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452B1 -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 Google Patents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452B1
KR100782452B1 KR1020060021001A KR20060021001A KR100782452B1 KR 100782452 B1 KR100782452 B1 KR 100782452B1 KR 1020060021001 A KR1020060021001 A KR 1020060021001A KR 20060021001 A KR20060021001 A KR 20060021001A KR 100782452 B1 KR100782452 B1 KR 100782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microcomputer
half cycle
source data
kara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91460A (en
Inventor
지기명
Original Assignee
지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기명 filed Critical 지기명
Priority to KR102006002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452B1/en
Publication of KR2007009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4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4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75Connecting parts, e.g. injection screws, ejectors, to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63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springs being part of the posit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85Movement of a part, e.g.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mould, generating fluid pressure in a built-in fluid pressure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 중 노래와 반주소리 부분만을 반주기의 작동여부와 음파 데시벨(DECIBEL)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녹음하고, 녹음된 음원을 CD 로 제작하거나 벨소리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records only the song and the semi-address part of the various noises generated in the karaoke by the operation of the semi-period and the sound wave decibel (DECIBEL), and the recorded sound source to be produced as a CD or downloaded as a ringtone and It's about the system.

본 발명에서는 노래방 반주기가 반주를 시작할 때와 종료할 때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체크하여 녹음을 시작하고, 종료함으로서 노래시간만을 선택적으로 녹음하게 된다. 녹음된 음원은 WAV, MP3, WMA와 같은 다양한 확장자를 가지는 음원 파일로 저장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일정한 데이타 용량에 이르면 자동으로 오디오 파일로 변환하여 CD 등의 디지털 녹음 매체에 저장된다. 저장된 디지털 음원을 사용자의 핸드폰 폴리 수에 맞게 변환한 후, 서버에 업로드된 후, 사용자 핸드폰에 다운로드 되어 핸드폰 벨소리로 사용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araoke half cycle starts recording by checking the change in current generated when the accompaniment starts and ends, and then selectively records only the song time. The recorded sound source is stored as a sound source file having various extensions such as WAV, MP3, and WMA,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reaches a certain data capacity, the recorded sound source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an audio file and stored in a digit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After converting the stored digital sound source to the user's cell phone number, uploaded to the server, it is downloaded to the user's cell phone and used as a mobile phone ringtone.

Description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방법{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의 간략 구성도이며,1 is a simplifi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에 의해서 저장된 파일을 핸드폰 벨소리로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of using a file stored by the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obile phone ringtone,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이 사용자의 반주에 따른 노랫소리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vely storing a song according to an accompaniment of a user in a karao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노래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 중 노래와 반주 소리만을 반주기의 작동여부와 음파 데시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녹음하고, 선택적으로 녹음된 디지털 음원을 이용하여 핸드폰 벨소리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recording only songs and accompaniment sounds of various noises generated in karaoke by the operation of the semi-period and sound wave decibels, and downloading them as cell phone ringtones using the selectively recorded digital sound sources. It is about.

노래방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노래방에서 부른 노래를 녹음하여 보관 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래방 운영자도 이용자가 부른 노래를 테이프, CD 등에 녹음하여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수익 을 창출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As the number of karaoke users increas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recording and storing or using songs sung in karaoke. Accordingly, karaoke operators also want to provide new services or make money by recording and recording songs sung by users. There has been an effort to.

삼성전자에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995-0039757호에서는 노래방 기기 본체에 테이프 레코더와 CD 플레이어를 각각 장착하여 사용자의 노래와 노래방 기기에서 출력되는 연주곡을 녹음하고, 필요시 재생할 수 있는 녹음 기능을 가진 노래방 기기가 공개되어 있다. 이는 노래방에서 발생하는 모든 음원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그대로 녹음하여 현장감을 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소음과 노래의 구별이 어렵고, 디지털화된 다른 응용분야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995-0039757, filed by Samsung Electronics, has a recording function that can record the user's song and the music output from the karaoke device by attaching a tape recorder and a CD player to the body of the karaoke device respectively. Karaoke device is open to the public. This has the advantage of saving the realism by recording all the sound sources generated in the karaoke as it is in the analog method, bu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noise and the song, it is difficult to use in other digitized applications.

한편 노래방에 인터넷 환경이 구축됨에 따라, 노래방에서 녹음된 노래를 단순히 CD나 테이프에 담는 대신, 서버에 저장하고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해 제공함으로써 녹음된 노래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1-0031818 호에서는 노래방에서 이용자가 부른 노래의 녹음 데이터를 엠펙 파일과 같은 디지털 음성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여 인터넷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노래방 이용자의 추후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접속에 대해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이 방법은 (A) 노래방 기기 또는 상기 노래방 기기에 부속되는 마이크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부른 노래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B) 상기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MP3와 같은 디지털 음성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변환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 파일이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 및 (D) 상기 저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 파일을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이용자에 대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as the Internet environment is established in karaoke, instead of simply storing CDs and tapes recorded in karaoke, a scheme has been developed to use the recorded songs in various ways by storing them on a server and using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1-0031818 converts the recording data of a song sung by a user in a karaoke into a digital voice data file such as an MPEG file, and stores it in a database on the Internet. It also discloses how to provide it on the Internet.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outputting an analog audio signal of a song sung by the user from a karaoke device or a microphone attached to the karaoke device; (B) converting the output analog voice signal into a digital voice data file such as MP3; (C) the converted digital voice data file is transmit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stored in a database; And (D) providing the stored digital voice data file to the user via a website.

