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441A - Cinerary u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Cinerary u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441A
KR20060021441A KR1020040070180A KR20040070180A KR20060021441A KR 20060021441 A KR20060021441 A KR 20060021441A KR 1020040070180 A KR1020040070180 A KR 1020040070180A KR 20040070180 A KR20040070180 A KR 20040070180A KR 20060021441 A KR20060021441 A KR 20060021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tainer
ashes
lid
lacq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1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림
김인숙
Original Assignee
김영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림 filed Critical 김영림
Priority to KR102004007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1441A/en
Publication of KR20060021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4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61G17/0073Cardbo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61G17/034Foldable, pliable or separabl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습기를 배출하여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유골을 보다 완벽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유골이 안치되는 용기와, 이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또는/및 뚜껑은 내부 뼈대를 이루는 하드보드지와, 이 하드보드지 외측에 부착되는 한지 재질의 지피, 상기 지피 표면에 옻칠을 입혀 형성되는 옻칠피막을 포함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in which the ashes are placed, and a lid for seal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ashes can be stored in a more perfect state for a long time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by releasing moisture, the container or / And the lid provides a boneboard comprising a hardboard paper forming an internal skeleton, a paper of a Hanji material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hardboard paper, a lacquer coating formed by applying a lacquer on the surface of the paper.

하드보드지, 지피, 황토층, 옻칠, 장식판Hardboard, ground cover, ocher, lacquer, decorative board

Description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CINERARY U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Ashes and manufacturing method {CINERARY U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ut away part of the as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ashes c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내함을 갖는 유골함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ash box having a contain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유골함 11 : 용기10: ashes 11: containers

12 : 뚜껑 20 : 하드보드지12: lid 20: hardboard

21 : 황토층 22 : 지피21: loess 22: ground cover

23 : 장식판 24,33 : 옻칠피막23: decorative plate 24, 33: lacquer coating

25 : 보강재 30 : 내함25: reinforcement 30: inner box

31 : 끈 32 : 줌치지31: string 32: zoom

본 발명은 유골을 보관하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을 보다 완벽하게 장기 보존할 수 있도록 된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tainer for storing the ash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ne box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be able to preserve the bones more completely in the long term.

일반적으로 예로부터 널리 행해지는 장례문화는 시신을 관에 넣고, 봉분을 세우는 매장방식과 시신을 화장하여 생긴 유골을 유골함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하는 화장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funeral culture, which has been widely practiced since ancient times, can be divided into burial method of putting the body in a casket, burying the bonbon, and cremation method of placing the ashes from the cremation of the body in the ashes.

여기서 상기 매장방식은 많은 분묘용지를 필요로 하여, 부지확보 등의 어려움이 있어, 근래에는 유골을 유골함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하는 화장방식의 장례문화가 증가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도 이러한 제도의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Here, the burial method requires a lot of gravel land,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securing the site. In recent years, the funeral culture of cremation method that puts the ashes in the ashes and places them in the ossuary is increasing. It is a recommended trend.

이러한 납골식 장묘제도에서는 유골의 안치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유골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 유골함은 통상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와 이 용기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데, 종래 유골함들은 목재나 철재로 만들어지거나, 옥과 같은 석재 또는 도자기 등의 세라믹이나 크리스탈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지는 것들이 대부분으로 안치된 유골을 완벽하게 보존하는 데는 미흡하였다.In the ossuary funeral system, the ashes are necessary for the settlement of the ashes. The ashes are usually composed of a container having a top portion open and a space for storing the ashes therein and a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Conventional ashes are made of wood or iron, or ceramics such as stone or ceramics such as jade. Most of them, made of crystals or plastics, were insufficient to completely preserve the remains.

즉, 상기한 종래의 유골함은 단순히 수납공간이 갖춰진 용기 내에 유골을 담은 후 뚜껑으로 밀폐시킨 후 납골당에 보관하기 때문에, 납골당 내부와 유골함의 용기 내부와의 기온차, 납골당 내의 습도 등에 의해 용기 내측에 습기가 차 결로현상이 발생되어, 유골이 변질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들을 안고 있으며, 이에 따 라 유골을 장기간 보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ashes simply contain the ashes in a container equipped with a storage space and then sealed with a lid and then stored in the ossuary. As a result of condensation, the bones are deteriorated and odors are generat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eserve the bones for a long time.

또한, 목재로 된 유골함의 경우 표면에 칠을 하여 제작되는 데, 시간이 지나면서 나무가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수명이 단출될 우려가 있으며,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또는 크리스탈로 만들어진 유골함의 경우 반 영구적이기는 하나 썩지 않기 때문에 폐기처리가 곤란한 환경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shes made of wood are painted on the surface, and there may be a shortening of the life due to the splitting of wood over time, and the ashes made of plastic, ceramic or crystal are semi-permanent. It does not rot, which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dispose of.

