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645A - 약제 혼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약제 혼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645A
KR20060011645A KR20040060577A KR20040060577A KR20060011645A KR 20060011645 A KR20060011645 A KR 20060011645A KR 20040060577 A KR20040060577 A KR 20040060577A KR 20040060577 A KR20040060577 A KR 20040060577A KR 20060011645 A KR20060011645 A KR 20060011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l
plunger
fastening groove
mixing assembly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6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2004006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1645A/ko
Priority to PCT/KR2005/002436 priority patent/WO2006011751A1/en
Publication of KR2006001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3Piercing means having two piercing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65Connecting means having aligning and guid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성분과의 장기간 혼합된 상태에서는 불안정한 약제를 1 회 주사를 위한 투여 또는 일정기간의 연속적인 투여를 위한 사용 직전에 다른 약제, 용매 등과 혼합할 수 있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로서, 약제 혼합부재, 바늘, 스프링, 플런저 및 바이얼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약제 혼합 어셈블리는 간단한 구조와 적은 수의 부품으로 인해 제작비가 저렴하고 사용수칙이 간단하며, 약제의 혼합시 바이얼의 후면을 통해 혼합할 수 있으므로 혼합된 약제의 주사를 위해 주사용 바늘이 관통하는 주입구의 마개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일정기간 연속적인 투여가 요구되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혼합하고 혼합 약제를 멸균적으로 환자에게 투여하고자 할 때 더욱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약제 혼합 어셈블리 {Drugs Mixing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분리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들과 약병 및 바이얼이 모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약제 혼합부재의 수직 단면도, 부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플런저의 수직 단면도, 좌우측 부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의 바이얼 지지부재의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바이얼 지지부재에 장착된 바이얼을 분리하는 단계도이다;
도 7은 바이얼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1의 약제 혼합 어셈블리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조립 방식을 도시한 조립 단계도이다;
도 9a 내지 9g는 도 1의 약제 혼합 어셈블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단계도들이다;
도 10은 도 1의 약제 혼합 어셈블리에서 약제 혼합부재의 플런저 결합부와 플런저의 하단 결합부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약제 혼합 어셈블리 200: 약제 혼합부재
300: 스프링 400: 바늘
500: 플런저 600: 바이얼 지지부재
700: 약병 800: 바이얼
본 발명은 약제 혼합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성분과의 장기간 혼합된 상태에서는 불안정한 약제를 1 회 주사를 투여 또는 일정기간의 연속적인 투여를 위한 사용 직전에 다른 약제, 용매 등과 혼합할 수 있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약제들은 일반적으로 부형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 조성물 상태로 사용되며, 약제의 특성에 따라 이러한 조성물은 고상, 현탁 또는 유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둘 또는 그 이상의 약제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많은 약제들은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다른 종류의 약제, 용매, 현탁제, 유화제, 부형제 등과 혼합된 상태로 사용된다.
