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300A - 에이디에스엘용 단자 블록 - Google Patents

에이디에스엘용 단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300A
KR20060015300A KR1020057022493A KR20057022493A KR20060015300A KR 20060015300 A KR20060015300 A KR 20060015300A KR 1020057022493 A KR1020057022493 A KR 1020057022493A KR 20057022493 A KR20057022493 A KR 20057022493A KR 20060015300 A KR20060015300 A KR 2006001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contact element
contact
contact element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디터 오토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6001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8Modifications for reducing interference; Modificatio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Receiver end 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overcoming line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2Terminal blocks for 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18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or nois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with means for protecting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6Distribution frames with lin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6Wiring arrangements for selector switches or relays in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09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for lines also used for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 모듈은 내부와 외부를 갖는 하우징과, 외부 와이어의 접속 및/또는 그들 사이의 내부 또는 외부 전기 부품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및/또는 다른 통신 모듈의 접점의 탭핑이 가능하도록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점 요소(12, 14)를 갖고, 접점 요소(12, 14)의 두 개 이상은 내부 와이어(28, 32, 40, 42)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접속되는 통신 모듈.
통신 모듈, 혼선, 접점, 내부 와이어, 서지 방지기

Description

에이디에스엘용 단자 블록{TERMINAL BLOCK FOR ADSL}
본 발명은 통신(telecommunication)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타입의 모듈이 와이어들 또는 전기 부품과 서로 접속하는데 사용되며, 예로써, 접속 모듈은 패치 케이블 또는 점퍼 와이어의 일단부를 사용하여 가입자에게 영구적으로 이르게 되는 와이어를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접속 모듈은 분배 프레임 또는 랙(rack)과 같은 분배기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분배기는 전화 회사(telephone company)의 스위치에 영구적으로 이르게되는 와이어들이 패치 케이블의 타단부와 접속되는 곳에서 접속 모듈을 수용한다.
둘째로, 다양한 타입의 보호 모듈 또는 플러그가 보호 요소를 포함하며, 접속 모듈의 접점을 탭(tap)하는 방식으로 접속 모듈에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었다. 보호 모듈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서지(surge) 방지기에 의해, 접속 모듈에서 종결되는 와이어에 접속된 임의의 장치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상기 장치들을, 보호 모듈의 접점을 탭핑(tapping)함으로써,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도록 접속 모듈의 접점과 적절하게 접속된 과전압 또는 과전류 보호 장치를 포함하는 보호 모듈과 친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기술 분야에는 접속 모듈의 하우징에 일체화된 상기 보호 부 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접속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달리 말해, 접속 모듈은 적절하게 디자인된 접점 요소에 의해 이러한 접점과 전기 접속되고, 와이어와 접속되어질 수 있도록 접속 모듈의 외측에 노출된 보호 부품을 수용한다. 특히, 나중에 설명된 접속 모듈의 타입에서, 요구되는 접점 요소는 보호 부품의 통상적인 형상과, 기동된 후 이러한 부품들을 교체할 필요를 고려하여 필요한 전기 접속을 실현하는데 매우 복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점 요소의 형상은 두 개의 접점 요소가 분리식 방법으로 서로 탄성에 의해 접하고 있는 곳인 분리 지점의 존재로 인해 더욱 복잡해 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관점에서, 전기 접속을 해지하고 테스트 또는 유사한 작업을 위해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질 수 있는, 접점 요소는 적절한 장치에 의해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독일 실용신안, DE 20002378호는 보호 부품의 특수한 배치에 의해, 접점이 사실상 평평하게 구성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용 보호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접점이 매우 단순하게 디자인될 수 있고, 혼선(cross-talk) 특성이 개선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제공한다.
