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241A - 평막 모듈 - Google Patents

평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241A
KR20060019241A KR1020040067803A KR20040067803A KR20060019241A KR 20060019241 A KR20060019241 A KR 20060019241A KR 1020040067803 A KR1020040067803 A KR 1020040067803A KR 20040067803 A KR20040067803 A KR 20040067803A KR 20060019241 A KR20060019241 A KR 2006001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membrane
support plate
fastener
membrane modu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483B1 (ko
Inventor
장재영
장규만
박선후
현병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Priority to KR102004006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4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막의 부착력을 높여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평막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처리수가 유통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유통홀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면에 적층되는 평막, 상기 적층 구조물의 외측을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서 설치되어 평막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체결구를 포함하는 평막 모듈을 제공한다.
평막, 지지판, 체결구, 끼움홈, 핀, 플랜지, 지지부재

Description

평막 모듈{FLATSHEET MEMBRANE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막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막 모듈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막 모듈의 일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막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막 모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평막 모듈 11 : 지지판
12 : 통로 13 : 유통홀
14 : 평막 15 : 프레임
16 : 고정구 17 : 집수구
18 : 구멍 19 : 누름부재
20 : 암체결구 21 : 수체결구
22 : 본체 23 : 끼움홈
24,26 : 플랜지 25 : 핀
30 : 지지부재
본 발명은 폐수처리용 평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본 발명자에 의해 선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2-25691호를 개량하여 강도의 향상을 통해 대형화가 가능하고 백워싱시 평막 간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침지형 평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은 선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25691호를 통해 종래의 공지된 평막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즉, 사각의 틀안에 막을 붙이고 내부에 지지체를 삽입하는 단순한 형태로써 막 전체를 균일하게 흡입압을 유지 할 수가 없고 흡입압이 강한 부위부터 오염이 심화되어 막이 불균일해지는 단점과, 막의 표면에 부상공기에 의한 난류를 유도하여 오염이 방지되게 운전을 하면서도 막의 표면이 평활하여 난류의 형성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을 해결하여 평막 형태로 막오염이 최소화되고 유체역학적으로 안정되며 사용이 간편하고 수처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설계된 평막 모듈을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평막 모듈의 경우 대단위 처리를 위해서는 대용량의 모듈이 필요하나 대형 모듈의 경우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운전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구조는 단순하게 사각의 프레임에 평막을 접착한 상태로 구조적 강도가 약하여 장시간 사용시 평막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모듈을 대형화시키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평막 모듈은 플레이트와 프레임(plate and frame) 형과 같이 모듈을 수직으로 다수 배치한 것과 스톡(stalk) 형으로 모듈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하여 운전하게 되는 데, 막 세정을 위한 백워싱 운전시에는 막이 지지판에 대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므로 이웃하는 모듈의 막간에 상호 간섭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막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 모듈간의 간격을 벌려야 되고 이는 단위 면적당 처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평막 모듈을 대형화하는 경우 백워싱 공정시 막의 부풀어오르는 정도가 커지므로 모듈간의 간격을 더욱 띄워야 되고 이에 따라 수처리효율은 더욱 낮아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2-25691호에서 제안한 평막 모듈을 개량하여 구조적 강도를 높이고 백워싱이 가능한 대형화된 평막 모듈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그 개발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평막 모듈을 얻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 평막의 부착 강도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
평막이 단순히 접착제에 의해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운전에 따른 평막의 유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접착부분이 떨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한 부착 구조 이외에 평막의 부착강도를 높일수 있도록 별도의 부착 보강수단이 더욱 요구된다.
둘째, 평막의 백워싱 작업시 평막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정도를 줄일 수 있어야 한다.
평막은 모듈을 이루는 외측 프레임에만 부착되고 평막의 가운데 부분은 내부의 지지판과 별도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백워싱시 모듈 내에 수압이 걸리게 되면 평막은 내부 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따라서 백워싱시에도 평막의 중앙부를 지지판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셋째, 대형화가 가능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첫째 평막의 부착력을 높여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평막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모듈 내부의 지지판과 평막 사이의 이격 정도를 줄여 백워싱시 평막이 외부로 팽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평막 모듈을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를 통해 대형화가 가능한 평막 모듈을 제공함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처리수가 유통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유통홀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면에 적층되는 평막, 상기 적층 구조물의 외측을 고정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평막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구가 프레임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평막을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은 채널형태로 지지판과 평막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물로 양쪽면에는 체결구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평막과 내측의 지지판 상에는 상기 체결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역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프레임의 양면에서 끼워져 고정되도록 암체결구와 수체결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양면에서 암,수체결구를 끼우게 되면 프레임과 평막 및 지지판이 체결구에 의해 조여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암체결구와 수체결구는 억지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양 부재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구의 설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체결구의 구조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암체결구와 수체결구가 맞물려 프레임을 조일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막 모듈은 중앙부에 상기 지지판과 평막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 다.
