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221A -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221A
KR20060015221A KR1020040070931A KR20040070931A KR20060015221A KR 20060015221 A KR20060015221 A KR 20060015221A KR 1020040070931 A KR1020040070931 A KR 1020040070931A KR 20040070931 A KR20040070931 A KR 20040070931A KR 20060015221 A KR20060015221 A KR 20060015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imo
mac
station
si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886B1 (ko
Inventor
양칠렬
권창열
김재화
노동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886B1/ko
Priority to MX2007001268A priority patent/MX2007001268A/es
Priority to BRPI0514272-5A priority patent/BRPI0514272A/pt
Priority to CA002575079A priority patent/CA2575079A1/en
Priority to PCT/KR2005/002358 priority patent/WO2006016742A1/en
Priority to RU2007105224/09A priority patent/RU2354059C2/ru
Priority to US11/199,118 priority patent/US20060034178A1/en
Priority to CNA2006100764241A priority patent/CN1913478A/zh
Priority to CNB2006100764326A priority patent/CN100542119C/zh
Priority to CNA2005100899884A priority patent/CN1735064A/zh
Priority to JP2005232328A priority patent/JP2006054889A/ja
Priority to AT05255022T priority patent/ATE424672T1/de
Priority to AT06113609T priority patent/ATE432568T1/de
Priority to DE602005017116T priority patent/DE602005017116D1/de
Priority to AT06113607T priority patent/ATE445987T1/de
Priority to EP06113609A priority patent/EP1681808B1/en
Priority to EP06113607A priority patent/EP1681807B1/en
Priority to EP05255022A priority patent/EP1626538B1/en
Priority to DE602005014610T priority patent/DE602005014610D1/de
Priority to DE602005013032T priority patent/DE602005013032D1/de
Priority to EP08170268A priority patent/EP2040417B1/en
Priority to KR1020050115934A priority patent/KR100678970B1/ko
Priority to KR1020050115936A priority patent/KR10071471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221A/ko
Priority to JP2006079547A priority patent/JP2006262492A/ja
Priority to JP2006079548A priority patent/JP2006238464A/ja
Priority to US11/399,400 priority patent/US20060182079A1/en
Priority to US11/399,401 priority patent/US859412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886B1/ko
Priority to US14/052,105 priority patent/US965427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2001/125Arrangements for preventing errors in the retur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ransceiv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랜 통신방법은 수신 스테이션이 MIMO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스테이션이 상기 수신된 MIMO 프레임의 오류 여부와 수신자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MIMO 프레임에 오류가 없고 수신자가 자신인 경우에 상기 수신 스테이션이 SISO ACK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SISO ACK 프레임을 상기 MIMO 프레임을 전송한 송신 스테이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랜, 캐리어 센싱, MIMO, ACK

Description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도 1은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프레임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무선랜에서 캐리어 센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전의 MIMO 스테이션과 SISO 스테이션이 함께 존재하는 무선랜의 경쟁구간의 프레임 전송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과 ACK 프레임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MIMO 스테이션과 SISO 스테이션이 함께 존재하는 무선랜의 경쟁구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스테이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스테이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SO 스테이션의 캐리어 센싱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IMO 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무선랜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향상된 캐리어 센싱 메커니즘을 이용한 무선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보급과 멀티미디어 자료의 급격한 증가에 의해서 초고속 통신망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이중 랜은 1980년대 후반부터 도입되어 초기에 1-4Mbps 정도였던 전송량이 현재는 100Mbps의 고속 이더넷(Ethernet)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가 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선이 없이도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하려는 시도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에 대한 연구개발을 촉진하였으며, 그 결과로 최근에는 무선랜의 보급이 점차로 확산되고 있다. 무선랜은 유선 랜에 비해서 데이터 전송율과 안정성 등에서 성능이 떨어지지만, 선이 없이도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이동성이 좋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랜의 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다.
데이터 전송량의 증가에 대한 요구와 무선 전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초기 1-2Mbps인 IEEE 802.11 규격을 향상시켜 802.11b, 802.11a와 같은 규격을 확정하였 다. 특히 NII 밴드의 5GHz 대역에서 6-54Mbps의 전송률을 가지는 802.11a는 OFDM을 전송기술로 사용하고 있으며, OFDM 전송과 5GHz 대역의 사용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다른 무선랜 규격에 비해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 KT(KT corp.)는 넷스팟이라는 무선랜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상용화했고 서비스 중이다. 넷스팟은 IEEE 802.11b 혹은 와이파이(Wi-Fi)의 표준에 따른 무선랜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위해 현재 표준화가 완성되었거나 연구 중인 것으로 3G(3 generation) 통신으로 불리기도 하는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IEEE 802.11x,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5.3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현재 저렴한 가격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어 가장 널리 퍼진 규격은 IEEE 802.11x에 속하는 IEEE 802.11b이다. IEEE 802.11b의 표준을 만족시키는 무선랜은 최대 전송률 11 Mbps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2.4 Ghz 대역 즉, 일정한 전계 이하에서 허가를 받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5 Ghz 대역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함) 방식을 사용하여 최대 54 Mbp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IEEE 802.11a를 채용한 무선랜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으며, IEEE 802.11n에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방식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더넷이나 무선랜은 모두 캐리어 센싱 멀티플 액세스(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이하, CSMA라 함) 방식을 사용한다. CSMA 방식은 채널의 사용 여부 검사하여 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idle)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한 시간을 지연후 다시 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을 말한다. 현재 CSMA 방식을 개량한 CSMA/CD(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은 유선 랜에서 사용되고 있고, CSMA/CA(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은 패킷 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고 있다. CSMA/CA 방식에서 스테이션은 채널이 비게 되는 경우라도 바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을 기다린 후에 랜덤 백오프한 후에 신호를 전송하여 신호의 충돌을 회피한다. 만일 전송 중인 신호의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는 랜덤 백오프 시간을 2배 단위로 증가시켜 충돌 가능성을 더욱 낮춘다.