그런데, 일부 약제의 경우는 이러한 혼합 상태에서 장기간의 유지될 때 불안정하여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인간 성 장 호르몬인 유트로핀(유트로핀 161U)은 주사액의 형태로 환자에게 투여되는데, 그러한 주사액의 제조를 위해 m-크레졸과 같은 용매에 활성 단백질을 혼합(정확하게는 현탁)하여 장기간 지속시키면, 상기 활성 단백질이 분해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1 회의 주사를 위한 투여 또는 일정한 기간의 연속적인 투여를 위한 사용 직전에 이들을 혼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혼합작업은 약제의 특성상 멸균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실행되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도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WO 97/25015에는 활성 성분을 담고 있는 바이얼에 다른 바이얼(bottomless)의 액체 성분을 혼합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는 매우 많은 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제조비가 높고 사용자의 사용수칙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특히, 환자에게 미량의 약제를 일정한 기간 동안 연속으로 투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유발한다. 다시 말하면, 그러한 약제 혼합 디바이스에서는 혼합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굵은 내경의 바늘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반면에, 최종적으로 얻어진 바이얼 내의 혼합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하여 일정한 미량씩 투여하는데 사용되는 주사기(또는 특정한 장치)는 매우 작은 내경의 바늘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약제 혼합 과정에서 바이얼의 마개(통상은 고무 마개)가 굵은 바늘에 한번 관통된 상태에서 다시 주사용 가는 바늘에 의해 관통될 때에는, 탄력적인 마개의 물성에도 불구하고 용해 계속적인 사용시 무균 밀봉 상태를 유지하기 곤란하게 된다. 더욱이, 일정기간 연속적인 투여를 위해 주사용 가는 바늘에 의해 연속적으로 관통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커진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와 적은 수의 부품으로 인해 제작비가 저렴하고 사용수칙이 간단하며, 특히, 일정기간 연속적인 투여가 요구되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혼합하고 혼합 약제를 멸균적으로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 혼합부재, 바늘, 스프링, 플런저 및 바이얼 지지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약제의 혼합시 짧고 굵은 바늘을 사용해 바이얼의 후면을 통해 약제의 혼합을 이룸으로써, 혼합된 약제의 주사를 위해 주사용 바늘이 관통하는 주입구의 마개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고 약제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어셈블리는,
약병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약병 가이드부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플런저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약병 가이드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캐뉼러(cannual) 와 상기 플런저 결합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바늘 고정대가 서로 대면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차단부가 약병 가이드부와 플런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런저 결합부의 일 측면에는 플런저의 제 1 체결구가 결합되어 상하로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는 제 1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대응 측면에는 플런저의 제 2 체결구가 결합되어 상하로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는 제 2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약제 혼합부재;
원통형의 가느다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의 상단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본체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 하단 결합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단 결합부에는 상기 약제 혼합부재와 결합시 그것의 제 1 체결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 1 체결구와 제 2 체결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 2 체결구가 서로 대면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하기 스프링을 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 결합부로부터 만입되어 있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
상기 약병 가이드의 바늘 고정부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날카로운 상단부는 상기 플런저의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어서, 전진시켰을 때 상단부가 상기 플런저의 상단 결합부를 지나 돌출되는 바늘;
상기 약제 혼합 부재의 바늘 고정부와 상기 플런저의 만입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바늘에 탄력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비사용시에는 분리되어 있다가 사용시 결합되는 독립 부재로서, 측면은 원기둥형의 바이얼을 측면 방향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봉되어 있고, 한쪽 단부는 상기 플런저의 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봉되어 있으며, 반대쪽 단부는 밀폐되어 있는 바이얼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 혼합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병 가이드에 장착될 수 있는 약병(bottle)은, 일반적으로 주사액 약병과 같이 하단이 밀봉되어 있고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상단 주입구가 탄력적인 소재(예를 들어, 고무)의 마개로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 마개와 병의 주입구를 금속 캡으로 일체화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약병은 그것의 주입구가 약병 가이드부의 개봉된 단부로 향하도록 삽입된다.