신규한 통신 모듈은 임의의 타입일 수 있다. 특히, 통신 모듈은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타입의 통신 모듈로 제조된다. 따라서, 통신 모듈은 임의의 타입의 분배기의 임의의 타입의 캐리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임의의 타입의 와이어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하나 이상의 분리 지점 및 그 안에 수용되는 전기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은 필터와 같은 전기 부품을 수용하는 다른 모듈과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스플리터(spliter) 회로가, ADSL-기술 또는 일반적으로 XDSL-기술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합성(combined) 신호를 개별(separate) 신호로 분할하기 위한 소위 분할기 모듈을 제공하도록 모듈과 합체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및 모니터링 장치가 통신 모듈과 연결된 라인의 테스티 및 모니터링을 허용하도록 모듈 내에 또는 모듈과 접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와이어가 접속된 모듈의 접점을 탭하도록 구성된 접점을 갖는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은 보호 요소 및/또는 필터와 같은 전기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언급된 임의의 타입의 통신 모듈 및 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통신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
첫째, 신규한 통신 모듈은 내부와 외부 또는 외측을 갖는 하우징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하우징은 절연성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상에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예로써, 모듈이 캐리어에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조물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외측상에서, 하우징은 모듈의 접점과 접속된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가이드하기 위한 적절한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보호 모듈의 경우, 통상 하우징은 접속 모듈로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둘째, 통신 모듈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점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상기 접점 요소가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노출된다면, 하기에 설명된 임의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충분하다. 달리 말해, 필수 사항은 아니지만, 통신 모듈의 접점 요소는 하우징의 윤관 또는 외곽선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오히려, 필요한 기능은 상기 접점 요소가 와이어의 접속부를 위해 노출되도록 하우징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챔버 내에 위치된다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보호 모듈의 형성하는, 특히, 통신 모듈의 경우, 접점은 또는 하우징의 외곽선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접근 가능한, 통신 모듈의 접점 요소는 통신 모듈의 타입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특히 접속 모듈의 경우, 외부 와이어는 접점 요소와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있어서, 상기 접점 요소는 외측으로 노출된 절연 변위 접점, 와이어 랩(wrap) 접점 또는 이러한 부분의 유사한 접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둘째, 통신 모듈의 하우징 내에서 접점 요소는 내부 또는 외부 전지 부품이 접점 요소와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로써, 접점 요소는 보호 요소, 필터, 분할기 회로와 같은 전기 부품 및/또는 테스트 또는 모니터링 장치에 전기 접속하도록 구성된 단부 섹션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보호 모듈의 경우, 이러한 부품은 하우징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밀봉되어 수용될 수 있다. 교체식 전기 부품을 포함하는 접속 모듈의 경우, 이러한 부품은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것이 될 수 있다. 어떤 경우, 이러한 부품과 전기 접속되도록 구성된 상기 접점 요소의 이러한 섹션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셋째, 통신 모듈의 접점 요소는 다른 통신 모듈의 접점을 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접속 모듈로 삽입되고 그 접점을 탭하도록, 모듈의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탭핑 접점을 포함하는 보호 모듈의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서지 방지기 및/또는 과전류 보호기와 같은 부품에 의해, 접속 모듈에서 종결되는 와이어과 접속된 임의의 장비는 과전압 및/또는 과전류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러한 타입의 보호 모듈에 양호하게 적용 가능하다.
통신 모듈에서, 접점 요소의 적어도 두 개의 접점은 내부 와이어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상호 접속되어 있다. 달리 말해, 종래 하우징의 외측의 모듈과 접속되는 것으로 단순히 공지되었던, 가요성 와이어는 통신 모듈의 두 개의 접점 요소를 접속하도록 통신 모듈의 하우징 내칙에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은 접점 요소의 구조를 상당히 단순화시킨다. 서두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지점 및/또는, 보호 요소 및/또는 필터와 같은 전기 부품과의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해 비교적 복잡한 접점 요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신규한 통신 모듈에 있어서, 접점 요소는 "기능 접점 요소(functional contact element)"를 구성하도록 단순화될 수 있다. 이것은 내부 와이어가 예로써, 접속 모듈에서, 절연 변위 섹션을 갖는 단순하고 평평한 시트 금속편이 외부 와이어와 접속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기능을 내부 와이어가 수행하도록, 특정 접점 요소가 단일 또는 몇몇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신 모듈의 내부에서, 접점 요소는 내부 와이어의 일단부에 접속된다. 내부 와이어의 타단부는 예로써, 다른 접점 요소가 외측 와이어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보호 부품과 전기 접속될 수 있는 하나의 또 다른 바람직하게는 단지 단일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만큼, 비교적 단순하게 디자인될 수 있는 다른 기능 접점 요소와 접속된다.
