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684A -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684A
KR20060018684A KR1020040067177A KR20040067177A KR20060018684A KR 20060018684 A KR20060018684 A KR 20060018684A KR 1020040067177 A KR1020040067177 A KR 1020040067177A KR 20040067177 A KR20040067177 A KR 20040067177A KR 20060018684 A KR20060018684 A KR 2006001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data received
digital
analog
dig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5094B1 (en
Inventor
염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04006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094B1/en
Publication of KR2006001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61Memory and use thereof,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memory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 저장 또는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와, 이를 이용한 노래 저장방법 및 노래 재생방법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 또는 재생신호를 송신하는 키패드;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과 내부에 미리 저장된 반주곡조를 합성하여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모니터를 통해 관련 영상을 시현하는 노래/영상출력부와, 상기 노래/영상출력부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지털화된 노래파일을 생성하거나 재생하는 노래파일 생성/재생부와, 상기 키패드로부터 저장 또는 재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영상출력부와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노래 반주기; 및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수신된 노래파일을 저장매체에 기록하거나,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된 노래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노래 반주기에 송신하는 외부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karaoke device having a song storage or playback function, a song storage method and a song playback method using the same. Karao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for transmitting a storage or playback signal at the user's selection; A song / video output unit for synthesizing the audio inputted into the microphone and the accompaniment tune stored in advance and outputting the synthesized analog data through the speaker and displaying the related image through the monitor, and the analog data from the song / video output unit. A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for receiving or generating or reproducing a digitized song fi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ong / image output unit and the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by receiving a storage or playback signal from the keypad; A song half cycle with a control unit; And an external storage device for recording the song file received from the song half cycle on a storage medium, or reading the song file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song half cycle.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및 반주곡조가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노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고, 인터넷 서비스등에 가입하지 않고 손쉽게 이를 보관/활용할 수 있으며, 정보공개의 위험 없이 사적용도로만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verting the analog data synthesized voice and accompaniment to digital data to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medium, or by playing and storing the stored digital data can utilize their song data through various digital media, It can be easily stored and used without subscribing to internet services, and it can be used only for private use without risk of information disclosure.

Description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와, 이를 이용한 노래 저장방법 및 노래 재생방법{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Karaoke device with song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song storage method and song playback method using the same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karaoke device having a song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karaoke device having a song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저장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Figure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song storag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재생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ong re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키패드 200 : 마이크100: keypad 200: microphone

300 : 모니터 310 : 스피커300: monitor 310: speaker

400 : 노래 반주기 410 : 제어부400: half-song period 410: control unit

420 : 노래/영상출력부 421 : 보조 기억장치420: song / video output unit 421: auxiliary storage device

422 : 디코더 422: Decoder

423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423: Digital to Analog Converters (D.A.C)

424 : 믹서 425 : 앰프 424 Mixer 425 Amplifier

430 : 노래파일 생성/재생부 430: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431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431: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432 : 코덱 433 : 메모리432: Codec 433: Memory

434 : 포맷터/디포맷터 435 : 인터페이스434 formatter / deformatter 435 interface

500 : 외부 저장장치500: external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와, 이를 이용한 노래 저장방법 및 노래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과 반주음원에 미리 저장된 반주곡조를 합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동시에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게 하는 노래방 기기와, 이를 이용한 노래 저장방법 및 노래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device having a song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a song storage method and a song playback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synthesizes a voice input to a microphone and an accompaniment tune previously stored in an accompaniment source through a spea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raoke device that outputs and simultaneously converts synthesized analog data into digital data and stores the result in a storage medium or reproduces and outputs the stored digital data, and a song storage method and a song playback method using the same.

노래방 문화가 소개된 이후 국내의 노래방 문화는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노래방은 어디서나 쉽게 발견할 수 있는 보편적인 공간이 되었고, 노래방 기기 및 그 운영 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karaoke culture, the domestic karaoke culture has been widely spread, and karaoke has become a universal space that can be easily found anywhere, and various technological developments on karaoke equipment and its operating system have been made.

일반적으로, 노래방 서비스는 정해진 시간동안 제한된 공간에서 노래하면서 스트레스를 푸는 일회성 서비스의 성격을 가지는바,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여 별도의 저장시스템을 구비하여 자신이 부른 노래를 카세트 테이프나 시디 디스크 상에 기록하여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general, the karaoke service has a characteristic of a one-time service that releases stress while singing in a limited spac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recent years, the karaoke service has been improved to have a separate storage system to record a song sung on a cassette tape or a CD disk. The service is made to be used semi-permanently.

