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132A -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132A
KR20060021132A KR1020040069984A KR20040069984A KR20060021132A KR 20060021132 A KR20060021132 A KR 20060021132A KR 1020040069984 A KR1020040069984 A KR 1020040069984A KR 20040069984 A KR20040069984 A KR 20040069984A KR 20060021132 A KR20060021132 A KR 20060021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ll
illegal
du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69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1132A/ko
Publication of KR2006002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6Anti-theft arrangements, e.g. protection against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l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최근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를 현재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시각 차이와 거리 차이의 비율이 소정의 특정 값 이상일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감지함으로써 불법 복제 단말기의 사용을 감시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받는 단계; 호 설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절차가 성공함에 따라 최근의 발/착신 정보와 현재의 발/착신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규칙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복제여부 판단 단계; 상기 복제여부 판단 결과, 소정의 규칙에 적합한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최근의 발/착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제여부 판단 결과, 소정의 규칙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일 장치인증번호를 가지는 모든 무선통신 단말기로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통보하는 복제 통보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불법 복제, 감시, 위치 차이, 시각 차이, 무선통신 단말기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Method For Watching Of Illegal Cop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교환기 120 : 인증 센터
130 :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장치
140 : 모바일 위치 센터/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
150 : 홈 위치 등록기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 세하게는 최근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와 현재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의 차이에 근거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를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라 함은 합법적인 가입자 무선통신 단말기의 여러가지 인증관련 정보 전체 또는 일부를 타 사용자가 다른 무선통신 단말기에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발/착신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 설정을 위한 인증 절차는 크게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절차와 가입자 인증 절차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절차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통신 단말기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을 수행한다. 무선통신 교환기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무선통신 단말기 식별번호를 요청하여 수신된 무선통신 단말기 식별번호를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장치(EIR : Equipment Identity Register)로 보낸다.
이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장치는 상기 수신한 무선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무선통신 단말기의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라 함)와 비교하여 부적절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감지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화이트 리스트(정상적인 무선통신 단말기의 IMEI 목록), 블랙 리스트(부정 무선통신 단말기의 IMEI 목록) 및 그레이 리스트(판단을 유보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IMEI 목록)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IMEI의 저장 및 관리를 통하여, 부적절한 무선통신 단말기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목록을 관리함으로써, 부정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인증은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켤 때 수행된다. 즉,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 동안은 한번만 수행되는 인증 절차이다.
한편, 가입자 인증 절차는 가입자의 위치등록이나 호 설정의 경우에 수행된다. 여기서, 위치등록이란 가입자가 이동함에 따라 어떤 기지국 범위에 있는가를 등록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가입자의 위치등록은 가입자에 대한 이동성 정보 및 각종 부가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 의해 수행된다. 과거 유선망에서는 가입자(유선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고정된 관계로 가입자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무선통신망에서는 가입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호처리를 위해서 무선통신망 내에서 가입자의 이동성(위치) 정보를 관리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홈 위치 등록기는 위치 정보를 비롯한 각종 이동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무선통신망의 주요 호 처리 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이 가입자의 위치등록이나 호 설정시 수행되는 가입자 인증 절차의 성공은 무선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망이 공유한 비밀데이터가 일치할 때 이루어진다.
상기 비밀데이터는 랜덤시도 메모리, 장치일련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이다. 상기와 같은 파라미터를 가지고 무선통신망과 무선통신 단말기 양쪽에서 같은 인증 알고리즘으로 인증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인증 알고리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 자세히 언급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절차와 가입자 인증절차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이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인증절차를 통해서 감지할 수 없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로 인해 많은 사용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는 무선 채널상에서 합법적인 가입자 무선통신 단말기의 식별정보, 즉 무선통신 단말기 식별자(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와 장치일련번호를 도청하여 이를 새 무선통신 단말기에 입력하는 방법도 있고, 합법적인 가입자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직접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다른 무선통신 단말기에 복제하는 방법도 있다. 상기 장치일련번호는 무선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람의 주민등록 번호와 같은 유일한 번호이다. 따라서, 같은 장치일련번호를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존재할 수 없고, 만약 같은 장치일련번호를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가 감지되면, 그 중 한 무선통신 단말기는 불법으로 복제된 것이다.