또한, 옥 등의 석재로 만든 유골함의 경우 환경적인 문제는 야기하지 않으나 무거워 사용이 불편하고 이 역시 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습기가 침투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shes made of stone such as jade does not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but heavy use is inconvenient,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ondensation occurs inside and moisture penetrates.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습기를 배출하여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유골을 보다 완벽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ondensation by releasing moisture to maintain the ashes in a more perfect state for a long time to maintain the ashe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In providing.

또한, 본 발명은 항온, 항습, 항균, 방수, 방충, 방부,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ash box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ensure constant temperature, constant humidity, antibacterial, waterproof, insect repellent, antiseptic, insulation.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과 더불어 무게를 최소화하여 사용이 편리한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bone ash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asy to use by minimizing the weight with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사용기간 만료 후에 소각, 폐기 등 후처리가 용이한 친환경적인 유골함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sh bone and easy manufacturing method after incineration and disposal after the expiration of the use peri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골함이 한지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made of Korean paper.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골함은 유골이 안치되는 용기와, 이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또는/및 뚜껑은 내부 뼈대를 이루는 하드보드지와, 이 하드보드지 상에 부착되는 한지 재질의 지피, 상기 지피에 옻칠을 입혀 형성되는 옻칠피막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o this end, the ash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ntainer in which the ashes are placed, and a lid for sealing an opening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container or / and the lid is made of hard cardboard forming an internal skeleton, and a paper material attached to the hard cardboard.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 lacquer film formed by applying lacquer to the skin of the paper.

상기 지피는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밀가루풀이나 쌀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paper may be attached via an adhesive, the adhesive is preferably made of wheat flour or rice paste.

또한, 상기 지피는 한지를 종이죽으로 반죽하여 붙인 지호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aper may be a paper support structure kneaded by pasting paper with Hanji.

또한, 상기 지피는 한지를 새끼줄처럼 꼬아 엮은 지승 구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jiffy may be a jiseung structure tangled hanji like a rope.

상기 용기는 원형구조나 팔각형 또는 사각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container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ular structure, an octagonal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보드지 표면에 도포되는 황토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cher layer applied to the hardboard surface.

상기 황토층은 반죽된 황토를 하드보드지 외측에 발라 건조시킨 것으로 용기에 항온성과 항습성 및 항균성을 부여하고 종이의 수명을 높일 수 있게 해준다.The ocher layer is applied by drying the kneaded ocher on the outside of the hardboard, giving the container constant temperature, hygroscopicity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increasing the life of the paper.

또한, 상기 황토층은 탈취기능을 위해 숯가루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cher layer may further include charcoal powder for the deodorizing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토층 표면에 부착되는 삼베나 모시 등의 보강재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burlap or rami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cher layer.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지피 외측면에 각종 문양이 조각된 장식판이 더 욱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decorative plate carved various patter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per.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골함은 유골이 담겨지고 상기 용기 내에 안치되는 한지 재질의 내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hes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box of the hanji material contained in the ashes and placed in the container.

상기 내함은 한지를 적어도 한 겹 이상 적층 부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한지는 두들겨서 만들어진 줌치지임이 바람직하다.The inner box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layer of Hanji is laminated and attached, and the Hanji is preferably a zoomed paper made by tapping.

여기서 상기 내함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골을 감싸 보관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할 것이다.Herein, the shape of the inner box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licable to any structural surface that can be stored by wrapping the ashes.

또한, 상기 내함을 이루는 한지의 표면에는 옻칠이 입혀져 옻칠피막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Hanji constituting the inner box may be coated with lacquer to form a lacquer coating.

한편, 상기한 구조의 유골함을 제작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하드보드지를 재단하여 유골함을 이루는 용기나 뚜껑 모양으로 만드는 단계와, 만들어진 용기나 뚜껑 모양의 하드보드지 표면에 한지를 접착제로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한지 표면에 옻칠을 입히는 단계와, 옻칠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ducing the ashes of the above structure, the step of making a container or lid shape to form the ashes by cutting the hard cardboard, and made of Hanji with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made container or lid-shaped hard cardboard Attaching, drying the adhesive, applying a lacquer to the surface of the hanji, and drying the lacquer.

