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449A -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449A
KR20060019449A KR1020040068152A KR20040068152A KR20060019449A KR 20060019449 A KR20060019449 A KR 20060019449A KR 1020040068152 A KR1020040068152 A KR 1020040068152A KR 20040068152 A KR20040068152 A KR 20040068152A KR 20060019449 A KR20060019449 A KR 2006001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mobile terminal
ars
predetermined mobil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8125B1 (ko
Inventor
최영준
도미선
박승영
조성현
박세웅
이능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25B1/ko
Priority to US11/177,037 priority patent/US7353029B2/en
Priority to EP05017634A priority patent/EP1631017B1/en
Priority to DE602005006915T priority patent/DE602005006915D1/de
Priority to CN2005100919750A priority patent/CN1750710B/zh
Publication of KR2006001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04W36/125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involv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 backb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IP 기반의 차세대 이동통신 망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IP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 L3 핸드오버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셀 그룹을 관리하는 AR(Access Router)간의 경계 영역에 상기 인접한 각각의 AR에 모두 접속이 가능한 중첩 영역이 설정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상기 중첩 영역에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제 1 단계; 상기 중첩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 동작을 시작하는 제 2 단계;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경로를 상기 L3(Layer 3) 핸드오버된 AR로 설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동작 중에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포함된 셀 영역에서 이탈하면 셀 간의 L2(Layer 2)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는 상기 L2 핸드오버된 셀 기지국과 상기 L3 핸드오버되기 전의 AR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동작 후에 상기 소정의 이동단 말기가 포함된 셀 영역에서 이탈하면 셀 간의 L2(Layer 2)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는 상기 L2 핸드오버된 셀 기지국과 상기 L3 핸드오버된 AR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는 제 5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IP기반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L3 핸드오버, 중첩 영역, IP, AR, AP

Description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Method of Handover in Cellular Networks with Overlapped Cell Group}
도 1 은 종래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셀 그룹에 대한 설명 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 과정에 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첩된 셀 그룹에 관한 설명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에 관한 일실시예 설명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에 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IP 기반의 차세대 이동통신 망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논의 중인 차세대 이동통신 망은 무선 전화망과 IP(Internet Protocol) 망의 결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앞으로는 IP(Internet Protocol) 망과 완전히 통합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기존의 무선 전화망에서 관심을 가지던 핸드오버에 있어서도, 무선 전화망에서의 기지국간의 핸드오버인 L2(Layer 2) 핸드오버뿐만 아니라 IP망에서의 라우팅을 위한 핸드오버인 L3(Layer 3)핸드오버도 중요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셀 그룹에 대한 설명 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우선 IP 망의 라우팅 기능을 담당하는 AR(Access router)1(10), AR2(11)가 존재하고, 각각의 AR들(10, 11)은 각각 하나의 셀을 관장하는 다수의 AP(Access Point)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AP들은 각각의 AP들이 관장하는 셀 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MT : Mobile Terminal)(13)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종래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AR과 AR간의 구분을 도 1의 "100"과 같이 각각의 AP 영역과 동일하게 나눈다. 따라서 AP의 L2 핸드오버와 AR간의 L3 핸드오버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R들은 각각 다수의 셀들로 이루어진 셀 그룹을 묶어 독자적인 망으로 구성하며 개개의 셀 그룹 내에서는 L2 핸드오버만 수행된다. 그리고 셀 그룹간의 이동시에는 AP의 L2 핸드오버와 AR간의 L3 핸드오버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핸드오버 과정에 대해서 도 2 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종래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 과정에 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우선 이동 단말기(13)가 이동하면(201), AP 영역을 이탈하는 지를 확인한다(202). 즉 도 1을 참조하면 AP(101)내에서 이동 단말기(13)가 이동을 하여 그 이동 결과 다른 AP로 이동을 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AP 영역을 이동 단말기(13)가 이탈하였으면, AR 영역을 이탈하였는지를 확인한다(203). 즉 도 1을 참조하면 AP(101)내에서 이동 단말기(13)가 이동을 하여 그 이동 결과 AR이 서로 다른 AP(111)로 이동을 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203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AR 영역을 이탈한 경우(즉, 도 1의 AP(111)로 이동한 경우), AR간의 L3 핸드오버와 AP간의 L2 핸드오버를 동시에 수행한다(205).