본 발명의 약제 혼합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이얼 지지부재에 장착될 수 있는 바이얼(vial)은, 약제가 충진된 상태에서 하단이 탄력적인 소재(예를 들어, 고무)의 피스톤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은 힘의 인가시 바이얼의 원통형 내면을 따라 움직이며, 상단 주입구가 탄력적인 소재(예를 들어, 고무)의 마개로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 마개와 주입구를 금속 캡으로 일체화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바이얼의 구조는, 예를 들어, 영국 Owen Mumford GmbH 사의 약물 주입 장치인 Autopen(상표)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바이얼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바이얼을 바이얼 지지부재에 장착할 때에는, 바이얼의 하단(피스톤)이 지지부재의 개봉 단부쪽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혼합하려는 약제와 대응 물질은 약병과 바이얼 중의 어느 곳에 각각 담겨져 있을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바이얼로 옮겨진다. 상기 대응 물질은 상기 약제와 혼합되어 목적하는 약제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또다른 약제, 용매, 용액(현탁액, 유화액 등을 포함)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전에, 약병에 담겨 있는 물질(이하, "제 1 물질"이라 함)은 고상의 물질이고, 바이얼에 담겨 있는 물질(이하, "제 2 물질"이라 함)은 액상의 물질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물질은 유트로핀이고 제 2 물질은 m-클레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약병의 병목이 삽입되었을 때 안정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약병 가이드부의 대응 내면에 미세한 환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런저의 상기 제 2 체결구의 위쪽에는 플런저 결합부의 제 2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런저 결합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다소 큰 크기의 보조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 결합부의 상기 제 2 체결홈의 아래쪽에는 그것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보조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약제 혼합을 위한 어셈블리의 작동시, 바늘이 바이얼의 피스톤을 관통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 2 체결홈에 위치하던 제 2 체결구를 더욱 후퇴하여 상기 보조 체결홈에 결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 2 체결구를 후퇴시키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보조 체결구를 손톱 등으로 눌러 보조 체결홈으로부터 제 2 체결구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이얼 지지부재의 상기 개봉된 단부에는 플런저 본체의 외경보다는 크고 바이얼의 피스톤의 외경보다 작은 구멍이 천공되어 있음으로써 개봉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이얼 지지부재의 상기 밀폐된 단부는 잡기 편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 기 지지부재의 본체는 손으로 견고하게 잡을 수 있도록 그것의 일부가 굴곡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분리 상태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들은 단면도 또는 부분 단면도로서 표시하였다. 약제 혼합 어셈블리(100)는, 실선 화살표를 따라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약제 혼합부재(200), 바늘(300), 스프링(400) 및 플런저(500)와, 사용시 플런저(500)와 연결되는 바이얼 지지부재(600)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시, 약병(700)은 약제 혼합부재(200)에 삽입되고, 바이얼(800)은 바이얼 지지부재(600)에 장착된다. 도 2에는 이들 구성요소들과 약병(700) 및 바이얼(800)이 모두 결합된 상태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의 약제 혼합부재(200)의 수직 단면도, 부분 양측면도 및 저면도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약제 혼합부재(200)는 전체적으로 하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고, 중간에 캐뉼러(210)와 바늘 고정대(220)가 대면하여 형성되어 있는 차단부(230)를 포함하고 있다. 캐뉼러(210)와 바늘 고정대(220)는 관통로(240)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차단부(230)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약병 가이드부(250)는 하단이 개봉되어 있고 전 체적으로 약병(도시하지 않음)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약병(도 1의 700)의 병목(neck)이 삽입되었을 때 안정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약병 가이드부(250)의 대응 내면에 미세한 환상 돌기(25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런저 결합부(260)의 일 측면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플런저의 제 1 체결구(540)가 결합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1 체결홈(262)이 형성되어 있고, 그것의 대응 측면에는 플런저의 제 2 체결구(550)가 결합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2 체결홈(264)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체결홈(264)은 제 1 체결홈(262)과 마찬가지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체결홈(264)의 아래에는 그것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보조 체결홈(26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 체결홈(268)은, 추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약제 혼합을 위한 어셈블리(100)의 작동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바늘이 바이얼의 피스톤을 관통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제 2 체결홈(264)에 위치하던 제 2 체결구(550)가 더욱 후퇴하여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홈이다. 또한, 제 2 체결홈(264)의 하단은 양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홈 연장부(266)를 포함하고 있어서, 추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약제 혼합을 위한 어셈블리(100)의 작동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제 2 체결구(264)를 후퇴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보조 체결구(도 4의 552)를 손톱 등으로 누르기 편리하다.