이와 같이 종전에 사용되었던 CSMA/CA 방식을 채용하는 무선랜 통신은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스테이션은 무선매체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매체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의 무선통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MIMO 스테이션은 SISO 스테이션과는 달리 경로가 다른 복수의 데이터를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매체로 전송하고, 다른 스테이션이 전송한 무선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경로가 다른 복수의 데이터를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다. 따라서 MIMO 스테이션은 SISO 스테이션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질 수 있다. 그렇지만 MIMO 스테이션과 SISO 스테이션이 함께 존재하는 무선랜에서는 SISO 스테이션은 MIMO 스테이션이 전송한 데이터를 해석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MIMO 스테이션과 SISO 스테이션이 혼재된 무선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IEEE 802.11a 프레임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IEEE 802.11a 표준에서 프레임은 PLCP 프리앰블(110)과 시그널 필드(120)와 데이터 필드(130)로 구분된다.
PLCP 프리앰블(110)(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eamble)은 현재 물리층에서 어떤 데이터들이 전송될 것이라는 걸 미리 알려주기 위해 보내지는 신호이다. 시그널 필드(120)는 PLCP 프리앰블(110)을 뒤따르며, 기본 변조 방식(가장 낮은 데이터 레이트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하나의 OFDM 심볼을 갖는다. 데이터 필드(130)는 기본 변조 방식보다 크거나 같은 데이터 레이트로 변조된 OFDM 심볼들을 포함한다.
시그널 필드(120)는 총 24 비트로 구성되는데, 처음 4 비트는 데이터 필드(130)의 변조 방식 및 코딩율을 알려주는 레이트 필드(142)를 구성하는 비트이고, 그 다음 비트는 유보된 비트이고, 그 다음 12 비트는 프레임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 필드(144)를 구성하는 비트이고, 그 다음 비트는 패리티 체크를 위한 비트이고, 그 다음 6비트는 꼬리 비트이다. 길이 필드(144)는 데이터 필드(130)에 내장된 MAC 프레임의 바이트 수를 기록하고 있다.
데이터 필드(130)의 처음 16비트는 서비스 필드를 구성하는 비트인데, 시그널 필드와 서비스 필드는 PLCP 헤더(140)를 구성한다. 데이터 필드(130)에는 서비스 필드 이외에 PSDU(PLCP Service Data Unit)와 6 비트의 꼬리 비트 및 패드 비트 들을 포함한다. PSDU는 MAC 헤더와, MAC 데이터 필드, 및 프레임의 에러를 체크하기 위한 FCS(Frame Check Sequence)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에 해당한다. 데이터 필드(130)는 다양한 변조 방식과 코딩율로 변조될 수 있는데 변조 방식에 대한 정보는 시그널 필드(120)의 레이트 필드(142)에 포함된다.
도 2는 무선랜에서 캐리어 센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무선랜에서는 두 가지의 캐리어 센싱이 지원되는데, 그 하나는 물리적 캐리어 센싱이고 나머지는 가상 캐리어 센싱이다. 물리적 캐리어 센싱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물리층(210)에서 수신되는 프레임(212)의 구조는 도 1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PLCP 프리앰블(214)과 시그널 필드(216) 및 데이터 필드(218)로 구분될 수 있다.
물리적 캐리어 센싱은 무선매체를 통해 어떤 신호가 수신되고 있다는 사실을 스테이션이 인식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PLCP 프리앰블이 들어오는 순간 물리층에서는 MAC(220)에 물리층이 현재 사용중임을 알려준다(222, Busy신호). 그리고 이러한 수신이 끝나는 순간에 물리층의 사용이 종료되었음을 MAC(220)에 알려준다(228, idle 신호). 한편, 물리적 캐리어 센싱은 시그널 필드(216)에 포함된 길이 필드를 해석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상 캐리어 센싱은 데이터 부분이 포함하는 MAC 프레임 내부에 DURATION 값(NAV 값)으로 저장되는 일정 시간 간격 값을 MAC(220)이 읽어, MAC(220)에서 이 기간 동안은 매체가 사용중인 것으로 인식하는 방식을 말한다. 스테이션은 데이터 필드(218)를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MAC 프레임을 얻은 후에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값을 읽을 수 있다.
도 3은 종전의 MIMO 스테이션과 SISO 스테이션이 함께 존재하는 무선랜의 경쟁구간의 프레임 전송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개의 스테이션 중에서 3개의 스테이션은 MIMO 스테이션이고, 한 개의 스테이션은 SISO 스테이션이다.
각 스테이션은 프레임이 무선채널에서 전송되는 중에는 채널을 통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게 된다(물리적 캐리어 센싱). 경쟁 모드에서는 채널이 빈 상태라도 스테이션은 바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고 분산 프레임간 간격(Distributed Inter-Frame Space; 이하, DIFS라 함)의 시간이 지나고, 랜덤한 시간동안의 백오프가 지난 후에 프레임을 전송할 기회를 갖는다.
도 3에서는 MIMO 스테이션 1이 채널경쟁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기회를 얻었고, MIMO 스테이션 2에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즉, MIMO 스테이션 1이 MIMO 스테이션 2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은 MIMO 프레임이기 때문에 MIMO 스테이션 3은 수신할 수 있지만, SISO 스테이션은 수신할 수 없다.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MIMO 스테이션 2는 짧은 프레임간 간격(Short Inter-Frame Space; 이하, SIFS라 함)의 시간이 지난 후에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MIMO 스테이션 1에게 전송한다. DIFS보다 짧은 SIFS가 지난 직후에 ACK 프레임이 전송되므로 다른 스테이션들은 ACK 프레임의 전송이 끝나기 전까지는 데이터를 전송할 기회를 가질 수 없다. ACK 프레임 또한 MIMO 프레임이기 때문에 MIMO 스테이션 1과 MIMO 스테이션 3은 수신할 수 있지만, SISO 스테이션은 수신할 수 없다.
