw 102. ) And a belt 243 wound around the second prime pulley 241 and the driven pulley 242. The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250 is mounted on the second side frame 13. The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250 includes a third prime pulley 251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ead screw 102 and a third driven pulley 252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ourth lead screw 104. ) And a third belt 253 wound around the third prime pulley 251 and the third driven pulley 252.

또한, 제4 벨트전동장치(260)는 베이스(11)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제4 벨트전동장치(260)는 제1 리드스크루(10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4 원동풀리(261)와, 제3 리드스크루(103)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4 종동풀리(262)와, 제4 원동풀리(261)와 제4 종동풀리(262)에 감아 걸려 있는 제4 벨트(263)로 구성되어 있다. 제4 벨트전동장치(260)에 의해서는 제1 리드스크루(101)와 제4 리드스크루(104), 제2 리드스크루(102)와 제3 리드스크루(103), 제2 리드스크루(102)와 제4 리드스크루(104)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ourth belt transmission device 26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 The fourth belt transmission device 260 has a fourth prime pulley 261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a fourth driven pulley 262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third lead screw 103. ) And a fourth belt 263 wound around the fourth driven pulley 261 and the fourth driven pulley 262. By the fourth belt transmission device 260,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the fourth lead screw 104, the second lead screw 102 and the third lead screw 103, the second lead screw 102 And any one of the fourth lead screws 104 may be connected.

도 1, 도 2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는 컨베이어(20)의 서보모터(52),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의 프린트헤드(64)와 서보모터(65)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80)를 구비하며, 컨트롤러(180)는 베이스(11)의 하부에 내장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180)는 통상적인 컴퓨터와 유니버셜시리얼버스 커넥터(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B connector)에 의하여 인터페이스되어 있다. 컨트롤러(180)는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컨베이어(20)의 서보모터(52),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의 프린트헤드(64)와 서보모터(65)의 작동을 제어한다.1, 2 and 8,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servo motor 52 of the conveyor 20, the print head 64 and the servomotor 65 of the inkjet printing unit 60. The controller 180 is controlled, and the controller 180 is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ase 11. The controller 180 is interfaced with a conventional computer by a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B connector).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rvomotor 52 of the conveyor 20, the printhead 64 of the inkjet printing unit 60, and the servomotor 65 by data input from a computer.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inkjet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1, 도 2와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피인쇄물(1)의 인쇄를 위해서 우선, 테이블(54)에 올려놓여지는 피인쇄물(1)과 프린트헤드(6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작업자가 손으로 회전조작기구(110)의 핸들(11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112)과 함께 축(111)이 회전된다. 1, 2 and 8, the operator firs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 1 and the printhead 64 placed on the table 54 for printing the print 1. . When the worker rotates the handle 112 of the rotary operation mechanism 110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haft 111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112.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111)의 회전력은 제1 벨트전동장치(130)의 제1 원동풀리(131), 제1 종동풀리(132), 제2 종동풀리(132, 133)와 제1 벨트(133)에 의하여 제1 리드스크루(101)와 제3 리드스크루(103)에 전달되고, 제1 리드스크루(101)와 제3 리드스크루(103)는 축(111)과 함께 회전된다. 제1 리드스크루(101)의 회전력은 제2 벨트전동장치(140)의 제2 원동풀리(141), 제3 종동풀리(142)와 제2 벨트(143)에 의하여 제2 리드스크루(102)에 전달되며, 제3 리드스크루(103)의 회전력은 제3 벨트전동장치(150)의 제3 원동풀리(151), 제4 종동풀리(152)와 제3 벨트(153)에 의하여 제4 리드스크루(104)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는 동시에 회전한다.4 to 7,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111 is the first driven pulley 131, the first driven pulley 132, the second driven pulley 132 of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130 , 133 and the first belt 133 are transferred to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the third lead screw 103, and the first lead screw 101 and the third lead screw 103 are the shaft 111. Is rotated togeth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lead screw 101 is the second lead screw 102 by the second driving pulley 141, the third driven pulley 142, and the second belt 143 of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14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hird lead screw 103 is transmitted to the fourth lead by the third driving pulley 151, the fourth driven pulley 152, and the third belt 153 of the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150. Is delivered to the screw 104. Therefore,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to 104 rotate at the same time.