상기 한지 부착 단계는 얇은 시트(sheet)구조의 한지를 적어도 한 겹 이상 적층 부착시키거나, 한지를 종이죽으로 반죽하여 붙이거나, 한지를 새끼줄처럼 꼬아 짜임을 이루도록 붙일 수 있다.The step of attaching the hanji may be attached by laminating at least one or more layers of Hanji in a thin sheet (sheet) structure, kneading Hanji with paper porridge, or twisting Hanji as a rop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지 부착 전에 상기 하드보드지 표면에 황토를 도포하는 단계와, 도포된 황토를 건조시키고 표면을 사포질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applying the ocher on the surface of the hardboard before the Hanji attached, and drying the applied ocher and sanding the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유골함의 한지 표면에 원하는 문양이 새겨진 장식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attaching a decorative plate engraved with the desired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hanji prepared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옻칠의 건조는 습도가 약 70%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건조시킴이 바람직하다.Here, the lacquer is preferably dried in a state in which humidity is maintained at about 7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ash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유골함(10)은 유골이 안치되는 용기(11)와, 이 용기(11)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12)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11) 또는/및 뚜껑(12)은 내부 뼈대를 이루는 하드보드지(20)와, 상기 하드보드지(20) 표면에 도포 건조되는 황토층(21), 상기 황토층(21)이 도포된 하드보드지(20)(또는 황토층이 도포된 하드보드지와 황토층이 도포되지 않은 반대편측의 하드보드지를 모두 포함)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되는 한지 재질의 지피(紙皮;22), 상기 지피(22)의 바깥쪽 측면에 부착되는 각종 문양이 새겨진 장식판(23), 상기 장식판(23)을 포함하는 지피(22)에 칠해지는 옻칠에 의해 형성되는 옻칠피막(24)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above drawings, the ashes 10 include a container 11 in which the ashes are placed, and a lid 12 which seals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11, wherein the container 11 or / and the lid ( 12 is a hard cardboard (20) forming an internal skeleton, the ocher layer 21 to be applied and dried on the surface of the hard cardboard 20, the hard cardboard 20 (or the ocher layer is applied) is coated with the ocher layer 21 Paper (22) of a Hanji material, which is attached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ardboard and the other side of the hard cardboard without the ocher layer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per (22) It includes a decorative plate 23 engraved with various patterns to be attached, and a lacquer coating 24 formed by a lacquer painted on the paper 22 including the decorative plate 23.

상기 용기(11)는 원형이나 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팔각형태 단지모양을 갖는 용기(11)와 이 용기(1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뚜껑(1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tainer 11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iner 11 having an octagonal jar shape and the lid 1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11 may be formed. Explain.

상기 하드보드지(20)는 여려겹의 종이를 프레스로 압축하여 만든 강성과 두께를 가지는 종이판재로 그 두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hard board paper 20 is a paper sheet material having rigidity and thickness made by compressing a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by a pres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ickness.

상기 지피(22)를 이루는 한지(韓紙)는 닥나무 등의 섬유를 원료로 하여 만든 한국 고유의 종이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피(22)는 얇은 시트 구조의 원주오색한지를 여러겹, 바람직하게는 3겹 이상을 겹쳐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Hanji (韓 紙) constituting the paper (22) is a unique paper made of fiber, such as paper mulberry in Kore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per (22) is a multi-layered sheet of columnar orange paper of a thin sheet structure, prefera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ree or more layers are overlapped and attached.

상기 한지는 100% 천연재료로 통풍이 잘되며 가벼울 뿐 아니라 천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보존성과 강인함을 가지고 있으며, 부드럽고 포근한 느낌과 견고하고 질긴 실용성을 가진다. The Hanji is 100% natural material and is well ventilated and lightweight, and has a preservation and toughness that does not change even after millennia, and has a soft and warm feeling and solid and durable practicality.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한지를 사용하여 유골함(10)의 외벽 및 내벽을 형성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내구성은 물론 유골함 내부의 습기를 원활하게 배출시켜 유골의 보존력을 높일 수 있는 유골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By forming the outer wall and inner wall of the ash box 10 using hanji having such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obtain a ash bone which can lightly and excellent durability as well as smoothly discharge moisture inside the ash box to increase the preservation force of the ashes.

상기 한지의 부착을 위한 상기 접착제는 밀가루나 쌀 등의 천연재료로 만든 풀임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for attachment of the Hanji is preferably a paste made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flour or rice.

상기 황토층(21)은 상기 하드보드지(20) 외측면 또는/및 내측면에 황토를 도포하여 건조 부착시킨 구조로 일반 종이 재질인 하드보드지(20)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항온성과 항습성 및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The ocher layer 2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cher is applied by drying the ocher on the outer surface and / or the inner surface of the hard board 20 to prolong the life of the hard paper paper 20 which is a general paper material. It can be given.

또한, 상기 황토에 참숯 가루를 혼합함으로써 황토와 더불어 참숯이 하드보드지(20) 표면에 도포될 수 있는 데, 이 경우 상기 황토층(21)은 황토층(21) 고유의 기능에 참숯에 의한 탈취기능을 더욱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mixing the charcoal powder in the ocher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ard cardboard along with the ocher charcoal 20, in this case the ocher layer 21 has a deodorizing function by the charcoal in the unique function of the ocher layer 21 You can get more.

여기서 본 유골함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황토를 도포한 황토층(21) 상에 삼베(또는 모시)와 같은 섬유로 형성된 보강재(25)를 더욱 부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as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reinforcing material 25 formed of fibers such as burlap (or ramie) may be further attached onto the loess layer 21 coated with the loess.