데이터 프레임을 제대로 수신한 MIMO 스테이션들은 가상 캐리어 센싱을 통해 NAV 설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MIMO 스테이션들은 ACK 프레임의 전송이 끝나면 DIFS 및 백오프 시간(310)이 지나면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반면에 SISO 스테이션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기 때문에 가상 캐리어 센싱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SISO 스테이션은 데이터 프레임의 충돌이 발생됐다고 생각한다. 이 경우에 SISO 스테이션은 물리적 캐리어 센싱이 끝난 후에 SIFS 시간과 가장 낮은 데이터 레이트의 ACK 프레임을 전송하는 시간 및 DIFS를 더한 시간인 확장된 프레임간 간격(Extended Inter-Frame Space; 이하, EIFS라 함)과 백오프 시간(320)이 지난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기회를 갖는다. 요컨대 MIMO 스테이션과 SISO 스테이션이 동시에 존재하는 환경에서 SISO 스테이션은 EIFS라는 긴 시간을 기다려야 되기 때문에 DIFS라는 시간을 기다리는 MIMO 스테이션보다 채널경쟁에서 불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MIMO 스테이션에 의해 기존의 SISO 스테이션이 불이익을 받는다. 따라서 MIMO 스테이션과 SISO 스테이션이 공존할 때 SISO 스테이션에게 불이익이 되지 않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캐리어 센싱 방법을 이용한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 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방법은 수신 스테이션이 MIMO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스테이션이 상기 수신된 MIMO 프레임의 오류 여부와 수신자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MIMO 프레임에 오류가 없고 수신자가 자신인 경우에 상기 수신 스테이션이 SISO ACK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SISO ACK 프레임을 상기 MIMO 프레임을 전송한 송신 스테이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방법은 송신 스테이션이 MIMO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스테이션이 상기 생성된 MIMO 프레임을 수신 스테이션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IMO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수신 스테이션이 전송한 SISO ACK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통신방법은 송신 스테이션이 MAC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의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스테이션이 상기 전송방식이 MIMO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으로부터 MIMO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방식이 SISO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으로부터 SISO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스테이션이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에 따라 생성된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무선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MIMO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MIMO 프레임으로부터 MAC 프레임을 얻는 물리층과, 상기 MAC 프레임의 오류 여부와 수신자를 체크하고, 오류가 없고 수신자가 자신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물리층에 제공하는 MAC을 포함하며, 상기 물리층은 상기 ACK 프레임으로부터 SISO ACK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매체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은 MAC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MAC 프레임의 전송방식을 선택하는 MAC, 및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에 따라 상기 MAC 프레임으로부터 MIMO 프레임 또는 SISO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MIMO 프레임 또는 SISO 프레임을 무선매체로 전송하는 물리층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수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수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MIMO 스테이션은 2 입력 및 2 출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2입력 및 1 출력, 1 입력 및 2 출력, 3 입력 및 3 출력, 4 입력 및 4 출력의 특성을 갖는 MIMO 스테이션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과 ACK 프레임의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리적 캐리어 센싱을 돕기 위하여 MIMO 데이터 프레임을 구조를 제안하였고, 가상 캐리언 센싱을 위하여 MIMO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도 SISO ACK 프레임을 사용한다.
먼저,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살펴본다.
데이터 프레임은 제1 PLCP 프리앰블(410)과 시그널 필드(420)와 제2 PLCP 프리앰블(450)과 데이터 필드(430)를 포함하며, 보충 시그널 필드(4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필드(430)에서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OFDM 심볼들과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OFDM 심볼들은 동시에 존재한다.
제1 PLCP 프리앰블(410)은 수신 스테이션의 안테나 1과의 동기를 위한 신호이고 제2 PLCP 프리앰블(450)은 수신 스테이션의 안테나 2와의 동기를 위한 신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에서 제1 PLCP 프리앰블(410)의 뒤에 바로 시그널 필드(420)가 뒤따른다. 데이터 프레임의 제1 PLCP 프리앰블(410)과 시그널 필드(420)는 도 1에서 설명한 종전의 데이터 프레임의 PLCP 프리앰블(110)과 시그널 필드(12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SISO 스테이션일지라도 시그널 필 드(420)에 포함된 정보들, 예를 들면 데이터 레이트나 프레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프레임의 길이는 시그널 필드 뒤에 따르는 신호, 즉, 제2 PLCP 프리앰블(450)과 보충 시그널 필드(460) 및 데이터 필드(430)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바이트로 환산한 값을 포함한다. 즉, 스테이션은 프레임의 길이를 데이터 레이트로 나눈 값으로 시그널 필드(460) 뒤에 따르는 신호의 지속시간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레이트가 108 Mbps(한 안테나당 54 Mbps)이고, 제2 PLCP 프리앰블의 길이가 8 마이크로 초이며, 보충 시그널 필드는 0 바이트이고,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가 n 바이트라면, 프레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OFDM 심볼당 4 마이크로 초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제2 PLCP 프리앰블은 2개의 OFDM 심볼에 해당한다. 108 Mbps의 데이터 레이트에서 OFDM 심볼당 216*2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2 PLCP 프리앰블은 432 바이트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길이 필드에는 n+432가 기록된다.
데이터 레이트가 12 Mbps(한 안테나당 6 Mbps)이고, 제2 PLCP 프리앰블의 길이가 8 마이크로 초이며, 보충 시그널 필드는 0 바이트이고, 데이터 필드에 포함된 데이터가 n 바이트인 경우에 프레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OFDM 심볼당 4 마이크로 초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제2 PLCP 프리앰블은 2개의 OFDM 심볼에 해당한다. 12 Mbps의 데이터 레이트에서 OFDM 심볼당 24*2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제2 PLCP 프리앰블은 48 바이트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길이 필드에는 n+48이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비록 MIMO 프레임을 제대로 수신할 수는 없지만 SISO 스테이션은 데이터 레이트나 프레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SISO 스테이션도 전력 레벨에 의한 물리적 캐리어 센싱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통해서도 물리적 캐리어 센싱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션은 종전보다 효과적으로 CCA(Clear Channel Assessment) 매커니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ACK 프레임의 구조를 살펴본다.
IEEE 802.11 표준 스펙은 따르면 ACK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과 같은 바로 앞 프레임과 동일한 레이트로 전송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이 MIMO 프레임을 수신하면, MIMO ACK 프레임을 전송해야 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MIMO ACK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는 SISO 스테이션에게 불이익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든 스테이션은 수신된 프레임이 MIMO 프레임이더라도 SISO ACK 프레임을 전송한다.
