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916A - 안전캡 - Google Patents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7916A
KR20060017916A KR1020060013169A KR20060013169A KR20060017916A KR 20060017916 A KR20060017916 A KR 20060017916A KR 1020060013169 A KR1020060013169 A KR 1020060013169A KR 20060013169 A KR20060013169 A KR 20060013169A KR 20060017916 A KR20060017916 A KR 20060017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uter cap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ap
squ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태
Original Assignee
백승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태 filed Critical 백승태
Priority to KR102006001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7916A/ko
Publication of KR2006001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8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세제나 의약품 또는 농약과 같은 액체를 용기에 넣어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내부캡을 외부캡과 결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되, 내부캡에 사각돌기와 수직돌기를 형성시키고, 외부캡에 사각돌기와 걸림돌기 및 원통형돌기를 형성시켜 이들이 상호 결착 또는 탈리됨으로 인해 어린이나 노약자가 위험한 물질이 내재된 용기를 열 수 없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내부캡(10)과 외부캡(20)으로 구성되되, 공히 상측은 폐쇄된 형태로 구성되고 하측은 개방된 캡의 형태로 구성되는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되, 상면 테두리부에는 사각돌기(11)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수직방향으로는 직삼각 기둥 형태의 수직돌기(12)가 형성되며, 내주면으로는 나사골(14)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으로는 원통형돌기(13)가 형성된 내부캡(10)과,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되, 내주면 상단 테두리부를 따라 사각돌기(21)가 형성되고, 내주면 수직방향에는 직사각 판 형태의 걸림돌기(22)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주면 하단에는 링 형태의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면은 중앙으로 향할수록 하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24)가 형성된 외부캡(20)으로 구성되어, 외부캡(20) 내부로 내부캡(10)이 끼움되어 용기에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내부캡을 외부캡과 결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되, 내부캡에 형성된 사각 및 수직돌기와 외부캡에 형성된 사각돌기와 걸림돌기를 통해 용이하게 체결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여 금형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제품의 제작 속도 또한 증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캡의 상면 중앙으로는 하측으로 오목한 만곡부가 형성되어 외부캡의 상면이 탄성체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에도 정확하게 작동됨은 물론, 일정 힘 이상을 가할 경우에만 개방됨으로써 사용이 더욱 안전한 효과가 있다.
안전캡, 병마개, 병뚜껑, 독극물, 농약, 세재

Description

안전캡 { the safety cap }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안전캡의 일부 절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내부캡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내부캡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외부캡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외부캡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8a, 도 8b는 본 발명의 잠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a, 도 9b는 본 발명의 풀림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부캡 1a: 래치
2: 내부캡 2a: 걸림턱
3: 용기 10: 내부캡
11, 21: 사각돌기 12: 수직돌기
13: 원통형돌기 14: 나사골
20: 외부캡 22: 걸림돌기
23: 걸림턱 24: 만곡부
30: 용기 31: 나사산
본 발명은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세제나 의약품 또는 농약과 같은 액체를 용기에 넣어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내부캡을 외부캡과 결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되, 내부캡에 사각돌기와 수직돌기를 형성시키고, 외부캡에 사각돌기와 걸림돌기 및 원통형돌기를 형성시켜 이들이 상호 결착 또는 탈리됨으로 인해 어린이나 노약자가 위험한 물질이 내재된 용기를 열 수 없도록 구성된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병마개는 하나의 캡으로 구성되어 병마개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잠가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개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에 위험한 물질이 내재된 용기를 음료수병 등으로 오인하여 판단이 흐린 어린이나 노인들이 마시는 음독사고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세제나 농약 및 약품이 저장되는 각종 용기의 마개를 노약자가 손쉽게 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위험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하는 연구가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다양한 형태의 안전캡이 국내 · 외에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는바, 대표적인 것을 살펴보면, 도 1a는 미국특허 제5020681호의 일부절개 단면도이고 도 1b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86627호의 일부절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두 발명은 그 형태가 유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내부캡(2)의 상면으로는 걸림턱(2a)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외부캡(1)의 저면에는 탄성을 지닌 래치(1a)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어서 안전캡을 잠글 때는 래치(1a)와 걸림턱(2a)이 결합되지 않아 용이하게 잠글 수 있도록 하고, 안전캡을 열 때에는 외부캡(1)을 눌러서 탄성 래치(1a)가 걸림턱(2a)에 부합되도록 함으로써 내 · 외부캡(1, 2)이 함께 회전하여 용기(3)와 안전캡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종래의 안전캡은, 탄성 래치가 다수 개 형성된 내부캡의 제작 시 필요한 금형은 그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된 금형을 이용하여 내부캡을 제작할 때에는 그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탄성 래치가 부러지거나 걸림턱이 마모되어 변형될 경우에는 외부캡이 내부캡 상을 헛돌게 되어 캡을 개방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캡의 