상기 보강재(21)로써 삼베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면, 삼베를 황토층(21)의 외측에 밀착시키고 상기 삼베 위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삼베가 황토층(21)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삼베를 부착시키기 위한 상기 접착제는 상기 풀에 옻칠을 혼합한 것(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을 사용하며, 이때 상기 접착제에 숯가루를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burlap as the reinforcing material 21 as an example, the burlap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ocher layer 21 and by applying an adhesive on the burlap so that the burlap is attached to the ocher layer 21. The adhesive for attaching the burlap is to use a mixture of lacquer in the paste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back), wherein the charcoal powder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the adhesive.

상기와 같이 보강재(25)로써 삼베를 황토층(21)에 부착한 후 접착제가 건조되면 사포질을 통해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하고 그 외측면에 상기 지피(22)를 부착한다.After attaching the burlap to the ocher layer 21 as the reinforcing material 25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dhesive is dried, the surface is smoothly formed through sandpaper and the paper 22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thereof.

이와같이 삼베를 보강재(25)로 사용하게 되면, 섬유조직의 질긴 성질에 의해 지피(22)를 포함하는 유골함(10)의 외벽을 보다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유골함(10)이 찢어지거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burlap is used as the reinforcing material 25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wall of the ash box 10 including the sheath 22 may be more firmly formed due to the tough nature of the fibrous tissue. It is possible to prevent tearing or deformation of the appearance.

상기 도 3에서 도 1과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었으며, 해당 부호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In FIG.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FIG. 1 are used for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ose of FIG. 1, and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numera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상기 지피(22) 바깥쪽 면에 부착되는 장식판(23)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문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연꽃모양의 문양이나 당초문양 등과 같은 각종 장식문양 또는 불교사상, 기독교사상 등 종교를 상징하는 문양 또는 띠별 문양 또는 주술적 사상의 글이나 문양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corative plate 23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per (22) may include a variety of patterns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various decorative patterns such as lotus-shaped patterns or arabesque patterns or Buddhists, Christian thoughts It may be a pattern or a symbol of a belt or a writing or pattern of a magical idea.

그리고 상기 지피(22) 및 지피(22)에 부착된 장식판(23)은 최종적으로 표면에 옻칠을 도포하여 옻칠피막(24)을 형성함으로써 유골함(10)을 이루는 용기(11)와 뚜껑(12)으로 완성된다. 상기 장식판(23)은 장식 문양을 오려 지피 표면의 일부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And the paper cover 22 and the decorative plate 23 attached to the paper cover 22 finally apply a lacquer on the surface to form a lacquer coating 24 to form a container 11 and the lid 12 forming the ashes 10. Is completed. The decorative plate 23 is formed by cutting a decorative pattern and attaching it to a part of the skin surface.

상기 옻칠은 옻나무에서 얻어지는 천연수지 유성도료로, 옻칠에 의해 얻어지는 옻칠피막(24)은 광택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강하여 반영구적이며, 온도 습도 등에 의해 변질되지 않고, 살균력이 강하여 좀이나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The lacquer is a natural resin oil paint obtained from lacquer, the lacquer coating (24) obtained by lacquer is a semi-permanent because it is excellent in gloss and strong durability, does not deteriorate due to temperature and humidity, strong sterilizing power does not cause moth or mold Has

여기서 상기 옻칠피막(24)은 상기 지피(22) 전체에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용기 및 뚜껑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모두 옻칠피막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lacquer coating 24 is preferably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paper 22 so that the lacquer coating is formed on bo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ntainer and the lid.

상기와 같이 유골함(10)을 이루는 용기(11)와 뚜껑(12)이 한지와 한지 표면에 도포되는 옻칠의 결합에 의해 제조됨에 따라 한지와 옻칠의 항온, 항습, 항균 작용으로 유골함(10)에 보관된 유골이 썩거나 벌레가 생기지 않게 되며 유골함(10) 자체의 방수성과 견고성이 유지되어 유골의 영구적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11 and the lid 12 forming the ash box 10 are manufactured by the combination of lacqu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hanji and the paper. The ashes stored will not rot or worms will be maintained and the remains and waterproofness of the ashes 10 itself will be able to permanently store the ashes.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내함(30)을 포함하는 유골함(10)을 예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 4 illustrates the ashes 10 including the inner case 30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유골함(10)은 내부에 저장공간을 갖는 용기(11)와, 이 용기(11)를 밀폐하는 뚜껑(12), 및 내부에 유골이 담아지고 상기 용기 내부의 저장공간에 놓여지는 한지 재질의 내함(3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above drawings, the ashes 10 has a container 11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lid 12 for sealing the container 11, and a ash space inside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container. It includes a box 30 of the hanji material placed on.