ACK 프레임의 구조는 기존의 SISO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PLCP 프리앰블(412)과 시그널 필드(422)를 포함한다. 또한, IEEE 802.11e 표준 스펙에 따른 블록 ACK 프레임의 경우에는 데이터 필드(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이 수신된 프레임의 종류에 상관없이 SISO ACK 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에 무선랜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4개의 스테이션 중에서 3개의 스테이션은 MIMO 스테이션이고, 한 개의 스테이션은 SISO 스테이션이다.
MIMO 스테이션 1이 채널경쟁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기회를 얻었고, MIMO 스테이션 2에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다. MIMO 스테이션 1이 MIMO 스테이션 2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은 MIMO 프레임이기 때문에 MIMO 스테이션 3은 수신할 수 있지만, SISO 스테이션은 수신할 수 없다. 그러나 종전의 경우와 달리 SISO 스테이션은 데이터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로부터 물리적 캐리어 센싱을 위한 데이터 레이트 및 프레임 길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SISO 스테이션의 물리적 캐리어 센싱은 종전의 경우보다 잘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MIMO 스테이션 2는 SIFS 시간이 지난 후에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MIMO 스테이션 1에게 전송한다. ACK 프레임은 종전의 경우와는 달리 SISO 프레임이기 때문에 MIMO 스테이션 1과 MIMO 스테이션 3뿐만 아니라, SISO 스테이션도 수신할 수 있다. MIMO 스테이션 3은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MAC 프레임을 얻고 가상 캐리어 센싱을 하여 NAV(520)를 설정할 수 있다. SISO 스테이션도 수신한 ACK 프레임으로부터 MAC 프레임을 얻고 가상 캐리어 센싱을 하여 NAV(530) 설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MIMO 스테이션들과 SISO 스테이션은 모두 ACK 프레임의 전송이 끝난 후에 DIFS 및 백오프 시간(510)이 지난 후에 프레임을 전송할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스테이션들의 동작과 캐리어 센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스테이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데이터를 송신하려는 스테이션의 MAC은 상위층에서 데이터를 받는다(S610). 그리고 나서 스테이션의 MAC은 상위층에서 받은 데이터에 MAC 헤더와 FCS를 붙여 MAC 프레임을 생성한다(S620).
스테이션의 물리층은 MAC 프레임을 받아 2개의 PLCP 프리앰블을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S630). 데이터 프레임이 생성되면 스테이션은 데이터 프레임을 무선매체로 전송한다(S640).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 후에 스테이션은 일정 시간동안 ACK 프레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50). 스테이션이 ACK 프레임이 수신하면, 데이터 전송이 종료된다. 그렇지만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스테이션은 데이터 전송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한다.
데이터 전송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스테이션은 백오프를 위한 경쟁윈도우의 사이즈를 2배로 하고 경쟁을 하여 프레임을 다시 무선 매체로 전송한다(S660). 그리고 나서, ACK 프레임이 수신여부를 판단하고(S650), 스테이션이 ACK 프레임을 수신하면 데이터 전송은 종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스테이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스테이션은 제1 PLCP 프리앰블을 검출한다(S710). 제1 PLCP 프리앰블을 검출한 스테이션은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제1 PLCP 프리앰블을 검출하여 제1 안테나가 동기화되면, 스테이션은 시그널 필드를 수신한다(S720). 시그널 필드에는 데이터 레이트와 길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스테이션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MIMO 프레임인지를 판단한다(S730). MIMO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에 스테이션은 제2 PLCP 프리앰블을 검출한다(S740). 제2 PLCP 프리앰블을 검출되면 제2 안테나가 동기화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MIMO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는 제2 PLCP 프리앰블 검출과정은 생략된다.
스테이션은 PLCP 프리앰블을 통해 동기화가 되면 데이터 필드에서 MAC 프레임을 추출한다(S750). 스테이션은 MAC 프레임의 FCS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이 오류가 없는 프레임인지를 체크하고 MAC 프레임의 MAC 헤더로부터 수신자가 자신인지를 체크한다(S760).
프레임에 오류가 없고 수신자가 자신인 경우에 스테이션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1개의 PLCP 프리앰블을 갖는 ACK 프레임을 생성하고(S770), 생성된 ACK 프레임을 무선매체를 통해 전송한다(S780).
한편, 오류가 있는 프레임이거나 수신자가 자신이 아닌 경우에 스테이션은 프레임을 버린다(S79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SO 스테이션의 캐리어 센싱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데이터 프레임이 무선매체를 통해 전송되면, 스테이션은 제1 PLCP 프리앰블을 검출한다(S810). 제1 PLCP 프리앰블을 검출한 스테이션은 시그널 필드를 수신한다(S820). 시그널 필드를 해석하여 스테이션은 데이터 레이트와 프레임 길이에 대한 정보를 얻어 물리적 캐리언 센싱을 한다(830). 그렇지만 스테이션은 MAC 프레임을 얻을 수는 없기 때문에 가상 캐리어 센싱을 위한 NAV 설정은 할 수 없다.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끝난 후에 ACK 프레임이 전송되면 스테이션은 ACK 프레임을 수신한다(S84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CK 프레임은 SISO 프레임이기 때문에 모든 스테이션이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은 수신된 ACK 프레임으로부터 MAC 프레임을 추출한다(S850). MAC 프레임을 추출하고 나서 스테이션은 MAC 헤더의 DURATION 필드로부터 NAV 설정을 위한 정보를 얻고 NAV 설정을 한다(S88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IMO 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스테이션은 물리층(910)과 MAC(920)과 상위층(930)을 포함한다.
물리층(910)은 SISO PLCP 모듈(912)과 MIMO PLCP 모듈(916)과 MIMO 코덱(914) 및 무선 송수신 모듈(918)을 포함한다.
송신과정에서 SISO PLCP 모듈(912)은 종전과 마찬가지로 MAC(920)에서 MAC 프레임을 받아 PLCP 프리앰블과 필요한 부가 정보들을 포함하여 SISO 프레임을 생성한다. 수신과정에서 SISO PLCP 모듈(912)은 무선 송수신 모듈(918)을 통해 수신된 SISO 프레임에서 PLCP 헤더를 제거하여 얻은 MAC 프레임을 MAC(920)에 전달하기도 한다.