망실로 인해 내용물의 사용에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내부캡을 외부캡과 결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되, 내부캡에 형성된 사각 및 수직돌기와 외부캡에 형성된 사각돌기와 걸림돌기를 통해 용이하게 체결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여 금형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제품의 제작 속도 또한 증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캡의 상면 중앙으로는 하측으로 오목한 만곡부가 형성되어 외부캡의 상면이 탄성체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에도 정확하게 작동됨은 물론, 일정 힘 이상을 가할 경우에만 개방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세제나 의약품 또는 농약과 같은 액체를 용기에 넣어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 내부캡을 외부캡과 결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되, 내부캡에 사각돌기와 수직돌기를 형성시키고, 외부캡에 사각돌기와 걸림돌기 및 원통형돌기를 형성시켜 이들이 상호 결착 또는 탈리됨으로 인해 어린이나 노약자가 위험한 물질이 내재된 용기를 열 수 없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내부캡(10)과 외부캡(20)으로 구성되되, 공히 상측은 폐쇄된 형태로 구성되고 하측은 개방된 캡의 형태로 구성되는바,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되, 상부 테두리 부에는 사각돌기(11)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수직방향으로는 직삼각 기둥 형태의 수직돌기(12)가 형성되며, 내주면으로는 나사골(14)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으로는 원통형돌기(13)가 형성된 내부캡(10)과,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되, 내주면 상단에는 사각돌기(21)가 형성되고, 내주면 수직방향에는 직사각 판 형태의 걸림돌기(22)가 형성되며, 내주면 하단에는 걸림턱(2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이 하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24)가 형성된 외부캡(20)으로 구성되어, 외부캡(20) 내부로 내부캡(10)이 끼움되어 용기에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30)의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이중캡 형태로 구성된바, 외부캡(20)의 내부로 내부캡(10)이 결합되며, 내부캡(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골(14)과 용기(30)의 나사산(31)이 나사체결 형태로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우선, 본 발명의 내부캡(10)의 구성을 도 3 및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상측은 폐쇄된 형태로 구성되고 하측은 개방된 캡의 형태로 구성되되,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 PP) 등의 경질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상단 테두리부에는 직사각 형태의 사각돌기(11)가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한편, 내부캡(10)의 외주면 수직방향으로는 직삼각형 기둥 형태의 수직돌기(12)가 다수개 구비되되,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배열되어 있으며, 상면 중앙으로는 원통형돌기(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부캡(10)의 내주면으로는 나사골(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용기(30)의 나사산(31)과 상호 나사체결됨으로써 용기의 뚜껑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외부캡(20)의 구성을 도 5 및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이는 외부캡(20)의 일부 절개 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폐쇄된 형태로 구성되고 하측이 개방된 캡의 형태로 구성되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등의 연질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내부 상단 테두리부에는 직사각 형태의 사각돌기(21)가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배열되어 상기 내부캡(10)의 사각돌기(11)와 치합될 시에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내주면 수직방향으로는 직사각 판 형태의 걸림돌기(22)가 일정 간격으로 순차배열되어 있는바, 직사각 판의 일측은 내주면에 경사진 형태로 부착된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캡(10)의 수직돌기(12)와 치합될 시에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캡(20)의 내주면 하단에는 링 형태의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캡(10)이 삽착될 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캡(20)의 상면은 중앙부분으로 향할수록 아래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연질의 특성으로 인해 탄성을 지닌 만곡부(24)가 구비되는바, 외부캡(20)에 힘을 가하지 않을 때는 내부캡(10)의 원통형돌기(13)와 만곡부(24)의 최하점이 접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내부캡(10)을 하측으로 밀어 주어 내 · 외부캡(10, 20)의 사각돌기(11, 21)가 치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반면, 외부캡(20)의 만곡부(24)를 눌러주게 되면, 외부캡(20)이 하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내 · 외부캡(10, 20)의 사각돌기(11, 21) 끼리 상호 치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외부캡(20)의 내측으로 내부캡(10)을 억지 끼움의 형태로 결합하되, 내부캡(10)은 경질의 재질인데 반해 외부캡(20)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해 억지 끼움이 가능하며, 외부캡(20)의 내주면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23)에 의해 내부캡(10)이 빠지지 않고, 외부캡(20)의 상부에 형성된 만곡부(24)를 통해 항시 내부캡(10)을 하측으로 밀어주는 형태로 구성되어 내 · 외부캡(10, 20)의 사각돌기(11, 21)는 치합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수직돌기(12)와 걸림돌기(22)는 외부캡(20)이 회전함에 따라 치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도 8과 도 9를 통해 살펴보면, 우선 본 발명이 용기(30)에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8a와 같이 내 · 외부캡(10, 20)이 결합된 형태로 용기(30)에 결합시키면 용기(30)에 형성된 나사산(31)과 내부캡(10)에 형성된 나사골(14)이 서로 나사결합을 하면서 체결되는바, 이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 · 외부캡(10, 20)에 형성된 수직돌기(12)와 걸림돌기(22)가 서로 치합됨으로써 내 · 외부캡(10, 20)이 일체로 회전하여 잠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을 용기(3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9a와 같이 외부캡(20)을 눌러주게 되면, 만곡부(24)를 원통형돌기(13)가 밀어올리는 형태가 되어 결과적으로 외부캡(20)이 하강하게 되며, 이로써 내 · 외부캡(10, 20)의 사각돌기(11, 21)는 서로 치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는 도 9b를 통해 살펴보면, 외부캡(20)을 