상기 출원에서는 마이크 전원의 on/off를 감지하여 이를 노래를 부르는 시간으로 추정하여 녹음시간을 결정함으로써 노래방을 이용한 시간 중 노래를 부르는 시간대만을 선택적으로 녹음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마이크의 전원과 반주기의 전원이 분리되어 있으며, 노래를 부르지 않는 경우에도 마이크를 켜 놓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 반주가 이루어지고 노래를 부르는 시간대를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The application proposes a method of selectively recording only a time zone for singing during a time using karaoke by determining a recording time by sensing on / off of microphone power and estimating it as a singing time. However, the power of the microphone and the power of the semi-period are usually separated, and even when the song is not sung, the microphone is often turned 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ompaniment is actually performed and the time of the song is not accurately known.

또한 노래방 내부에는 통상 사용자가 부르는 노랫소리 이외에도, 반주소리,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제3자의 떠드는 소리, 박수소리, 템벌린과 같은 악기 소리 등이 다양한 음원이 합해져 다양한 수준의 소음을 야기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가 녹음되게 되므로, 마이크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노랫소리와 앰프를 통해서 제공되는 반주소리 및 실내의 각종 소음이 함께 입력되므로 자신의 노래만을 깨끗하게 녹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ong that a user usually sings, a variety of sound sources such as anti-addressing, third-party voices, applause, and templars are combined to create various levels of noise. In such a system, the data input through the user's microphone is recorded, so the user's song and the half-address and the room noise provided through the amplifier are input together, so they cannot record only their own songs cleanly. Will be.

한편 디지털 음원의 한 사용 방안으로 녹음된 디지털 음원을 핸드폰이나 기타 다양한 이동통신 수단의 벨소리로 사용하고 있는데, 데이터의 전송량을 줄이기 위해서 MP3 파일로 추출할 경우 녹음된 음원의 사용 범위가 매우 제한되어, 사실상 휴대폰 등의 벨 소리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왔다. On the other hand, a digital sound source recorded as a ringtone for a mobile phone or other mobile communication means is used as a ringtone for a mobile phone or other mobile communication means. When the MP3 file is extracted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the use range of the recorded sound source is very limited. In fac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cannot be used as a ringtone of a mobile phone.

그러므로 기존 노래방 시스템을 이용에서,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부분을 정확하게 체크 하고, 체크 된 녹음시간대에서 깨끗한 반주소리와 노랫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수요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녹음된 데이터를 음악 재생기 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처럼 손쉽게 녹음하고, 또한 녹음된 데이터를 핸드폰 벨 소리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형태의 음악파일로 가공하여 업 로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Therefore, in using the existing karaoke system, there is a continuous demand for a method of accurately checking a user's singing part and recording clean semi-addresses and songs in the checked recording time zone. In addition, the recorded data can be recorded as easily as Microsoft's Windows Media Player, which is widely used as a music player, and can be uploaded by processing the recorded data into a music file of a suitable type for use in a mobile phone ringing. The demand for it continues.

또한 상기와 같이 노래방 기기에서 발생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식의 파일을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여 이용하는 방식은 음원이 생성되는 기기, 예를 들어 각각의 노래방 기기에 대해 연결되는 인터넷 연결망을 구축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다수의 노래방 기기가 한 업소에 설치되는 현실에 비추어 설치비와 통신비용의 증가라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transmitting and using the analog or digital format file generated by the karaoke device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s described above is a problem that needs to establish the Internet connec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device for generating the sound source, for example, each karaoke device This h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and communication cost increase in view of the fact that a large number of karaoke equipment is installed in one store.

본 발명의 목적은 노래방을 사용하는 시간 중 노래를 부르는 시간대만을 선택적으로 녹음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selectively record only the time zone to sing a song of the time using the karaok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녹음이 이루어지는 시간대에서 노래방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 중 반주소리와 노랫소리를 선별하여 녹음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cording the semi-address and the song of the various noises generated in the karaoke in the recording time zo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별된 노랫소리와 반주소리를 RS-485와 같을 통신망을 이용하여 녹음장치에 연결함으로써, 한대의 PC로 다수의 노래방에서 나오는 노랫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cording the karaoke from a plurality of karaoke with a single PC by connecting the selected song and the semi-address to a recording device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RS-485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별된 노랫소리와 반주소리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녹음장치에 연결함으로써, 한대의 PC로 다수의 노래방에서 나오는 노랫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recording the song sound coming from a plurality of karaoke with a single PC by connecting the selected song sound and the half address to a recording device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래방에서 선택적으로 녹음되어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핸드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핸드폰 벨소리로 전환시켜 서버에 업로드 시키고, 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converting sound source data selectively recorded and extracted from karaoke, into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ringtones, uploading them to a server, and downloading th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래방 반주기와 마이컴 사이에 연결되어 반주기의 전류변화를 마이컴에 보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hat is connected between the karaoke half-cycle and the microcomputer to send a half-cycle current change to the microcompu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녹음 방법은 반주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저전압 전기신호를 감지 시, 노래방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녹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lective recording method of the karaoke sound source is characterized by recording the sound source generated in the karaoke, when detecting the low voltag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lf cycle.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반주가 시작될 때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컴에 시작신호를 송출하는 단계;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start signal to a microcomputer by detecting a change in current generated in a half cycle when the accompaniment starts;