또한, 인터넷 등 디지털 미디어가 발전에 힘입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마이크에 카메라를 달아 노래하는 모습을 녹화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해 공개하여 해당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한 후 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시스템 및 관련 노래방 기기가 있다.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such as the Internet,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ide various contents related thereto.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 is a system and a karaoke device that can record a song with a camera attached to a microphone, open it through the Internet, subscribe to the Internet service, and download i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나 시디 디스크 등에 기록하는 노래방 시스템은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에 호응하지 못하여 그 활용도가 미미하며, 컴퓨터 등에 저장하여 편집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작업이 병행되어야 하는바 사용자에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karaoke system for recording a cassette tape or a CD disk does not respond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its utilization is insignificant, and separate analog / digital conversion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store and edit them in a computer. There is an uncomfortable problem for the bar user.

한편, 종래의 인터넷망을 이용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반드시 해당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하여야 하고, 사적 정보의 공개에 따른 폐단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ystem using a conventional Internet network, the user must subscribe to the corresponding Internet service, there is a problem that may occur due to the disclosure of private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및 반주곡조가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노래를 활용할 수 있는 노래방 기기와, 이를 이용한 노래 저장방법 및 노래 재생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 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rt the analog data synthesized voice and accompaniment to digital data to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medium, or stored digit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araoke device that can utilize its own songs through various digital media, and a method of storing and using a so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서비스등에 가입하지 않고도 디지털화된 노래 데이터를 보관/활용할 수 있고, 정보공개의 위험 없이 사적용도로만 활용 가능한 노래방 기기와, 이를 이용한 노래 저장방법 및 노래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araoke device that can store and utilize digitized song data without subscribing to an Internet service, and can be used only for private use without the risk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a song storing method and a song 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There i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 또는 재생신호를 송신하는 키패드;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과 내부에 미리 저장된 반주곡조를 합성하여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모니터를 통해 관련 영상을 시현하는 노래/영상출력부와, 상기 노래/영상출력부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지털화된 노래파일을 생성하거나 재생하는 노래파일 생성/재생부와, 상기 키패드로부터 저장 또는 재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영상출력부와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노래 반주기; 및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수신된 노래파일을 저장매체에 기록하거나,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된 노래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노래 반주기에 송신하는 외부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Karaoke device having a song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keypad for transmitting a storage or playback signal by the user's selection; A song / video output unit for synthesizing the audio inputted into the microphone and the accompaniment tune stored in advance and outputting the synthesized analog data through the speaker and displaying the related image through the monitor, and the analog data from the song / video output unit. A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for receiving or generating or reproducing a digitized song fi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ong / image output unit and the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by receiving a storage or playback signal from the keypad; A song half cycle with a control unit; And an external storage device for recording the song file received from the song half cycle on a storage medium, or reading the song file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song half cycle.

상기 노래/영상출력부는: 반주곡조가 실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모니터에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보조 기억장치; 상기 보조 기억장치로부터 수신된 반주곡조가 실린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더로 부터 수신된 복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는 믹서; 및 상기 믹서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에 송신하는 앰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ong / image output unit may include: an auxiliary memory device which stores in advance digital data carrying accompaniment tunes and image data transmitted to the monitor; A decoder for decoding digital data carrying an accompaniment tune receiv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for converting the decod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decoder into analog data; A mixer for synthesizing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ynthesized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mixer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analog data to the speaker.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는: 상기 믹서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코덱; 상기 코덱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포맷팅하거나 디포맷팅하는 포맷터/디포맷터; 상기 포맷터/디포맷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거나 내부로 전송하는 것을 중계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ng file generation / reproducing unit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C) for converting synthesized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mixer into digital data; A codec for encoding or decod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A memory for stor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codec; A formatter / deformatter for formatting or deformatt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nterface for relaying the transmission of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formatter / deformatter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o the internal.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USB 장치, MP3 플레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one of a USB device and an MP3 player.

상기 포맷팅되는 소정의 파일형식은 MP3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redetermined file format to be formatted is any one of an MP3 file and a media file.