즉, 본 발명의 평막 모듈은 내부에 처리수가 유통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유통홀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면에 적층되는 평막, 상기 적층 구조물의 외측을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평막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평막을 지지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막 모듈은 평막의 외측에서 평막을 가로지르는 지지부재가 놓여지고 이 지지부재는 지지부재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체결구에 의해 모듈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평막 모듈은 내부에 처리수가 유통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유통홀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면에 적층되는 평막, 상기 적층 구조물의 외측을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평막 외측에 놓여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지지판에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띠형태를 이루는 판재로 양 끝단은 모듈의 프레임에 접하여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막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막 모듈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막모듈(10)은 내부에는 처리수가 지나가는 통로(도 4의 12 참조)가 형성되고 양쪽 전면에는 처리수가 유통되도록 유 통홀(도 4의 13 참조)이 형성된 사각판재 형태의 지지판(11)과, 이 지지판(11)의 양쪽면에 적층되어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평막(14), 상기 지지판(11)과 평막(14)의 외측 선단에 끼워져 외측단을 지지하는 프레임(15), 이 프레임(15)의 모서리 연결부위에 체결되어 프레임(15)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16) 중 도면 상 프레임(15)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구(16)에는 상기 지지판(11) 내부로 연통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집수구(17)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압력에 의해 평막(14)을 거치면서 오폐물질이 처리된 처리수는 유통홀(13)을 통해 지지판(11) 내부로 유입되어 지지판(11)에 형성된 통로(12)를 거쳐 상기 집수구(17)를 통해 배출처리된다.
상기 프레임(15)은 지지판(11)의 각 측단에 끼워질 수 있도록 4개로 분리되어 있으며, 채널 형태로 되어 적층되어 있는 지지판(11)과 평막(14)의 외측으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6)는 프레임(15)과 프레임(15)의 연결부분을 감싸도록 역시 채널 형태의 부재가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직각으로 절곡된 각 부분이 해당 프레임(15)을 감싸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평막(14)은 지지판(11)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외측 선단부가 지지판(11)과 접착 고정된다.
미설명된 도면 부호 (19)는 지지판(11)의 상단에 끼워지는 프레임(15)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누름부재이다. 평막 모듈이 물속에 침지되고 공기방울에 의해 요동칠 때 통상 평막 모듈을 위에서 눌러줌으로써 평막 모듈이 물 위로 부상되는 것을 막게 되는 데, 이때 프레임 중앙부에 상기 누름부재가 돌출 설치되어 상기 누름 부재(19)를 매개로 평막 모듈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막(14)은 상기 프레임(15)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구(20,21)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체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 선단에는 내부로 끼움홈(23)이 형성된 본체(22)와, 끼움홈(23)이 형성된 쪽의 반대쪽 본체(22)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5)에 접하는 플랜지(24)를 포함하는 암체결구(20)와, 상기 본체(22)의 끼움홈(23)에 끼워지는 핀(25)과, 이 핀(25) 끝단에 형성되어 프레임(15)에 접하는 플랜지(26)를 포함하는 수체결구(21)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프레임(15)의 양면에서 암,수체결구(21)를 각각 끼우게 되면 지지판(11) 내부에서 암체결구(20)의 본체(22)에 형성된 끼움홈(23)으로 수체결구(21)의 핀(25)이 끼워지면서 프레임(15)과 평막(14) 및 지지판(11)이 체결구(20,21)에 의해 조여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체결구(20,21)가 지지판(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5)은 물론 평막(14)과 지지판(11)에는 각 체결구(20,21)의 삽입위치에 따라 본체(22)와 