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501B1 - 손가락 밴드 - Google Patents

손가락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501B1
KR101970501B1 KR1020170161144A KR20170161144A KR101970501B1 KR 101970501 B1 KR101970501 B1 KR 101970501B1 KR 1020170161144 A KR1020170161144 A KR 1020170161144A KR 20170161144 A KR20170161144 A KR 20170161144A KR 101970501 B1 KR101970501 B1 KR 10197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inger
ventilation
sucker
front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김태형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102017016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채나 야구 배트 등의 운동기구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손가락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땀이 나더라도 손가락에서 회전하지 않고 밀착력 및 통기성이 우수하면서 운동기구의 그립감과 파지력을 높일 수 있는 손가락 밴드에 관한 것으로, 정, 후면 및 좌, 우측면이 연결되며, 상, 하측은 개방되어 상측 개방부와 하측 개방부를 형성한 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좁아지게 되어 상측 개방부가 하측 개방부보다 단면이 작게 형성되되, 정면의 외측에는 빨판면이 형성된 다수의 빨판이 형성되어 있어, 스틱 형태의 운동기구의 파지력을 높일 수 있고, 다수의 통기부를 형성하여 밴드부의 손가락 착용시 땀의 발생을 줄여 착용감 향상과 더불어 밴드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밴드를 손가락에 끼우거나 뺄 때의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사용시 찢어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손가락 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가락 밴드{A finger band}
본 발명은 골프채나 야구 배트 등의 운동기구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손가락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땀이 나더라도 손가락에서 회전하지 않고 밀착력 및 통기성이 우수하면서 운동기구의 그립감과 파지력을 높일 수 있는 손가락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의 샤프트를 잡는 방식을 그립(grip)이라고 하며, 오른손잡이의 경우 사용자는 주로 왼손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왼손은 샤프트를 검지의 가운데 마디에 놓이게 하면서 중지, 약지 및 소지로 컨트롤하고 오른손은 중지와 약지가 샤프트를 쥐는 중심이 되도록 그립하게 된다.
사용자는 클럽이 손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밀착시키기 위해 골프용 장갑을 손에 낀 상태로 샤프트를 잡고 골프공을 쇼트(shot)하게 된다. 이때, 오른손잡이의 경우 오른손은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주로 왼손에만 장갑을 낀 채 샤프트를 잡고 클럽을 스윙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샤프트를 주로 잡게 되는 한 손에만 장갑을 낀 채 클럽을 반복적으로 스윙하게 되는 경우, 골프공 쇼트시 장갑을 끼지 않은 다른 한 손의 약지와 중지에게 충격을 받게 되어 물집이 잡히거나 굳은살이 생기는 등의 상처가 생기게 된다. 특히, 초급자의 경우 손가락에 상처가 발생함으로 인해 그립방법이 점차 틀어지게 되므로 자세교정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에, 왼손잡이를 위한 오른손 장갑을 구비하여 클럽을 스윙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양손 모두 장갑을 착용하고 스윙을 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손의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손 전체를 감싸는 오른손 장갑을 구비하는데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손가락에만 착용할 수 있는 밴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손가락 밴드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214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가 있다.
골프용 손가락 밴드는 손가락을 관통시키기 위한 제1 개방구와 제2 개방구가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본체로 구성되고, 손가락 길이방향에 대해 본체의 상측 중앙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2 개방구의 일측에는 돌출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개방구의 직경은 제2 개방구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하여 손가락으로 삽입을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측은 신축성 소재로 구성되고, 나머지부분은 내마모성 및 마찰계수가 큰 소재로 구성하여 손가락의 구부림동작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그립시 샤프트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측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프린트되어 손가락으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 1) KR20-2011-0000214 U 골프용 손가락 밴드
하지만, 상술한 골프용 손가락 밴드는 통기성이 낮아 착용시 땀이 발생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배출할 수 있을만한 구성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불편함을 형성함은 물론, 손가락에 발생한 땀으로 인해 손가락 밴드가 손가락에서 회전하게 되어 재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잦았다.
특히, 위의 특허문헌 1에서는 일면에 실리콘 수지와 같은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시켜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스포츠에서 스틱 형태로 이루어진 운동기구, 예컨대, 골프채나 야구 배트 등은 사용자가 많은 힘을 주어 스윙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미끄럼방지부재만으로는 파지력을 높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밴드는 스틱 형태의 운동기구의 파지력을 높일 수 있는 손가락 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통기부를 형성하여 밴드부의 손가락 착용시 땀의 발생을 줄여 착용감 향상과 더불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밴드를 손가락에 끼우거나 뺄 때의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사용시 찢어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면에 형성된 빨판면을 포함한 다수의 빨판에 의해 스틱 형태로 이루어진 운동기구의 파지시 파지력을 높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정면에 형성되는 빨판의 내측에 빨판 타공홀을 형성하여 빨판을 통한 파지력 향상과 더불어 통기성을 높여 손가락에서 밴드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면의 후면 통기부를 통한 내면의 통기성 향상과 더불어 내면에 비연속구간과 통기 돌출턱으로 이루어진 내면 통기부를 통해 내부에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통기성 향상에 따른 착용감 향상과 더불어 손가락에서 밴드가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 하측에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손가락에 끼우거나 빼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되, 상, 하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두껍게 형성하여 손가락에 끼우거나 뺄때의 찢어짐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밴드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밴드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B-B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밴드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적인 