누르게 되면 외부캡(20)에 형성된 사각돌기(21) 사이에 내부캡(10)에 형성된 사각돌기(11)가 삽입되게 되고, 그 후 외부캡(20)을 돌리게 되면 내 · 외부캡(10, 20)의 사각돌기(11, 21)가 서로 치합하게 되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뚜껑을 잠글 때는 누르거나 별다른 힘을 가하지 않아도 내 · 외부캡(10, 20)이 같이 회전하게 되어 잠기게 되며, 뚜껑을 열 때에는 반드시 일정한 힘으로 눌러줘야 만이 뚜껑이 열릴 수 있도록 제작되어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 약자는 쉽게 열 수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내부캡을 외부캡과 결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되, 내부캡에 형성된 사각 및 수직돌기와 외부캡에 형성된 사각돌기와 걸림돌기를 통해 용이하게 체결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여 금형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제품의 제작 속도 또한 증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캡의 상면 중앙으로는 하측으로 오목한 만곡부가 형성되어 외부캡의 상면이 탄성체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에도 정확하게 작동됨은 물론, 일정 힘 이상을 가할 경우에만 개방됨으로써 사용이 더욱 안전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안전캡에 있어서,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되, 상면 테두리부에는 사각돌기(11)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수직방향으로는 직삼각 기둥 형태의 수직돌기(12)가 형성되며, 내주면으로는 나사골(14)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으로는 원통형돌기(13)가 형성된 내부캡(10)과,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되, 내주면 상단 테두리부를 따라 사각돌기(21)가 형성되고, 내주면 수직방향에는 직사각 판 형태의 걸림돌기(22)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주면 하단에는 링 형태의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면은 중앙으로 향할수록 하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24)가 형성된 외부캡(20)으로 구성되어, 외부캡(20) 내부로 내부캡(10)이 끼움되어 용기(30)의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캡.
KR1020060013169A 2006-02-10 2006-02-10 안전캡 KR20060017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169A KR20060017916A (ko) 2006-02-10 2006-02-10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169A KR20060017916A (ko) 2006-02-10 2006-02-10 안전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843U Division KR200415320Y1 (ko) 2006-02-10 2006-02-10 안전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916A true KR20060017916A (ko) 2006-02-27

Family

ID=3712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169A KR20060017916A (ko) 2006-02-10 2006-02-10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79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74Y1 (ko) * 2009-03-10 2009-08-24 대양화성(주) 안전마개
WO2022031657A1 (en) * 2020-08-04 2022-02-10 Silgan White Cap LLC Safety clos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690A (en) * 1979-12-13 1982-03-16 International Tools (1973) Limited Child-resistant closure and container assembly including improved outer cap
US4632264A (en) * 1984-12-13 1986-12-30 Taplast S.N.C. Plastic cap having a seal and being child-proof
KR19990012295U (ko) * 1997-09-06 1999-04-06 서문기철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50080069A (ko) * 2005-07-08 2005-08-11 백승태 안전캡
KR200408547Y1 (ko) * 2005-12-01 2006-02-13 김진기 어린이 보호용 안전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690A (en) * 1979-12-13 1982-03-16 International Tools (1973) Limited Child-resistant closure and container assembly including improved outer cap
US4632264A (en) * 1984-12-13 1986-12-30 Taplast S.N.C. Plastic cap having a seal and being child-proof
KR19990012295U (ko) * 1997-09-06 1999-04-06 서문기철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50080069A (ko) * 2005-07-08 2005-08-11 백승태 안전캡
KR200408547Y1 (ko) * 2005-12-01 2006-02-13 김진기 어린이 보호용 안전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674Y1 (ko) * 2009-03-10 2009-08-24 대양화성(주) 안전마개
WO2022031657A1 (en) * 2020-08-04 2022-02-10 Silgan White Cap LLC Safety clos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9330B2 (en) Container with outer cap for a child-resistant closure
US9981789B2 (en) Container assembly with one-piece child resistant closure
US10118739B2 (en) Child resistant closure for a container
US5711442A (en) Child resistant package
US3422978A (en) Self-locking bottle cap
US2964207A (en) Closure for poison bottles
US2772803A (en) Safety container closure
CA2546732A1 (en) Child-resistant, molded plastic closure, package incorporating same and container therefor
US2935219A (en) Cap and container
KR100740876B1 (ko) 안전캡
KR20090008583U (ko) 에이드 캡
US3782604A (en) Screw cap with safety cover
KR20060017916A (ko) 안전캡
KR200415320Y1 (ko) 안전캡
KR200398574Y1 (ko) 안전캡
KR101518258B1 (ko) 열림 방지용 용기 마개
US6112920A (en) Child-proof, senior-friendly pill bottle closure
KR200419692Y1 (ko) 용기 뚜껑
KR200413210Y1 (ko) 접착제 용기 안전마개
KR200445674Y1 (ko) 안전마개
KR20100137281A (ko) 결합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페트병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KR200385310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US5785194A (en) Cap for a container and opening means therefor
US3173565A (en) Safety closure caps for aspirin and medical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