마이컴이 상기 시작신호를 인식되는 시점부터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음원데이터의 녹음을 시작하는 단계;Starting recording of the sound source data generated in a half cycle from the time when the microcomputer recognizes the start signal;

반주가 종료 때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컴에 종료신호를 송출하는 단계;Transmitting a termination signal to the microcomputer by detecting a change in current generated in the half cycle when the accompaniment ends;

마이컴이 상기 종료신호가 인식되는 시점부터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음원데이터의 녹음을 종료시키는 단계; 및Terminating recording of the sound source data generated in a half cycle from the time when the end signal is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And

상기 녹음된 음원데이터에 파일명을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Storing and assigning a file name to the recorded sound source data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방법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 selective storage method of karaoke sound source comprising 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는 반주기에서 입력되는 음원데이터와 마 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원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원데이터는 기준 소음도 이상의 소음도를 가지는 데이터만 녹음됨으로서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다양한 음원 중 사용자의 노랫소리만을 선택적으로 녹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소음도는 소리의 데시벨을 이용하여 기준 데시벨로 측정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data includes sound source data input in a half cycle and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a microphone.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data input from the microphone is recorded only data having a noise level of more than the reference noise level,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record only the song of the user of the various sound source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noise level may be measured as reference decibels using decibels of s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시벨은 반주기의 작동 시 반주기에 연결된 음향시스템, 예를 들어 앰프 및 스피커를 통해서 발생하는 음향의 데시벨일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 데시벨은 반주기가 노래의 전주를 연주하는 구간에서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향의 데시벨 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부터 이격된 제 3 자의 노랫소리나 노래방내의 다른 소음들은 마이컴에 의해서 녹음되지 않고, 마이크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노랫소리만 선택적으로 녹음될 수 있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decibel may be a decibel of sound generated through an acoustic system connected to a half cycle, for example, an amplifier and a speaker, during operation of the half cyc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decibel may be a decibel of a sound input through a microphone in a section in which a half cycle plays a prelude of a song. In this case, the third party's singing sound or the other noises in the karaoke space is not recorded by the microcomputer, and only the song of the user using the microphone can be selectively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음원데이터는 반주기에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랫소리와 함께, 사용자가 반주에 맞춰 부르는 자신의 노랫소리를 파일형태로 저장 받을 수 있도록 하게 한다.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data generated in the semi-period allows the user to receive his or her song in accord with the accompaniment along with the user's song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connected to the semi-period.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주가 시작될 때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전류 변화의 감지는, 반주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저전압 전류의 발생하는지와 반주기에 연결된 음향시스템의 작동에 의해 전류량의 증가가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주가 종료될 때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의 감지는, 반주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저전압 전류의 소멸 및 반주기에 연결된 음향시스템의 작동 중지에 의해서 전류량의 감소를 감지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of the current change occurring in the half cycle when the accompaniment starts is that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current is det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acoustic system connected to the half cycle and the occurrence of the low voltage current generated during the half cycle operation.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of the change in the current generated in the half cycle when the accompaniment is terminated, the detection of a decrease in the amount of current by the disappearance of the low voltage curren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alf cycle and the operation of the acoustic system connected to the half cycle will be.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전류의 변화의 감지는 통상적으로 음성신호의 발생에 반주기 내에서 발생하는 저전압, 바람직하게는 PC와 같은 컴퓨터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저전압, 더욱 바람직하게는 5-12 V의 전압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전기소자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소자는 또한 반주시 반주기에 연결된 음향시스템, 예를 들어 앰프, 스피커 등의 작동에 의해서 증가되는 전류량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소장이다. In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detection of the change in current is typically a low voltage which occurs within half a period of the generation of the audio signal, preferably a low voltage which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 computer such as a PC, more preferably 5-12 V. It is made by an electrical element capable of operating in the voltage range of. The electrical device is also an electrical device capable of operating in a range of amperages which is increased by the operation of an acoustic system, for example an amplifier, a speaker, etc., connected to the half-period during accompaniment.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반주기의 작동에 의해서 저전압 전류가 발생되면, 상기 전류에 의해서 전기소자가 작동하게 되며, 이는 마이컴에서 반주기의 작동으로 인식되게 된다. 또한 반주기의 작동 종료에 의해서 저전압 전류가 소멸되면서, 상기 전류에 의한 전기소자의 작동이 종료되며, 이는 마이컴에서 반주기의 작동 종료로 인식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hen a low voltage current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lf cycle, the electric element is operated by the current, which is recognized as a half cycle operation in the microcomputer. In addition, as the low voltage current disappears by the end of the half cycle,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element by the current is terminated, which is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as the end of the half cycle.

