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700A -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 Google Patents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700A
KR20060011700A KR1020040060681A KR20040060681A KR20060011700A KR 20060011700 A KR20060011700 A KR 20060011700A KR 1020040060681 A KR1020040060681 A KR 1020040060681A KR 20040060681 A KR20040060681 A KR 20040060681A KR 20060011700 A KR20060011700 A KR 20060011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door
cabinet door
furniture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1700A/ko
Publication of KR2006001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구장(31)의 내부에는 설치공간(33)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공간(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가구장도어(3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구장도어(35)의 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45)이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45)은 전후방으로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그 양단(46)이 도면상 우측을 향하도록 밴딩됨으로써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구장(31)의 전면과 전후방으로 겹쳐진다. 따라서 상기 가구장도어(35)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판스프링(45)의 돌출단부(47)가 상기 가구장(31)의 전면에 부딪혀서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 사이서 발생하는 충격력이 흡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장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가구장과 가구장도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거나 양자가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빌트인 타입 냉장고, 가구장, 충격흡수수단, 판스프링

Description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Furniture for built-in type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구장의 내부에 빌트인 타입 냉장고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구장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에 빌트인 타입 냉장고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구장도어를 여닫는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가구장 33: 설치공간
35: 가구장도어 36: 도어핸들
36: 냉장고 37: 본체
39: 도어 41: 가이드부
42: 가이드홈 43: 연결부재
45: 판스프링 46: 양단
47: 돌출단부 49: 고정부재
H, h: 힌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구장의 내부에 빌트인 타입 냉장고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구장(11)의 내부에는 소정의 설치공간(13)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공간(13)에는 냉장고(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1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가구장(11)의 일측에 가구장도어(1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구장도어(15)는 다수개의 가구힌지(H')에 의하여 상기 가구장(11)의 일측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구장도어(15)의 전면 일측에는 가구장도어(15)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도어핸들(16)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설치공간(13)에 설치되는 상기 냉장고(16)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본체(17)와, 상기 본체(17)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9)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19)는 상기 본체(17)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7)의 일측에 힌지(h')에 의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구장도어(15)와 도어(19)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양자의 회동반경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가구장도어(15)의 이면 상단에는, 그 내부에 좌우로 길게 가이드홈(22)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9)의 측면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홈(22)에 삽입된 상태로 좌우로 이동하는 연결편(미도시)이 구비되는 연결부재(23)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내부에 식품을 출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가구장도어(15)의 도어핸들(16)을 손으로 잡고 상기 가구장(11)의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가구장도어(15)를 회동시킴으로써 열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편이 상기 가이드홈(2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19)도 상기 가구장도어(1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구장도어(15) 및 도어(19)가 열리면, 상기 본체(17)의 저장공간이 개방되어 식품을 수납하거나 상기 저장공간에 수납된 식품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구장도어(15) 및 도어(19)를 상술한 상기 본체(17)의 저장공간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회동시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닫음으로써 상기 저장공간을 차폐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구힌지(H')는 상기 가구장도어(15)가 상기 가구장(1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이상 회동하면 그 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가구장도어(15)를 닫는 과정에서 그 회동속도가 과도하게 증가됨으로써, 상기 가구장도어(15)의 이면 테두리부가 상기 가구장(11)의 전면에 부딪혀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가구장도어(15)가 상기 가구장(11)의 전면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하여 상기 가구장(11) 또는 가구장도어(15)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장도어의 회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구장 및 가구장도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가구장과, 상기 가구장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가구장도어와, 상기 가구장과 가구장도어가 부딪혀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가구장도어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구장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그 일부가 상기 가구장의 전면 테두리에 부딪혀서 탄성변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구장도어의 회동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판스프링임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가구장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장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가구장도어의 이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수단이 가구장의 전면에 부딪혀서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가구장과 가구장도어가 부딪혀서 충격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구장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에 빌트인 타입 냉장고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구장(31)의 내부에는 냉장고(36)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33)이 구비된다. 상기 설치공간(33)은 그 전면이 개구되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구장(31)의 일측에는 상기 설치공간(3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가구장도어(35)가 설치된다.