한편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축(111)의 회전력은 제1 벨트전동장치(230)의 제1 원동풀리(231), 제1 종동풀리(232)와 제1 벨트(233)에 의하여 제1 리드스크루(101)에 전달되고, 제1 리드스크루(101)는 축(111)과 함께 회전된다. 제1 리드스크루(101)의 회전력은 제2 벨트전동장치(240)의 제2 원동풀리(241), 제2 종동풀리(242)와 제2 벨트(243)에 의하여 제2 리드스크루(102)에 전달된다. 제2 리드스크루(102)의 회전력은 제4 벨트전동장치(260)의 제4 원동풀리(261), 제4 종동풀리(262) 와 제4 벨트(263)에 의하여 제3 리드스크루(103)에 전달된다. 제3 리드스크루(103)의 회전력은 제3 벨트전동장치(250)의 제3 원동풀리(251), 제3 종동풀리(252)와 제3 벨트(253)에 의하여 제4 리드스크루(104)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는 동시에 회전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9,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aft 111 is made by the first driven pulley 231, the first driven pulley 232 and the first belt 233 of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230. 1 lead screw 101 is transmitted, the first lead screw 101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haft (111).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lead screw 101 is controlled by the second lead pulley 241, the second driven pulley 242, and the second belt 243 of the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240. Is passed 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lead screw 102 is controlled by the fourth lead pulley 261, the fourth driven pulley 262, and the fourth belt 263 of the fourth belt transmission device 260. Is passed 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hird lead screw 103 is the fourth lead screw 104 by the third prime pulley 251, the third driven pulley 252 and the third belt 253 of the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250. Is passed on. Therefore,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to 104 rotate at the same tim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회전조작기구(100)와 연동장치(12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가 동시에 회전하면, 제1 캐리지(160)의 제1 및 제2 나사구멍(161, 162)은 제1 및 제2 리드스크루(101, 102)를 따라 나사운동하며, 제2 캐리지(170)의 제3 및 제4 나사구멍(171, 172)은 제3 및 제4 리드스크루(103, 104)를 따라 나사운동한다. 이때, 제1 및 제2 캐리지(160, 170)는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101~104)의 회전운동방향에 대응하여 상승 또는 하강한다.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은 제1 및 제2 캐리지(160, 170)와 함께 승강운동하며, 따라서 피인쇄물(1)과 프린트헤드(64)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6 to 8, when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to 104 simultaneously rotate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operation mechanism 100 and the interlocking device 120, the first carriage 160 may be formed. The first and second screw holes 161 and 162 are screw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lead screws 101 and 102, and the third and fourth screw holes 171 and 172 of the second carriage 170 are The screw moves along the third and fourth lead screws 103 and 104.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160 and 170 ascend or descen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directions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101 to 104. The inkjet printing unit 60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160 and 170, and thus can easily and accurat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o-be-printed object 1 and the printhead 64.

또한, 제1 및 제2 리드스크루(101, 102)와 제1 캐리지(160)의 제1 및 제2 나사구멍(161, 162)의 체결과 제3 제4 리드스크루(103, 104)와 제2 캐리지(170)의 제3 및 제4 나사구멍(171, 172)의 체결에 의한 셀프로킹(Self-locking)에 의하여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이 탑재되어 있는 제1 및 제2 캐리지(160)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컨베이어(20)와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의 작동시 발생하는 기계적인 진동과 지터에 의한 오류가 방지되어 인쇄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lead screws 101 and 102 and the first and second screw holes 161 and 162 of the first carriage 160 and the third fourth lead screws 103 and 104 and the third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160 on which the inkjet printing unit 60 is mounted by self-locking by fastening the third and fourth screw holes 171 and 172 of the second carriage 170. The position of is maintained firmly. Accordingly, mechanical vibration and jitter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20 and the inkjet printing unit 60 may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print quality and reliability.

