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164A -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신체부착물 - Google Patents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신체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164A
KR20060021164A KR1020040070020A KR20040070020A KR20060021164A KR 20060021164 A KR20060021164 A KR 20060021164A KR 1020040070020 A KR1020040070020 A KR 1020040070020A KR 20040070020 A KR20040070020 A KR 20040070020A KR 20060021164 A KR20060021164 A KR 20060021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layer
attached
double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묵
Original Assignee
임태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묵 filed Critical 임태묵
Priority to KR102004007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1164A/ko
Publication of KR2006002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6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 A41C3/065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attached directly to the body, e.g. by means of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 신체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본 양면 접착부재는, 신체의 일영역에 부착되는 신체부착물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신체에 부착되며 실리콘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과 제2접착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을 고정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신체에 부착되는 브래지어, 가발, 분장용품, 가슴이나 엉덩이 등의 신체부위의 형상을 보정하기 위한 패드 등을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능력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어 신체부착물들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본 양면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브래지어를 신체에 부착시키는 경우, 테두리 영역, 테두리 영역의 일부에만 양면 접착부재를 장착시킴으로써, 브래지어의 착용시 통기성을 향상시키어 착용감을 좋게 하고 피부질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양면 접착, 실리콘 접착제, 브래지어, 통기성

Description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 신체부착물{BOTH-SIDED BOND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CCESSORIES ADHERED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접착부재의 사시도,
도 2는 신체부착물 중 브래지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양면 접착부재를 부착한 상태의 브래지어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부재를 부착한 상태의 브래지어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부재를 부착한 상태의 브래지어의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양면 접착부재 11 : 제1접착층
12 : 제2접착층 13 : 기재
20 : 브래지어 21 : 컵부
23 : 연결부재
본 발명은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 신체부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래지어, 가발, 분장용품, 가슴이나 엉덩이 등의 신체부위의 형상을 보정하기 위한 패드 등을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능력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어 신체부착물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통기성을 확보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피부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 신체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외관이 심플하고 세련된 제품들을 선호함에 따라, 신체에 착용되는 가발, 브레지어 등의 신체 부착물을 신체에 착용하였을 때, 신체 부착물이 아닌 본래 신체의 것처럼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체 부착물을 신체에 착용할 때, 신체에 최대한 밀착되어 본래 신체인 것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접착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일반 공업용 접착제와는 달리 신체에 무해하도록 제조되고는 있으나,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신체 부착물의 하나인 브래지어를 예로 들어 접착제의 사용시 발견되는 부작용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가슴을 받쳐주고 보호하며 가슴의 모양을 교정해서 상의의 이상적인 실루엣을 조성해 주는 구실을 한다
이러한 브래지어는 일반적으로 착용시 가슴의 처짐, 노출, 유동성 방지를 위 해 어깨와 가슴을 감싸는 어깨끈과 탄력밴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어깨끈과 탄력밴드로 인해 가슴과 어깨가 압박되어 장시간 착용시 착용감이 저하된다. 최악의 경우, 탄력밴드가 흉추 7,8번을 압박하여 이 부분의 아탈구(subluxation) 및 전위(transposition)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척수신경이 압박되어 위장관 및 내부장기의 부조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어깨끈은 승모근 부위를 눌러 만성견통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브래지어는 어깨끈과 탄력밴드로 인해, 하절기 여성들이 과감한 패션을 연출하기 위해 어깨와 등을 과감하게 노출시킨 의상 착용시 브래지어 끈이 노출되거나 흘러내릴 수 있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어깨끈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끈없는 브래지어등 기능이 향상된 브래지어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어깨끈이 없는 브래지어의 경우,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브래지어컵의 하단부위와 밴드부위에 탄력을 주도록 되어 있어서 더욱 심한 압박감 때문에 착용감이 좋지 않았다.
이에 따라,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어깨 끈과 탄력밴드가 없이 캡만을 형성한 접착식 브래지어이다.