신규한 내부 와이어 접속에 의해, 접점 요소는 특수한 기능을 위해 "특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접점 요소의 개별적인 특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것은 제1 단부에서 제1 기능을 수행하고 제2 단부에서 제2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접점 요소를 더 이상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순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통상 비교적 복잡한 접점 요소에 의해 해결되어 왔다. 이러한 사항은 전기 도선의 특정 단부에서 수행되는 특수 기능을 위해 "특수화된" "기능" 접점 요소들 사이에서 요구되는 전기 접속부용 내부 와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평평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된 접점 요소의 접속 섹션 대신 내부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은 혼선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평평한 시트 금속 섹션은 특히, 높은 데이터 전송률의 경우 인접 접점 요소들 사이의 혼선을 일으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왔다. 이는 인접한 접점 요소 및/또는 인접한 접점 요소들 사이에 차폐판과 같은 차폐 장치들 사이에 큰 거리의 사용을 요구한다. 내부 와이어의 사용에 의해, 평평한 시트 금속으로 제조된 접점 요소는 결과적인 캐패시티가 현저하게 감소되도록 비교적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특히 꼬인 쌍(twisted pair)을 사용한 경우, 내부 와이어는 적절한 캐패시티를 형성하지 않고, 따라서 내부 와이어에 의해 각각 다른 접점 요소와 접속된 인접한 접점 요소 사이의 혼선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접점 요소는 신규한 통신 모듈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그 사이의 매우 짧은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내부 접점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접점 요소는 내부 와이어와 유사하게 다른 접속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소정 적용예에서는 비교적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접점 요소는 다른 접점 요소와 기계적으로는 접속될 수 있지만, 후자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내부 접점 요소는 예로써 납땜에 의해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접점 요소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듈의 접점 요소는 완전히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접점 요소가 시트 금속으로부터 단순하게 스탬프 가공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감소시킨다. 또한, 자연스럽게, 접점 요소는 와이어 랩 접점으로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공지된 LSA+- 접점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그 종축 주위로 다소 경사지거나 굽힘 가공(bent)될 수 있다.
또한, 접점 요소는 단일 밴드(ben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접점 요소는 비교적 단순하게 구성되고, 단순한 스탬핑 가공 및 단순히 일 축 주위로의 굽힘만이 필요한 굽힘 가공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굽힘 가공에 의해, 접점 요소에는 중층(double-layered) 즉, 다른 부분의 상부에 높여지는 시트 금속의 부분을 갖는 중층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변위 섹션의 접점 슬릿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접점 요소로부터 스탬프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단일 굽힘 가공에 의해, 접점 요소에는 전기 부품과의 소정의 유연한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일단부에 가요성 탭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접점 요소의 구조에 관해서, 이는 서로 평행한 축 주위에서 복수의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점 요소는 굽힘 축이 서로 평행하게 되므로 요구되는 굽힘 작업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비용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접점 요소의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수행되어질 기능에 대한 특정 요구 사항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로 인해, 접점 요소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사로 평행하지 않은 축 주위로의 벤딩이 요구되는 공지된 접점 요소보다 훨씬 단순하게 구성된다.