반면, 203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AR 영역을 이탈하지 않은 경우(즉, 도 1의 AP(111)가 아닌 다른 AP로 이동한 경우), AP간의 L2 핸드오버를 수행한다(204).
이와 같이 모바일 IP 기술을 그대로 이동통신 망에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 L2 핸드오버와 L3 핸드오버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L2 핸드오버에 비해 L3 핸드오버의 처리에는 시그널링 지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L2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L3 핸드오버가 이루어지기까지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 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망은 대역 주파수가 커지므로 개개의 셀 반경은 현재보다 작아지게 될 것이므로 더욱 빈번한 핸드오버가 생기게 되며, 특히 영역간의 이동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중첩 영역에서 L2 핸드오버와 L3 핸드오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효과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또한, 물리 계층의 시그널링 메시지에 의해 각각의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므로 L2 핸드오버와 L3 핸드오버를 동시에 지원하도록 설정하기 위해서는 그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자원의 낭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IP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망에서 L3 핸드오버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3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 두 라우터 간에 패킷 전달을 따로 해 줌으로인해 발생하는 패킷 지연시간 및 패킷 누락율을 줄이기 위한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셀 그룹을 관리하는 AR(Access Router)간의 경계 영역에 상기 인접한 각각의 AR에 모두 접속이 가능한 중첩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중첩 영역에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진입하면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에 대해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셀 그룹을 관리하는 AR(Access Router)간의 경계 영역에 상기 인접한 각각의 AR에 모두 접속이 가능한 중첩 영역이 설정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상기 중첩 영역에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제 1 단계; 상기 중첩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 동작을 시작하는 제 2 단계;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경로를 상기 L3(Layer 3) 핸드오버된 AR로 설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동작 중에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포함된 셀 영역에서 이탈하면 셀 간의 L2(Layer 2)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는 상기 L2 핸드오버된 셀 기지국과 상기 L3 핸드오버되기 전의 AR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동작 후에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포함된 셀 영역에서 이탈하면 셀 간의 L2(Layer 2)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는 상기 L2 핸드오버된 셀 기지국과 상기 L3 핸드오버된 AR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첩된 셀 그룹에 관한 설명 예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IP 망의 라우팅 기능을 담당하는 AR(Access router)1(10), AR2(11)가 존재하고, 각각의 AR들(10, 11)은 각각 하나의 셀을 관장하는 다수의 AP(Access Point)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AP들은 각각의 AP들이 관장하는 셀 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MT : Mobile Terminal)(13)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AR1(10)과 AR2(11)간의 구역을 나누기 위해 도시된 도 3의 "100"을 중심으로, AR1(10) 영역의 인접 셀과 AR2(11) 영역의 인접 셀사이에 중첩 영역(300)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각각의 AR에 포함되는 셀 그룹의 경계 지점의 섹터들에 대해 경계를 이루는 AR 모두(예컨데, AR1과 AR2)에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셀 그룹의 중첩 개수에 따라 어떤 셀들은 두 개 이상의 AR에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중첩되는 영역에 있는 AP는 두 개 이상의 AR에 대한 인터페이스 를 갖게 되는데 상향으로의 전송은 어느 쪽으로 되어도 관계없으므로 별도의 IP 라우팅 기능은 고려하지 않는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셀 그룹 간을 이동할 때 L2 핸드오버와 L3 핸드오버가 모두 필요하므로 상당히 긴 지연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2 핸드오버와 L3 핸드오버를 분리시켜 L3 핸드오버를 중첩된 영역(300) 내에서 진행한다. 즉, 이동 단말기(13)의 이동성을 예측하여 중첩된 영역에서 L3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L2 핸드오버는 기존과 같이 각각의 셀 간의 이동에 따라 L3 핸드오버와는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에 관한 일실시예 설명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고유 ID와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HA(Home Agent)(400)와 IP 통신을 위한 IP 백본 망(40)와 IP 백본 망(40)에 연결된 AR1(10), AR2(11)와 AR1(10)에 속한 셀을 관할하는 AP1(401), AP2(402)와, AR2(11)에 속한 셀을 관할하는 AP3(403), AP4(404)와, AP1(401)에서 AP2(402) 및 AP3(403)를 거쳐 AP4(404)로 이동 중인 이동 단말기(13)를 포함한다.