도 1, 도 2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작업자는 로딩/언로딩위치(P1)에서 테 이블(54) 위에 피인쇄물(1)을 올려놓고 컴퓨터에 의하여 인쇄 명령을 입력한다. 컨트롤러(180)는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컨베이어(20)의 서보모터(52),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의 프린트헤드(64)와 서보모터(65)의 작동을 제어한다. 컨베이어(20)의 서보모터(52)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서보모터(52)의 구동력은 기어열(52)에 의하여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의 제1 및 제2 원동풀리(32, 42)를 연결하는 축(21)에 전달되고, 제1 및 제2 원동풀리(32, 42)는 함께 회전한다.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의 제1 및 제2 원동풀리(32, 42)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벨트(35, 45)가 X축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테이블(54)을 로딩/언로딩위치(P1)로부터 인쇄위치(P2)로 로딩한다.Referring back to Figures 1, 2 and 8, the operator places the to-be-printed object 1 on the table 54 in the loading / unloading position P1 and inputs a print command by the computer.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rvomotor 52 of the conveyor 20, the printhead 64 of the inkjet printing unit 60, and the servomotor 65 by data input from a computer. When the servomotor 52 of the conveyor 20 is driven clockwise, the driving force of the servomotor 52 is driven by the gear train 52 and the first and second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It is transmitted to the shaft 21 connecting the prime pulleys 32 and 42, and the first and second prime pulleys 32 and 42 rotate together.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32 and 42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rotat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elts 35 and 45 travel along the X-axis direction. Load 54 from the loading / unloading position P1 to the printing position P2.

다음으로, 테이블(54) 위의 피인쇄물(1)이 인쇄위치(P2)에 로딩되면,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의 서보모터(65)가 구동되어 프린트헤드(64)를 Y축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시키며, 프린트헤드(64)의 작동에 의하여 노즐(63)들은 피인쇄물(1)에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20)의 작동에 의하여 피인쇄물(1)을 X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프린트헤드(64)를 Y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인쇄를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피인쇄물(1)의 전체 영역을 인쇄할 수 있다. 피인쇄물(1)의 인쇄가 완료되면, 잉크젯 프린팅유닛(60)의 프린트헤드(64)는 초기위치로 복귀되며, 프린트헤드(64)와 서보모터(65)는 정지된다. Next, when the to-be-printed object 1 on the table 54 is loaded at the printing position P2, the servomotor 65 of the inkjet printing unit 60 is driven to drive the printhead 64 along the Y-axis direction. By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e nozzles 63 print by injecting ink onto the to-be-printed object 1 by the operation of the print head 64. In this way, the entire area of the to-be-printed object 1 is moved by moving the to-be-printed object 1 in the X-axis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20 and performing printing while the printhead 64 is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Can print. When the printing of the to-be-printed object 1 is completed, the print head 64 of the inkjet printing unit 6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print head 64 and the servomotor 65 are stopped.

한편, 컨베이어(20)의 서보모터(52)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며, 제1 및 제2 벨트컨베이어(30, 40)의 제1 및 제2 벨트(35, 45)가 X축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테이블(54)을 인쇄위치(P2)로부터 로딩/언로딩위치(P1)로 언로딩된다. 테이블(54)이 로딩/언로딩위치(P1)에 도달하면, 서보모터(52)는 정지된다. 작업자는 테이블(54) 위에 인쇄가 완료되어 있는 피인쇄물(1)을 언로딩하고, 다른 피인쇄물(1)을 올려놓은 후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피인쇄물(1)을 연속적으로 인쇄할 수 있다. 피인쇄물(1)의 Y축운동과 프린트헤드(64)의 X축운동에 의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구조에 의하여 피인쇄물(1)의 로딩/언로딩위치(P1)가 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므로, 작업자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테이블(54)의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테이블(54) 위에 피인쇄물(1)을 간편하게 로딩 및 언로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omotor 52 of the conveyor 20 is driven counterclockwise, and the first and second belts 35 and 45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onveyors 30 and 40 are along the X axis direction. The table 54 is unloaded from the printing position P2 to the loading / unloading position P1 while traveling. When the table 54 reaches the loading / unloading position P1, the servomotor 52 is stopped. The operator can unload the printed matter 1 on which the printing is completed on the table 54, put the other printed matter 1 on, and continuously print the printed matter 1 as described above. The loading / unloading position P1 of the to-be-printed object 1 is locat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due to the structure of printing by the Y-axis movement of the to-be-printed object 1 and the X-axis movement of the print head 64. Since the accessibility of the operator is improved, the work of replacing the table 54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printed matter 1 can be easily loaded and unloaded on the table 54 to improve productivity.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may be made thereto, and such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면, 두께가 다른 다양한 피인쇄물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유닛의 높이를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와 제1 및 제2 캐리지의 나사운동에 의하여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의 셀프로킹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팅유닛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기계적인 진동과 지터에 의한 오류가 방지되어 인쇄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인쇄물의 Y축운동과 프린트헤드 의 X축운동에 의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구조에 의하여 본체의 전방에 노출되는 피인쇄물의 로딩/언로딩위치에서 피인쇄물을 탑재하기 위한 테이블의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테이블 위에 피인쇄물을 간편하게 로딩 및 언로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잉크젯 프린팅유닛의 인쇄위치에 피인쇄물을 로딩하는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장치가 컨베이어프레임의 중앙에 배치되어 은폐되는 구조에 의하여 디자인이 개선되므로, 제품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inkjet printing uni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adjusted by the screw movement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and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for various printed matter of different thicknesses. I can regulate it. Since the position of the inkjet printing unit set by the self-locking of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is firmly maintained, errors due to mechanical vibration and jitter can be prevented to improve print qualit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table is replaced by a table for mounting the to-be-loaded object at the loading / unloading position of the to-be-exposed object, which is printed by the Y-axis movement of the object and the X-axis movement of the printhead. This can be done easil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simply loading and unloading the substrate on the table. And because the design of the belt conveyor drive unit for loading the to-be-printed object in the printing position of the inkjet printing unit is improved by the structure that is concealed in the center of the conveyor fra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Claims (6)