상기 가구장도어(35)는 그 일측(도 2에서 도면상 우측단부)을 중심으로 타측(도 2에서 도면상 좌측단부)이 상기 가구장(31)의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가 다수개의 가구힌지(H)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가구장도어(35)의 이면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도어(39)와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부재(41)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1)에는 적어도 상면이 개구되는 가이드홈(42)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구장도어(35)의 전면 좌측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게 되는 도어핸들(3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33)에 설치되는 냉장고(36)는, 식품의 저장을 위한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본체(37)와,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39)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39)는 힌지(h)에 의하여 상기 본체(37)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39)의 측면 상단에는 상기 냉장고(36)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43)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43)에는 그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는 연결편(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편은 상기 가이드홈(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구장도어(35) 및 도어(39)의 회동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양자의 회동반경차를 보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구장도어(35)의 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45)이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45)은 상기 가구장도어(35)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가구장(31)의 전면에 부딪힘으로써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 사이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판스프링(45)은 상기 가구장도어(35)의 회동방향, 즉 상기 가구장(31)의 전후방으로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그 양단(46)이 도면상 우측을 향하도록 밴딩됨으로써 상기 판스프링(45)의 중앙부(이하에서는 '돌출단부'라 칭함)(47)는 도면상 좌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단부(47)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구장 (31)의 전면과 전후방으로 겹쳐진다.
따라서 상기 가구장도어(35)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단부(47)가 상기 가구장(31)의 전면에 부딪혀서 상기 판스프링(45)이 탄성변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구장(31)의 전면과 상기 돌출단부(47)가 서로 겹쳐지는 면적은 상기 가구장도어(35)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가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력이 상기 판스프링(45)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구장(31)의 전면과 상기 돌출단부(47)가 겹쳐지는 면적이 너무 좁으면, 상기 가구장도어(35)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판스프링(45)이 상기 가구장(31)의 전면에 부딪히더라도 충분한 탄성변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가 부딪혀서 발생하는 충격력이 상기 판스프링(45)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완전하게 흡수되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가구장(31)의 전면과 상기 돌출단부(47)가 겹쳐지는 면적이 과도하게 넓으면, 상기 판스프링(45)의 탄성변형이 상기 가구장도어(35)를 닫는 과정에서 상기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력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하여 또는 상기 판스프링(45)이 상기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 사이에 끼임으로써 상기 가구장도어(35)에 제대로 닫히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가구장(31)과 돌출단부(47)가 겹쳐지는 면적은 상기 판스프링(45)의 탄성력 등을 고려하여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결 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장도어(35)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단부(47)가 상기 가구장(31)에 의하여 도면상 우측으로 밀려서 상기 판스프링(45)이 압축되어 탄성변형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45)을 상기 가구장도어(35)의 이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재(49)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49)는 그 도면상 좌측면에 상기 판스프링(45)의 양단(46)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 전면이 상기 가구장도어(35)의 이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49)를 상기 가구장도어(35)의 이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스크류나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의 작용에 대하여 도 2 및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구장도어를 여닫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장도어(35)가 닫힌 상태, 즉 상기 가구장도어(35)의 이면이 가구장(31)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판스프링(45)의 돌출단부(47)가 상기 가구장(31)에 의하여 도면상 우측으로 밀림으로써 상기 판스프링(45)이 압축되어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구장도어(35)를 열기 위하여 도어핸들(36)을 손으로 잡고 상기 가구장(31)의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장도어(35)는 도면상 그 우측단부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45)은 도 3a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장(31)에 의하여 탄성변형된 상태에 서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원, 즉 상기 돌출단부(47)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가구장도어(35)가 회동하면, 가구장도어(35)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41)의 가이드홈(42)을 따라서 냉장고(36)의 도어(39)에 구비되는 연결부재(43)의 연결편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39)가 상기 가구장도어(3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됨으로써 냉장고(36)의 본체(37)에 구비되는 저장공간이 개장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7)의 저장공간에 식품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식품을 외부로 인출한다. 다음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장도어(35)의 도어핸들(36)을 잡고, 상기 가구장(31)을 향하여 밀어서 가구장도어(35)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닫는다.