송신과정에서 MIMO PLCP 모듈(916)은 MIMO 코덱(914)에서 MAC 프레임을 코딩하여 얻은 MIMO 데이터에 제1 및 제2 PLCP 프리앰블들과 필요한 부가 정보들을 포 함하여 MIMO 프레임을 생성한다. 수신과정에서 MIMO PLCP 모듈(916)은 무선 송수신 모듈(918)을 통해 수신된 MIMO 프레임에서 PLCP 헤더를 제거하여 얻은 MIMO 데이터를 MIMO 코덱(914)에 제공한다.
송신과정에서 MIMO 코덱(914)은 MAC(920)으로부터 받은 MAC 프레임을 코딩하여 MIMO 데이터를 얻고 이를 MIMO PLCP 모듈(916)로 제공한다. 수신과정에서 MIMO 코덱(914)은 MIMO PLCP 모듈(916)로부터 MIMO 데이터를 받아 MAC(920)에 제공한다.
송신과정에서 무선 송수신 모듈(918)은 SISO 프레임 또는 MIMO 프레임을 받아 무선 매체로 전송한다. 수신과정에서 무선 송수신 모듈(918)은 SISO 프레임 또는 MIMO 프레임을 수신하여 SISO PLCP 모듈(912) 또는 MIMO PLCP 모듈(916)에 전달한다.
MAC(920)은 MAC 프레임 생성 모듈(924)과 MAC 프레임 해석모듈(926) ACK 프레임 생성 모듈(922)을 포함한다.
송신과정에서 MAC 프레임 생성 모듈(924)은 상위층(930)에서 받은 데이터에 MAC 헤더와 FCS를 붙여 MAC 프레임을 생성한다. 생성된 MAC 프레임은 물리층(910)에 전달한다. 스테이션이 MIMO 프레임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MAC 프레임은 MIMO 코덱(914)에 전달되고 SISO 프레임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MAC 프레임은 SISO PLCP 모듈(912)로 전달된다.
수신과정에서 MAC 프레임 해석 모듈(926)은 물리층(910)에서 MAC 프레임을 받고, MAC 프레임의 FCS를 이용하여 MAC 프레임의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MAC 프레임 해석 모듈(926)은 MAC 프레임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 MAC 프레임을 폐기하고, MAC 프레임에 오류가 없는 경우에 MAC 프레임의 헤더를 이용하여 수신자가 자신인지를 판단한다. MAC 프레임 해석 모듈(926)은 수신자가 자신인 경우에 MAC 프레임 해석 모듈(926)은 MAC 헤더와 FCS를 제거한 MAC 프레임(MSDU)을 상위층(930)에 전달한다. MAC 프레임 해석 모듈(926)은 수신자가 자신이 아닌 경우에 MAC 프레임을 폐기한다.
ACK 프레임 생성 모듈(922)은 MAC 프레임에 오류가 없고 수신자가 자신인 경우에 ACK 프레임을 생성한다(922). 생성된 ACK 프레임은 SISO PLCP 모듈(912)로 전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IMO 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스테이션은 물리층(1010)과 MAC(1020)과 상위층(1030)을 포함한다.
물리층(1010)은 SISO PLCP 모듈(1012)과 MIMO PLCP 모듈(1016)과 MIMO 코덱(1014) 및 무선 송수신 모듈(1018)을 포함한다. 각 모듈에 대한 동작은 도 9의 해당 모듈의 동작을 참조한다.
MAC(1020)은 MAC 프레임 생성 모듈(1024)과 MAC 프레임 해석모듈(1026)과 ACK 프레임 생성 모듈(1022) 및 선택 모듈(1028)을 포함한다. MAC 프레임 생성 모듈(1024)과 MAC 프레임 해석모듈(1026)과 ACK 프레임 생성 모듈(1022)의 동작은 도 9의 해당 모듈의 동작을 참조한다.
선택 모듈(1028)은 MAC 프레임 생성 모듈(1024)에서 생성된 MAC 프레임을 MIMO 방식으로 전송할지 아니면 SISO 방식으로 전송할지를 선택한다. 통상, MAC 프레임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MIMO 방식이 유리하고 MAC 프레임의 길이가 짧은 경 우에는 SISO 방식이 데이터 전송에 유리하다. 왜냐하면, 데이터를 MIMO 방식으로 전송할 때는 SISO 방식으로 전송할 때에 비해 두배의 데이터 레이트를 가질 수 있지만, PLCP 프리앰블 등의 오버헤드가 더 발생되기 때문이다. 한편, 선택 모듈(1028)은 브로드캐스트 혹은 멀티캐스트로 전송할 프레임이나 제어 프레임 또는 관리 프레임의 경우에는 SISO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브로드캐스트 혹은 멀티캐스트로 전송할 프레임은 복수의 스테이션이 수신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고, 제어 프레임 또는 관리 프레임은 일반 데이터 프레임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MIMO 프레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결정된 경우에 MAC 프레임은 MIMO 코덱(1014)에 전달되고 SISO 프레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결정된 경우에 MAC 프레임은 SISO PLCP 모듈(1012)로 전달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모듈(module)"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software component)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class)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task)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processes), 함수들 (functions), 속성들(properties), 프로시저들(procedures), 서브루틴들(sub-routines),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의 세그먼트들(segments), 드라이버들(drivers), 펌웨어(firmwares), 마이크로코드(micro-codes), 회로(circuits), 데이터(data), 데이터베이스(databases), 데이터 구조들(data structures), 테이블들(tables), 어레이들(arrays), 및 변수들(variables)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통신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들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시적인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ISO ACK 프레임을 사용하므로 MIMO 스테이션과 SISO 스테이션이 혼재되는 무선랜을 구성할 때 SISO 스테이션에 불이익이 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IMO 프레임의 두 PLCP 프리앰블 사이에 시그널 필드가 존재하므로 기존의 SISO 스테이션도 시그널 필드에서 물리적 캐리어 센싱을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수신 스테이션이 MIMO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스테이션이 상기 수신된 MIMO 프레임의 오류 여부와 수신자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MIMO 프레임에 오류가 없고 수신자가 자신인 경우에 상기 수신 스테이션이 SISO ACK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SISO ACK 프레임을 상기 MIMO 프레임을 전송한 송신 스테이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MIMO 프레임은 복수의 PLCP 프리앰블들과 시그널 필드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 필드는 첫 번째 PLCP 프리앰블을 바로 뒤따르는 무선랜 통신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필드는 상기 MIMO 프레임에서 상기 시그널 필드를 뒤따르는 부분의 길이를 바이트로 환산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 방법.
