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3731A - 골프 클럽용 그립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용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3731A
KR20060013731A KR1020040062315A KR20040062315A KR20060013731A KR 20060013731 A KR20060013731 A KR 20060013731A KR 1020040062315 A KR1020040062315 A KR 1020040062315A KR 20040062315 A KR20040062315 A KR 20040062315A KR 20060013731 A KR20060013731 A KR 20060013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olf club
contact
hand
gol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현
Original Assignee
조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덕현 filed Critical 조덕현
Priority to KR102004006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3731A/ko
Publication of KR2006001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4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handles, e.g. sleeves or ribb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최적화된 피트감과 임팩트시의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골프 클럽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그립은, 클럽 샤프트와 접촉하는 내면부와 골퍼의 손과 접촉하는 외면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골퍼의 손으로부터 가해지는 접촉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손과 그립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보형물;을 포함한다. 상기 보형물은 그립과 골퍼의 손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접촉되는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밀폐체의 내부에 충진된 겔 상태의 액상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형상 기억이 가능한 반고상(半固相)의 물질로 이루어진다.
골프, 그립, 보형물, 겔, 반고상, 액상, 형상기억

Description

골프 클럽용 그립{GRIP FOR GOLF CLUB}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을 갖는 골프 클럽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골프 클럽용 그립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사시도 및 "B-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립의 사시도.
도 6a 및 6b는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의 "C-C" 단면도.
본 발명은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화된 피트감과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에서 가장 폭넓게 즐기고 있는 스포츠 중의 하나로서, 골프공을 골프 클럽으로 타격하면서 18홀의 코스를 도는 경기이다.
상기한 골프 클럽은 클럽 샤프트와, 샤프트의 선단에 고정된 헤드 및 샤프트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튜브식 그립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골프 클럽을 쥘 때, 오른 손 잡이의 경우 왼손은 새끼 손가락, 약지 및 중지의 세 손가락으로 그립을 쥐고, 나머지 손가락은 그립에 가볍게 올려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골프에서 그립의 중요성은 항상 강조되고 있는 부분으로, 그립을 쥘 때 견고함, 편안함, 그리고 임팩트 순간의 안정감이 느껴져야 비로소 올바른 그립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마츄어 골퍼들은 견고함을 위해 무의식적으로 손에 힘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손과 어깨 등이 경직되어 골프 클럽의 운동량을 자연스럽게 골프공에 전달하지 못해 미스 샷을 유발시키곤 한다.
견고함과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서는 그립 표면과 손의 접촉 면적이 넓을수록 좋으며, 임팩트 순간의 안정감을 가지려면 그립을 쥔 상태가 임팩트 순간에도 변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임팩트 순간에 그립이 놀지 않도록 접촉 면적 전반에 압력이 고르게 작용하는 견고한 그립이 유지되어야 가능하다.
그러나, 모양이 상이한 그립의 외면과 손바닥 및 손가락의 내면을 접촉시켜 접촉 면적을 넓히고, 접촉 압력을 적정하게 분산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즉, 그립을 쥔 손의 모양과 그립의 외면이 맞춤 제작과 같이 일치하면 접촉 면적도 극대화되고, 견고함과 편안함이 느껴지겠지만, 사람마다 손과 그립 특성이 다르고, 동일인이라 하더라도 그립을 쥘 때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그런 그립을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즉, 손의 모양에 딱 맞는 느낌을 피트감으로 표현하면, 시판되는 고무 그립 에 있어서, 실리콘과 같이 경도가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피트감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압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미흡할 뿐 아니라, 내구성에 문제를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최적화된 피트감 및 임팩트시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골프용 그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 클럽의 샤프트 기단부에 고정되는 골프 클럽용 그립으로서,
클럽 샤프트와 접촉하는 내면부와 골퍼의 손과 접촉하는 외면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골퍼의 손으로부터 가해지는 접촉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손과 그립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보형물;
을 포함하는 골프용 그립을 제공한다.
상기 보형물은 밀폐체의 내부에 충진된 겔 상태의 액상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형상 기억이 가능한 반고상(半固相)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2 내지 5㎜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형물은 왼손 엄지와 손바닥의 손날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하게 걸리고 접촉 면적이 균일하지 않은 손바닥 중심부와 검지와 중지 사이 이하 세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위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형물은 하나의 몸체 또는 여러개의 분할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되며,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을 갖는 골프 클럽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그립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골프 클럽은 클럽 샤프트(10), 샤프트(10)의 선단에 고정되는 헤드(20), 및 샤프트(10)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중공형의 그립(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립(30)은 클럽 샤프트(10)와 접촉하는 내면부와 골퍼의 손과 접촉하는 외면부를 구비하는 본체(32)와, 상기 본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보형물(3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32)의 내면은 질기고 견고한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면은 내마모성이 높고 표면 마찰력이 우수한 얇고 질긴 물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형물(34)은 골퍼가 손으로 그립(30)을 쥘 때 손의 접촉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그립(30)과 손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피트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겔 상태의 액상 물질(34a) 및 이 물질(34a)을 밀폐하는 밀폐체(34b)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보형물(34)은 전체적으로 2 내지 5㎜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보형물(34)이 2㎜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접촉 면적 증가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이며, 5㎜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피트감 향상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한 보형물(34)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본체(32)는 도 2b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영역의 두께가 나머지 영역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본체(32)의 일부 영역을 완전히 제거하고 보형물(34)을 클럽 샤프트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내구성을 고려하여 본체(32)의 일부 영역 두께를 얇게 형성한 후 보형물(34)을 본체에 고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형물(34)은 왼손으로 그립을 잡게 되는 영역 전체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보형물(34)은 골퍼가 그립(30)을 쥘 때, 골퍼의 왼손으로부터 가해지는 접촉 압력에 의해 상기한 겔 상태의 액상 물질(34a)이 밀폐체(34b)의 내부에서 변형된다.
따라서, 골퍼의 손과 그립 사이의 빈 공간에는 상기 접촉 압력에 의해 변형된 액상 물질(34a)이 채워지게 되므로, 피트감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보형물이 액상 물질(34a)로 이루어지므로, 모든 골퍼들이 상기한 그립(30)을 사용하는데 있어 최적화된 피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형물(34)은 왼손이 위치되는 영역 중에서도 특히 일부 영역, 예컨대 왼손 엄지와 손바닥의 손날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하게 걸리고 접촉 면적이 균일하지 않은 손바닥 중심부와 검지와 중지 사이 이하 세 손가락 부위에만 배치할 수 있다.
상기한 도 2a 내지 도 3b는 일체형으로 형성한 보형물(34)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형물(36)은 복수의 분할체(36a)로 구성하여 도 3a 및 3b에 도시한 실시예보다 더욱 국부적인 영역에만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와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 본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은 밀폐체(34b) 및 이 밀폐체의 내부에 채워지는 액상 물질(34a)로 형성한 보형물(34)을 그립 본체보다 돌출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는 클럽 샤프트(10)와 접촉하며 상기 샤프트(10)의 기단부에 고정되는 내층체(32a)와, 골퍼의 손과 접촉하며 상기 내층체(32a)에 접합되는 외층체(32b)로 그립 본체(32)를 구성하고, 내층체(32a)와 외층체(32b)의 사이 공간에 보형물을 배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보형물은 형상 기억이 가능한 반고상의 물질(38)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퍼의 손과 그립이 접촉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의 그립 영역에만 일정 두께의 보형물을 배치함으로써, 피트감 및 임팩트시의 안정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형물을 액상 물질 또는 반고상의 물질로 형성하여 골퍼의 신체적인 특징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그립을 사용하는 모든 골퍼들에게 최적화된 피트감 및 임팩트시의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골프 클럽의 샤프트 기단부에 고정되는 골프용 그립으로서,
    클럽 샤프트와 접촉하는 내면부와 골퍼의 손과 접촉하는 외면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골퍼의 손으로부터 가해지는 접촉 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손과 그립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보형물;
    을 포함하는 골프 클럽용 그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밀폐체의 내부에 충진된 겔 상태의 액상 물질로 이루어지는 골프 클럽용 그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형상 기억이 가능한 반고상(半固相)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골프 클럽용 그립.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상기 접촉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2 내지 5㎜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골프 클럽용 그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왼손 엄지와 손바닥의 손날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하게 걸리며, 접촉 면적이 균일하지 않은 손바닥 중심부 및 검지와 중지 사이 이하 세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위에 배치되는 골프 클럽용 그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면부를 구비하는 내층체와, 외면부를 구비하는 외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형물은 내층체와 외층체 사이에 배치되는 골프 클럽용 그립.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골프 클럽용 그립.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이 여러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지는 골프 클럽용 그립.
KR1020040062315A 2004-08-09 2004-08-09 골프 클럽용 그립 KR20060013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315A KR20060013731A (ko) 2004-08-09 2004-08-09 골프 클럽용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315A KR20060013731A (ko) 2004-08-09 2004-08-09 골프 클럽용 그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610U Division KR200369401Y1 (ko) 2004-08-09 2004-08-09 골프 클럽용 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731A true KR20060013731A (ko) 2006-02-14