핀(25)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구멍(1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체결구(20)와 수체결구(21)의 결합은 끼움홈(23)과 핀(25)의 억지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나, 보다 확실한 결합을 위해 상기 핀(25)과 끼움홈(23)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를 매개로 결합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암체결구(20)의 플랜지(24)와 수체결구(21)의 플랜지(26)의 내측면은 각각 프레임(15)에 형성된 구멍(18)의 외주부와 접하게 되어 프레임(15)을 가압하게 되며 플랜지(24,26)와 프레임(15)간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프레임(15)과 플랜지(24,26)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평막(14)은 지지판(11)에 접착제를 매개로 결합될 뿐아니라 프레임(15)과 평막(14) 및 지지판(11)을 관통하는 체결구(20,21)에 의해 고정되어 그 체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21만 도시되 있음)가 프레임(15)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장착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는 데, 상기 체결구의 설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평막(14)에 걸리는 압력 정도에 따라 적정 개수로 조절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구(20,21)의 구조 또한 플랜지 또는 본체(22)의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본체(22)와 핀(25)의 길이는 체결구 결합시 암,수체결구(21)의 플랜지(24,26) 사이의 간격이 프레임(15) 폭보다 작아 암,수체결구(21)의 플랜지(24,26)가 프레임(15)을 가압할 수 있어야 함을 제외하고 그 수치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프레임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장착된 상태를 잘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지지판(11)의 양쪽면에 평막(14)이 부착된 상태에서 채널 형태의 프레임(15)이 외측에 씌워져 모듈을 이루게 되는 데, 상기 프레임(15)의 일측면과 이에 접하는 상기 평막(14)과 지지판(11)에는 상기 암체결구(20)의 본 체(22)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구멍(18)이 형성되어 이 구멍(18)을 통해 암체결구(20)의 본체(22)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5)의 타측면과 이에 접하는 상기 평막(14)과 지지판(11)에는 상기 수체결구(21)의 핀(25)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구멍(18)이 형성되어 이 구멍(18)을 통해 수체결구(21)의 핀(25)이 삽입된다.
이와같이 지지판(11) 내부로 삽입된 본체(22)와 핀(25)은 지지판(11) 내에서 본체(22)의 끼움홈(23)에 핀(25)이 끼워지면서 상호 체결 고정되고, 본체(22)와 핀(25)이 형성된 플랜지(24,26)가 프레임(15)의 외측면을 눌러 프레임(15)과 지지판(11) 사이에 위치한 평막(14)을 더욱 공고히 밀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예 따르면 평막모듈(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20.21)가 모듈의 중앙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11)에 상기 평막(14)을 고정시킴으로써 백워싱시 평막(14)의 팽창율을 낮추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평막(14)은 지지판(11)과 외주부에서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부는 지지판(11)에 대해 자유롭게 이격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백워싱을 위해 집수구(17)를 통해 지지판(11) 내부로 처리수를 가압 공급하게 되면 수압에 의해 평막(14)이 지지판(11)에서 이격되어 외측으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체결구(20,21)가 모듈의 중앙부에서 평막(14)을 지지판(11)에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평막(14)의 팽창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20,21)는 위 프레임(15)에 체결되는 체결구와 동일한 구 조로 이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평막과 지지판이 체결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일측 전면에 위치한 상기 평막(14)과 지지판(11)에는 상기 암체결구(20)의 본체(22)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구멍(18)이 형성되어 이 구멍(18)을 통해 암체결구(20)의 본체(22)가 삽입된다.
그리고 타측 전면에 위치한 평막(14)과 지지판(11)에는 상기 수체결구(21)의 핀(25)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구멍(18)이 형성되어 이 구멍(18)을 통해 수체결구(21)의 핀(25)이 삽입된다.