  4. 송신 스테이션이 MIMO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 스테이션이 상기 생성된 MIMO 프레임을 수신 스테이션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IMO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수신 스테이션이 전송한 SISO ACK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MIMO 프레임은 복수의 PLCP 프리앰블들과 시그널 필드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 필드는 첫 번째 PLCP 프리앰블을 바로 뒤따르는 무선랜 통신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필드는 상기 생성된 MIMO 프레임에서 상기 시그널 필드를 뒤따르는 부분의 길이를 바이트로 환산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 방법.
  7. 송신 스테이션이 MAC 프레임에 대한 프레임의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송신 스테이션이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이 MIMO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으로부터 MIMO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이 SISO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으로부터 SISO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스테이션이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에 따라 생성된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통신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MAC 프레임의 전송방식을 선택하는 기준은 상기 MAC 프레임의 길이인 무선랜 통신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MAC 프레임이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될 프레임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의 전송방식을 SISO 방식으로 선택하는 무선랜 통신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MAC 프레임이 관리 프레임 또는 제어 프레임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의 전송방식을 SISO 방식으로 선택하는 무선랜 통신방법.
  11. 무선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MIMO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MIMO 프레임으로부터 MAC 프레임을 얻는 물리층;
    상기 MAC 프레임의 오류 여부와 수신자를 체크하고, 오류가 없고 수신자가 자신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물리층에 제공하는 MAC을 포함하며,
    상기 물리층은 상기 ACK 프레임으로부터 SISO ACK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매체를 통해 전송하는 스테이션.
  12. MAC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MAC 프레임의 전송방식을 선택하는 MAC; 및
    상기 선택된 전송방식에 따라 상기 MAC 프레임으로부터 MIMO 프레임 또는 SISO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MIMO 프레임 또는 SISO 프레임을 무선매체로 전송하는 물리층을 포함하는 스테이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MAC은 상기 MAC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상기 MAC 프레임의 전송방법을 선택하는 스테이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MAC은 상기 MAC 프레임이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될 프레임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의 전송방식을 SISO 방식으로 선택하는 스테이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MAC은 상기 MAC 프레임이 관리 프레임 또는 제어 프레임인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의 전송방식을 SISO 방식으로 선택하는 스테이션.
  16.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40070931A 2004-08-13 2004-09-06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0586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931A KR100586886B1 (ko) 2004-08-13 2004-09-06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MX2007001268A MX2007001268A (es) 2004-08-13 2005-07-21 Metodo y aparato de comunicacion de lan inalambrica.
BRPI0514272-5A BRPI0514272A (pt) 2004-08-13 2005-07-21 método de comunicações em uma rede de área local sem fios (wlan), estação, e método de comunicação em rede de área local (lan) sem fios executado em uma mìdia de gravação passìvel de leitura em computador
CA002575079A CA2575079A1 (en) 2004-08-13 2005-07-21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PCT/KR2005/002358 WO2006016742A1 (en) 2004-08-13 2005-07-21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RU2007105224/09A RU2354059C2 (ru) 2004-08-13 2005-07-21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 беспроводной локальной сети
US11/199,118 US20060034178A1 (en) 2004-08-13 2005-08-09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A2006100764241A CN1913478A (zh) 2004-08-13 2005-08-09 无线局域网通信方法和设备
CNB2006100764326A CN100542119C (zh) 2004-08-13 2005-08-09 无线局域网通信方法和设备
CNA2005100899884A CN1735064A (zh) 2004-08-13 2005-08-09 无线局域网通信方法和设备
JP2005232328A JP2006054889A (ja) 2004-08-13 2005-08-10 無線LAN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MethodandApparatusforwirelesslocalareanetworkcommunication)
EP08170268A EP2040417B1 (en) 2004-08-13 2005-08-12 Wireless LAN communication apparatus
DE602005017116T DE602005017116D1 (de) 2004-08-13 2005-08-12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WLAN Kommunikation
AT06113607T ATE445987T1 (de) 2004-08-13 2005-08-12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wlan kommunikation
AT05255022T ATE424672T1 (de) 2004-08-13 2005-08-12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wlan kommunikationen
EP06113607A EP1681807B1 (en) 2004-08-13 2005-08-12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05255022A EP1626538B1 (en) 2004-08-13 2005-08-12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602005014610T DE602005014610D1 (de) 2004-08-13 2005-08-12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WLAN Kommunikationen
DE602005013032T DE602005013032D1 (de) 2004-08-13 2005-08-12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WLAN Kommunikationen
AT06113609T ATE432568T1 (de) 2004-08-13 2005-08-12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wlan kommunikationen
EP06113609A EP1681808B1 (en) 2004-08-13 2005-08-12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0050115934A KR100678970B1 (ko) 2004-08-13 2005-11-30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050115936A KR100714713B1 (ko) 2004-08-13 2005-11-30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06079547A JP2006262492A (ja) 2004-08-13 2006-03-22 無線LAN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MethodandApparatusforwirelesslocalareanetworkcommunication)
JP2006079548A JP2006238464A (ja) 2004-08-13 2006-03-22 無線LAN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MethodandApparatusforwirelesslocalareanetworkcommunication)
US11/399,400 US20060182079A1 (en) 2004-08-13 2006-04-07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399,401 US8594129B2 (en) 2004-08-13 2006-04-07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4/052,105 US9654276B2 (en) 2004-08-13 2013-10-11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113504P 2004-08-13 2004-08-13
US60/601,135 2004-08-13
KR1020040070931A KR100586886B1 (ko) 2004-08-13 2004-09-06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936A Division KR100714713B1 (ko) 2004-08-13 2005-11-30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050115934A Division KR100678970B1 (ko) 2004-08-13 2005-11-30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221A true KR20060015221A (ko) 2006-02-16
KR100586886B1 KR100586886B1 (ko) 2006-06-08

Family