Family

ID=3712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315A KR20060013731A (ko) 2004-08-09 2004-08-09 골프 클럽용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37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6956Y2 (ja) ゴルフクラブのグリップ
US7201683B2 (en) Elastic grip handle for a baseball/softball bat
US20100043119A1 (en)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US20170238632A1 (en) Athletic glove with enhanced tactile feel
KR200369401Y1 (ko) 골프 클럽용 그립
KR20060013731A (ko) 골프 클럽용 그립
KR100988991B1 (ko) 퍼터 그립 및 상기 그립을 구비하는 퍼터
KR101970501B1 (ko) 손가락 밴드
KR200434359Y1 (ko) 걸이밴드가 부착된 골프장갑
US20020052248A1 (en) Golf club grip
WO2005068029A1 (en) Golf gloves having improved fixability and compactability for grip
JP7042843B2 (ja) 衝撃吸収部材
JPH0615019A (ja) ゴルフクラブのグリップ
KR200366404Y1 (ko) 골프용 장갑
KR20060014734A (ko) 골프용 장갑
US6654959B1 (en) Glove with enhanced retention capabilities
JP2016182272A (ja) 手のひらのツボを刺激するための及び/又は手の示指、中指及び環指における爪の先端から第二関節までを屈曲させる筋力を増強するための器具
KR100741438B1 (ko) 골프클럽의 에어 그립
US20240050820A1 (en) Golf grip
US20210086053A1 (en) Gripping device for handling a golf club
US11730212B1 (en) Sport glove with padding
JP3078976U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KR102510252B1 (ko) 미끄럼 방지 패드 및 그를 구비하는 기능성 골프 장갑
WO2007117101A1 (en) Glove for golf
KR20090007471U (ko) 그립 고정력이 향상되게 한 양손형 골프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