상기 내함(3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 개구부는 끈(31)이 설치되 어 필요시 개구부를 조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inner box 30 has a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upper opening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ring 31 is installed to tighten the opening if necessary.

또한, 상기 내함(30)을 이루는 상기 한지는 적어도 한 겹 이상 적층시키고 이를 두들겨서 만들어진 줌치지(32)임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anji constituting the inner box 30 is preferably a zoom jjji 32 made by stacking at least one layer and pounding it.

또한, 상기 내함(30)은 내함(30)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서 상기 줌치지(32)에 옻칠을 입혀 옻칠피막(33)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box 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lacquer coating 33 is formed by applying a lacquer to the zoom paper 32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inner box 30.

이에 따라 상기 줌치지(32)와 줌치지(32) 표면에 도포되는 옻칠의 결합에 의해 내함(30)은 항온, 항습, 항균성이 유지되어 내함(30)에 보관된 유골에 벌레가 생기가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와 더불어 유골을 보다 완벽하게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by the combination of the lacquer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zoom paper 32 and the zoom paper 32, the inner box 30 is kept at constant temperature, humidity, and antimicrobial, so that insects are generated or decayed in the ashes stored in the inner box 30. To prevent them from becoming flawless and to preserve the ashes more fully for a long time.

여기서 상기 내함(30)이 놓여지는 용기(11)와 뚜껑(12)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위에서 설명되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Here, since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11 and the lid 12 on which the inner box 30 is place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설명한 상기 유골함(10)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The ash box 10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먼저, 하드보드지(20)에 원하는 용기(11)와 뚜껑(12)의 형태를 도안하여 재단하고, 재단된 하드보드지(20)를 결합하여 용기(11)와 뚜껑(12) 형태를 만든다.First, the shape of the desired container 11 and the lid 12 on the hard cardboard (20) is cut and cut, by combining the cut hard cardboard (20) to form the container 11 and the lid (12).

이때 재단된 하드보드지(20)의 연결은 접착제를 통해 이루어지며, 수분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 가공시키게 된다. 즉, 딱딱한 재질의 재단된 하드보드지(20)에 수분을 뿌려 줌으로써 원하는 형태로 하드보드지(20)를 구부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드보드지를 연결하는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드와 같은 화공풀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of the cut hard cardboard 20 is made through the adhesive, it is processed to the desired shape through moisture. That is, by sprinkling moisture on the cut hard cardboard (20) of a hard material is to be able to bend the hard cardboard (20) in the desired shape. The adhesive for connecting the hardboard pap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chemical glue such as a bond.

그리고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지 하드보드지(20) 내측면 또는/및 외측면에 점 성을 갖는 황토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완전히 건조시켜 황토층(21)을 형성시킨다.And it is made of a desired shape to uniformly apply the viscous ocher to the inner surface or /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ard cardboard 20 and completely dried to form the ocher layer (21).

형성된 황토층(21)은 표면이 거치므로 부드러운 사포로 황토층(21) 외측면을 문질러 황토층(21)의 표면 거칠기를 낮추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ince the formed ocher layer 21 passes through the surface, the ocher layer 21 is subjected to a process of lower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ocher layer 21 by rubb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cher layer 21 with a soft sandpaper.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황토층(21) 상에 접착제를 매개로 삼베나 모시 등의 섬유질로 된 보강재(25)를 더욱 부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reinforcing material 25 made of fibres, such as burlap or ramie, may be further attached onto the ocher layer 21 through an adhesive.

상기 공정이 끝나면 황토층(21) 위에, 또는 상기 보강재(25) 위에(황토층이 외벽에만 도포되면 내벽에는 하드보드지 바로 위에) 접착제를 매개로 한지를 부착하여 지피(22)를 형성하게 된다. After the process is completed, the paper 22 is formed by attaching a paper on the ocher layer 21 or on the reinforcing material 25 (if the ocher layer is applied only to the outer wall, the inner wall is directly on the hard board).

여기서 상기 지피(22)는 시트 형태의 한지를 2-3번 정도 반복하여 부착시키는 지함 기법을 통해 형성되거나, 한지를 종이 죽 형태로 반죽하여 접착제와 섞어 부착시키는 지호 기법을 통해 형성시키거나, 한지를 새끼줄처럼 꼬고 이를 엮어서 짜나가는 지승 기법(또는 노엮개라고 한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aper (22) is formed through a paper box technique of attaching a sheet of Hanji 2 to 3 times or repeatedly, or by forming a paper porridge in the form of a paper paste through a geotechnical method of admixing with adhesive, or It can be formed through the technique of twisting like a rope and weaving it together.

또한, 상기 한지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는 밀가루나 쌀 등의 천연재료를 이용한 밀가루풀 또는 쌀풀을 사용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for attaching the hanji uses flour paste or rice paste using natural materials such as flour or rice.