본체와;A main body; 상부에 피인쇄물을 장착하여 X축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와;A convey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mount the to-be-printed object on the upper side and to transfer the printed matter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의 일측 근방에서 상기 콘베이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리드스크류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의 타측 근방의 상기 제1 및 제2 리드스크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콘베이어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3 및 제4 리드스크류와;First and second lead screw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one side of the conveyo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or; and the first and seco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near the other side of the conveyor. Third and fourth lead screws arranged to protrude upward of the convey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ad screws; 상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회전조작수단과;Rotating operation means installed to rotate on the main body; 상기 회전조작수단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조작수단과 상기 제1 내지 제4 리드스크루를 연결하는 연동수단과;Interlocking means for connecting the rotary operating means and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such that the first to fourth lead screws rotate by rotation of the rotary operating means; 상기 회전조작수단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하게 상기 콘베이어의 상부에서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제1 캐리지와, 상기 제3 및 제4 스크류에 나사 결합된 제2 캐리지와,A first carriage screwed to the first and second screws and a second screwed to the third and fourth screws such that vertical movement is possible at the top of the conveyor horizontally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operation means. Carriage, 일단은 상기 제1 캐리지에 타단은 상기 제2캐리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콘베이어의 이송 방향에 수직인 Y축 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면서 잉크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프린트헤드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An inkjet printing unit having a printhea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carriag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rranged to eject ink while being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An inkjet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veyor, 상기 본체의 상부 한쪽에 X축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제1 컨베이어프레임과, 상기 제1 컨베이어프레임의 내측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제1 원동풀리와, 상기 제1 컨베이어프레임의 내측 양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종동풀리와, 상기 제1 원동풀리, 제1 및 제2 종동풀리에 감아 걸려 있는 제1 벨트를 갖는 제1 벨트컨베이어와;A first conveyor frame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long an X-axis direction, a first circular pulley mounted at an inner center of the first conveyor frame, and moun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veyor frame; A first belt conveyor having first and second driven pulleys and a first belt wound around the first driven pulley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en pulleys; 상기 본체의 상부 다른쪽에 상기 제1 컨베이어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제2 컨베이어프레임과, 상기 제2 컨베이어프레임의 내측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제2 원동풀리와, 상기 제2 컨베이어프레임의 내측 양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3 및 제4 종동풀리와, 상기 제2 원동풀리, 제3 및 제4 종동풀리에 감아 걸려 있는 제2 벨트를 갖는 제2 벨트컨베이어와;A second conveyor fram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veyor frame at intervals, a second circular pulley mounted at an inner center of the second conveyor frame, and a second conveyor frame of the second conveyor frame. A second belt conveyor having third and fourth driven pulleys mounted on both inner ends, and a second belt wound around the second prime pulley, the third and fourth driven pulleys; 상기 제1 및 제2 원동풀리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축과;A shaft coaxially connected to said first and second circular pulleys; 상기 제1 및 제2 원동풀리 중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중앙과 근접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서보모터와;A servo motor moun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frames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pulleys;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축에 전달하는 기어열과;A gear train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of the servo motor to the shaft; 상기 제1 및 제2 벨트에 양단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피인쇄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An inkjet printer, which is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elts, and constitutes a table on which the printed matter can be plac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잉크젯 프린팅유닛은 상기 프린트헤드에 다수의 호스들을 통하여 잉크를 공급하는 다수의 벌크잉크통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벌크잉크통들은 잉크의 액면이 상기 프린트헤드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컨테이너에 수납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The inkjet prin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bulk ink bottles for supplying ink to the print head through a plurality of hoses, the bulk ink bottles being mounted to the main body such that the liquid level of the ink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rint head. An inkjet printer housed in a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조작수단은, 상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도록 기립되어 있는 축과;The rotation operation means, and the shaft is standing up to rotate on the main body; 상기 축의 상단에 상기 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핸들로 구성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An inkjet printer, comprising: a handle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shaft to rotate the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수단은 상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도록 기립되어 있는 축을 가지며,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축, 상기 제1 리드스크루와 제3 리드스루를 연결하는 제1 벨트전동장치와, 상기 제1 리드스크루와 제2 리드스크루를 연결하는 제2 벨트전동장치와, 상기 제3 리드스크루와 제4 리드스크루를 연결하는 제3 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operation means has a shaft that is erected to rotate on the main body, the linkage means and the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for connecting the shaft, the first lead screw and the third lead through; And a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the first lead screw and the second lead screw, and a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the third lead screw and the fourth lead scre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수단은 상기 본체에 회전할 수 있도록 기립되어 있는 축을 가지며,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축과 상기 제1 리드스크루를 연결하 는 제1 벨트전동장치와, 상기 제1 리드스크루와 제2 리드스크루를 연결하는 제2 벨트전동장치와, 상기 제3 리드스크루와 제4 리드스크루를 연결하는 제3 벨트전동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리드스크루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3 및 제4 리드스크루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제4 벨트전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operation means has a shaft that is erected to rotate on the main body, The linkage means is a first belt transmission device for connecting the shaft and the first lead screw, and the first A second belt 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the lead screw and the second lead screw, a third belt transmission device connecting the third lead screw and the fourth lead screw,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ead screws and the An inkjet printer comprising a fourth belt transmission device for connecting any one of the third and fourth lead screws.
KR1020040072834A 2004-09-11 2004-09-11 Ink-jet printer KR200600239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834A KR20060023910A (en) 2004-09-11 2004-09-11 Ink-jet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834A KR20060023910A (en) 2004-09-11 2004-09-11 Ink-jet pri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910A true KR20060023910A (en) 2006-03-15