한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저장방법은, 키패드를 통해 저장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에 입력 된 음성과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된 반주곡조를 믹서에서 합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동시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 시현하는 단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메모리에 데이터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믹서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코덱를 통해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코덱로부터 수신된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외부 저장장치 및 저장매체의 존재유무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에 데이터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포맷터/디포맷터를 통해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포맷팅하는 단계; 상기 포맷터/디포맷터로부터 수신된 포맷팅된 디지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포맷팅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song storag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transmitting a storage signal through the keypad; Receiving the stored signal, synthesizing the audio inputted into the microphone and the accompaniment tune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in a mixer and outputting the stored image data through a monitor; Determining whether data can be stored in a memory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received by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C); Converting the synthesized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mixer into digital data through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Encod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through a codec; Storing the encod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codec in the memory; Determining whether data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based on the presence of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a storage medium; Formatting the encod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through a formatter / deformatter; Transmitting the formatt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formatter / deformatter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via an interface; And recording the formatt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interface to the storage medium throug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USB 장치, MP3 플레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one of a USB device and an MP3 player.

상기 포맷팅되는 소정의 파일형식은 MP3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redetermined file format to be formatted is any one of an MP3 file and a media file.

한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재생방법은, 키패드를 통해 재생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저장장치 와 저장매체 및 저장된 데이터의 존재유무에 의해 메모리에 데이터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저장장치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에 소정형식으로 포맷팅되어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내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포맷터/디포맷터를 통해 디포맷팅하는 단계; 상기 포맷터/디포맷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데이터 외부출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코덱을 통해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코덱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를 통해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믹서와 앰프를 거쳐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노래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song playba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transmitting a playback signal through the keypad; Receiving the play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data can be stored in a memory based on the presence of an external storage device, a storage medium, and stored data; Reading digital data formatted and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throug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ransmitt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rough an interface; Deformatt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interface via a formatter / deformatter; Stor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formatter / deformatter in a memory; Determining whether data can be externally output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received by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Decod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through a codec; Convert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codec into analog data through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a song output step of amplifying the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through a mixer and an amplifier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a speaker.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USB 장치, MP3 플레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one of a USB device and an MP3 player.

상기 포맷팅되는 소정의 파일형식은 MP3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determined file format to be formatted is any one of an MP3 file and a media fi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 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karaoke device having a song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는 크게 키패드(100), 노래 반주기(400), 외부 저장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노래 반주기(400)에는 모니터(300), 마이크(200), 스피커(310)가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100, a song half cycle 400, and an external storage device 500. The song half cycle 400 includes a monitor 300 and a microphone ( 200, a speaker 310 is connected.

상기 키패드(100)는 시작, 종료, 선곡 등을 위한 기본 버튼(미도시)과, 외부 저장을 위한 저장버튼(미도시) 및 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버튼(미도시)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 또는 재생신호를 상기 노래 반주기(400)에 송신한다.The keypad 100 includes a basic button (not shown) for start, end, selection, and the like, a storage button (not shown) for external storage, and a play button (not shown) for playing the same, and a user's selection Transmits the stored or reproduced signal to the song half-period 400.

상기 노래 반주기(400)는 다시 제어부(410), 노래/영상출력부(420), 노래파일 생성/재생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ong half-period 400 again includes a control unit 410, a song / video output unit 420, a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430.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키패드(100)로부터 저장 또는 재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영상출력부(420)와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43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410 receives a storage or playback signal from the keypad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ong / video output unit 420 and the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430.

상기 노래/영상출력부(420)는 상기 마이크(200)에 입력된 음성과 내부에 미리 저장된 반주곡조를 합성하여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310)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모니터(300)를 통해 관련 영상을 시현한다.The song / image output unit 420 synthesizes the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200 and the accompaniment tune stored in advance, and outputs the synthesized analog data through the speaker 310 and through the monitor 300. Show related videos.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430)는 상기 노래/영상출력부(420)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지털화된 노래파일을 생성한다.The song file generation / reproducing unit 430 receives analog data from the song / image output unit 420 to generate a digitized song file.

한편,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는 상기 노래 반주기(400)의 노래파일 생성/재생부(430)로부터 수신된 노래파일을 저장매체(미도시)에 기록하거나, 상기 저장 매체(미도시)에 기록된 노래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430)에 송신한다. Meanwhile,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records a song file received from the song file generation / reproducing unit 430 of the song half cycle 400 on a storage medium (not shown) or on the storage medium (not shown). The recorded song file is read and transmitted to the song file generation / reproducing unit 430.