이러한 접착식 브래지어는, 브래지어 컵형상의 실리콘층, 실리콘층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비닐층, 그리고 실리콘층의 내면에 형성된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컵부분은 연결고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식 브래지어는 접착제층을 이용하여 각각 좌우 가슴에 부착하고 연결고리를 체결하여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접착식 브래지어는 어깨끈과 탄력밴드가 없으므로, 착용이 간단할 뿐 만 아니라 착용후, 목부분이나 가슴부분이 패인 옷을 입을 경우라도, 옷맵시가 살아나고, 자연스러운 가슴선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접착식 브래지어는 상기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리콘층의 무게가 무거워 착용후 착용자의 가슴이 쳐져서 외관상 볼품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고, 장시간 착용시 어깨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층이 무거운 관계로, 접착식 브래지어를 반복해서 착용할 경우, 실리콘층의 하중에 의해 접착제층의 접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접착식 브래지어 자체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접착제층이 실리콘층의 내측면에 전영역에 걸쳐 도포됨에 따라, 통기성 부족으로 인해 접촉성 피부염, 땀띠, 간찰진(Intertrigo) 및 파젯씨 질환(Paget'sDisease)과 같은 피부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이 간편하면서도 접착력이 장기간 지속됨으로써, 신체부착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접착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접착제를 신체부착물의 일부 영역에만 도포하도록 제한함으로써, 신체부착물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피부질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을 확보하여 신체부착물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피부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 신체부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력이 장기간 지속되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 신체부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신체에 접착되는 보형물과; 상기 보형물의 신체를 향한 내측면의 일측 영역에 부착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신체에 부착되며 실리콘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과,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을 고정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착층은, 스냅단추, 벨크로우, 후크,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아크릴, 합성고무, 천연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PET, PVC, PU, 합성수지, 실리콘, 천연고무 중 하나로 형성된 필름과, 천과, 종이와, 가죽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경화제가 첨가된 접착성 실리콘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신체의 일영역에 부착되는 신체부착물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신체에 부착되며 실리콘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과 제2접착층 사 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을 고정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접착층의 표면에 부착되어 접착제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접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접착층에는, 축광안료, 아로마, 음이온, 원적외선, 향균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의 기하학적 문양과, 별모양, 하트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에 부착되며 실리콘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착층을 고정하는 기재와; 상기 접착층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접착제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접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PET, PVC, PU, 합성수지, 실리콘, 천연고무 중 하나로 형성된 필름과, 천과, 종이와, 가죽 중 적어도 하나로 기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기재의 일측면에 아크릴, 합성고무, 천연고무,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재의 타측면에 경화제가 첨가된 접착성 실리콘 조성물로 형성된 실리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 재의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의 접착제와 실리콘 접착제를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의 접착제와 실리콘 접착제를 코팅기계를 이용하여 기재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양면 접착부재는, 신체에 무해한 실리콘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신체에 부착되는 가발, 브래지어, 신체부위의 모양을 신체형상을 보완하기 위해 엉덩이나 가슴에 부착되는 패드 등의 부착시 통기성을 확보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피부질환을 방지하며, 접착력을 장기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접착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양면 접착부재(10)는, 신체부착물에 접착되는 제1접착층(11)과, 신체에 부착되며 실리콘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12)과, 제1접착층(11)과 제2접착층(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접착층(12)을 고정하는 기재(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접착층(11)은, 기존의 양면테이프에 사용되던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며, 기존 접착제는 아크릴, 합성고무, 천연고무, 합성수지, 실리콘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경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작된다.
제2접착층(12)은, 신체에 직접 부착되는 만큼 신체에 전혀 해가 되지 않는 성분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 때문에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는 실리콘 접착제를 사용한다.