이와같이 지지판(11) 내부로 삽입된 본체(22)와 핀(25)은 지지판(11) 내에서 본체(22)의 끼움홈(23)에 핀(25)이 끼워지면서 상호 체결 고정되고, 본체(22)와 핀(25)이 형성된 플랜지(24,26)가 평막(14)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평막(14)을 지지판(11)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암,수체결구(21)와 평막(14)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 체결구(20,21)의 플랜지(24,26)는 상기 평막(14)과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지지판(11) 내부로 유입된 수압에 의해 평막(14)이 외부로 팽창할 때 상기 체결구(20,21)가 설치된 위치에서는 평막(14)이 지지판(11)에 밀착되어 팽창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데,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평막 모듈(10)이 배치되어 있고 각 모듈은 암체결구(20)와 수체결구(21)를 매개로 평막(14)이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백워싱이 이루어지게 되면 지지판(11)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평막(14)이 외부로 팽창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평막(14)은 간격을 두고 암체결구(20)와 수체결구(21)에 의해 지지판(1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체결구(20,21)가 설치된 지점에서는 평막(14)의 팽창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평막(14)은 체결구(20,21)와 체결구(20,21) 사이에서만 지지판(11)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로 팽창하게 되므로, 체결구가 없는 구조와 비교하여 팽창정도를 현격히 줄일 수 있으며, 이웃하는 평막 모듈간의 간격을 줄이더라도 서로간의 평막(14)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막모듈은 평막(14)의 외측에서 평막(14)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지지부재(30)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30)를 따라 다수개의 체결구(20,21)가 장착되어 지지부재(30)를 지지판(11)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 상 상기 지지부재(30)는 평막(1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평막 모듈(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0)의 설치 개수나 설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막(14)의 중간 부분에서 지지부재(30)가 평막(14)을 지지하게 되어 모듈을 대형화시키는 경우에도 평막(14)의 자중에 의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의 구조는 위에서 언급되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0)는 띠형태를 이루는 판재로 양 끝단은 모듈의 프레임(15)까지 연장되어 프레임(15)의 측단에 접하게 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체결구(20,21)의 본체(22) 또는 핀(25)이 끼워지는 구멍(18)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30)의 구멍(18)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평막과 지지판에도 역시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30)를 따라 간격을 두고 암체결구(20)와 수체결구(21)가 양쪽에서 끼워지게 되고 암체결구(20)의 본체(22)에 형성된 끼움홈(23)과 수체결구(21)의 핀(25)이 지지판(11) 내에서 끼워짐으로써 지지부재(30)가 평막(14)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판(11)에 대해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당히 진보된 평막모듈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평막모듈은 평막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그 체결력을 높임으로써 모듈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백워싱시 평막의 팽창율을 낮춰 모듈간의 평막 간섭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라 모듈 사이의 간격을 좁혀 단위 면적당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의 대형화가 가능하여 큰 막면적을 갖는 모듈을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내부에 처리수가 유통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유통홀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면에 적층되는 평막,
    상기 적층 구조물의 외측을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따라서 설치되어 평막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체결구
    를 포함하는 평막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막 모듈은 중앙부에 상기 지지판과 평막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설치되는 평막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막 모듈은 평막의 외측에서 평막에 접하는 지지부재가 놓여지고, 이 지지부재를 따라 지지부재를 지지판에 고정시키는 체결구가 설치되는 평막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일측 선단에 끼움홈이 형성된 본체와 타측 선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암체결구와, 상기 본체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핀과 이 핀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수체결구로 이루어지는 평막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평막 및 지지판에는 각 체결구의 본체와 핀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평막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구와 수체결구는 끼움홈과 핀의 억지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평막 모듈.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과 끼움홈은 그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되어 부착되는 평막 모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막과 접하는 각 체결구의 플랜지는 상기 평막과 접착제를 매개로 부착되는 평막 모듈.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평막의 가로 또는/ 및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평막 모듈.
  10. 내부에 처리수가 유통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유통홀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면에 적층되는 평막,
    상기 적층 구조물의 외측을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평막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평막을 지지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
    를 포함하는 평막 모듈.
  11. 내부에 처리수가 유통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유통홀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면에 적층되는 평막,
    상기 적층 구조물의 외측을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평막 외측에 놓여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지지판에 고정시키는 체결구
    를 포함하는 평막 모듈.