또한, AP2(402)와 AP3(403) 사이에는 AR1(10)과 AR2(11)에 대한 L3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중첩 영역(42)이 존재한다. 이 중첩 영역(42)에서는 AR1(10)과 AR2(11)에 대해 모두 억세스가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3)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1(401)에서 AP2(402) 및 AP3(403)를 거쳐 AP4(404)로 이동 중인 경우, 그 핸드오버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AP1(401)에서 AP2(402)로 핸드오버를 하는 경우(41)에는 같은 AR에 속한 AP간의 핸드오버이므로 L2 핸드오버만 수행한다. 또한, AP2(402)에서 AP3(403)로 이동 중에 중첩 영역(42)에 진입하면 L3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중첩 영역(42) 내에서 AP2(402)와 AP3(403) 간의 AP 간의 L2 핸드오버(41)는 L3 핸드오버와는 별개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첩 영역(42)은 AR1(10)과 AR2(11)에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AP2의 해당 섹터에 들어온 이동단말기(13)에 대해 이동성을 감지한 AP2(402)가 L3 핸드오버를 명령하게 된다. 즉 AP1(401)에서 AP2(402)에 대한 L2 핸드오버 이후에 AR1(10)에서 AR2(11)로의 L3 핸드오버가 일어나고 이후에 AP3(403)으로 넘어갈 때 다시 L2 핸드오버가 일어난다. 이 경우, 하나의 AP에 대해 AR이 두 개 이상 연결되어 있으므로 L2 핸드오버와 동시에 발생하는 L3 핸드오버에 의한 오버헤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셀 그룹이 중첩되지 않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핸드오버 과정 중에 발생하고 서비스되지 않아 큐에 남아있는 패킷에 대해 서로 다른 AR에서 서비스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전 AP에서 새로운 AP로 패킷을 포워딩하는 기법이 구현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AR1(10)을 거쳐 AP2(402)에 도달한 패킷을 다시 다른 라우터(예컨데 AR2)로 포워딩시킬 필요없이 그대로 서비스해 주기만 하면 된다. IP계층에서 COA(Care-of-address)가 바뀌었지만 이전의 링크 계층 ID와 매핑이 가능하 므로 약간의 기능만 추가하면 AP에서는 그대로 기존 패킷을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핸드오버의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HA(400)는 반드시 하나의 경로를 갖고 있으므로 이동단말기(13)에 전달되는 패킷은 L3 핸드오버가 일어나기 전에는 AR1(10)로 포워딩되다가 L3 핸드오버가 발생한 이후에는 AR2(11)로 포워딩되며 그 사이에 도달한 모든 패킷은 그대로 AP(AP2 또는 AP3)에 전달되기만 하면 된다. 또한, 핸드오버하는 이동단말기(13)가 발생시킨 패킷은 중첩 영역(42)에서 각각의 AP가 AR1(10) 또는 AR2(11)에 모두 억세스가 가능하므로 AR1(10) 또는 AR2(11) 중의 어느 곳으로 라우팅 되더라도 문제가 없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일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이동단말기는 현재 AR1과 AP1에 속하여 있으며 AR2와 AP2로 이동중인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현재의 데이터 전송 경로는 AR1에서 AP1을 거쳐 이동단말기로 전달된다.