실리콘 접착제는, 실리콘 접착층(40)은 접착성분을 가지는 실리콘 접착제를 일정 두께가 되도록 여러번 도포하여 형성하며, 이 때, 실리콘 접착층(40)의 두께는 0.1 내지 1.8mm를 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실리콘 접착층(4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접착 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너무 두꺼운 경우 비용 및 경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도포가 완료된 후, 실리콘 접착제를 경화시키며, 이 때, 공기중에서 경화시킬 수도 있고, 오븐에 넣어 일정 온도, 예를 들면 80℃에서 약 20분간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리콘 접착층(40)을 형성하는 실리콘 접착제의 성분은, 경화제가 첨가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조성물중 실리콘 수지와 경화제 및 기타 원료 배합비에 따라 다양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실리콘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은 경화 기구(mechanism)의 분류에 의하면, 공기중 수분의 존재 하에서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에 의해 가교경화되는 축합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백금촉매 등과 같은 촉매의 존재 하에서 불포화기에 Si-H를 함유하는 실록산의 부가 반응에 따라 가교 경화되는 부가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발생 라디칼의 재결합시 불균화 반응에 의하여 가교 결합되는 라디칼형, 예를 들면 가열형 또는 자외선경화형 실리콘 조성물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경화제란 일반적으로 부가형 또는 축합형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촉매, 경화촉진제, 축합제, 라디칼개시제 및/또는 가교제 등을 의미 한다. 이러한 경화제들은 자체적으로 라디칼 발생기를 갖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조성물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였으나, 실리콘 고무 등 다른 실리콘 조성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접착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으며, 본 실리콘 접착제는 후술할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OH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그것을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경화제(각각, 옥심계, 아세톡시계 및 알콕시실란계 경화제 등) 0.5 ~ 10%중량부 및 주석계 촉매 (예.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등) 0.01 ~ 10%중량부로 구성된 경화전 1액형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 실시예 2 >
1 분자 내에 2개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CH="CH2 (Vinyl기)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그것을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경화제 (silicon-hydride (Si-H)를 포함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0.1 ~ 20%중량부 및 백금계 촉매 (Platinum complex) 0.001 ~ 10% 중량부로 구성된 경화전 1액형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 실시예 3 >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OH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을 포함한 조성물 100중량부에 이 조성물을 충분히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경화제 (Oxime, Acetoxy, Alkoxy Silane등) 0.5 ~ 10%중량부 및 주석계 촉매 (예를 들면 Dibutyltindilaurate 등) 0.01 ~ 10%중량부를 포함한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 실시예 4 >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규소결합을 가지는 -CH="CH 2 (Vinyl기)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그것을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는 양의 경화제(silicon-hydride (Si-H)기를 포함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 0.1 ~ 20%중량부로 구성된 조성물 100중량부에 이 조성물을 충분히 경화시킬수 있는 양의 백금계 촉매 (Platinum complex) 0.001 ~ 10%중량부를 포함한 조성물을 혼합하여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접착층(12)에 사용하는 실리콘 접착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아크릴, 우레탄 수지를 주원료로 하며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나, 의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양면 테이프에 사용되는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접착층(11)의 접착제는 일반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제2접착층(12)에 사용하는 실리콘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단순히 잘 먹고 잘 사는 개념에서 한단계 업그레이드하여 몸과 마음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인생을 풍요롭고 아름답게 영위하고자 하는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이나 문화 코드로 해석되는 웰빙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의식주에서 인공적인 것을 배제하고 자연으로 돌아가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제2접착층(12)의 접착제에 다 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웰빙 물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야광효과를 내는 형광물질 또는 축광안료, 다양한 향을 내는 아로마, 건강을 향상시키는 음이온, 항균물질, 자력물질, 원적외선 발생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각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야광효과를 내는 축광안료는, 태양광, 형광등, 백열등의 빛을 흡수하여 축척하고, 어두운 곳에서 빛을 서서히 방출하여 발광하는 성질을 가진 안료이다. 축광안료의 주요 성분은 Alkaline Earth Aluminate, Silicate Aluminate이고, 이 중 단축광을 내는 축광안료는 ZnS계이다
한편, 아로마는 단순히 후각을 통해 향기를 맡음으로써 병리현상을 치유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로마향이 후각신경의 생리화학적 기능과 중추신경에 미치는 영향도 있지만, 오일형태의 아로마는 피부마사지를 통해 흡수되어 약리적 작용을 일으킨다. 그리고 아로마의 각 향은 각각 다른 약리적 작용을 하는데, 초기 감기에 좋은 향기로는, 라벤더, 유카리, 페퍼민트, 로즈마리, 타임 등이 있고, 이들 향은 그 자체가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체가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작용을 한다. 긴장과 흥분을 억제하고자 할 때는 네로리향이 사용되며, 네로리는 불안감을 완화하고 마음을 릴랙스시키는 효과가 있다. 기억력을 높여주는 향으로는, 정신활동을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 해주는 향으로 로즈마리, 바질 등이 있다.