이때,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USB 장치로 구성되거나, MP3 플레이어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USB장치인 경우에는 별도의 USB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동이 가능하며, MP3 플레이어인 경우에는 자체 저장기능에 의해 노래파일을 다운받아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xternal storage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 USB device or implemented as an MP3 player. In the case of a USB device, it can be moved by storing it in a separate USB memory. In the case of an MP3 player, a song file can be downloaded and moved by its own storage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karaoke device having a song storage and playba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노래/영상출력부(420)는 보조 기억장치(421), 디코더(422),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 믹서(424), 앰프(4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song / video output unit 420 includes an auxiliary memory device 421, a decoder 422, a digital / analog converter (DAC) 423, a mixer 424, and an amplifier 425. It is configured by.

상기 보조 기억장치(421)는, 노래를 위한 반주곡조와 이를 지원하는 영상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410)에 의해 출력이 제어되고, 반주 진행순서에 맞추어 자막처리기능을 지원한다. The auxiliary memory device 421 stores an accompaniment tune for a song and an image supporting the same, and the outpu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10 and supports a caption processing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ccompaniment procedure.

상기 디코더(422)는, 부호화(coding)된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decoding)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 기억장치(421)에 저장된 반주곡조가 실린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ecoder 422 decodes encoded digital data, and performs a function of decoding digital data carrying an accompaniment tune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device 421.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는 이산적인 디지털 데이터를 연속적인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으로, 상기 디코더(422)를 통해 복호화가 완료 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423 converts discrete digital data into continuous analog data, and converts the decoded digital data into analog data through the decoder 422.

상기 믹서(424)는 상기 마이크(200)를 통해 입력된 음성과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를 통해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된 반주곡조를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앰프(425)는 이렇게 합성된 아날로그 음을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31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 재생의 경우에는 별도의 합성과정이 불필요하다.The mixer 424 synthesizes a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00 and an accompaniment tune converted into analog data through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423, and the amplifier 425. Amplifies the synthesized analog sound so as to output through the speaker 310. However, in the case of regeneration, a separate synthesis process is not necessary.

한편,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43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431), 코덱(432), 메모리(433), 포맷터/디포맷터(434), 인터페이스(4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Meanwhile, the song file generation / reproducing unit 430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C) 431, a codec 432, a memory 433, a formatter / deformatter 434, and an interface 435. It is composed.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431)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와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믹서(424)에서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외부 저장을 위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다.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431 performs a fun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423 and converts the analog data synthesized in the mixer 424 into digital data for external storage. .

상기 코덱(432)은 코더와 디코더가 합성된 형태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431)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부호화 하여 상기 메모리(433)에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433)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디코더(422)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odec 432 encodes the digital data converted by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431 in a form in which a coder and a decoder are synthesized, and stores the encoded data in the memory 433 or the digital data stored in the memory 433. Decodes th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42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der 422 may be integrated with the decoder.

상기 메모리(433)는 저장과정에서는 상기 코덱(432)로부터, 재생과정에서는 상기 포맷터/디포맷터(434)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내부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emory 433 performs a function of internally stor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codec 432 in a storage process and from the formatter / deformatter 434 in a playback process.

상기 포맷터/디포맷터(434)는 저장과정에서는 상기 메모리(433)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포맷팅하고, 재생과정에서는 이미 포맷팅된 파일을 원 파일로 디포맷팅한다. 이때, 상기 포맷팅되는 소정의 파일형식은 MP3 파일형식이나 미디어 파일 형식이 바람직하다. The formatter / deformatter 434 formats digital data stored in the memory 433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in a storage process, and deformats a file that has already been formatted into an original file in a playback process.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file format to be formatted is preferably an MP3 file format or a media file format.

상기 인터페이스(435)는 상기 노래 반주기(400)와 외부 저장장치(500)와의 연결, 전송을 지원하는 것으로 외부 저장장치(500)의 종류에 의해 채택 가능하다. The interface 435 supports connection and transmission of the song half cycle 400 an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and may be adopted by the type of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한편,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노래/영상출력부(420)와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430)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41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ong / video output unit 420 and the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430.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410)에서 상기 키패드(100)의 저장신호를 받아,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431)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상기 메모리(433)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와 저장매체(미도시)의 존재유무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미도시)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10 receives the storage signal of the keypad 100, and stores the data in the memory 433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received by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431, Th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not shown)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and a storage medium (not shown).