상기와 같이 한지를 이용하여 지피(22)가 부착 형성되면 접착제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상기 지피(22)의 표면을 사포로 문질러 표면을 곱게 다듬는다.When the paper 22 is attached using Hanji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is completely dried, and then the surface of the paper 22 is rubbed with sandpaper to smooth the surface.

다음으로 상기 지피(22) 표면에 한지 부착시 사용된 접착제를 2회 정도 반복해서 칠하고, 지피(22) 표면에 준비해둔 장식판(23)을 부착한다.Next, the adhesive used for attaching the hanji to the surface of the paper 22 is repeatedly applied twice, and the decorative plate 23 prepared on the surface of the paper 22 is attached.

그리고 장식판(23) 외측으로 상기 접착제를 다시 2회 정도 반복해서 칠하고 충분히 건조시킨다.Then, the adhesive is repeatedly applied about two times to the outside of the decorative plate 23 and dried sufficiently.

최종적으로 상기와 같이 완성된 용기(11)와 뚜껑(12)에 옻칠을 입혀 옻칠피막(24)을 형성시킨다.Finally, the lacquer coating 24 is formed by applying lacquer to the completed container 11 and the lid 12 as described above.

상기 옻칠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상기 옷칠은 크게 생칠과 정제칠로 구분되는 데, 생칠은 옻나무에서 채취한 그대로의 상태를 말하며, 정체칠은 생칠에 들어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고 도장을 위해 각종 색상으로 만든 칠을 말한다.Looking at the lacquer process in more detail, the cloth is largely divided into raw paint and refined paint, raw paint refers to the state as it was taken from the lacquer tree, stagnant paint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paint and various Say a fill made with color.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11)와 뚜껑(12)에 먼저 생칠을 입히고 칠한 용기(11)와 뚜껑(12)은 일정한 습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건조시킨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11 and the lid 12 are first coated with live paint and the container 11 and the lid 12 are dried in a state where a constant humidity is maintained.

이때 상기 건조과정은 습도가 60 ~ 70% 로 습기가 충분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ry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place where the humidity is sufficient to 60 to 70% humidity.

상기 과정을 거쳐 생칠이 건조되면 그 표면에 정제칠을 입혀 최종적으로 옻칠피막(24)을 형성시키게 된다.When the raw paint is dri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surface is coated with tablets to finally form a lacquer coating 24.

상기 정제칠은 약 5 - 8회 정도를 반복해서 칠하고 이를 다시 2회 정도 반복하여 마무리 한다.The refining coating is repeated by repeating about 5 to 8 times and finishes by repeating this again about 2 times.

한편, 상기의 과정을 거쳐 유골이 안치되는 용기(11)와 용기(11)의 입구를 덮는 뚜껑(12)을 포함하는 하나의 유골함(10)이 제작되며, 추후 유골이 담긴 용기(11)를 뚜껑(12)으로 밀폐시키기 위하여 용기(11)의 입구를 뚜껑(12)으로 닫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11)와 뚜껑(12)의 연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두 부재를 접착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ashes 10, the container 11 in which the ashes are settled, and one ash box 10 including a lid 12 cover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11 is manufactured, and later the container 11 containing the ashes In order to seal the lid 12, the inlet of the container 11 is closed with the lid 12, and then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tainer 11 and the lid 12 to bond the two members.

이때, 상기 용기(11)와 뚜껑(12)을 부착하는 접착제는 쌀이나 밀가루로 만들어진 풀에 옻칠을 배합한 것으로 풀과 옻칠을 50%씩 배합하여 물에 희석하고 이를 가열하여 제조한다.At this time, the adhesive for attaching the container 11 and the lid 12 is a mixture of lacquer to the pool made of rice or wheat flour is prepared by mixing 50% of the paste and lacquer by dilution in water and heating it.

이와같이 옻칠을 풀과 배합하는 것은 용기 및 뚜껑에 옻칠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접착제인 풀에 옻칠이 포함되어야 서로 친화력이 좋아 견고하게 붙게 되고, 완전한 밀봉의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way, the lacquer is blended with the paste because the lacquer is included in the glue, in the state where the lacquer coating is formed on the container and the lid, so that the affinity is good and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and the sealing effect can be obtained completely.

또한, 상기 용기와 뚜껑의 제조와는 별도로 상기 용기 내에 놓여지는 내함의 제조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한지를 두들겨서 만들어진 줌치지(32)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백(bag) 형태로 만들고, 상기 줌치지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옻칠을 입혀 옻칠피막(33)을 형성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내함의 개구부에 끈을 설치함으로써 내함을 완성하게 된다.In addition, looking 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ner container placed in the container separately from the produc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lid, the zoom paper 32 made by tapping Hanji in the form of a bag (bag) using an adhesive, Lacquer coating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o form a lacquer coating (33). And finally, by installing a string in the opening of the inner box to complete the inner box.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당히 뛰어난 기능의 유골함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arkable function of the ashes. Whil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will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골함에 의하면, 한지와 옻칠을 이용하여 유골함을 제작함으로써 한지와 옻칠의 항온, 항습, 항균 작용으로 유골함에 보관된 유골이 썩거나 벌레가 생기지 않게 되며 유골함 자체의 방수성과 견고성이 유지되어 유골의 영구적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s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the ashes using hanji and lacquer, the ashes stored in the ashes by the constant temperature, humidity, and antibacterial action of the hanji and lacquer are not rotted or worms formed and the waterproofness of the ashes itself. It will maintain its robustness and allow for permanent storage of the ashes.