도 4에는 플런저(500)의 수직 단면도, 좌우측 부분 측면도 및 저면도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런저(500)는 원통형의 가느다란 본체(510),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 결합부(520), 및 원통형의 하단 결합부(530)로 이루 어져 있다. 상단 결합부(52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시 바이얼(800)의 피스톤과 결합되는데, 피스톤에는 상단 결합부(520)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암나사 구조의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510)에는 스프링(도 1의 300)을 수령하기 위한 만입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하단 결합부(5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제 혼합부재(200)의 플런저 결합부(26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그것의 외면 직경은 플런저 결합부(260)의 내면 직경에 상응한다. 하단 결합부(530)의 일 측면에는 제 1 체결구(540)가 형성되어 있고, 대응 측면에는 제 2 체결구(5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결구들(540, 550)은 하단 결합부(530)에 탄력적으로 연결될 있도록 양쪽 측면들이 하단 결합부(53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떨어져 있다. 또한, 제 2 체결구(550)의 위쪽에는 플런저 결합부의 제 2 체결홈(264)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런저 결합부(26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다소 큰 크기의 보조 체결구(55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바이얼 지지부재(600)의 평면도 및 수직 단면도가 함께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그것에 장착된 바이얼(800)을 분리하는 과정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바이얼 지지부재(600)는 바이얼(800)을 측면 방향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쪽 측면(610)이 전면 개방되어 있고, 장착된 바이얼(800)을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대응 측면(620)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측면(620)의 상부와 하부에는 두 개의 개방구(622, 6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시 플런저(도 4의 500)의 본체(도 4의 510)가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한쪽 단부에는, 플런저 본체(510)의 외경보다는 크고 바이얼(800)의 피스톤(820)의 외경보다 작은 구멍(530)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플런저(500)의 상단 결합부(도 4의 520)가 바이얼(800)의 피스톤(8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런저(500)를 바이얼 지지부재(600)로부터 잡아 당겨도, 피스톤(820)이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반대쪽 단부는 밀폐되어 있고, 그것의 양단은 잡기 편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640)를 형성하고 있다. 바이얼(800)은 개방된 측면(610)을 통해 지지부재(600)에 장착되고, 개방구(624)를 통해 손가락으로 눌러 분리하거나 및/또는 개방구(622)의 대응 측면을 도 6에서와 같이 눌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600)의 본체는 손으로 견고하게 잡을 수 있도록 그것의 일부(650)가 굴곡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7에는 바이얼(8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바이얼(800)은 물질(900)이 충진된 상태에서 하단이 탄력적인 소재(예를 들어, 고무)의 피스톤(820)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피스톤(820)은 힘의 인가시 바이얼(800)의 원통형 본체(830)의 내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단 주입구(840)는 고무와 같은 탄력적인 소재의 마개(850)로 밀봉되어 있으며 마개(850)와 주입구(840)를 금속 캡(860)으로 일체화시켜 헤드부(810)를 구성하고 있다. 물질(900)은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물질이고, 예를 들어, 유트로핀을 분산시킬 수 있는 m-클레졸이다. 추후 도 9a 내지 9g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약제 혼합을 수행하기 위하여 바늘(도 2의 300)은 피스톤(820)을 관통하여 물질(900)을 뽑아내고 약병(700)에서 혼합된 약제 혼합물이 다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주입구(840)의 마개(850)가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Autopen(상표)과 같은 특수한 주사 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지 않는다.