이때 상기 도어(39)는 상기 가이드홈(42)을 따라서 이동하는 상기 연결편에 의하여 상기 가구장도어(35)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여 닫히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37)의 저장공간도 차폐된다. 또한 도 3b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구장도어(35)가 회동하면, 상기 돌출단부(47)가 상기 가구장(31)의 전면 일측에 부딪혀서 도면상 우측으로 점차적으로 밀리면서, 상기 판스프링(45)이 압축되어 탄성변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구장도어(35)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상기 판스프링(45)이 탄성변형하면서 흡수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상기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 사이의 충격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거나 상기 가구장(31)과 가구장도어(35)가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가구장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가구장과 가구장도어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이 충격흡수수단에 의하여 흡수되므로, 이와 같은 충격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가구장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상기 가구장과 가구장도어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양자의 내구성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냉장고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가구장과,
    상기 가구장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가구장도어와,
    상기 가구장과 가구장도어가 부딪혀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가구장도어의 이면 테두리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구장도어를 닫는 과정에서 그 일부가 상기 가구장의 전면 테두리에 부딪혀서 탄성변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구장도어가 회동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는 판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양단은 상기 가구장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에 고 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가구장.
KR1020040060681A 2004-07-31 2004-07-31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KR20060011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681A KR20060011700A (ko) 2004-07-31 2004-07-31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681A KR20060011700A (ko) 2004-07-31 2004-07-31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700A true KR20060011700A (ko) 2006-02-03

Family

ID=3712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681A KR20060011700A (ko) 2004-07-31 2004-07-31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17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126A (ko) * 2020-03-12 2021-09-27 주진우 사이드도어가 구비된 붙박이장
KR102482111B1 (ko) 2021-12-10 2022-12-29 성종민 Urs공법을 이용한 빌트인 냉장고용 가구장 시공방법
KR102493556B1 (ko) 2022-01-18 2023-02-06 성종민 냉장고도어 연동형 칸막이 마감재를 갖는 빌트인 냉장고장 시공방법
KR102585803B1 (ko) 2023-05-19 2023-10-06 주식회사 닥터매직 Urs 공법을 이용한 월플렉스 가구장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126A (ko) * 2020-03-12 2021-09-27 주진우 사이드도어가 구비된 붙박이장
KR102482111B1 (ko) 2021-12-10 2022-12-29 성종민 Urs공법을 이용한 빌트인 냉장고용 가구장 시공방법
KR102493556B1 (ko) 2022-01-18 2023-02-06 성종민 냉장고도어 연동형 칸막이 마감재를 갖는 빌트인 냉장고장 시공방법
KR102585803B1 (ko) 2023-05-19 2023-10-06 주식회사 닥터매직 Urs 공법을 이용한 월플렉스 가구장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582B2 (en) Slide rail stopper having anti-opening and self-closing functions
JP5571051B2 (ja) 引き込み機構
EP3023721B1 (en) Refrigerator
KR100571378B1 (ko) 힌지
KR101620399B1 (ko) 냉장고
KR20060011700A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가구장
KR20190119784A (ko)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RU2407962C2 (ru) Корпус 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CN211081433U (zh) 二段力缓冲铰链和柜体组件
CN217743622U (zh) 滑动装置
EP1684039B1 (en) Refrigerated cabinet with an apparatus for keeping the door ajar
KR101035517B1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작동구조
KR100607678B1 (ko) 냉장고
KR101733631B1 (ko) 가구용 가스 실린더 댐퍼
KR100569513B1 (ko) 디브이디 플레이어의 프론트 패널 도어 구조
CN218846632U (zh) 抽屉组件及冰箱
KR20060015156A (ko) 냉장고용 홈바개폐장치
KR101029124B1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KR20090005752U (ko) 힌지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390088Y1 (ko) 힌지 움직임 방지 리브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힌지조립체
KR200363764Y1 (ko) 커버 개폐용 힌지장치
KR200346385Y1 (ko) 가구의 도어 및 서랍 완충구조
KR100389439B1 (ko) 냉장고용 힌지조립체
KR200388246Y1 (ko) 미닫이 창호의 완충장치
KR100598793B1 (ko) 냉장고의 홈바도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