또한, 상기 키패드(100)의 재생신호를 받아,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와 상기 저장매체(미도시) 및 저장된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메모리(433)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by receiving the playback signal of the keypad 100,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the storage medium (not shown) and the data stor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ored data to store the data in the memory 433,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DAC) 423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data to the outside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received.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를 이용하여 노래를 저장하거나 재생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process of storing or playing a song using the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저장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ong sto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패드(100)를 통해 저장신호를 송신하면(S1000), 노래 반주기(400)는 먼저 상기 저장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200)에 입력된 음성과 보조 기억장치(421)에 저장된 반주곡조를 믹서(424)에서 합성하여 스피커(310)를 통해 출력하는 동시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300)를 통해 시현하는 노래/영상 출력과정을 거치게 된다(S1100).Referring to FIG. 3, when a user transmits a storage signal through the keypad 100 (S1000), the song half-cycle 400 first receives the storage signal and inputs the voice and auxiliary storage device 421 to the microphone 200. The accompaniment tune stored in the mixer 424 is synthesized by the mixer 424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310, and the song / image output process of displaying the stored image data through the monitor 300 is performed (S1100).

상기 노래/영상 출력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조 기억장치(421)에서 저장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를 상기 모니터(300)에 송신하고, 반주곡조가 실린 디지털 데이터를 디코더(422)에 송신한다.Looking at the song / video output process in more detail,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421 receives the storage signal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monitor 300, and transmits the digital data containing the accompaniment tune to the decoder 422 .

상기 디코더(422)는 상기 보조 기억장치(421)로부터 수신된 반주곡조가 실린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는 상기 디코더(42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한다.The decoder 422 decodes digital data including accompaniment tunes receiv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421, and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423 converts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decoder 422 into analog data. Convert to

상기 믹서(424)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2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고, 상기 앰프(425)는 상기 믹서(424)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310)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The mixer 424 synthesizes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423 and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200, and the amplifier 425 receives from the mixer 424. The synthesized analog data is amplified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310.

상기 노래/영상 출력과정이 진행되면, 상기 제어부(410)에서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431)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메모리(433)에 데이터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한다(S1200). When the song / video output process is performed, the controller 410 determines whether data can be stored in the memory 433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received by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 (A.D.C) 431 (S1200).

저장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431)는 상기 믹서(424)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S1300), 코덱(432)에서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431)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부호화하고(S1400), 이를 상기 메모리(433)에 저장한다(S1500).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can be store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431 converts the synthesized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mixer 424 into digital data (S1300), and in the codec 432,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ADC 431 is encoded (S1400) and stored in the memory 433 (S1500).

저장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모니터(300)를 통해 저장불가표시를 시현한다(S121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is not possible, the control unit 410 displays the impossible storage display through the monitor 300 (S121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10)에서는 외부 저장장치(500) 및 저장매체(미도시)의 존재유무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미도시)에 데이터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한다(S1600). Next, the controller 410 determines whether data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not shown)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xternal storage device 500 and a storage medium (not shown) (S1600).

저장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포맷터/디포맷터(434)는 상기 메모리(433)로부터 수신된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포맷팅하고(S1700), 상기 인터페이스(435)는 상기 포맷터/디포맷터(434)로부터 수신된 포맷팅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에 전송하며(S1800),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는 상기 인터페이스(435)로부터 수신된 포맷팅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매체(미도시)에 기록한다(S19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can be stored, the formatter / deformatter 434 formats the encod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433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S1700), and the interface 435 uses the formatter / deformatter. The formatt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434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S1800), an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stores the formatt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interface 435. Time) (S1900).

저장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모니터(300)를 통해 저장불가표시를 시현한다(S121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is not possible, the control unit 410 displays the impossible storage display through the monitor 300 (S1210).