상기 전기소자는 저전압 및 반주기 작동시의 전류량 범위에서 작동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소자는 작동 가능한 전류량이 소정의 범위로 제한된 저전압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electric ele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in a range of currents during low voltage and half cycle operation.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ectrical element comprises a low voltage relay in which the amount of operable current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range.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반주가 시작시 대응되는 전기소자의 작동이 시작되는 단계;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Starting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electric element when the accompaniment starts;

상기 전기소자의 작동을 마이컴이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by the microcomputer;

상기 마이컴이 반주기 및 마이크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toring, by the microcomputer, sound source data from a half period and a microphone;

반주의 종료시 대응되는 전기소자의 작동이 중지되는 단계;Stopping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 element at the end of the accompaniment;

전기소자의 작동 중지를 마이컴이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by the microcomputer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device is stopped;

상기 마이컴이 반주기 및 마이크로부터의 음원데이터 저장을 종료하는 단계;Terminating the semi-period and storing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microphone by the microcomputer;

저장된 음성신호를 파일명을 붙여 저장하는 단계Saving the stored voice signal with a file name

를 포함하는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방법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 selective storage method of the karaoke sound source comprising a.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반주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전기소자에서 고유의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마이컴을 이를 인식하여 전기신호의 종류에 따라 파일을 저장함으로써, 여러 반주기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부르는 다수개의 파일들을 사용자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half-cycles are used, a plurality of files called by a plurality of users in various half-cycles by generating a unique electric signal in the electric element, and recognizing the microcomputer and storing the fi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lectric signal.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by user.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또한 The invention also in one aspect

상기 녹음된 음원데이터를 핸드폰 화음 수에 맞춰 변환시키는 단계;Converting the recorded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number of cellular phone chords;

상기 변환된 음원데이터를 업로드 하는 단계; 및Uploading the converted sound source data; And

상기 변환된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노래방 음원의 핸드폰 벨소리 녹음 방법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 mobile phone ringtone recording method of karaoke sound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ownloading the converted sound source data.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각 방의 음향시스템에 연결된 다수의 반주기;Multiple half cycles connected to the acoustic system of each room;

상기 다수의 반주기에 각각 연결되어 음원데이터를 마이컴에 중계하고, 반주기의 작동 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장치,A sensing devic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alf cycles to relay sound source data to the microcomputer,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half cycle is operated;

상기 전기신호가 존재하는 시간대의 음원데이터를 각각 녹음하고, 감지장치별로 구분하여 파일로 변환시키는 마이컴;A microcomputer for recording sound source data of a time zone in which the electric signal exists, and converting the sound source data into files by dividing them by sensing devices;

를 포함하는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n optional storage system of karaoke sound source comprising 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원데이터에서 기준 소음도 이상의 데이터만을 녹음할 수 있는 마이컴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소음도는 반주기의 작동시, 노래의 전주를 연주하는 구간에서 음향시스템을 통해서 발생하는 음향의 소음도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is a microcomputer capable of recording only data of the reference noise level or more in the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noise level is the noise level of the sound generated through the acoustic system in the section in which the electric pole of the song is play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alf cyc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는 녹음된 음원 또는 연주되는 음원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기이다.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기기는 노래방의 반주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에는 노래방 이용자, 즉 노래를 부르는 사람의 노랫소리는 마이크가 연결되어 있어 반주기의 노래와 이용자의 노랫소리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마이컴으로 직접 연결되어 신호를 보낼 수 있으나, 다수의 노래방기기가 동시에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반주기를 통해서 반주소리와 노랫소리가 동시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lf period is a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recorded sound source or a sound source to be play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evice is a half cycle of karao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araoke user, that is, the song of the person who sings the song, th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half-cycle of the song and the user can output the song at the same time. The microphone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to send a signal, bu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a plurality of karaoke devices are used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lf address and the song are simultaneously output through a half cyc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는 상기 반주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장치는 반주기에 점프 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반주기에 설치된 단자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in current generated in the half cycle is made by a sensing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alf cycle.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nsing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jumping in a half cycle, preferably by a terminal provided in the half cycle.