내부 와이어는 와이어의 절연부를 변위시킴으로써 접점 요소와 접속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접점 요소는 내부 와이어의 적절한 전기 접속을 허용하도록 하우징 내에서 절연 변위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와이어가 납땜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접점 요소와 접속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통신 모듈에서, 혼선 특성은 꼬여진 와이어 쌍이 사용되었을 때 특히 개선될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입자 또는 통신사의 스위치에 이르는 와이어는 와이어 쌍으로써 통상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쌍의 두 개의 와이어는 접점 요소의 한 쌍으로 불리워지는 두 개의 접점 요소와 접속된다. 통상, 이러한 쌍의 접점 요소는 a-접점 또는 b-접점으로 불리운다. 동일한 신호가 한 쌍의 접점 요소를 통해 전송될 때, 이러한 접점 요소의 혼선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한 쌍의 접점 요소에 접속된 내부 와이어는 서로 최대로 근접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점 요소의 인접한 쌍의 혼선은 한 쌍의 접점 요소의 쌍과 접속된 내부 와이어가 서로에 대해 꼬여있다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효과는 통신 모듈의 외측에서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신규한 통신 모듈에서, 내부 와이어 연결은 월등한 혼선 특성을 달성하도록 꼬여진 와이어 쌍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접점 요소에 관해서, 이러한 사항은 통신 모듈의 하우징 외측의 절연 변위 접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 랩 핀과 같은 접점의 임의의 다른 타입도 가능하다.
통신 모듈에 수용되어질 수 있는 전기 부품은 서지 방지기, 과전류 또는 과전압 보호기, 필터, 스플리터 회로 및/또는 라인 테스트 또는 모니터를 위한 부품이다. 다른 전기 부품의 타입은 특정 요구 조건과 관련해서 고려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참조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통신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접점 요소와 내보 와이어??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3은 통신 모듈 내에 제공된 접지 접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4는 통신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상세도이다.
도6은 도4의 통신 모듈의 단면도이다.
명료한 도시를 위해, 도1은 통신 모듈의 내부 만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면 부호 10에 의해, 접점 요소(12, 14)의 제1 단부(16)는 그 외부 와이어와 접속되도록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표시된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요소의 상기 단부(16)는 절연 변위 섹션을 구성하는 적절한 슬릿(18)을 포함한다. 이러한 섹션에서, 외부 와이어는 접점 요소와 접속될 수 있다. 예로써, 가입자에게 영구적으로 연결된 와이어는 제1 접점 요소(12)와 접속될 수 있으며, 점퍼 와이어는 제2 접점 요소(14)와 접속될 수 있다.
도1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모듈의 내부는 과전류 보호기 및/또는 서지 방지기와 같은 전기 부품과 접속되도록 구성된 접점 요소를 더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점 요소(12, 14)는 꼬여진 와이어 쌍에 의해 내부 접점 요소와 접속된다. 이러한 사항은 제1 접점 요소(12)와 제2 접점 요소(14) 사이의 전기 배선에 대한 후속 설명에서 설명될 수 있다.
절연 변위 섹션에서, 제1 접점 요소(12)는 시트 금속의 일부를 배치시킴으로써, 접점 요소가 동일한 시트 금속의 다른 부분 상에서 형성되는 곳으로부터 중층으로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방식에 의해, 제2 접점 요소(14)가 형성된다. 전기 배선은 신호가 들어오는 제2 접점(14)에서 시작된다. 이러한 경우, 제2 접점 요소(14)는 내부 접점 요소(26)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지만, 전기적으로는 분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기 배선은 내부 와이어(40, 42)를 경유하여 내부 접점 요소(44, 46)로 계속 이어진다. 이러한 각각의 내부 접점 요소(44, 46)는 각각 (도시 생략된) 서지 방지기로 제공된 전압을 인가하도록 내부 와이어(40, 42)를 탭 시 킨다. 과전압의 경우, 서지 방지기가 작동될 수 있으며, 전류는 적절한 접점(50)에 의해 어스(earth)로 접속된다. 내부 접점 요소(44, 46)와 어스 접점(50)의 구성은 접지 접점(50)과 접속되도록 중심부에 위치된 접지 또는 어스 극을 구비한 3극을 갖는 서지 방지기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기 배선을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와이어(40, 42)는 하나가 도1에 도시된 각각의 내부 접점 요소(38)와 접속된다. 인접 접점 요소(38) 및 경상(鏡像, mirror image)이며, 대향된 내부 접점 요소는 각각 쌍(54)(도2)을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52, 54)의 인접 접점 요소는 꼬여진 와이어 쌍에 의해 다른 접점 요소와 접속된다. 내부 접점 요소(30) 및 경상이며 대향된 내부 접점 요소(38)는 (도시 생략된) 과전류 보호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모듈의 (도시 생략된) 하우징은, 도1에 도시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내부 접점 요소(30, 38)의 섹션(34, 36)들 사이의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과전류 보호기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과전류 보호기가 삽입되면, 전류는 내부 와이어(40, 42)를 경유하여 제2 접점 요소(14)로부터 내부 접점 요소(38)로 흐를 수 있으며, 과전류 보호기를 통해 내부 접점 요소(30)로 흐를 수 있다. 과전류 보호기가 전기 배선에 위치되었기 때문에, 이 보호기는 과전류가 통신 모듈과 접속된 장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접속이 인터럽트(interrupted)될 수 있도록, 과전류의 경우 작동될 수 있다.