이때, 상기 포맷팅된 소정형식의 파일형식은 MP3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는 USB 장치이거나 MP3 플레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formatted file format may be any one of an MP3 file and a media file. In additio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is preferably a USB device or an MP3 player.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재생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ong reprodu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패드(100)를 통해 재생신호를 송신하면(S2000), 상기 제어부(410)는 재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와 상기 저장매체(미도시) 및 저장된 데이터의 존재유무에 의해 상기 메모리(433)에 데이터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한다(S2100).Referring to FIG. 4, when a user transmits a playback signal through the keypad 100 (S2000), the controller 410 receives the playback signal an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and the storage medium (not shown)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data can be stored in the memory 433 based on the existence of stored data (S2100).

저장 가능하다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는 상기 저장매체(미도시)에 소정형식으로 포맷팅되어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고(S2200), 상기 인터페이스(435)는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내부로 전송하며(S2300), 상기 포맷터/디포맷터(434)는 상기 인터페이스(43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포맷팅하고(S2400), 이를 상기 메모리(433)에 저장한다(S250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can be stored,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reads the digital data formatted and recorded in a predetermined format on the storage medium (not shown) (S2200), and the interface 435 reads the external storage device ( And transmits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device 500 (S2300), and the formatter / deformatter 434 deformats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interface 435 (S2400), and stores it in the memory 433. Save (S2500).

저장 불가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모니터(300)를 통해 재생불가표시를 시현한다(S211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is not possible, the control unit 410 displays a non-reproduction display through the monitor 300 (S211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데이터 외부출력 가능여부를 판단한다(S2600).Next, the controller 410 determines whether data can be externally output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received by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423 (S2600).

외부출력 가능하다 판단된 경우, 상기 코덱(432)는 상기 메모리(433)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S2700),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는 상기 코덱(43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며(S2800), 상기 믹서(424)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423)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앰프(425)를 거쳐 증폭하고 상기 스 피커(310)를 통해 출력한다(S2900).If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output is possible, the codec 432 decodes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433 (S2700), and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423 receives the codec from the codec 432. Converts the digital data into analog data (S2800), and the mixer 424 receives the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423, amplifies the signal through the amplifier 425, and the speaker. Outputs through 310 (S2900).

외부출력 불가하다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모니터(300)를 통해 재생불가표시를 시현한다(S211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output is impossible, the control unit 410 displays a non-playback display through the monitor 300 (S2110).

이때, 상기 포맷팅된 소정형식의 파일형식은 MP3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저장장치(500)는 USB 장치이거나 MP3 플레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formatted file format may be any one of an MP3 file and a media file. In additio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500 is preferably a USB device or an MP3 player.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저장 및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와, 이를 이용한 노래 저장방법 및 노래 재생방법에 의하면, 음성 및 반주곡조가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 출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노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araoke apparatus having a song storing and reproduc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ong storing method and a song reproduc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analog data synthesized with the voice and the accompaniment tune ar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and separated. By storing them on a storage medium 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the stored digital data,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ir song data through various digital media.

또한, 인터넷 서비스 등에 가입하지 않고도 디지털화된 노래 데이터를 보관/활용할 수 있고, 자신의 노래 데이터를 정보공개의 위험 없이 사적용도로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ore / use the digitized song data without subscribing to an Internet service, etc., and to utilize his song data only for private use without risk of information disclosure.