본 발명에 따른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반주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주의 시작 또는 종료 시에 발생하는 전류신호, 예를 들어 전압, 전류, 저항, 또는 이들의 조합의 변화를 감지하여 반주의 시작과 끝을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반주기의 작동 시 발생하는 저전 압과 반주기에 연결된 음향시스템의 작동 시 흐르는 전류량에서 작동하는 전기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half cycle, and detects a change in a current signal generated at the beginning or end of the accompaniment, for example, a voltage, a current, a resistance, or a combination thereof. You will notice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accompanimen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device may include a low voltag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alf cycle and an electric element that operates at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coustic system connected to the half cycle.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반주기의 전류신호를 입력받은 후, PC와 같은 마이컴이 인식할 수 있는 범위의 전류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에 의한 변환 신호가 PC와 같은 마이컴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은 반주기에서 입력되는 음원 파일의 녹음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게 된다.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device receives a half-cycle current signal and converts it into a current signal in a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a microcomputer such as a PC.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version signal by the sensing device is input to the microcomputer, such as a PC, the microcomputer starts or ends recording of the sound source file input in a half cyc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에는 반주기의 시작 버튼의 작동에 의해서 노래의 반주가 시작될 때, 및/또는 반주 중 발생하는 특정 전압 및/또는 전류범위에서 작동하는 수단이 포함된 감지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압 및/또는 전류 범위에서 작동하는 수단은 반주시 반주기로부터 출력되는 특정 전압, 예를 들어 5 V - 12 V 의 전압범위에서 작동하고, 또한 반주 시작 및/또는 연주 시 발생하는 전류의 암페어 범위에서 작동하는 소자이다. 상기 특정 전류와 전압 범위에서 작동할 수 있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특정 전압과 전류 범위에서 작동하는 릴레이이다. 예를 들어 릴레이는 반주기의 작동 시 발생하는 5 V 정도의 전압에서 작동하게 되며, 미리 지정된 전류 범위에서만 작동하도록 조정된다. 릴레이가 작동할 수 있는 전류량을 조절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device is a sensing device including a means for operating at a specific voltage and / or current range generated when accompaniment of a song is started by the operation of a start button of a half cycle and / or during the accompaniment.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operating at the specified voltage and / or current range is operated at a specific voltage output from the half period of the accompaniment, for example a voltage range of 5 V-12 V, and also the accompaniment start and / or The device operates in the amperage range of the current generated during playing.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operate in the specific current and voltage range.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device is a relay operating at a specific voltage and current range. For example, the relay will operate at voltages as high as 5 V that occur during half cycle operation and are adjusted to operat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current rang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how the current can be controlled by the relay.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암페어와 특정 볼트에서 작동하는 릴레이가 장착된 감지장치는 반주기가 시작 버튼의 작동에 의해서 작동하게 되면 특정 암페어 와 특정 볼트의 전류 값을 인식하여 릴레이가 작동하게 된다. 마이컴은 릴레이의 작동을 반주기의 작동으로 인식하여 음성신호의 녹음을 시작하게 되며, 반주의 종료 시 릴레이의 작동이 중지되면 반주기의 작동이 종료된 것으로 인식하여 음성신호의 녹음을 중지하게 된다. In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sensing device equipped with a relay operating at the ampere and the specific volts is activated when the half cycle is activ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tart button to recognize the current value of the specific ampere and the specific volts to operate the relay. The microcomputer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relay as the operation of the half cycle and starts recording the voice signal. When the relay stops the operation of the accompaniment, the micom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half cycle and stops the recording of the voice sig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 감지장치, 마이컴의 연결은 RS-485와 같은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지장치에는 음성신호입력단자와 전기신호입력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감지장치에 형성된 음성신호입력단자는 노래방 반주기에서 형성된 음성신호출력단자와 연결되며, 전기신호입력단자는 노래방반주기에 설치된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감지장치에는 특정전류 및 전압 범위에서 작동하는 전기소자가 내장되어, 상기 전기신호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되고, 감지장치 전기소자의 작동신호는 허브를 통해 마이컴에 송출되어 반주 시작 신호로 인식된다.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은 신호가 입력된 시간부터 입력되고 있는 음성신호를 저장하기 시작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lf period, the sensing device, the connection of the microcomputer is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electrical signals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RS-48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voice signal input terminal and an electrical signal input terminal, the voice signal input terminal formed in the sens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voice signal output terminal formed in the karaoke half cycle,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erminal is a karaoke cycle period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nstalled on.
The sensing device has a built-in electric element operating in a specific current and voltage range, and is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erminal, the operating signal of the sensing device electrical element is sent to the microcomputer through the hub accompaniment It is recognized as a start signal. When the start signal is input, the microcomputer starts to store the voice signal being input from the time when the signal is inpu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음원 신호는 반주기와 연결된 마이컴에 의해서 녹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의 음원신호는 상기 감지장치로 입력된 후, 마이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마이컴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서 입력되는 것이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signal generated in the half cycle is recorded by the microcomputer connected with the half cyc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lf-cycle sound source signal may be input to the sensing device and then connected to a microcomputer or directly input to the microcomputer. Preferably it is input through the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다수의 반주기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하나의 마이컴을 이용하여 통제할 수 있도록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음원 신호와 상기 감지장치에 의한 신호는 반주기의 작동 신호는 하나 이상의 신호가 접속할 수 있는 허브를 통해서 마이컴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 10 개의 감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하나의 허브를 통해서 마이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ub to control signals from multiple half-cycles using a single microcomput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signal generated in the half-cycle and the signal by the sens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through a hub to which one or more signals can be connected, the operation signal of the half-cycle, preferably 3-10 Signals input from the two sensing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through one hub.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원의 녹음은 다양한 확장자로 녹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음원은 가능한 많은 양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WAVE 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으로 입력된 신호는 다른 저장장치에 직접 다운로드 될 수 있 도록 적절한 확장자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P3 에 직접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MP3 파일로 녹음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of the sound source may be recorded with various extensions.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ound source uses a WAVE file to store as much sound source data as possib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input to the microcomputer may have an appropriate extension to be directly downloaded to another storage device, for example, may be recorded as an MP3 file to be downloaded directly to MP3 ha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녹음된 음원 데이터는 핸드폰, 또는 전화, 팩스와 같은 통신기기의 벨소리로 사용되기 위해서 벨소리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녹음된 음원 데이터는 핸드폰의 기종별로 사용할 수 있는 음원이 제약되므로, 핸드폰 기종에 맞춰 벨소리 음원 파일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마이컴은 입력되어 녹음된 음원, 예를 들어 WAVE 파일을 핸드폰의 성능에 따라 특정화음, 예를 들어 4화음, 8화음, 16화음, 32화음, 64화음, 128화음, 복수의 화음으로 변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ed sound source data is converted into a ringtone for use as a ringtone of a mobile phone or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telephone or a fax machine.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ed sound source data is limited to the sound source that can be used for each type of mobile phone, it can be converted into a ringtone sound source file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model.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inputs and records a recorded sound source, for example, a WAVE fil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a mobile phone, for example, a chord, for example, 4 chords, 8 chords, 16 chords, 32 chords, 64 chords, and 128 chords. You can save the chords and change them into multiple chord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음원데이터를 업로드 하는 단계 및 다운로드 하는 단계는 음원을 서버에 저장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상의 서비스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전류변화 감지장치는 하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loading and downloading the converted sound source data may use a conventional service method of storing the sound source in a server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user,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n apparatus for detecting a current chan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와 같이, 각 방에 노래방 반주기(1)와 노래방 반주기(1)의 전류변화 감지 장치(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감지 장치(2)는 관리실의 허브(3)에 연결되고, 상기 허브(3)는 마이컴(4)에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1, the current change detection device 2 of the karaoke half cycle 1 and the karaoke half cycle 1 is installed in each room, and the detection device 2 is connected to the hub 3 of the management room. The hub 3 is connected to the microcomputer 4.