ID=3704553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931A KR100586886B1 (ko) 2004-08-13 2004-09-06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050115936A KR100714713B1 (ko) 2004-08-13 2005-11-30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050115934A KR100678970B1 (ko) 2004-08-13 2005-11-30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936A KR100714713B1 (ko) 2004-08-13 2005-11-30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050115934A KR100678970B1 (ko) 2004-08-13 2005-11-30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4) US20060034178A1 (ko)
EP (4) EP1626538B1 (ko)
JP (3) JP2006054889A (ko)
KR (3) KR100586886B1 (ko)
CN (3) CN1913478A (ko)
AT (3) ATE432568T1 (ko)
BR (1) BRPI0514272A (ko)
CA (1) CA2575079A1 (ko)
DE (3) DE602005017116D1 (ko)
MX (1) MX2007001268A (ko)
RU (1) RU2354059C2 (ko)
WO (1) WO200601674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8927A2 (en) * 2010-03-25 2011-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20110107731A (ko) * 2010-03-25 2011-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된 안테나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339983B2 (en) 2005-02-07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of control response frame for acknowledging data receipt in wireless LAN
CN105721257A (zh) * 2015-10-09 2016-06-29 武汉中元通信股份有限公司 基于单发多收信道的mac层接入方法与平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4608A1 (ja) * 2003-06-18 2004-12-2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
US7539253B2 (en) * 2004-09-10 2009-05-26 Intel Corporation Interpolation in channel state feedback
US7492829B2 (en) * 2004-09-10 2009-02-17 Intel Corporation Closed loop feedback in MIMO systems
US8483190B2 (en) 2005-01-18 2013-07-09 Marvell World Trade Lt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ime division multiplexed (TDM) interframe space (IFS) time selection protocol
US7920530B2 (en) * 2005-01-18 2011-04-05 Marvell World Trade Ltd. WLAN TDM IFS time selection protocol
US7751374B2 (en) * 2005-01-18 2010-07-06 Marvell World Trade Ltd. WLAN TDM protocol
US7542454B2 (en) * 2005-01-21 2009-06-02 Intel Corporation MIMO channel feedback protocols
US8068550B2 (en) * 2005-01-28 2011-11-29 Broadcom Corporation Initiation of a MIMO communication
JP4762007B2 (ja) * 2006-03-03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中継装置、通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JP4777286B2 (ja) 2007-03-27 2011-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8917598B2 (en) 2007-12-21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flow control
US8699487B2 (en) * 2008-02-04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elay budget feedback
US8656239B2 (en) * 2008-02-12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based on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25471B2 (en) * 2008-02-13 2014-01-07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rrier deferral for full duplex energy efficient ethernet PHYs
EP2104292A1 (en) * 2008-03-20 2009-09-23 Pantech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nvironment, and a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9301320B2 (en) * 2008-04-15 2016-03-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ethod and system for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 with directional transmission
KR101404275B1 (ko) 2008-05-30 201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Vht 무선랜 시스템에서 ppdu의 채널 할당 방법 및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JP2011109205A (ja) * 2009-11-13 2011-06-02 Sony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CN102098140A (zh) * 2009-12-10 201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多入多出mimo模式下的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CN101741785B (zh) * 2009-12-21 2012-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随机接入脉冲信号的识别方法和系统
GB2487909B8 (en) 2011-02-04 2015-01-21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CN103959670B (zh) * 2011-12-02 2018-04-27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在无线网络中进行流量标示和控制的系统和方法
FR2985396A1 (fr) * 2012-01-04 2013-07-05 France Telecom Transmission d'acquittement de courte duree
US9055468B2 (en) * 2012-04-02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s and timing parameters in sub-1 GHz networks
US20130301502A1 (en) * 2012-04-20 2013-11-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JP5955627B2 (ja) * 2012-05-02 2016-07-20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処理装置、プログラム
EP2958391B1 (en) 2013-02-15 2018-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frame in accordance with bandwidth thereof in wlan system
WO2014178678A1 (ko) * 2013-05-02 201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동적 채널 센싱 방법 및 장치
JP6010824B2 (ja) * 2014-03-06 2016-10-1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Wi−Fi低エネルギープリアンブル
US9681386B2 (en) 2014-03-06 2017-06-13 Apple Inc. Wi-Fi low energy preamble
KR20160018438A (ko) * 2014-08-08 2016-02-17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고효율 무선랜에서 동적 프레임간 간격 프로세싱
US9794522B2 (en) * 2015-02-06 2017-10-17 Goog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coexistence of multiple transceiver devices by optimizing component layout
WO2016175329A1 (ja) * 2015-04-30 2016-11-03 株式会社 東芝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6175328A1 (ja) * 2015-04-30 2016-11-03 株式会社 東芝 無線通信装置
US9876604B2 (en) * 2015-05-06 2018-01-2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bonding signaling to in-rang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0497A (ja) 1998-02-03 1999-08-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優先度を用いたcsma/ca方法
US6181754B1 (en) * 1998-06-12 2001-01-30 Cadence Desig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mixed signal RF circuits in a digital signal environment
JP3618600B2 (ja) 1999-09-28 2005-02-09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端末局
US6760882B1 (en) * 2000-09-19 2004-07-06 Intel Corporation Mode selection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based on statistical parameters
JP2003087856A (ja) 2001-06-28 2003-03-20 Sony Corp 無線基地局、無線端末、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099267B2 (en) * 2001-08-23 2006-08-29 Dsp Group Inc. Enhanced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in OFDM communication
US7269127B2 (en) 2001-10-04 2007-09-11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Preamble structures for single-input, single-output (SISO) and multi-input, multi-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s
US7248559B2 (en) * 2001-10-17 2007-07-24 Nortel Networks Limited Scattered pilot pattern and channel estimation method for MIMO-OFDM systems
US6977944B2 (en) 2002-01-12 2005-12-20 Conexant, Inc. Transmission protection for communications networks having stations operating with different modulation formats
US7630403B2 (en) * 2002-03-08 2009-12-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C aggregation frame with MSDU and fragment of MSDU