구성으로서 정면(11), 후면(12), 좌, 우측면(13,1 4)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측과 하측은 개방되어 각각 상, 하측 개방부(15, 16)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10)는 손가락에 끼우기 위한 구성으로서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손가락을 끼우기 위한 하측 개방부(15)보다 상측 개방부(16)의 단면적이 더 작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빨판(20)은 상술한 밴드부(10)를 구성하는 정면(11)의 외측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대략 원형의 단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스틱 형태의 운동기구(도면에 미도시)과 맞닿는 면에는 곡률 형태로 이루어진 빨판면(21)이 형성되어 운동기구의 파지시 파지력이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빨판면(21)의 내측에는 정면(11)을 관통하는 빨판 타공홀(12)이 더 형성되어 빨판(20)의 흡착력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밴드부(10) 내부와 빨판(10)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후면 통기부(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통기부(30)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기홀(31)의 후면(12)을 관통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통기홀(31)은 도면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통기홀(31)의 외주면에는 통기홀(31)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12)보다 더 돌출되는 통기홀 보강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통기부(30)는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이나 모양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손잡이부(41)와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 손잡이부(42)로 이루어진 손잡이부(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0)는 밴드부(10)의 상, 하측 개방부(15, 16)가 형성된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밴드부(10)를 손가락에 끼우거나 뺄 때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상, 하측 손잡이 홈(41a, 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 하측 손잡이 홈(41a, 42a) 및 상, 하측 개방부(15, 16)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정, 후면(11, 12) 및 좌, 우측면(13, 14)의 상단에는 정, 후면(11, 12) 및 좌, 우측면(13, 14)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상, 하측 손잡이홈 보강부(41b, 4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내면 통기부(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면 통기부(50)는 도 6에서와 같이 통기 돌출턱(51)이 형성되되, 통기 돌출턱(51)에 비연속구간(52)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내면 통기부(50)는 밴드부(10)를 구성하는 후면(12)의 내면에 다수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밴드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밴드(100)는 사용자가 골프채나 야구 배트와 같은 스틱 형태의 운동기구 사용시 손가락에 물집과 같은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운동기구의 파지력을 높이기 위해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밴드(100)의 사용법은 사용자가 밴드부(10)의 상측 개방부(15)를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벌려준 상태에서 착용하고자 하는 손가락을 넣고 밴드부(10)를 좌, 우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상기 하측 개방부(16)에는 하측 손잡이홈(42a)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쉽게 밴드부(10)의 하측 개방부(16)를 벌린 상태에서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하측 개방부(16) 주변의 정, 후면(11, 12) 및 좌, 우측면(13, 14)의 상단은 정, 후면(11, 12) 및 좌, 우측면(13, 14)보다 더 두꺼운 상측 손잡이홈 보강부(41b)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부(40)의 상측 손잡이부(41)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손가락을 하측 개방부(16)에 삽입하더라도 쉽게 찢어짐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밴드(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골프채나 야구 배트와 같은 스틱 형태의 운동기구를 파지하게 되면 밴드부(10)의 정면(11)에 형성되어 있는 빨판(20)이 운동기구와 접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빨판(20)에 형성되어 있는 곡률 형태로 이루어진 빨판면(21)이 운동기구와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어 파지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빨판(20)의 빨판면(21) 내측에는 정면(11)을 관통하는 형태의 빨판 타공홀(22)이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과 밴드부(10)를 구성하는 정면(11)의 내면 사이의 공기가 배출되는 효과와 더불어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어 운동기구와 빨판(20)이 빨판면(21)의 밀착력이 높아지게 되어 더욱 파지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운동기구를 파지하였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빨판(20)의 빨판면(21)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빨판 타공홀(22)을 통해 공기가 밴드부(10)의 내면으로 유입되어 통기성을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여줄 수 있음은 물론, 내면에 땀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밴드부(10)가 손가락에서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밴드부(10)의 후면(12)에 형성되는 후면 통기부(30)를 통해서도 밴드부(10) 내면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밴드부(10)가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작용한다.
이와 더불어 밴드부(10)를 구성하는 후면(12)의 내면에 형성되는 통기 돌출턱(51)을 포함한 내면 통기부(50)에 의해서도 밴드부(10) 내면의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내면 통기부(50)의 통기 돌출턱(51)은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일부 구간이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비연속 구간(5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면 통기부(50)의 통기 돌출턱(51)이 손가락과 밴드부(10)의 내면 사이의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비연속 구간(52)을 통해 공기가 순환하도록 작용하게 되어 손가락의 땀 발생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킴은 물론, 밴드부(10)가 손가락에서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10 : 밴드부
11 : 정면 12 : 후면 13 : 좌측면 14 : 우측면
15 : 상측 개방부 16 : 하측 개방부
20 : 빨판
21 : 빨판면 22 : 빨판 타공홀
30 : 후면 통기부
31 : 통기홀 32 : 통기홀 보강부
40 : 손잡이부
41 : 상측 손잡이부
41a : 상측 손잡이홈 41b : 상측 손잡이홈 보강부
42 : 하측 손잡이부
42a : 하측 손잡이홈 42b : 하측 손잡이홈 보강부
50 : 내면 통기부
51 : 통기 돌출턱 52 : 비연속 구간
100 : 손가락 밴드