도 8에는 도 1의 약제 혼합 어셈블리(100)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약제 혼합부재(200)에 바늘(300), 스프링(400) 및 플런저(500)를 결합하고, 이를 바이얼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바이얼(도 7의 80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7과 8을 참조하면, 플런저(500)를 바이얼(800)에 결합할 때에는, 플런저(500)를 회전시켜 상단 결합부(520)의 나사선이 바이얼 피스톤(820)의 후미의 만입부(822), 구체적으로는, 그것의 암나사선에 맞물리도록 결합한다. 그와 같은 과정에 의해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약제 혼합 어셈블리(100)의 수직 단면도가 앞서 설명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9a 내지 9g에는 약병(700)과 바이얼(800)에 담겨 있는 약제 물질들을 혼합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약병(700)에 담겨 있는 제 1 물질을 유트로핀으로 칭하고 바이얼(800)에 담겨 있는 제 2 물질을 m-클레졸로 칭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바이얼(800)이 장착된 바이얼 지지부재(600)를 포함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의 약제 혼합 어셈블리(100)에서, 약제 혼합부재(200)의 약병 가이드부(250)에 약병(700)을 삽입한다. 이러한 삽입 과정에서 캐뉼러(210)가 약병(700)의 마개(710)를 관통하게 되므로, 바늘(300)에 연결되어 있는 관통로(240)와 약병(700)의 내부는 연통되게 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플런저(500)를 손으로 잡고 고정한 상태에서 약병(700)을 밀 때, 약병(700)의 상승에 의해 바늘(300)의 상단부(310)는 플런저 상단 결합부(520)에 결합되어 있는 바이얼(800)의 피스톤(820)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들어가게 되며, 바늘(300)과 플런저(500)의 내부 사이에 위치한 스프링(400)은 압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플런저(500)의 하단 결합부(530)와 약제 혼합부재(200)의 플런저 결합부(260)의 작동 관계는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힘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체결홈(262)과 제 2 체결홈(264)의 상부에 머물러 있던 제 1 체결구(540)와 제 2 체결구(550)는 하강하여, 제 2 체결구(550)가 제 2 체결홈(264) 아래쪽의 보조 체결홈(268)에 결합되게 되며, 플런저(500)의 하강은 제 1 체결구(250)가 차단부(230)의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32)에 도달할 때 멈추게 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바늘(300)의 상단이 바이얼(800)의 피스톤(820)을 관통하고 있는 상태에서, 바이얼 지지부재(600)를 아래쪽으로 잡아 당기면, 피스톤(820)은 바이얼(800)의 내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바이얼(800)의 내부에 담겨있는 m-클레졸이 가압되어 바늘(300)의 관통로를 따라 약병(700)으로 유입되게 되어, 약병(700)에 담겨있던 유트로핀과 혼합된다. 그러한 과정이 완료되었을 때, 어셈블리 전체를 뒤집어 흔들어서 약병(700) 내부의 유트로핀과 m-클로졸을 고르게 혼합하여 유트로핀 분산액을 제조한다.
도 9d를 참조하면, 어셈블리(100) 전체가 뒤집혀 있는 상태에서 바이얼 지지부재(600)의 하단 손잡이(640)를 잡아당기면, 약병(700)에 혼합된 유트로핀 분산액이 다시 바늘(300)의 관통로를 따라 바이얼(800) 내부로 유입된다.
도 9e를 참조하면, 플런저 결합부(260)에 결합되어 있던 플런저(500)의 하단 결합부(530)의 체결 상태를 이완시킬 때, 피스톤(820)을 관통하고 있던 바늘(300) 의 상단이 피스톤(820)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상기 체결 상태의 이완 과정은 도 10을 참조할 때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는 바, 제 2 체결홈(26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플런저 하단 결합부(530)의 보조 체결구(552)를 누르면, 점선으로 표시되는 형상으로 변화되어 제 2 체결구(550)가 보조 체결홈(268)으로부터 이탈되고,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하단 결합부(530)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하던 하단 결합부(530)는 제 1 체결구(540)와 보조 체결구(552)가 각각 제 1 체결홈(262)과 제 2 체결홈(264)의 상단에 도달하였을 때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9e에서와 같이, 하단 결합부(530)와 플런저 결합부(260)의 체결 이완에도 불구하고, 플런저(500)는 약제 혼합부재(2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는 않는다.
도 9f 및 9g를 참조하면, 결합할 때의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플런저(500)를 회전시켜 바이얼(800)이 장착되어 있는 바이얼 지지부재(600)를 분리한다. 이때, 피스톤(820)이 바이얼(800)의 내벽을 따라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얼 지지부재(600)의 제 1 및 제 2 개방구(622, 624)를 통해 노출된 바이얼(800)을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플런저(500)를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트로핀 분산액을 담고 있는 바이얼(800)을 지지부재(6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 4b를 참조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 혼합 어셈블리의 구조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혼합 어셈블리는 간단한 구조와 적은 수의 부품으로 인해 제작비가 저렴하고 사용수칙이 간단하며, 약제의 혼합시 바이얼의 후면을 통해 약제를 혼합할 수 있으므로 혼합된 약제의 주사를 위해 주사용 바늘이 관통하는 주입구의 마개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아, 특히, 일정기간 연속적인 투여가 요구되는 약제를 안정적으로 혼합하고 혼합 약제를 멸균적으로 환자에게 투여하고자 할 때 더욱 바람직하다.