전기 배선은 와이어(28, 32)로 구성된 꼬여진 와이어 쌍을 경유하여, 쌍을 형성하는 내부 접점 요소(30)로부터 제2 접점 요소(14)와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전기적으로는 접속하고 있지 않는 내부 접점 요소(26)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접점 요소(12)는, 서로 평행하고, 분리 지점의 제1측을 형성하는 지점(22)을 포함하는 축 주위의 복수의 벤딩을 갖는 제2 섹션(20)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리 지점의 제2측은 내부 접점 요소(26)의 대응 지점(24)에 의해 형성된다.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예로써, 테스트 목적으로 지점(22, 24)들 사이의 전기 접속이 외측으로부터, 전형적으로는 도1의 좌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적절한 분리 장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 배선은 내부 접점 요소(26)의 우측 부분으로부터 제1 접점 요소(12)의 지점(22)으로 이어진다.
도1을 기초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1에 도시된 모든 접점 요소의 기능과 그들 사이의 내부 와이어를 접속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접점 요소를 디자인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접점 요소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고, 도1에 도시된 내부 접점 요소(44, 46)와 접속될 수 있는 특수한 방법을 요구한다. 내부 와이어(28, 32, 40, 42)에 의해, 접점 요소는 비교적 단순함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접점 요소(14)와 같은 단일 벤딩을 포함한다. 다른 모든 접점 요소는 서로 평행한, 축 주위의 벤딩을 포함할 뿐이다. 결국, 꼬여진 와이어 쌍을 경유한 접속에 의해, 혼선 특성은 매우 향상될 수 있다.
도2는 복수의 접점 요소의 내부 구성과 평면도들 사이의 꼬여진 와이어 쌍을 경유한 접속부를 도시한다. 도2의 구성은, 외측으로부터 10개의 꼬여진 와이어 쌍 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접속 모듈에 적용 가능하면 따라서, 총 20개의 제1 접점 요소(12)와 20개의 제2 접점 요소(14) 각각이 요구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접점 요소는 접점 요소의 쌍(52)을 형성한다. 이러한 쌍(52)의 접점 요소는 꼬여진 와이어 쌍에 의해, 도2의 도면부호 54로 도시된 접점 요소의 다른 쌍과 접속된다. 이러한 사항은 혼선이 하나 그리고 동일한 쌍의 접점들 사이에서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나, 인접한 쌍(52, 54)들 사이의 혼선은 통신 모듈의 내부에서 꼬여진 와이어 쌍에 의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3극을 갖는 서지 방지기가 과전압으로부터 쌍(52)의 양쪽 전기 배선을 보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도2에서, 제1 내부 와이어(40)와 제2 내부 와이어(42)를 갖는 접속점(58) 사이의 접속점(56)이 도시된다. 이러한 접속점에서, 내부 접점 요소(44, 46)는 각각의 내부 와이어(40, 42)와 접속된다.