이러한 아로마향은 미립자 형태의 향이 든 캡슐로 만든 다음, 제2접착층(12)을 형성하는 접착제에 혼합하여 같이 도포함으로써, 인체가 움직일 때마다 캡슐이 터지면서 향기가 나도록 할 수 있다.
음이온은 (-)전하를 띤 공기의 원자요소로써, 유해한 양이온을 중화시키고, 피를 맑게 하고 신경안정과 피로회복, 식용증진,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생기 있는 생활을 영위케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혈액의 정화작용, 저항력 증가 작용, 자율신경계 조절 작용, 공기정화작용, 먼지 제거 및 살균작용 등의 작용을 통해, 인체에 직접, 간접적으로 유익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항균물질로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는 광촉매제로서, 광촉매제는 태양광 또는 형광등에 포함된 자외선에 의해 강한 산화와 환원 능력을 가지며, 광촉매 이산화티탄(TiO2) 자체는 반영구적으로 계속하여 효과를 지속하면서 빛의 조사에 의해 물과 CO2, NOx, SOx, CxHyz 등의 각종유기화합물, 악취물질등의 다양한 물질을 분해할 수 있다. 즉, 악취물질, 오염물, 먼지, 기름 등이 표면에 붙으면 TiO2가 광촉매 효과를 발휘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기 때문에 표면에 흡착된 먼지나 더러운 물질, 잡균 등의 유기화합물이 제거된다.
한편, 자력물질은 의료 선진국에서는 진단과 검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자기공명영상촬영(MRI) 진단법이나 근전도 검사에 자장을 이용한다. 또한 통증 치료를 비롯해 관절염·염증성질환·두통·불면증·순환기질환·스트레스 치료 등에도 자장이 사용되며, 심지어 자장은 골절된 뼈의 유합 촉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S극이 생체에 증식과 항진 작용을 하고, N극이 위축과 진정 작용을 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물질들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원적외선은, 적외선 중에서 특히 5.6um~24um의 전자파를 말하며, 8um~12um의 파장의 원적외선은 특히 의료용으로 그 효과가 뛰어나다. 이는 인체에서 소량으로 방사되는 9.348um의 전자파와 공명 공진을 일으켜 인체 내부로 40m/m 깊숙이 흡수되면서 인체의 세포를 초속 2,000회 이상으로 명렬하게 진동되면서 세포속의 오래 묵은 지방, 중금속, 노폐물, 독소 등을 활발하게 배출시켜 준다. 원적외선을 내는 물질로는, 맥반석, 옥, 게르마늄, 숯 등이 있다.
이러한 제1접착층(11)과 제2접착층(12) 사이에 배치된 기재(13)는, 필름, 천, 종이, 가죽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재(13)를 형성하는 필름은, PET, PVC, PU 등의 합성수지와, 실리콘,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기재(13)를 형성하는 천은 합성수지로 직조 또는 편조되어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기재(13)를 형성하는 종이는, 일반적인 종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목재나 펄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재(13)를 형성하는 가죽으로는 천연가죽, 인조가죽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재(13)는 그 재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태의 유지가 가능한 어떠한 재질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면 접착부재(10)는, 원형, 하트형, 별모양,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은 용도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양면 접착부재(10)를 제조하는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재(13)의 일측면에 제1접착층(11)을 형성하며, 이 때, 제1접착층(11)은 기재(13)에 직접 제1접착층(11)을 형성하는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코팅기계를 이용하여 기재(13)에 접착제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접착층(11)을 형성하는 접착제를 양면 테이프 등에 미리 도포하거나 코팅하여 형성한 다음, 이 양면테이프를 기재(13)에 합지시켜 제1접착층(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접착층(11)을 형성하면, 제1접착층(11)에 대항되는 기재(13)의 반대면에 실리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접착층(12)을 형성하며, 이 때, 기재(13)에 실리콘 접착제를 여러겹으로 도포하거나, 코팅기계를 이용하여 기재(13)에 실리콘 접착제를 코팅하거나, 스프레이로 실리콘 접착제를 기재(13)에 분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2접착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접착층(11)과 제2접착층(12)의 외표면에는 접착제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접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시않은 보호지가 부착되어 제품으로 판매되며, 보호지는 종이, PET와 불소이형제 또는 PET와 실리콘 이형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이형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양면 접착부재(10)가 제1접착층(11), 제2접착층(12), 기재(13) 및 보호지를 포함하고 있으나, 제1접착층(11)은 후술할 신체부착물에 도포하고, 양면 접착부재는 제2접착층, 기재, 제2접착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보호지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추후에 양면 접착부재가 제1접착층에 결합할 때, 제1접착층이 기재에 잘 접착되도록 기재의 표면에 실리콘, 고무, 우레탄, 합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코팅처리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양면 접착부재(10)는, 실리콘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한 제2접착층(12)이 신체에 무해하고,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척후에도 접착력이 복원되므로, 신체에 가발, 브래지어, 가슴이나 엉덩이 등의 신체 부위의 모양을 형성하기 위한 패드 등의 신체부착물을 부착시킬 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부착물 중, 브래지어를 예로 들어 양면 접착부재(10)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브래지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을 