또한, 유골함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된 유골함을 소각하거나 폐기하기 용이하여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dvantage to easily incinerate or discard used ashes when the ashes are to be replaced.

Claims (23)

유골이 안치되는 용기와, 이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또는/및 뚜껑은 내부 뼈대를 이루는 하드보드지와, 이 하드보드지 상에 부착되는 한지 재질의 지피, 상기 지피 표면에 옻칠을 입혀 형성되는 옻칠피막을 포함하는 유골함.A container in which the ashes are placed, and a lid for sealing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container or / and the lid is made of a hardboard paper forming an inner skeleton, a paper made of Hanji material attached to the hardboard paper, and on the surface of the paper. Ashes containing lacquer coating formed by applying lacqu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보드지 상에 도포되는 황토층을 더욱 포함하는 유골함.The ashe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cher layer applied on said hard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에 각종 문양이 조각된 장식판이 더욱 부착되는 유골함.The ash box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corative plate having various patterns carved on the paper is further attach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는 얇은 시트(sheet)구조의 한지를 적어도 한 겹이상 접착제를 매개로 적층 부착시킨 구조의 유골함.The ash of claim 1, wherein the paper is laminated with a thin sheet structure of at least one layer of adhesi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는 한지를 종이죽으로 반죽하여 접착제를 매개로 붙인 구조의 유골함.The ashtray of claim 1, wherein the paper is kneaded with paper porridge and pasted with an adhesi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는 한지를 꼬아 엮어 짜고 이를 접착제를 매개 로 부착시킨 구조의 유골함.The ash bone of claim 1, wherein the paper is twisted and woven with Korean paper.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쌀풀 또는 밀가루풀인 유골함.The ashes of any of claims 4 to 6, wherein the adhesive is rice paste or wheat flour pas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은 숯가루를 더욱 포함하는 유골함.3. The ash bone of claim 2, wherein the ocher layer further comprises charcoal powd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 상에 삼베 또는 모시 등의 보강재가 더욱 부착되는 유골함.The ash box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burlap or ramie is further attached on the ocher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이 담아져 상기 용기 내에 놓여지는 한지 재질의 내함을 더욱 포함하는 유골함.The ash box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per box containing the ashes placed in the contain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는 두들겨서 만들어진 줌치지인 유골함.11. The bone box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hanji is a zoomed paper made.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 표면에 옻칠을 입혀 옻칠피막을 더욱 형성한 유골함.The bone box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a lacquer coating is further formed by applying lacquer to the surface of the hanji. 하드보드지를 도안하여 유골함을 이루는 용기나 뚜껑 모양의 뼈대를 재단하는 단계와;Cutting the hardboard paper to form a container or lid shaped skeleton forming a skeleton; 재단된 하드보드지를 결합하는 단계;Combining the cut hardboard paper; 만들어진 용기나 뚜껑 모양의 상기 하드보드지에 한지를 접착제로 부착시켜 지피를 형성시키는 단계;Attaching hanji with an adhesive to the container or lid-shaped hardboard paper to form a paper; 상기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단계;Drying the adhesive; 상기 지피에 옻칠을 입혀 옻칠피막을 형성하는 단계Lacquer coating to form a lacquer coating 를 포함하는 유골함 제조방법.Ashbon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보드지 외측면에 점성을 갖는 황토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건조시켜 황토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유골함 제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uniformly applying the viscous och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ardboard and drying to form an ocher lay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 표면을 사포로 문질러 다듬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유골함 제조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rubbing the surface of the ocher layer with sandpap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는 시트 형태의 한지를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하여 부착시키는 지함 기법을 통해 형성되는 유골함 제조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aper is formed through a paper box technique of attaching at least two times the sheet-shaped hanji at least tw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는 한지를 종이 죽 형태로 반죽하여 접착제와 섞어 부착시키는 지호 기법을 통해 형성되는 유골함 제조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aper is formed through a geotechnical method of kneading Hanji in the form of paper porridge mixed with an adhesiv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는 한지를 새끼줄처럼 꼬고 이를 엮어서 짜나 가는 지승 기법을 통해 형성되는 유골함 제조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aper is formed by twisting and weaving a piece of Korean paper like a rope and weaving 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옻칠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지피에 생칠을 입히고 건조시키는 단계와, 건조된 표면에 정제칠을 입혀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골함 제조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orming of the lacquer coating comprises coating and drying the scalp and coating the dried surface with a tablet to dry the ashes.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옻칠피막 건조과정은 습도가 70%인 상태에서 습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유골함 제조방법.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lacquer film drying process is made through moisture in a state where humidity is 7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칠은 적어도 5회 이상 반복해서 칠하고 이를 다시 2회 반복하는 유골함 제조방법.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refining is repeated at least five times and repeated twice. 제 13 항에 있어서, 유골이 담긴 용기를 뚜껑으로 밀폐시키기 위하여 용기의 입구를 뚜껑으로 닫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와 뚜껑의 연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두 부재를 접착시키는 과정을 더욱 포함하는 유골함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hering the two members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lid in a state where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closed with the lid to seal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ashes with a lid.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쌀이나 밀가루로 만들어진 풀에 옻칠 50%씩 배합하고 물에 희석하고 이를 가열하여 제조하는 유골함 제조방법.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adhesive is prepared by mixing lacquered 50% in a paste made of rice or flour, diluting with water and heating it.
KR1020040070180A 2004-09-03 2004-09-03 Cinerary u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600214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180A KR20060021441A (en) 2004-09-03 2004-09-03 Cinerary u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180A KR20060021441A (en) 2004-09-03 2004-09-03 Cinerary u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547U Division KR200429466Y1 (en) 2006-07-20 2006-07-20 Cinerary u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441A true KR20060021441A (en) 2006-03-08