Family

ID=3712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834A KR20060023910A (en) 2004-09-11 2004-09-11 Ink-jet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3910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34B1 (en) * 2012-10-15 2014-04-17 정종환 Flat bed printer
CN108688322A (en) * 2018-07-04 2018-10-23 南京帝鼎数控科技有限公司 Labeling coding assembly
KR102388857B1 (en) * 2021-12-31 2022-04-25 주식회사 팔레트디자인 Flatbed printer for digital discharge printing, and discharge printing ink used for the same
CN115301474A (en) * 2022-08-13 2022-11-08 福建壹工软包装科技有限公司 Preparation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of gradient optical functional fil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34B1 (en) * 2012-10-15 2014-04-17 정종환 Flat bed printer
CN108688322A (en) * 2018-07-04 2018-10-23 南京帝鼎数控科技有限公司 Labeling coding assembly
KR102388857B1 (en) * 2021-12-31 2022-04-25 주식회사 팔레트디자인 Flatbed printer for digital discharge printing, and discharge printing ink used for the same
CN115301474A (en) * 2022-08-13 2022-11-08 福建壹工软包装科技有限公司 Preparation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of gradient optical functional film
CN115301474B (en) * 2022-08-13 2024-03-01 福建壹工软包装科技有限公司 Gradient optical functional film preparation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0922B2 (en) Print bar assembly having liftable carriage with constrained rotational movement
JP519691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ing apparatus
US83426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186900B2 (en) Printer and printing head moving mechanism
JP201323379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023910A (en) Ink-jet printer
JP2004314605A (en) Device for transferring sheet through printing machine
JP44608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101036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6910141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2013188894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655753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JP2008168529A (en) Liquid ejection device
JP2023076885A (en) recording device
JP2023076882A (en) recording device
JP2022124196A (en) Lifting device, image formation device, and lifting method
JP4468855B2 (en) Image recording device
JP2022155904A (en) Moving mechanism and printer
KR200300098Y1 (en) Module structure of spraying fluid-material apparatus
JP2005067106A (en) Printer
JP2016064584A (en) Print head movement mechanism, printer and carriage movement control method
WO2000012316A1 (en) Stock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