US7224704B2 (en) 2002-04-01 2007-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scheduling data frames including physical layer configuration
US7200178B2 (en) * 2002-06-12 2007-04-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for optimizing time variant communication channels
US8320301B2 (en) 2002-10-2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IMO WLAN system
CN100380856C (zh) 2002-12-03 2008-04-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比特交织cofdm-mimo系统的简化解码器
US7039412B2 (en) 2003-08-08 2006-05-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s on multiple frequency channels in a frequency agile network
US20050078598A1 (en) * 2003-08-21 2005-04-14 Anuj Batra Enhancement to the multi-band OFDM physical layer
US8233462B2 (en) 2003-10-15 2012-07-31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and direct link protocol
JP4005974B2 (ja) 2004-01-09 2007-11-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50075477A (ko) * 2004-01-15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스테이션 간에 통신하는 방법
WO2005071909A1 (en) * 2004-01-26 200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or virtual carrier sensing in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KR100959123B1 (ko) * 2004-02-11 201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통신 방법
US7586881B2 (en) * 2004-02-13 2009-09-08 Broadcom Corporatio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greenfield preamble formats
US7233773B2 (en) * 2004-02-13 2007-06-19 Broadcom Corporation Configuring a MIMO communication
US8169889B2 (en) * 2004-02-18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and spatial spreading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13576A1 (en) * 2004-03-29 2005-09-29 Stephens Adrian P Multicasting in wireless networks
US8000223B2 (en) * 2004-04-12 2011-08-1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antenna preambles for wireless networks preserving backward compatibility
JP4086304B2 (ja) 2004-04-23 2008-05-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7537654A (ja) 2004-05-13 2007-12-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無線システム用のマルチレート・パケット・アグリゲーションを有するスーパーフレーム・プロトコルパケットデータユニット・フォーマット
US20050288062A1 (en) * 2004-06-23 2005-12-29 Hammerschmidt Joachim S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mode based upon packet size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JP4490781B2 (ja) 2004-10-18 2010-06-3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7447185B2 (en) * 2004-12-29 2008-11-04 Intel Corporation Transmitting and protecting long frame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1813B2 (en) 2005-02-07 2013-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of control response frame for acknowledging data receipt in wireless LAN
US8339983B2 (en) 2005-02-07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of control response frame for acknowledging data receipt in wireless LAN
US8379614B2 (en) 2005-02-07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of control response frame for acknowledging data receipt in wireless LAN
US8416707B2 (en) 2005-02-07 2013-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of control response frame for acknowledging data receipt in wireless LAN
US8451743B2 (en) 2005-02-07 2013-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of control response frame for acknowledging data receipt in wireless LAN
US8457120B2 (en) 2005-02-07 2013-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of control response frame for acknowledging data receipt in wireless LAN
US8548007B2 (en) 2005-02-07 2013-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transmission rate of control response frame for acknowledging data receipt in wireless LAN
KR20110107731A (ko) * 2010-03-25 2011-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된 안테나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1118927A3 (en) * 2010-03-25 2011-12-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WO2011118927A2 (en) * 2010-03-25 2011-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025524B2 (en) 2010-03-25 2015-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CN105721257A (zh) * 2015-10-09 2016-06-29 武汉中元通信股份有限公司 基于单发多收信道的mac层接入方法与平台
CN105721257B (zh) * 2015-10-09 2019-03-29 武汉中元通信股份有限公司 基于单发多收信道的mac层接入方法与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17116D1 (de) 2009-11-26
CN1913479A (zh) 2007-02-14
US8594129B2 (en) 2013-11-26
ATE432568T1 (de) 2009-06-15
EP1681808B1 (en) 2009-05-27
EP2040417B1 (en) 2011-10-19
US20140036899A1 (en) 2014-02-06
US9654276B2 (en) 2017-05-16
MX2007001268A (es) 2007-04-18
CA2575079A1 (en) 2006-02-16
EP1626538B1 (en) 2009-03-04
BRPI0514272A (pt) 2008-06-10
EP1681807A2 (en) 2006-07-19
US20060034178A1 (en) 2006-02-16
KR100714713B1 (ko) 2007-05-07
CN1913478A (zh) 2007-02-14
CN1735064A (zh) 2006-02-15
DE602005013032D1 (de) 2009-04-16
JP2006262492A (ja) 2006-09-28
RU2007105224A (ru) 2008-08-20
ATE445987T1 (de) 2009-10-15
CN100542119C (zh) 2009-09-16
RU2354059C2 (ru) 2009-04-27
DE602005014610D1 (de) 2009-07-09
JP2006054889A (ja) 2006-02-23
EP1681808A1 (en) 2006-07-19
KR100586886B1 (ko) 2006-06-08
EP1626538A1 (en) 2006-02-15
JP2006238464A (ja) 2006-09-07
EP1681807A3 (en) 2006-07-26
US20060182080A1 (en) 2006-08-17
KR20060015431A (ko) 2006-02-17
EP1681807B1 (en) 2009-10-14
KR20060015430A (ko) 2006-02-17
WO2006016742A1 (en) 2006-02-16
KR100678970B1 (ko) 2007-02-06
ATE424672T1 (de) 2009-03-15
EP2040417A1 (en) 2009-03-25
US20060182079A1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970B1 (ko) 무선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0643299B1 (ko) 고속 무선 네트워크에서 레거시 방식의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78264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network
JP5279791B2 (ja) 高速無線ネットワークでレガシー方式の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602801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with down compatibility in high throughput wireless network
MX2007015582A (es) Metodo y aparato para recibir datos con compatibilidad descendente en redes inalambricas de alta emision.
US202301567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CN112787793A (zh) 使用触发信息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KR100679041B1 (ko) 고속 무선 네트워크에서 하향 호환성을 제공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03686B1 (ko)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있어 가상 캐리어 센싱을 위한 정보송수신 및 정보 설정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0586891B1 (ko) 고속 무선 네트워크에서 하향 호환성을 제공하며 데이터를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86890B1 (ko) 고속 무선 네트워크에서 하향 호환성을 제공하며 데이터를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03814B1 (ko) 고속 무선 네트워크에서 하향 호환성을 제공하며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