이동단말기가 중첩 영역으로 이동하면(501), 이를 감지한 AP가 해당 이동단말기에 대해 AR 간(AR1--->AR2)의 L3 핸드오버의 수행을 명령하여 L3 핸드오버가 시작된다(502). 이 경우는 AP에서 이동성을 감지하여 L3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동단말기가 파일럿 신호를 통해 이동성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L3 핸드오버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L3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의 AP 영역(AP1)을 이탈 하였는지를 확인하여(503) 이탈하였으면 L3 핸드오버와 독립적으로 AP간(AP1-->AP2)의 L2 핸드오버를 수행한다(509). 이 경우는 데이터의 전송 경로가 AR1(아직 L3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았으므로)에서 AP2를 거쳐 이동단말기로 전달된다(510).
한편 L3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재의 AP 영역(AP1)을 이탈 하였는지를 확인하여(503) 이탈하지 않았으면 데이터의 전송 경로는 AR1(아직 L3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았으므로)에서 AP1을 거쳐 이동단말기로 전달된다(504).
그리고 504 단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가지는 중에 L3 핸드오버가 완료되면(505) 데이터 전송 경로가 AR2에서 AP1을 거쳐 이동단말기로 전달된다(506). 그리고 현재의 AP 영역(AP1)을 이탈 하였는지를 확인하여(507) 이탈하였으면 L3 핸드오버와 독립적으로 AP간(AP1-->AP2)의 L2 핸드오버를 수행한다(508). 이 경우는 데이터의 전송 경로가 AR2에서 AP2를 거쳐 이동단말기로 전달된다(512). 한편, 507단계의 확인 경과 AP 영역을 이탈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AR2에서 AP1을 거쳐 이동단말기로 이동하는 것으로 유지한다(506).
그리고 510 단계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가지는 중에 L3 핸드오버가 완료되면(511) 데이터 전송 경로가 AR2에서 AP2을 거쳐 이동단말기로 전달된다(512). 그리고 511단계의 확인 경과 L3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AR1에서 AP2을 거쳐 이동단말기로 이동하는 것으로 유지한다(5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셀간의 이동에 있어서는 L2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셀 그룹간의 이동에서는 L3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L3 핸드오버와 L2 핸드오버를 동시 에 같은 시그널링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종래의 기술은 그 시그널링 신호의 오버헤드가 커지므로 지연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L3 핸드오버 수행에 따라 L2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L3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때까지 데이터의 전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L3 핸드오버 중에 발생한 패킷에 대해서는 라우터간의 포워딩을 하는 동작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L3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중첩 영역에서 중첩된 라우터에 대해 모두 억세스가 가능하므로 라우터간의 포워딩 동작이 필요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셀 그룹을 중첩시켜 중첩된 영역에서 L3 핸드오버가 일어나므로 셀 간의 L3 핸드오버로 인한 지연 시간 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L3 핸드오버가 발생할 때 두 라우터 간에 패킷 전달을 따로 해 주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패킷 지연시간 및 패킷 누락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셀 그룹을 관리하는 AR(Access Router)간의 경계 영역에 상기 인접한 각각의 AR에 모두 접속이 가능한 중첩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중첩 영역에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진입하면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에 대해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는,
    상기 중첩 영역에서 L3 핸드오버의 수행과는 독립적으로, 셀 간의 이동에 따른 L2(Layer 2)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AR간에 상기 L3 핸드오버 과정 중에 발생한 패킷에 대한 포워딩 동작없이
    상기 인접한 AR들이 각각 상기 이동단말기에 대해 억세스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에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진입하면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에 대해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파일럿 신호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이동성을 파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에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진입하면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에 대해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포함된 셀의 기지국이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의 이동을 파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6. 셀 그룹을 관리하는 AR(Access Router)간의 경계 영역에 상기 인접한 각각의 AR에 모두 접속이 가능한 중첩 영역이 설정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상기 중첩 영역에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는 제 1 단계;
    상기 중첩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 동작을 시작하는 제 2 단계;