Claims (11)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 또는 재생신호를 송신하는 키패드;A keypad for transmitting a storage or playback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과 내부에 미리 저장된 반주곡조를 합성하여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모니터를 통해 관련 영상을 시현하는 노래/영상출력부와, 상기 노래/영상출력부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지털화된 노래파일을 생성하거나 재생하는 노래파일 생성/재생부와, 상기 키패드로부터 저장 또는 재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노래/영상출력부와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의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노래 반주기; 및A song / video output unit for synthesizing the audio inputted into the microphone and the accompaniment tune stored in advance and outputting the synthesized analog data through the speaker and displaying the related image through the monitor, and the analog data from the song / video output unit. A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for receiving or generating or reproducing a digitized song fil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ong / image output unit and the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by receiving a storage or playback signal from the keypad; A song half cycle with a control unit; And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수신된 노래파일을 저장매체에 기록하거나,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된 노래파일을 판독하여 상기 노래 반주기에 송신하는 외부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And an external storage device for recording the song file received from the song half cycle on a storage medium, or reading the song file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song half cycl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노래/영상출력부는:The song / video output unit: 반주곡조가 실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모니터에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보조 기억장치;An auxiliary storage device which prestores digital data carrying accompaniment tunes and image data transmitted to the monitor; 상기 보조 기억장치로부터 수신된 반주곡조가 실린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디코더;A decoder for decoding digital data carrying an accompaniment tune received from the auxiliary storage; 상기 디코더로부터 수신된 복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 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for converting the decod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decoder into analog data;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는 믹서; 및 A mixer for synthesizing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And 상기 믹서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에 송신하는 앰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 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ynthesized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mixer and transmitting the synthesized analog data to the speak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노래파일 생성/재생부는:The song file generation / playback unit: 상기 믹서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C) for converting the synthesized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mixer into digital data;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코덱;A codec for encoding or decod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상기 코덱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codec;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포맷팅하거나 디포맷팅하는 포맷터/디포맷터;A formatter / deformatter for formatting or deformatt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상기 포맷터/디포맷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거나 내부로 전송하는 것을 중계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And an interface for relay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formatter / deformatter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or to the internal storag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USB 장치, MP3 플레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a karaok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USB device, MP3 p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포맷팅되는 소정의 파일형식은 MP3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 The predetermined file format to be formatted is any one of an MP3 file, a media file. 키패드를 통해 저장신호를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a stored signal through a keypad; 상기 저장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에 입력된 음성과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된 반주곡조를 믹서에서 합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동시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 시현하는 단계;Receiving the stored signal, synthesizing the audio inputted into the microphone and the accompaniment tune stored in the auxiliary memory in a mixer and outputting the stored image data through a monitor;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메모리에 데이터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data can be stored in a memory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received by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C); 상기 믹서로부터 수신된 합성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Converting the synthesized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mixer into digital data through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코덱를 통해 부호화하는 단계;Encod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through a codec; 상기 코덱로부터 수신된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encod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codec in the memory; 외부 저장장치 및 저장매체의 존재유무에 의해 상기 저장매체에 데이터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etermining whether data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based on the presence of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a storage medium;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부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포맷터/디포맷터를 통해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포맷팅하는 단계; Formatting the encod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into a predetermined file format through a formatter / deformatter; 상기 포맷터/디포맷터로부터 수신된 포맷팅된 디지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저장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the formatt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formatter / deformatter to the external storage device via an interface; And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포맷팅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외부 저장장치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저장방법.And recording the formatted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interface to the storage medium via the external storage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USB 장치, MP3 플레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저장방법.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a song storag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USB device, MP3 player.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포맷팅되는 소정의 파일형식은 MP3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저장방법. The predetermined file format to be formatted is any one of an MP3 file and a media file. 키패드를 통해 재생신호를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a reproduction signal through a keypad; 상기 재생신호를 수신하여, 외부 저장장치와 저장매체 및 저장된 데이터의 존재유무에 의해 메모리에 데이터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Receiving the playback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data can be stored in a memory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xternal storage device, a storage medium, and stored data; 상기 외부 저장장치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에 소정형식으로 포맷팅되어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판독하는 단계;Reading digital data formatted and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through the external storage device; 상기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내부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storage device through an interface;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포맷터/디포맷터를 통해 디포맷팅하는 단계;Deformatt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interface via a formatter / deformatter; 상기 포맷터/디포맷터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formatter / deformatter in a memory;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무에 의해 데이터 외부출력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data can be externally output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received by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상기 메모리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코덱을 통해 복호화하는 단계;Decod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memory through a codec; 상기 코덱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를 통해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Converting the digital data received from the codec into analog data through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믹서와 앰프를 거쳐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노래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재생방법.And a song output step of amplifying the analog data received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through a mixer and an amplifier and outputting the same through a speaker.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외부 저장장치는 USB 장치, MP3 플레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저장방법.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a song storag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USB device, MP3 player.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상기 포맷팅되는 소정의 파일형식은 MP3 파일, 미디어 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저장방법. The predetermined file format to be formatted is any one of an MP3 file and a media file.
KR1020040067177A 2004-08-25 2004-08-25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05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177A KR100605094B1 (en) 2004-08-25 2004-08-25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177A KR100605094B1 (en) 2004-08-25 2004-08-25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684A true KR20060018684A (en) 2006-03-02
KR100605094B1 KR100605094B1 (en) 2006-07-28