감싸는 한 쌍의 컵부(21)와, 각 컵부(2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3)와, 각 컵부(21)에 부착되며 컵부(21)를 신체에 접착하기 위한 양면 접착부재(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컵부(21)는 일반적으로 브래지어(20)를 형성하는 천이나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며, 실리콘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컵부(21) 전체를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컵부(21)를 천으로 제작할 경우, 컵부(21)는, 외표면을 형성하는 외부층과, 신체에 접하는 내부층과, 외부층과 내부층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층은 면, 실크 등의 천연섬유나 라이크라,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 등 다양한 섬유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층은 외부층과 동일한 종류의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고, 신체에 접촉하는 부분이니 만큼 신체에 접촉시 감촉이 좋은 면 등의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중간층은, 컵부(21)에 볼륨감이나 형태의 안정성을 위해 마련되므로, 우레탄폼, 부직포 또는 샌드위치원단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각 컵부(2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23)는 브래지어(20)의 착용시 가슴과 가슴 사이의 골 부분에 위치하며, 일측의 컵부(21)에는 다른 컵부(21)를 향해 돌출된 후크가 장착되어 있고, 타측의 컵부(21)에는 후크에 결합되는 걸림고리가 일측의 컵부(21)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3)는 후크 이외에 끈, 스냅단추, 벨크로 등 다양한 형태의 결합용 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컵부(21)의 내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면 접착부재(10)가 부착되어 있으며, 양면 접착부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부(21)의 테두리를 따라 하반부 전영역과, 상부의 양끝 모서리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양면 접착부재(10)의 제1접착층(11)은 컵부(21)에 접착되며, 신체에 접착되는 제2접착층(12)은 기재(13)를 사이에 두고 제1접착층(1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접착층(12)의 표면에는 접착제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접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지(15)가 부착되어 있으며, 보호지(15)는 종이, PET와 불소이형제 또는 PET와 실리콘 이형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이형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컵부(21)가 천으로 제작된 경우, 양면 접착부재(10)의 제1접착층(11)이 안정적으로 부착유지되지 아니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양면 접착부재(10)가 부착되는 컵부(21)의 부착영역에 플라스틱 수지 등으로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양면 접착부재(10)의 제1접착층(11)을 코팅층에 접착시키면, 양면 접착부재(10)가 컵부(21)에 안정적으로 결합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컵부(21)의 하반부 전영역과, 상부의 모서리에만 양면 접착부재(10)를 부착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부(21)의 테두리 를 따라 전영역에 걸쳐 부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부(21)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양면 접착부재(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착층(11)을 벨크로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접착층(111)을 벨크로우로 형성하면, 벨크로우의 이면에 바로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접착층(112)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양면 접착부재(110)는, 벨크로우로 형성된 제1접착층(111)과 제2접착층(1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접착층(112)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접착제로 형성되고, 제2접착층(112)의 표면에는 보호지(115)가 부착된다. 이러한 양면 접착부재(110)의 제1접착층(111)에 대응하여, 컵부(21)에는 제1접착층(111)의 벨크로우와 결합되는 벨크로우(125)가 부착되어 있다. 즉, 제1접착층(111)을 형성하는 벨크로우와 컵부(21)에 부착된 벨크로우(125)는 서로 암수관계를 형성하여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제1접착층(2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단추와, 스냅단추가 고정되는 고정판(2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면 접착부재는, 스냅단추와 고정판(213)으로 형성된 제1접착층(211)과, 제1접착층(211)의 고정판(213)에 실리콘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2접착층(212)으로 형성되며, 제2접착층(212)의 표면에는 보호지(215)가 부착된다. 