    상기 인접한 AR간의 L3(Layer 3) 핸드오버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경로를 상기 L3(Layer 3) 핸드오버된 AR로 설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동작 중에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포함된 셀 영역에서 이탈하면 셀 간의 L2(Layer 2)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는 상기 L2 핸드오버된 셀 기지국과 상기 L3 핸드오버되기 전의 AR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는 제 4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동작 후에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포함된 셀 영역에서 이탈하면 셀 간의 L2(Layer 2)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는 상기 L2 핸드오버된 셀 기지국과 상기 L3 핸드오버된 AR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7. 제 6 항에서,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는 상기 제 1 단계 내지 상기 제 2 단계의 과정 중의 데이터 경로로,
    상기 L2 핸드오버되기 전의 셀 기지국과 상기 L3 핸드오버되기 전의 AR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을 포함하는 셀들의 기지국들은,
    상기 중첩된 AR들에 대해 각각 억세스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AR간에 상기 L3 핸드오버 과정 중에 발생한 패킷에 대해서 상기 인접한 AR간의 포워딩 동작없이,
    상기 인접한 AR들이 각각 상기 이동단말기에 대해 억세스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 버 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파일럿 신호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이동성을 파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1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가 포함된 셀의 기지국이 상기 소정의 이동단말기의 이동을 파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20040068152A 2004-08-27 2004-08-27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KR10067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52A KR100678125B1 (ko) 2004-08-27 2004-08-27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US11/177,037 US7353029B2 (en) 2004-08-27 2005-07-08 Handover method for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overlapping area
EP05017634A EP1631017B1 (en) 2004-08-27 2005-08-12 Handover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overlapping area
DE602005006915T DE602005006915D1 (de) 2004-08-27 2005-08-12 Weiterreichungsverfahren für Mobilkommunikationssysteme mit überlappenden Zonen
CN2005100919750A CN1750710B (zh) 2004-08-27 2005-08-15 用于具有重叠区域的下一代移动通信系统的切换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152A KR100678125B1 (ko) 2004-08-27 2004-08-27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449A true KR20060019449A (ko) 2006-03-03
KR100678125B1 KR100678125B1 (ko) 2007-02-02

Family

ID=3660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152A KR100678125B1 (ko) 2004-08-27 2004-08-27 중첩 영역을 가지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53029B2 (ko)
EP (1) EP1631017B1 (ko)
KR (1) KR100678125B1 (ko)
CN (1) CN1750710B (ko)
DE (1) DE60200500691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18B1 (ko) * 2004-09-07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CoA 바인딩 프로토콜을 이용한 어드레스 오너쉽인증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60126563A1 (en) * 2004-12-14 2006-06-15 Sungsoo Ka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hand-off of mobile terminal
CN100405871C (zh) * 2006-04-30 2008-07-23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基于二层预测和触发的三层移动切换实现方法
CN100593929C (zh) * 2007-08-21 2010-03-10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无线分组网络中的移动切换方法
JP5029534B2 (ja) * 2008-08-15 2012-09-1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管理方法、管理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CN102612069B (zh) * 2011-01-24 2016-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ip承载的移动通信系统中及系统中小区切换的方法
CN112449380A (zh) * 2019-08-28 2021-03-05 深圳市优克联新技术有限公司 切换控制的方法、装置、基站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976C (fi) 1994-07-11 1997-09-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kanavanvaihdon suorittamiseksi ja solukkoradiojärjestelmä
US6038449A (en) * 1996-11-20 2000-03-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exchange hand-off taking into account the service capabilities of the candidate cell
GB9910115D0 (en) * 1999-04-30 1999-06-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Hando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31386A1 (en) * 2001-01-26 2002-09-19 Docomo Communications Laboratories Usa, Inc. Mobility prediction in wireless, mobile access digital networks