도2에는 도시되지 않은 어스 접점(5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압 보호기를 제공하기 위해 접지부와 접속될 수 있도록, 10개의 접점 쌍의 보호를 위해 제공된 총 10개의 서지 방지기를 포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접지 접점(50)은 대략 원통형을 갖는 서지 방지기의 중심부를 수용하도록, 복수의, 대략 골짜기형(trough-shaped) 리세스(60)가 형성된, 전체적으로 시트 금속의 평평한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적절한 슬릿(62)이 서지 방지기와 신뢰성있는 전기 접속을 달성하기 위해 가요성을 갖는 골짜기(60)의 에지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도4는 통신 모듈(64)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통신 모듈(64)은 통상 플 라스틱 재료인 하우징(66)을 포함한다. 도시된 경우, 하우징에는 그 각각의 단부에 적절한 캐리어에 통신 모듈(64)이 장착되도록 래칭(latching) 장치(68) 또는 적절한 다른 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통신 모듈의 도시된 실시예는 서지 방지기가 수용되도록 총 10개의 챔버 또는 구획(70)을 포함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어질 바와 같이, 이들은 통신 모듈의 접점 요소와 접속된다. 도시된 경우, 통신 모듈(64)은 총 20개의 접점 요소(14)에서 10개의 꼬여진 와이어 쌍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인접 접점 요소(14)는 하나의 쌍(52)을 형성한다. 도4의 단면부(7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쌍(52)의 접점 요소(14)는 내부 와이어(40, 42)로 구성된 꼬여진 쌍에 의해 다른 쌍(54)의 접점 요소와 접속된다. 도4에 도시된 구성은 도2에 도시된 것과 반드시 대응되어야 하며, 이후 상세히 설명되고,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필요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는 도5에 적용된다. 도5는 두 개의 접점 요소(14)로 구성되고 내부 와이어(40, 42)에 의해 접점 요소의 다른 쌍(54)과 접속된 쌍(52)을 도시한다. 상기 구성은 추가된 통신 모듈(64)의 하우징(66)의 섹션이 도2에 도시된 것과 대응된다. 도5는 접점 요소(12)와 쌍(54)의 접점 요소가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하우징(66)에 수용되는 방법을 명료하게 도시한다.
이는 도6으로부터 추가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도시된 경우, 하우징(66)은 제1 상부(74) 및 제2 하부(76)로 구성된다. 상부(74)에서, 접점 요소(12, 14)와 내부 접점 요소(26)(도1에도 도시됨)가 배치된다. 하부(76)에서, (도시 생략된) 과전류 보호기를 접촉하도록 의도된 내부 접점 요소(30, 38)가 수용된다. 또한, 도시된 경우, 하우징의 하부(76)는 서지 방지기(80)를 수용하기 위해 챔버(70)가 형성된 돌출부(78)를 포함한다. 또한, 서지 방지기(80), 접지 접점(50) 및 내부 와이어(28, 32, 40, 42)를 접촉하고 있는 내부 접점 요소(44, 46)가 배치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상부(74)와 하부(76)는 각각 중심 영역(A)에서 서로 중첩된다.

Claims (10)

  1. 내부와 외부를 갖는 하우징과, 외부 와이어의 접속 및/또는 그들 사이의 내부 또는 외부 전기 부품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및/또는 다른 통신 모듈의 접점의 탭핑이 가능하도록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복수의 접점 요소(12, 14)를 갖는 통신 모듈이며,
    상기 접점 요소(12, 14)의 두 개 이상은 내부 와이어(28, 32, 40, 42)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 접속되는 통신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접점 요소(26, 30, 38, 44, 48)를 더 포함하는 통신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요소(14)는 평평한 통신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요소는 단일 벤딩(14, 44, 46)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요소(12, 30, 38, 26)는 서로 평행한, 축 주위로의 복수의 벤딩을 포함하는 통신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와이어(28, 32, 40, 42)는 내부 와이어(28, 32, 40, 42) 절연부의 변위에 의해 접점 요소(12, 26, 30, 38, 44, 48, 14)에 접속되는 통신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와이어(28, 32, 40, 42)는 납땜에 의해 접점 요소(12, 26, 30, 38, 44, 48, 14)에 접속되는 통신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요소(12, 14; 30, 38)는 쌍(52, 54)에 제공되고, 제1 쌍(52)의 접점 요소는 꼬여진 와이어 쌍(28, 32; 40, 42)을 경유하여 제2 쌍(54)의 접점 요소에 접속되는 통신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요소(12, 14)는 하우징 외측의 절연 변위 접점으로서 형성되는 통신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서지 방지기, 과전류 또는 과전압 보호기, 필터, 분배 회로 및/또는 라인을 테스트 및/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한 부품인 통신 모듈.