노래방 반주기(1)에서는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반주기에 연결된 감지장치(2)에 반주기(1)로부터 전기 신호와 음성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반주기(1)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반주기(1)에 설치된 음성 신호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감지장치(2)에 상기 전기신호 입력단자와 별개로 형성된 음성 신호 입력단자에 입력된 후, 허브(3)를 통해서 마이컴(4)에 다시 전송된다.In the karaoke half-cycle (1),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electrical and audio signals are input from the half-cycle (1) to the sensing device 2 connected to the half-cycle.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half cycle 1 is output from the voice signal output terminal installed in the half cycle 1 and input to the voice signal input terminal formed separately from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erminal to the sensing device 2, and then the hub. It is transmitted back to the microcomputer 4 through (3).

사용자가 노래를 선곡하여 반주기에 입력하여 시작 버튼을 누르면 반주가 시작되고, 반주가 시작되면 반주기(1)의 반주에 해당하는 특정범위의 저전압과 전류량으로 이루어진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반주기(1)에 연결된 감지장치(2)는 내장된 특정 전류 및 전압 범위에서 작동하는 5 V 릴레이(도시되지 않음)가 작동하게 되고, 감지장치(2) 내 릴레이의 작동신호는 허브(3)를 통해 마이컴(4)에 송출되어 반주 시작 신호로 인식된다.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4)은 신호가 입력된 시간부터 입력되고 있는 음성신호를 저장하기 시작한다.When a user selects a song and inputs it in a half cycle and presses a start button, the accompaniment starts, and when the accompaniment starts, an electric signal consisting of a low voltage and a current amount in a specific range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of the half cycle (1)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sensing device 2 connected to the half cycle 1 operates a 5 V relay (not shown) operating in a specific current and voltage range therein, and an operation signal of the relay in the sensing device 2 is a hub ( 3)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4 and recognized as an accompaniment start signal. When the start signal is input, the microcomputer 4 starts to store the voice signal being input from the time when the signal is input.

상기 마이컴(4)은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반주기(1)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녹음한다. 또한 마이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입력되는 반주소리의 데시벨을 측정하여 기준 데시벨을 설정하고,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성 중 기준 데시벨 이상의 음성신호만을 저장한다. The microcomputer 4 records the audio signal from the half cycle 1 when the start signal is input. In addition, the reference decibel is set by measuring the decibels of the semi-addresse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not shown), and only the voice signal higher than the reference decibel is stored among the voice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반주가 종료되면, 앰프와 스피커를 통해서 나오던 음악이 종료되고, 이때 상기 반주기(1)에서는 반주기의 반주에 해당되는 특정 전압 및 전류의 발생이 중지된다. 연결된 감지장치(2)에 내장된 릴레이(도시되지 않음)는 작동하지 않게 되며, 이는 허브(3)를 통해서 마이컴(4)에서 인식되고, 마이컴(4)은 음성신호의 녹음을 종료하게 된다. When the accompaniment ends, music exiting through the amplifier and the speaker ends, and at this time, the generation of a specific voltage and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accompaniment of the half cycle is stopped. The relay (not shown) built in the connected sensing device 2 is not operated, which is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4 through the hub 3, and the microcomputer 4 ends recording of the voice signal.