Claims (5)

  1. 정, 후면(11, 12) 및 좌, 우측면(13, 14)이 연결되며, 상, 하측은 개방되어 상측 개방부(15)와 하측 개방부(16)를 형성한 밴드부(10)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될수록 좁아지게 되어 상측 개방부(15)가 하측 개방부(16)보다 단면이 작게 형성되되, 정면(11)의 외측에는 빨판면(21)이 형성된 다수의 빨판(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부(10)에 형성된 정면(11)의 상, 하측에는 상, 하측 손잡이홈(41a, 42a)과 상, 하측 손잡이홈 보강부(41b, 42b)로 구성되는 상, 하측 손잡이부(41, 42)로 이루어진 손잡이부(4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손가락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의 정면(11)에 형성된 빨판(20)의 빨판면(21) 내측으로는 정면(11)을 관통하는 빨판 타공홀(22)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손가락 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의 후면(12)에는 통기홀(31)과 통기홀(31)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통기홀 보강부(32)로 이루어진 다수의 후면 통기부(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손가락 밴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를 구성하는 후면(12) 중 손가락과 접촉되는 내면에는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 돌출턱(51)과 상기 통기 돌출턱(51)이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비연속 구간(52)으로 이루어진 내면 통기부(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손가락 밴드.
KR1020170161144A 2017-11-29 2017-11-29 손가락 밴드 KR10197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44A KR101970501B1 (ko) 2017-11-29 2017-11-29 손가락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144A KR101970501B1 (ko) 2017-11-29 2017-11-29 손가락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501B1 true KR101970501B1 (ko) 2019-04-19

Family

ID=6628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144A KR101970501B1 (ko) 2017-11-29 2017-11-29 손가락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5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9175A (zh) * 2021-11-09 2021-12-07 博兴兴业智能新材料有限公司 一种便携式硅材料电阻率测量装置
KR20220068384A (ko) * 2020-11-19 2022-05-26 (주) 레온 골프 그립용 골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426U (ko) * 1997-07-02 1999-02-05 김종인 흡착판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장갑
KR20090042082A (ko) * 2007-10-25 2009-04-29 박종모 통기성 장갑
JP2012081231A (ja) * 2010-10-12 2012-04-26 Mieko Hayashi 5本指健康ループバン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426U (ko) * 1997-07-02 1999-02-05 김종인 흡착판이 일체로 형성된 고무장갑
KR20090042082A (ko) * 2007-10-25 2009-04-29 박종모 통기성 장갑
JP2012081231A (ja) * 2010-10-12 2012-04-26 Mieko Hayashi 5本指健康ループバン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384A (ko) * 2020-11-19 2022-05-26 (주) 레온 골프 그립용 골무
KR102404350B1 (ko) * 2020-11-19 2022-06-02 (주) 레온 골프 그립용 골무
CN113759175A (zh) * 2021-11-09 2021-12-07 博兴兴业智能新材料有限公司 一种便携式硅材料电阻率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5120A1 (en) Tri-Finger Multi Sport Glove
US8453266B2 (en) Ergonomic curved athletic glove
US6427247B1 (en) Stabilized sized golf glove
US5745916A (en) Protective glove for ice-hockey and similar sports
US4751749A (en) Athletic training gloves
CA2141150C (en) Hockey players training gloves with removable weights
US8146173B2 (en) Golf glove for right grip and suitable swing
US7201683B2 (en) Elastic grip handle for a baseball/softball bat
US20090144880A1 (en) Tri-finger sports glove
US20150059043A1 (en) Disposable Fingerless Exercise Glove
US20030061651A1 (en) Golf glove
GB2292065A (en) A sports glove
JP3195549U (ja) ボールグローブ
US20080229477A1 (en) Football glove for quarterbacks
US20060185058A1 (en) Football glove
US8205269B2 (en) Golf glove
KR101970501B1 (ko) 손가락 밴드
US10850181B2 (en) Batting glove and cushioning apparatus
US10828553B2 (en) Open palm hand covers and uses of said covers
US20170113117A1 (en) Golf glove with ultrathin grip coating
JPH0639073A (ja) 利き腕用ゴルフ手袋
US20190133221A1 (en) Golf glove with airflow vents
CN211863771U (zh) 一种手套式乒乓球拍
US11291896B1 (en) Hand positioning accessory
GB2232338A (en) A golf gl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