US7480272B2 (en) * 2001-04-02 2009-01-20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Soft handoff in IP-based CDMA networks by IP encapsulation
US6978137B2 (en) * 2001-05-11 2005-12-20 Ntt Docomo Inc. Aggregation point prediction matching for coherent layer three signaling and fast IP mobility triggering
US7313628B2 (en) * 2001-06-28 2007-12-25 Nokia, Inc. Protocol to determine optimal target access routers for seamless IP-level handover
US6832087B2 (en) * 2001-11-30 2004-12-14 Ntt Docomo Inc. Low latency mobile initiated tunneling handoff
US20030104814A1 (en) * 2001-11-30 2003-06-05 Docomo Communications Laboratories Usa Low latency mobile initiated tunneling handoff
US7532596B2 (en) * 2002-04-26 2009-05-12 Nokia Corporation Optimized information transfer associated with relocation of an IP se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7349390B2 (en) * 2002-05-28 2008-03-25 Ntt Docomo, Inc.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526408B1 (ko) * 2002-10-07 2005-11-08 (주)아이엠넷피아 무선랜 기반에서 고속 릴리스 메시지를 이용한 고속핸드오버 방법
US20040085957A1 (en) * 2002-11-01 2004-05-06 Sanjeev Verm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P connectivity to mobile nodes during handover
JP4242666B2 (ja) * 2003-02-26 2009-03-25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及び無線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US7069002B2 (en) * 2003-06-30 2006-06-27 Lucent Technologies Inc. Message waiting indication operable to overcome a border condition between mobile switching centers
US7769378B2 (en) * 2003-08-26 2010-08-03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WLAN handover behavior at entry/exit po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46722A1 (en) 2006-03-02
KR100678125B1 (ko) 2007-02-02
CN1750710B (zh) 2010-12-08
DE602005006915D1 (de) 2008-07-03
EP1631017B1 (en) 2008-05-21
US7353029B2 (en) 2008-04-01
EP1631017A1 (en) 2006-03-01
CN1750710A (zh)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0985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radiotiedonsiirtoverkon hallitsemiseksi ja radioverkko-ohjain
CA2598372C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re network node selection method, an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used therefor
CN100413373C (zh) 在基于网际协议的移动通信网络中的技术间切换方法
CN101223741A (zh) 执行分组交换网络中的核心网络实体之间的切换的方法和装置
KR100600603B1 (ko) 휴대인터넷망에서 패킷유실을 방지하는 핸드오버방법 및 방법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U1706197A (en) Coexisting gsm and cdm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EP095179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d handoff in a cdma system
JP2008538260A (ja) 無線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可動ユーザのための分散型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6664635B (zh) 控制用户设备接入高速移动工具通信网络的方法
CN100593929C (zh) 一种无线分组网络中的移动切换方法
CN1750710B (zh) 用于具有重叠区域的下一代移动通信系统的切换方法
Ahmad et al. An efficient handover decision in heterogeneous LTE-A networks under the assistance of users’ profile
CN101505515B (zh) 移动台及其在中心接入点之间移动时的切换方法
CN102932855B (zh) 一种中继节点的切换方法及系统
Jose et al. PMIPV6-HC-MIH: An approach for improving handover performance in NGWN
CN102457958B (zh) 一种服务网关重定位的判定方法及系统
CN102281600A (zh) 一种实现本地切换的方法和装置
Mohammed et al. Modification of load balancing method in networks with wimax technology
KR20090030691A (ko) 무선랜과 이동통신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
Jethani QoS in WiMAX for real-time applications by using improved handoff scheme
Hong-Yan et al. A Dual-Soft-Handoff Scheme for Fast Seamless Roaming in WLAN
Huang et al. A group-based fast media independent handover control scheme for proxy mobile IPv6 (GB-FMIH-PMIPv6)
CN101917748B (zh) 一种基于协作分集技术的无缝切换方法
Yang et al. An improved inter-domain handover scheme based on a bidirectional cooperative relay
Chiang et al. Location management and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based on mobile IP and cellular IP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