상기 마이컴(4)은 허브(3)를 통해서 반주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시점부터 음성 신호의 저장을 종료하고, 녹음된 부분을 제1음악파일로 저장하게 된다. 마이컴(4)은 제1음악파일에 입력된 방의 번호를 알 수 있는 파일명이 부과하여, WAVE 파일로 저장장치(7)에 저장된다. When the accompaniment e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hub 3, the microcomputer 4 ends the storage of the audio signal from the input time point and stores the recorded portion as the first music file. The microcomputer 4 imposes a file name for knowing the number of the room input to the first music file,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 as a WAVE file.

상기 과정이 반복되어 동일한 방에서 녹음되는 제2음악파일, 제3음악파일,,,, 형태로 저장장치(7)에 저장되고, 노래방의 이용이 종료되면, 저장이 종료된다. 각각의 반주기(1)에 연결된 감지장치(2)는 각각 고유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다른 방에 설치된 감치 장치(2)로부터 발생하는 시작 또는 종료신호와 구분하여 저장될 수 있다.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7 in the form of the second music file, the third music file, and, which are recorded in the same room. When the use of karaoke ends, the storage ends. The sensing device 2 connected to each half period 1 can be stored separately from the start or end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ing device 2 installed in another room by generating a unique operation signal.

저장된 WAVE 파일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운영자의 지시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음악파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음악파일은 MP3 파일 형식로 변경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WAVE 파일은 또한 통신기기의 통화연결음, 벨소리로 형식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벨소리 형식으로 변경시는 통신기기의 기종에 따라 화음수를 조절하여 변경될 수 있다.The saved WAVE file is converted into various types of music files at the request of the user or the operator's instructions. For example, the first music file may be stored in an MP3 file format. The saved WAVE file may also be changed into a ring tone or ring ton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when changing to a ring tone type, the WAVE file may be chang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calls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unication device.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소리로 형태로 변경된 제1음악파일은 마이컴(4)로부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서 서버(5)에 업로드되고, 상기 업로드된 벨소리 파일은 노래방 사용자가 접속하여 사용자의 통신기기(6)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music file changed into a ringtone is uploaded from the microcomputer 4 to the server 5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ploaded ringtone file is accessed by a karaoke user and connected to the user's communication device ( 6) can be installed.

노래방에서 녹음된 음원들은 CD에 저장되어 이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음악파일들에는 CD인식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악파일을 CD에 복사함에 있어서, 먼저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를 CD 라이터기에 CD가 삽입되면 인증된 CD 인지를 먼저 확인한 후, 데이터를 복사함으로서 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Sound sources recorded in karaoke can be stored on a CD and supplied to the user. CD music recognition function may be added to the music files. For example, in copying the music file to a CD, first the data is stored, and when the CD is inserted into the CD writer, it can be made by first verifying whether the CD is authenticated and then copying the data.

도3 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래방 녹음단계는 먼저 마이컴에 음성신 호와 함께, 감지장치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에서는 반주시작을 알려주는 전기적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반주가 시작되었음을 알려주는 전기적 신호가 있으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녹음하게 된다. 녹음도중 반주 종료를 알려주는 전기적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반주종료 상태를 알려주는 전기적 신호가 있으면 음성신호의 녹음은 종료된다. 녹음이 종료된 후, 저장된 음성신호를 음악파일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노래방 이용자의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사용시간이 남아 있으면 전기적 반주기에서 노래가 나오는 상태를 알려주는 전기적 신호가 있는지를 계속해서 감지하게 되며, 사용시간이 남아 있지 않으면 녹음을 중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karaoke recording step, first, with a voice signal to the microcomputer,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ing device, the microcomputer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start of the accompaniment. If there is an electrical signal to indicate that the accompaniment has started, it will record the incoming audio signal. During the record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end of the accompaniment. If there is an electrical signal indicating the end of the accompaniment, the recording of the audio signal is terminated. After the recording is finished, the stored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music file and stored. By checking the usage time of the karaoke user, if the remaining time is used, the electronic device continuously detects whether there is an electric signal indicating the state of the song coming out. If the usage time remains, the recording is stopped.

본 발명에 의해서, 각 방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 중 노래방에서 반주가 진행되고 있는 시간대에만 반주소리와 노랫소리를 녹음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시간대만을 정확하게 녹음함으로써 녹음되는 음원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녹음되는 시간대에서 노래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 중, 마이크를 통한 다른 소음을 배제함으로서, 사용자의 노랫소리만을 반주기의 반주 음향과 함께 선택적으로 녹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녹음된 음원을 각각의 파일로 변환하여 CD에 녹음하거나 서버를 통해서 핸드폰에 다운로드시켜 벨 소리에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제공되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 system capable of recording a half address and a song only during a time when accompaniment is performed in a karaoke among voice signals generated in each room are provided.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of the recorded sound source by accurately recording only the time when the user sings in accompaniment. In addition, by excluding the other noise through the microphone among the various noises generated in the karaoke during the recording tim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record only the user's singing sound with the accompaniment sound of the semi-period. In addition, a method of converting recorded sound sources into individual files and recording them on a CD or downloading them to a mobile phone through a server was provided.