이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는 무선통신 단말기 구입 비용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 요금을 지불하지 않으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불법 복제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켜져 있다면 서비스 업체에서 장치일련번호가 같은 두 개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함으로써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무선통신 단말기를 소지하는 가입자의 수가 거의 수천만명에 달할 정도로 늘어났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장치일련번호가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일일이 체크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천만개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치일련번호를 일일이 체크하는 것보다 차라리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로 인한 요금을 변상하는 것이 경제적일 정도로 수천만명에 달하는 가입자의 식별 번호를 일일이 체크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 감지방법은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없다. 다만, 사용자가 서비스 업체에 상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 여부에 대한 검사를 요청할 때에만 상기와 같이 수천만개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장치일련번호를 일일이 검사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실시간으로 그리고 적은 비용으로 감시하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최근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를 현재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시각 차이와 거리 차이의 비율이 소정의 특정 값 이상일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감지함으로써 불법 복제 단말기의 사용을 감시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받는 단계; 호 설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절차가 성공함에 따라 최근의 발/착신 정보와 현재의 발/착신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규칙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복제여부 판단 단계; 상기 복제여부 판단 결과, 소정의 규칙에 적합한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최근의 발/착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제여부 판단 결과, 소정의 규칙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일 장치인증번호를 가지는 모든 무선통신 단말기로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통보하는 복제 통보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교환기(110), 인증 센터(AuC : Authentication Center)(120),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장치(130), 모바일 위치 센터/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MPC : Mobile Positioning Center)/(GMLC :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140) 및 홈 위치 등록기(15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통신망 전체에 대한 주요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무선통신의 기본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필수적인 시스템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상기 교환기(110)는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의 중추 역할을 수행하며, 무선통신망에서의 실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150)는 무선통신망에서 가입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가입자의 서비스 가입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한다.
상기 인증 센터(120)는 무선통신망에서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무선 발/착신 구간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장치(130)는 무선통신망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위치 센터/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140)는 무선통신망에서 가입자(무선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교환기(110), 인증 센터(120),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장치(130), 모바일 위치 센터/게이트웨이 모바일 위치 센터(140) 및 홈 위치 등록기(150)를 통틀어 설명의 편의상 무선통신망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복제 감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통신망은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받는다(210).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 설정을 요청받으면, 무선통신망은 종래의 절차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과 가입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220).
이후, 무선통신망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한다(230).
상기 판단 결과(230),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가입자 인증이 실패하였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인증 장치(130)의 불량 리스트 및 도난 리스트에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이거나 상기 인증 센터(120)에서 인증하지 않는 가입자인 경우이기 때문에 호 설정이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230),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가입자 인증에 성공하였으면 호를 설정한다(240).
이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의 호가 설정되면 무선통신망에서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최근의 발/착신 정보(시각 정보, 위치 정보)와 현재의 발/착신 정보(시각 정보,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규칙에 적합한지를 판단한다(250). 즉, 불법 복제 단말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규칙이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최근의 발/착신 정보(시각 정보, 위치 정보)와 현재의 발/착신 정보(시각 정보,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최근의 발/착신 시각과 현재의 발/착신 시각의 차이에 비해 최근의 발/착신 위치와 현재의 발/착신 위치의 차이가 소정의 특정 거리이내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최근의 발/착신이 이루어진 시각과 현재의 발/착신이 이루어진 시각의 차이가 1분 이내이면서 최근의 발/착신이 이루어진 위치와 현재의 발/착신가 이루어진 위치가 10Km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만약 같은 장치일련번호를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가 1개 이상 존재할 경우, 즉 불법 무선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같은 장치일련번호를 가지는 두 개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다른 장소에서 다른 시각에 무선통신망으로 호 설정 을 요청할 것이다. 그와 같은 상황에서 두 개의 무선통신 단말기가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각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 간격이 짧은 경우, 무선통신망에서는 상기와 같은 규칙에 의해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규칙을 적용했을 때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한 번만에 감지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합법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불법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통화 간격이 넓거나, 합법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불볍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가 가까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규칙으로 불법 복제 단말기의 존재를 단번에 감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러나,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해서 최근의 통화 정보와 현재의 통화 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하다 보면 상기와 같은 규칙에 맞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다. 한번이라도 상기와 같은 규칙에 맞는 경우(최근의 발/착신 시각과 현재의 발/착신 시각의 차이는 1분이내인데, 최근의 발/착신 위치와 현재의 발/착신 시각의 위치 차이는 10Km 이상인 경우)가 발생할 경우, 상기 합법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된다. 이 때, 상기와 유사한 규칙(예 : 5분에 20Km, 10분에 40Km 등)을 여러 개 두면 빠른 시간 내에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은 무선통신망이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같은 장치일련번호를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호 설정을 요청하는지를 수십만개의 무선통신망을 다 조사해서 확인하는 방법에 비해서는 경제적인 면에서나 시간적인 면에서 훨씬 더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모든 무선통신망을 다 조사하는 종래의 방법은 실시간으로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알려줄 수가 없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 단말기가 호 설정을 요청할 때 바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250), 상기 소정의 규칙에 적합한 경우(1분에 10Km 이내),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아닌 경우이므로, 무선통신망은 최근 통화 정보를 현재의 통화 정보로 갱신한다(260).