Family

ID=3712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177A KR100605094B1 (en) 2004-08-25 2004-08-25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094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876B1 (en) * 2006-03-08 2007-03-20 주식회사 엔터기술 The Song Sele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nalysis of a Chord and the Words of a Song
KR100782452B1 (en) * 2006-03-06 2007-12-05 지기명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WO2008140238A2 (en) * 2007-05-15 2008-11-20 Hyun Woo Lee Karaoke system with usb host play and vocal reduction
KR100932778B1 (en) * 2009-06-11 2009-12-21 주식회사 인코렙 Medium recorded with multi track media file, playing method, and media device thereof
KR100974052B1 (en) * 2008-03-19 2010-08-04 윤미경 Multimedia display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using the same
WO2010098630A2 (en) * 2009-02-27 2010-09-02 주식회사 엠네이션 Karaoke system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y-list table for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854B1 (en) 2017-02-21 2018-07-25 김진갑 Software-based MIDI sound source playback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188A (en) * 1995-06-30 1997-01-17 H P C Kk Digital karaoke system
KR970050820A (en) * 1995-12-18 1997-07-29 김주용 Karaoke apparatus using server means and MPEG data decoding means
JP2000029472A (en) 1998-07-08 2000-01-28 Yamaha Corp Karaoke machine
JP4182590B2 (en) 1999-05-26 2008-11-19 ヤマハ株式会社 Mobile karaoke system
KR100362209B1 (en) * 1999-10-26 2002-11-23 경민규 Dynamic Image Producing System of Person, and Produc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10048222A (en) * 1999-11-25 2001-06-15 김승영 Computer karaoche has a semiconductor memory
KR100403538B1 (en) * 2000-02-28 2003-11-01 (주)디콘테크 Digital surrounding audio system for personal comput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452B1 (en) * 2006-03-06 2007-12-05 지기명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KR100696876B1 (en) * 2006-03-08 2007-03-20 주식회사 엔터기술 The Song Sele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nalysis of a Chord and the Words of a Song
WO2008140238A2 (en) * 2007-05-15 2008-11-20 Hyun Woo Lee Karaoke system with usb host play and vocal reduction
WO2008140238A3 (en) * 2007-05-15 2008-12-31 Hyun Woo Lee Karaoke system with usb host play and vocal reduction
KR100974052B1 (en) * 2008-03-19 2010-08-04 윤미경 Multimedia display device and multimedia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multimedia system using the same
WO2010098630A2 (en) * 2009-02-27 2010-09-02 주식회사 엠네이션 Karaoke system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y-list table for same
WO2010098630A3 (en) * 2009-02-27 2010-11-25 주식회사 엠네이션 Karaoke system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y-list table for same
KR100932778B1 (en) * 2009-06-11 2009-12-21 주식회사 인코렙 Medium recorded with multi track media file, playing method, and media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094B1 (en)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2517B1 (en) Methods and system for encoding an audio sequence with synchronized data and outputting the same
US20020189429A1 (en) Portable digital music player with synchronized recording and display
JPH0467493A (e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JP2000057747A (en) Audio dubb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0605094B1 (en)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3968206B2 (en) Playback device
KR100353511B1 (en) Mp3 player of compact disc type
USRE44044E1 (en) High capacity compact disk player
US20060239657A1 (en) Dedicated digital media for playing of music and video content
JPH05216487A (en) &#39;karaoke&#39; @(3754/24)singing with recorded accompaniment) device
KR100206332B1 (en) Digital audio signal reproducing device method and the media for general musics or musics for karaoke
KR100748370B1 (en) Method and moving picture reproducing apparatus for synchronizing video and audio data
KR100739727B1 (en) Portable Audio/Video player having separated video unit and method thereof
KR100765803B1 (en) Video 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having real time saving and playing function
KR20050041603A (en) Method for producing oudio contents having video data and system for decoding the same
KR100961297B1 (en) digital TV equipped with PVR
KR20050056549A (en) Method for editing voice in dvd
JP2007101772A (en) Reproducing device and reproducing method
JP4419432B2 (en) Karaoke equipment
KR100186559B1 (en) Sound field remember and control method
KR01354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production address
JP2000156071A (en) Audio dubb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0136051B1 (en) Video karaok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05189535A (en) Voic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20010016735A (en) Compact Disc for Compressed Audio Data and Compact Disc Player for Compressed Audio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