Claims (17)

반주가 시작될 때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컴에 시작신호를 송출하는 단계;Transmitting a start signal to the microcomputer by detecting a change in current generated in the half cycle when the accompaniment starts; 마이컴이 상기 시작신호를 인식되는 시점부터 음원데이터의 녹음을 시작하는 단계;Starting recording of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time when the microcomputer recognizes the start signal; 반주가 종료 때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마이컴에 종료신호를 송출하는 단계;Transmitting a termination signal to the microcomputer by detecting a change in current generated in the half cycle when the accompaniment ends; 마이컴이 상기 종료신호가 인식되는 시점부터 음원데이터의 녹음을 종료시키는 단계; 및Terminating the recording of the sound source data from the time when the end signal is recognized by the microcomputer; And 상기 녹음된 음원데이터에 파일명을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And giving and storing a file name to the recorded sound source data, 여기서, 상기 음원데이터는 반주기에서 발생하는 음원데이터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원데이터에서 기준 소음도 이상의 소음도를 가지는 음원데이터 만을 선택적으로 녹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방법.Here, the sound source data is selectively stored in the karaoke sound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source data generated in the half cycle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only the sound source data having a noise level of more than the reference noise level from the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W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소음도는 반주기의 작동시 음향 시스템을 통해서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의 소음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noise level is the noise level of the sound input to the microphone through the sound system when the half-cycle ope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주기의 작동에 대응된 전기소자의 작동신호에 의해서 시작 및 종료신호가 마이컴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art and end signals are sent to the microcomputer b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electric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alf cy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ectrical element is a rel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각 방의 음향시스템에 연결된 다수의 반주기;Multiple half cycles connected to the acoustic system of each room; 상기 다수의 반주기에 각각 연결되어 음원데이터를 마이컴에 중계하고, 반주기의 작동 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장치,A sensing devic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half cycles to relay sound source data to the microcomputer,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half cycle is operated; 상기 전기신호가 존재하는 시간대의 음원데이터를 각각 녹음하고, 감지장치별로 구분하여 파일로 변환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microcomputer for recording the sound source data of the time zone in which the electric signal is present, and converts to a file by dividing by the detection device, 여기서 상기 마이컴은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음원데이터에서 기준 소음도 이상의 데이터만을 녹음하는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시스템.Wherein the microcomputer is a selective storage system of karaoke sound source for recording only the data above the reference noise level from the sound source data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반주기의 작동 시 작동하는 전기소자를 포함하는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시스템.15. The selective storage system of claim 14, wherein the sensing device comprises an electrical element that is operative during half cycle oper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소자는 5 - 12 V 릴레이인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5, wherein the electrical component is a 5-12 V rela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반주기의 작동 시 소요되는 전류량에서 작동하는 릴레이인 노래방 음원의 선택적 저장 시스템.17. The selective storage system of karaoke sound sour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relay is a relay that operates at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during half cycle operation.
KR1020060021001A 2006-03-06 2006-03-06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KR1007824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001A KR100782452B1 (en) 2006-03-06 2006-03-06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001A KR100782452B1 (en) 2006-03-06 2006-03-06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60A KR20070091460A (en) 2007-09-11
KR100782452B1 true KR100782452B1 (en) 2007-12-05

Family

ID=3868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001A KR100782452B1 (en) 2006-03-06 2006-03-06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45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303B1 (en) * 1994-11-18 1998-06-15 김광호 Karaoke apparatus having recording control function of a tape recorder
KR20060018684A (en) * 2004-08-25 2006-03-02 주식회사 금영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303B1 (en) * 1994-11-18 1998-06-15 김광호 Karaoke apparatus having recording control function of a tape recorder
KR20060018684A (en) * 2004-08-25 2006-03-02 주식회사 금영 Karaoke apparatus having song storage and replay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60A (en) 200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0411B2 (en) How to identify songs
CN100469091C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and sound outputting method
JP53180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eat-mixing a plurality of songs using an electronic device
US200602930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digitally enhanced ringtones for cellphones
JP2008521028A (en) How to normalize recording volume
JP2008096483A (en) Sound output control device and sound output control method
CN102265334B (en) Variable noise masking during periods of substantial silence
US5684262A (en) Pitch-modified microphone and audio reproducing apparatus
JP4305084B2 (en) Music player
US75157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audio samples for personalized telephone ring tones
KR20050038714A (en) Downloading service system of self music file using radio internet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100782452B1 (en) A selective recording method in a singing room system
JP3994341B2 (en) Hands-free call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ringtone in hands-free call system
KR101301393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Audio play
JP3939239B2 (en) Telephone
KR100605919B1 (en) Method for offering sound per function and mobile phone therefor
JP2000316038A (en) Ring tone generator
JP2002261875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JP3201327B2 (en)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JP397569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74436B1 (en) Garaoke system for collecting the hire of sound source and method of collecting the hire of sound source in the system
KR100754606B1 (en) Method for editing audio file in portable terminal
JP3610732B2 (en) Reverberation generator
KR1005765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based set up a bell sound of mobile phone using a user's song
KR20060081510A (en) A character display method of mobile digit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