한편, 상기 판단 결과(250), 상기 소정의 규칙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1분에 10Km 이상),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무선통신망은 상기 불법 복제 단말기의 존재 사실을 같은 장치일련번호를 가지는 모든 무선통신 단말기로 통보한다.
왜냐하면, 현재의 기술로는 어느 무선통신 단말기가 합법 무선통신 단말기이고 어느 무선통신 단말기가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 사실이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도 알려지게 된다.
하지만, 합법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안다면 서비스 센터에 찾아가서 상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중지시킬 수 있다.
물론, 서비스 센터에서는 신분확인 과정을 거치므로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 말기의 소지자가 서비스 센터에 가서 합법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중지시킬 수는 없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감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최근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를 현재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시각 차이와 거리 차이의 비율이 소정의 특정 값 이상일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감지함으로써, 불법 복제 단말기의 사용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을 요청받는 단계;
    호 설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절차가 성공함에 따라 최근의 발/착신 정보와 현재의 발/착신 정보를 비교하여 소정의 규칙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복제여부 판단 단계;
    상기 복제여부 판단 결과, 소정의 규칙에 적합한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최근의 발/착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제여부 판단 결과, 소정의 규칙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동일 장치인증번호를 가지는 모든 무선통신 단말기로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의 존재를 통보하는 복제 통보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여부 판단 단계는,
    최근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를 현재의 발/착신 시각 및 위치 정보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시각차이와 위치차이에 근거하여 불법 복제 무선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 제 감시 방법.
KR1020040069984A 2004-09-02 2004-09-02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 KR20060021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984A KR20060021132A (ko) 2004-09-02 2004-09-02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984A KR20060021132A (ko) 2004-09-02 2004-09-02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132A true KR20060021132A (ko) 2006-03-07

Family

ID=3712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984A KR20060021132A (ko) 2004-09-02 2004-09-02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1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53B1 (ko) * 2006-03-15 2007-10-12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단말 복제 검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153B1 (ko) * 2006-03-15 2007-10-12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단말 복제 검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04219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скопированного международного кода идентификации мобильного абонента (imsi) в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элемент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CN105722090B (zh) 自动识别伪基站的控制方法和装置
US6427073B1 (en) Preventing misuse of a copied subscriber ident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040047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使用制限設定装置及びその方法
EP1757139B1 (en) Method of preventing or limiting the number of simultaneous sess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CN101577908B (zh) 用户设备验证方法、设备标识寄存器以及接入控制系统
EP1796421A1 (en) A method for restricting the terminal to predetermined area or operator
US7974602B2 (en) Fraud detection techniques for wireless network operators
EP1754390A1 (e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fraudulent subscriber identity modules
CN101605333A (zh) 用于防止终端的未授权使用的保护方法和系统
CN101047506B (zh) 针对无线通信网络中的终端设备发起业务的管理方法
WO2013185709A1 (zh) 一种呼叫认证方法、设备和系统
JP2020501440A (ja) 緊急番号設定方法、取得方法および装置
CN109495894B (zh) 一种伪基站的防范方法及系统
KR101837711B1 (ko) 블랙리스트 인증 방식에 의한 단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21132A (ko) 무선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감시 방법
KR100564992B1 (ko) 불법 복제 이동 통신 단말기 검출 방법
JP3406992B2 (ja) 移動端末の接続制御システム
KR100668388B1 (ko) 국제로밍 사용자에 대한 불법 이동통신 단말기 추적 시스템및 방법
US20120190340A1 (en) Method for binding secure device to a wireless phone
KR20120054258A (ko) 분실 단말 회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0359B1 (ko) 불법 단말기 검출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291040B1 (ko) 개인휴대통신시스템에서의 부정 가입자 제어방법
CN109379744A (zh) 伪基站识别方法、装置及通信终端
KR100678513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