Family

ID=3712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180A KR20060021441A (en) 2004-09-03 2004-09-03 Cinerary u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1441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348B1 (en) * 2008-06-25 2010-02-04 한재익 A paper charnel pot which is coated with the loess and hempcloth layer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CN101006957B (en) * 2007-02-01 2010-12-08 张贵章 Lacquerware mortuary urn and its processing method
KR101309830B1 (en) * 2012-02-16 2013-09-23 오복섭 Pedestal type bone ash storage box structure
KR101329822B1 (en) * 2012-02-16 2013-11-15 오복섭 Upper cover type bone ash storage box structure
KR101423437B1 (en) * 2013-12-18 2014-07-25 김현주 Handicraft of Korean paper and how to make it
KR20220163619A (en) * 2021-06-03 2022-12-12 김갑용 Green celadon urns manufactured using lacquer liquid, loess and holy ground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06957B (en) * 2007-02-01 2010-12-08 张贵章 Lacquerware mortuary urn and its processing method
KR100940348B1 (en) * 2008-06-25 2010-02-04 한재익 A paper charnel pot which is coated with the loess and hempcloth layer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KR101309830B1 (en) * 2012-02-16 2013-09-23 오복섭 Pedestal type bone ash storage box structure
KR101329822B1 (en) * 2012-02-16 2013-11-15 오복섭 Upper cover type bone ash storage box structure
KR101423437B1 (en) * 2013-12-18 2014-07-25 김현주 Handicraft of Korean paper and how to make it
KR20220163619A (en) * 2021-06-03 2022-12-12 김갑용 Green celadon urns manufactured using lacquer liquid, loess and holy ground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1441A (en) Cinerary u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429466Y1 (en) Cinerary urn
WO2022258707A1 (en) Moulded body with connecting element
KR102241274B1 (en) A ecco-friendly paper coffin for funeral and manufactur ing method thereof
KR101056795B1 (en) Method of making funeral coffins using Korean paper
KR20210067379A (en) A ecco-friendly paper coffin for funeral and manufactur ing method thereof
KR100940348B1 (en) A paper charnel pot which is coated with the loess and hempcloth layer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KR200371426Y1 (en) Korean paper ossuary
KR100943385B1 (en) Multiple function funeral urn
KR100634959B1 (en) Korean paper ossuary
US925929A (en) Method of making caskets ob bttrial-vaults
JPWO2003044112A1 (en) Coating agent, bag or molded article coated with the same, and coating method
KR200430412Y1 (en) Ashes.
JP2002285039A (en) Natural coating material for wall using kanuma soil and akatama soil as raw materials and wall decoration material and architectural material obtained by applying this on surface of substrate
KR200491626Y1 (en) log grain storage container
DE29907409U1 (en) Rotting coffin
KR200398685Y1 (en) a ceramics funeral urn that is easy to exchange the thing removing a moisture
KR200335983Y1 (en) Korean-paper layered bone-ashes jar
KR200441143Y1 (en) An orifice the burial at tree
KR100577326B1 (en) Wooden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and method of the same
KR200325773Y1 (en) Envelope for remains
US407604A (en) William scott morton
KR200452656Y1 (en) A grain box
JPH084290Y2 (en) Veneer
KR20230168630A (en) The box inside the ossua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