KR1020040067803A 2004-08-27 2004-08-27 평막 모듈 KR100621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03A KR100621483B1 (ko) 2004-08-27 2004-08-27 평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03A KR100621483B1 (ko) 2004-08-27 2004-08-27 평막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241A true KR20060019241A (ko) 2006-03-03
KR100621483B1 KR100621483B1 (ko) 2006-09-14

Family

ID=3712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803A KR100621483B1 (ko) 2004-08-27 2004-08-27 평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483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448A2 (ko) * 2010-07-09 2012-01-12 이코리더 주식회사 블록형 평막모듈
KR20170027682A (ko)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WO2018062838A1 (ko) * 2016-09-29 2018-04-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35438A (ko) *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38294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평판형 필터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8719A (ko) *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20180041447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41444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41445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46183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20180046181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20180046182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WO2023031040A1 (en) * 2021-09-01 2023-03-09 Global Life Sciences Solutions Usa Llc Perfusion filter assembly for increased cross-flow
WO2023031041A1 (en) * 2021-09-01 2023-03-09 Global Life Sciences Solutions Usa Llc Filter membrane, filter membrane assembly and flexible bag bioreactor
WO2023181934A1 (ja) * 2022-03-23 2023-09-28 株式会社明電舎 濾過膜ユニット、これを保持する保持体、濾過膜ユニット及び保持体を備える濾過システム、並びに複数の濾過システムを備える濾過処理設備
WO2023181932A1 (ja) * 2022-03-23 2023-09-28 株式会社明電舎 濾過膜ユニット、保持体、濾過システム、及び濾過処理設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8504A (zh) * 2013-09-16 2015-03-2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扩散池膜组件及扩散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150A (ja) * 1993-09-28 1995-04-11 Kurita Water Ind Ltd 膜分離装置の平膜ユニット
JPH0871382A (ja) * 1994-08-31 1996-03-19 Kurita Water Ind Ltd 浸漬型膜分離装置の膜ユニット
KR200285695Y1 (ko) 2002-05-15 2002-08-13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침지형 평막 모듈
KR20040047329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코레드 수처리용 평막모듈과 막 단위체 및 그 평막모듈 제조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448A3 (ko) * 2010-07-09 2012-05-03 이코리더 주식회사 블록형 평막모듈
WO2012005448A2 (ko) * 2010-07-09 2012-01-12 이코리더 주식회사 블록형 평막모듈
KR20170027682A (ko)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용 필터모듈
EP3520885A4 (en) * 2016-09-29 2020-04-29 Amogreentech Co., Ltd. FLAT 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 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WO2018062838A1 (ko) * 2016-09-29 2018-04-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35438A (ko) *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US11471833B2 (en) 2016-09-29 2022-10-18 Amogreentech Co., Ltd. Flat-plat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lat-plate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KR20180038294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평판형 필터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8719A (ko) *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20180041444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41445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41447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KR20180046183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20180046181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KR20180046182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WO2023031040A1 (en) * 2021-09-01 2023-03-09 Global Life Sciences Solutions Usa Llc Perfusion filter assembly for increased cross-flow
WO2023031041A1 (en) * 2021-09-01 2023-03-09 Global Life Sciences Solutions Usa Llc Filter membrane, filter membrane assembly and flexible bag bioreactor
WO2023181934A1 (ja) * 2022-03-23 2023-09-28 株式会社明電舎 濾過膜ユニット、これを保持する保持体、濾過膜ユニット及び保持体を備える濾過システム、並びに複数の濾過システムを備える濾過処理設備
WO2023181932A1 (ja) * 2022-03-23 2023-09-28 株式会社明電舎 濾過膜ユニット、保持体、濾過システム、及び濾過処理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483B1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483B1 (ko) 평막 모듈
KR101554924B1 (ko) 중공사막모듈 손상 방지를 위한 유동방지용 분리막 유니트
JP5283689B2 (ja) 膜分離装置および膜カセット
WO2007122839A1 (ja) 膜エレメント、膜ユニット及び多段積み膜ユニット
KR101299458B1 (ko) 판상의 무-프레임 여과부재
RU2757284C2 (ru) Фильтрующий диск
CN103269780B (zh) 膜分离装置
JP2010158599A (ja) 間隔保持部材および膜エレメントおよび浸漬型膜分離装置
US20110011787A1 (en) Membrane element and membrane module
US20150001744A1 (en) Device for Distributing Gases in Liquids
CA2795359C (en) End seals for aeration diffuser assembly
CN103118769A (zh) 浸渍型膜过滤单元及浸渍型膜过滤装置
US8778183B2 (en) Filtering apparatus
JP3538902B2 (ja) 浸漬型膜分離装置の膜エレメント
JP2010234329A (ja) 浸漬型膜分離装置における膜カートリッジ
US20130206695A1 (en) Combination Unit and Combination Method of Multiple Membrane Shells
US4704205A (en) Tubular membrane module wherein liquid flows around stay bolt
KR100639259B1 (ko) 상수도 정수지의 간벽 구조
CN213942698U (zh) 一种便于水箱拉筋的超滤膜架
KR100690628B1 (ko) 수처리장용 조립식 벽체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5473193B2 (ja) 膜カートリッジ
KR20190019646A (ko) 침지식 막분리 장치용 분리막 유니트
JP2010029818A (ja) 濾過装置
KR20100117824A (ko) 여과막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크 필터
KR20030040001A (ko) 침지형 평막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