KR1020057022493A 2003-05-27 2004-05-17 에이디에스엘용 단자 블록 KR200600153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11174.4 2003-05-27
EP20030011174 EP1482744A1 (en) 2003-05-27 2003-05-27 Terminal block for ADS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300A true KR20060015300A (ko) 2006-02-16

Family

ID=3310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493A KR20060015300A (ko) 2003-05-27 2004-05-17 에이디에스엘용 단자 블록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116259A1 (ko)
EP (1) EP1482744A1 (ko)
JP (1) JP2007500490A (ko)
KR (1) KR20060015300A (ko)
CN (1) CN1795684A (ko)
BR (1) BRPI0410673A (ko)
MX (1) MXPA05012765A (ko)
TW (1) TW200501758A (ko)
WO (1) WO20041077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7818B1 (en) 2005-10-11 2007-04-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lecommunications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module
DE102009010929A1 (de) * 2009-02-27 2010-09-09 Adc Gmbh Überspannungsschutzmagazin oder -steck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Überspannungsschutzmagazins oder -steck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521A (en) * 1985-11-15 1987-04-07 The Siemon Company Multicomponent telephone block access system
US4773867A (en) * 1986-07-02 1988-09-27 Amp Incorporated Premise distribution cross connect apparatus
US6438226B1 (en) * 1997-10-06 2002-08-20 Ccs Holdings, Inc. XDSL splitter assembly for main distribution frame
US5790363A (en) * 1997-12-03 1998-08-04 Tii Industries, Inc. Ethernet overvoltage/overcurrent protection system
US6315595B1 (en) * 1998-06-03 2001-11-13 Corning Cable Systems Llc Modular IDC terminal
US6151392A (en) * 1998-10-06 2000-11-21 Siecor Operations, Llc Telecommunications protector panel connector assembly
US6194652B1 (en) * 1999-03-02 2001-02-27 Lucent Technologies, Inc. Cable terminating connectors
DE20002378U1 (de) * 2000-02-11 2000-04-27 Quante Ag Schutzmodul der Telekommunikationstechn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7773A2 (en) 2004-12-09
WO2004107773A3 (en) 2005-05-12
CN1795684A (zh) 2006-06-28
BRPI0410673A (pt) 2006-06-20
TW200501758A (en) 2005-01-01
EP1482744A1 (en) 2004-12-01
MXPA05012765A (es) 2006-02-22
US20070116259A1 (en) 2007-05-24
JP2007500490A (ja)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25005B2 (en) Cabl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EP0204675B1 (en) Modular distribution frame including protector modules adapted for break access testing
PL202322B1 (pl) Moduł rozdzielający do sprzętu telekomunikacyjnego i informatycznego
EP0752738B1 (en) Polarity-sensitive protector device
US5805404A (en) Common insulating housing for elements of varying terminals
JPH0917466A (ja) 2線挿入の機能を有する絶縁排除端子
EP1483808B1 (en) Telecommunications terminal module
EP1804523B1 (en)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n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module
RU2354074C1 (ru)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й модуль,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узел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го модуля
RU2353070C1 (ru)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й модуль, комбинаци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го модуля 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разделителя сигналов и сборка из,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х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х модулей
JPH09190849A (ja) 通信導線やデータ導線の主分配部のケーブル接続用のモジュール式多重接続端子ブロック
EP1455543B1 (en) Assembly of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t least one protection plug
KR20060015300A (ko) 에이디에스엘용 단자 블록
EP1770832B1 (en) Telecommunications plug, an assembly including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 plu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g
US20110256765A1 (en) Connection module
US5025345A (en) Overload protector module and building entry protector with integrally molded modular jack
US20090053934A1 (en) Termination block with functional module
CN110753275A (zh) 一种总配线架接线排、保安单元和总配线架
GB2510572A (en) Plug with cross-talk compensation
MXPA00002852A (es) Protector para cable de categoria 5/25 pa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