이렇게 제1접착층(211)에 스냅단추가 배치됨에 따라, 브래지어(20)의 컵부(21)에도 제1접착층(211)의 스냅단추와 암수관계를 형성하는 스냅단추(225)가 장착되며, 양면 접착부재와 브래지어(20)의 컵부(21)는 스냅단추(225)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양면 접착부재(10)는, 신체에 부착되는 일측면이 신체에 무해하고 접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접착제로 형성됨에 따라, 신체에 부착되는 브래지어(20), 가발, 분장용품, 가슴이나 엉덩이 등의 신체부위의 형상을 보정하기 위한 패드 등을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능력이 장기간 지속되고 세탁후에도 접착력이 복원되므로 신체부착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양면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브래지어(20)를 신체에 부착시키는 경우, 브래지어(20)의 전 영역이 아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영역, 테두리 영역의 일부에만 양면 접착부재를 장착시킴으로써, 브래지어(20)의 착용시 통기성을 향상시키어 착용감을 좋게 하고 피부질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할 실시예에서는, 브래지어(20)가 컵부(21), 연결부재(23), 양면 접착부재(10)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연결부재(23)없이 컵부(21)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브래지어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양면 접착부재는, 신체에 무해하고 접착력이 우수한 실리콘 접착제로 형성된 접착층을 가짐으로써, 신체에 부착되는 브래지어, 가발, 분장용품, 가슴이나 엉덩이 등의 신체부위의 형상을 보정하기 위한 패드 등을 간편하게 접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능력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고 세착 후 접착력이 복원되므로 신체부착물들의 수명이 연장된다. 한편, 본 양면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브래지어를 신체에 부착시키는 경우, 테두리 영역, 테두리 영역의 일부에만 양면 접착부재를 장착시킴으로써, 브래지어의 착용시 통기성을 향상시키어 착용감을 좋게 하고 피부질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3)

  1. 일정한 형상을 가지고 신체에 접착되는 보형물과;
    상기 보형물의 신체를 향한 내측면의 일측 영역에 부착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신체에 부착되며 실리콘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과,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을 고정하는 기재를 갖는 양면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스냅단추, 벨크로우, 후크,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아크릴, 합성고무, 천연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PET, PVC, PU, 합성수지, 실리콘, 천연고무 중 하나로 형성된 필름과, 천과, 종이와, 가죽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경화제가 첨가된 접착성 실리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의 표면에 부착되어 접착제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접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가발, 브래지어와 팬티를 포함하는 속옷, 신체형상을 보완하는 엉덩이와 가슴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에는, 축광안료, 아로마, 음이온, 자력물질, 원적외선, 항균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접착부재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의 기하학적 문양과, 별모양, 하트모양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부착물.
  10. 신체의 일영역에 부착되는 신체부착물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접착층과;
    상기 신체에 부착되며 실리콘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제2접착층과;
    상기 제1접착층과 제2접착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을 고정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스냅단추, 벨크로우, 후크, 접착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아크릴, 합성고무, 천연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PET, PVC, PU, 합성수지, 실리콘, 천연고무 중 하나로 형성된 필름과, 천과, 종이와, 가죽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는, 경화제가 첨가된 접착성 실리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은, 신체에 부착되는 가발, 브래지어와 팬티를 포함하는 속옷, 가슴과 엉덩이 등 신체부위에 부착되어 신체의 형상을 보완하는 엉덩이와 가슴패드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과 제2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 부착되어 접착제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접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에는, 축광안료, 아로마, 음이온, 자력물질, 원적외선, 항균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18. 제 10 항에 있어서,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의 기하학적 문양과, 별모양, 하트모양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19. 신체에 부착되며 실리콘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착층을 고정하는 기재와;
    상기 접착층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접착제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접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
  20. PET, PVC, PU, 합성수지, 실리콘, 천연고무 중 하나로 형성된 필름과, 천과, 종이와, 가죽 중 적어도 하나로 기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기재의 일측면에 아크릴, 합성고무, 천연고무,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재의 타측면에 경화제가 첨가된 접착성 실리콘 조성물로 형성된 실리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의 접착제와 실리콘 접착제를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의 제조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각각의 접착제와 실리콘 접착제를 코팅기계를 이용하여 기재의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의 제조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착층의 타측면에 접착제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접착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접착부재의 제조방법.
KR1020040070020A 2004-09-02 2004-09-02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신체부착물 KR20060021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020A KR20060021164A (ko) 2004-09-02 2004-09-02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신체부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020A KR20060021164A (ko) 2004-09-02 2004-09-02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신체부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164A true KR20060021164A (ko) 2006-03-07

Family

ID=3712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020A KR20060021164A (ko) 2004-09-02 2004-09-02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신체부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116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56B1 (ko) * 2006-05-10 2007-05-09 최도범 점착식 브래지어
KR100785334B1 (ko) * 2006-09-29 2007-12-17 임승엽 일회용 위생 부분 팬티
WO2011162449A1 (ko) * 2010-06-23 2011-12-29 Nam Ki Hyuk 점착식 브래지어
WO2014115939A1 (ko) * 2013-01-25 2014-07-31 Park Kil Suk 일회용 브래지어와 제조방법, 그리고 조성물
CN105725289A (zh) * 2016-04-21 2016-07-06 贾晓静 乳胶胸垫
KR20180104847A (ko) * 2017-03-14 2018-09-27 김지영 엉덩이 보정용 하의
KR20220001219U (ko) * 2020-11-23 2022-05-31 (주)아이앤유앤아이 탈부착식 패드를 구비한 여성용 상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56B1 (ko) * 2006-05-10 2007-05-09 최도범 점착식 브래지어
KR100785334B1 (ko) * 2006-09-29 2007-12-17 임승엽 일회용 위생 부분 팬티
WO2011162449A1 (ko) * 2010-06-23 2011-12-29 Nam Ki Hyuk 점착식 브래지어
WO2014115939A1 (ko) * 2013-01-25 2014-07-31 Park Kil Suk 일회용 브래지어와 제조방법, 그리고 조성물
CN105725289A (zh) * 2016-04-21 2016-07-06 贾晓静 乳胶胸垫
KR20180104847A (ko) * 2017-03-14 2018-09-27 김지영 엉덩이 보정용 하의
KR20220001219U (ko) * 2020-11-23 2022-05-31 (주)아이앤유앤아이 탈부착식 패드를 구비한 여성용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411B1 (ko) 복합 기능성 원단
CN1119549A (zh) 鼻部保温罩
KR101556077B1 (ko) 발열기능이 있는 건강벨트
KR20060021164A (ko) 양면 접착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양면 접착부재가 부착된신체부착물
KR20100130519A (ko) 스코리아 성형체가 구비된 직물 및 직물제품
KR200399928Y1 (ko) 팩 화장용 마스크
KR200370341Y1 (ko) 기능성 웰빙 마스크
KR200258912Y1 (ko) 옥가루를 혼합하여 실크인쇄한 내포가 접착 성형된건강증진 브래지어
CN205052939U (zh) 护具
CN209862381U (zh) 一种便于感染病医生治疗用的防感染口罩
KR200404108Y1 (ko) 방석
KR200292199Y1 (ko) 원적외선 방사 의류
CN201869812U (zh) 肢体磁性护具
KR200394368Y1 (ko) 가슴에 부착되는 여성용 기능성 패드
CN107549902A (zh) 一种复合能量围脖
KR200241739Y1 (ko) 건강 증진용 브래지어
CN211983936U (zh) 一种与口罩搭配使用的远红外磁疗中药香囊贴
CN107518484A (zh) 一种复合能量帽子
CN108260868A (zh) 一种具有保健保暖功能的远红外护肩
CN106333399A (zh) 健康保健口罩
JP3046837U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布体及びその製品
KR20130115707A (ko) 광물질 또는 숯이 투입된 다리 밴드
KR200362540Y1 (ko)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인쇄한 기능성 건강 벨트
JP6277528B2 (ja) 樹脂シート
JP2000110004A (ja) 靴 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