Claims (9)

  1. 약병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약병 가이드부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플런저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약병 가이드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캐뉼러(cannual)와 상기 플런저 결합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바늘 고정대가 서로 대면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차단부가 약병 가이드부와 플런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플런저 결합부의 일 측면에는 플런저의 제 1 체결구가 결합되어 상하로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는 제 1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대응 측면에는 플런저의 제 2 체결구가 결합되어 상하로 일정한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는 제 2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약제 혼합부재;
    원통형의 가느다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의 상단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본체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 하단 결합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단 결합부에는 상기 약제 혼합부재와 결합시 그것의 제 1 체결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 1 체결구와 제 2 체결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 2 체결구가 서로 대면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하기 스프링을 수령할 수 있도록 상기 하단 결합부로부터 만입되어 있는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
    상기 약병 가이드의 바늘 고정부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날카로운 상단부는 상기 플런저의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어서, 전진시켰을 때 상단부가 상 기 플런저의 상단 결합부를 지나 돌출되는 바늘;
    상기 약제 혼합 부재의 바늘 고정부와 상기 플런저의 만입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바늘에 탄력적인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비사용시에는 분리되어 있다가 사용시 결합되는 독립 부재로서, 원기둥형의 바이얼을 측면 방향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봉되어 있고, 한쪽 단부는 상기 플런저의 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봉되어 있으며, 반대쪽 단부는 밀폐되어 있는 바이얼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약병에 담겨 있는 제 1 물질과 바이얼에 담겨 있는 제 2 물질을 혼합할 수 있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고상의 물질이고, 상기 제 2 물질은 액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유트로핀이고, 상기 제 2 물질은 m-클레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병이 약병 가이드부에 삽입되었을 때, 그것의 병목이 안정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약병 가이드부의 대응 내면에 미세한 환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플런저의 상기 제 2 체결구의 위쪽에는 플런저 결합부의 제 2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런저 결합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다소 큰 크기의 보조 체결구가 더 형성되어 있고, 플런저 결합부의 상기 제 2 체결홈의 아래쪽에는 그것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보조 체결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홈의 하단은 양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홈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얼 지지부재의 상기 개봉된 단부는 플런저 본체의 외경보다는 크고 바이얼의 피스톤의 외경보다 작은 구멍에 의해 개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얼 지지부재의 상기 밀폐된 단부는 잡기 편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본체는 손으로 견고하게 잡을 수 있도록 그것의 일부가 굴곡진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혼합 어셈블리.
KR20040060577A 2004-07-30 2004-07-30 약제 혼합 어셈블리 KR20060011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0577A KR20060011645A (ko) 2004-07-30 2004-07-30 약제 혼합 어셈블리
PCT/KR2005/002436 WO2006011751A1 (en) 2004-07-30 2005-07-27 Pharmaceutical mixing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60577A KR20060011645A (ko) 2004-07-30 2004-07-30 약제 혼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645A true KR20060011645A (ko) 2006-02-03

Family

ID=3578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60577A KR20060011645A (ko) 2004-07-30 2004-07-30 약제 혼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11645A (ko)
WO (1) WO20060117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2867A (en) * 1971-06-02 1975-03-25 Upjohn Co Wet-dry additive assembly
US4060082A (en) * 1976-08-16 1977-11-29 Mpl, Inc. Dual-ingredient medication dispenser
US5807323A (en) * 1992-08-13 1998-09-15 Science Incorporated Mixing and delivery syringe assembly
JP4187790B2 (ja) * 1996-01-11 2008-11-26 デュオジェク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薬剤ガラス瓶に詰められた薬剤のための配達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1751A1 (en)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99800B2 (ja) 注入液容器および個別注射バイアル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一体型伸縮式バイアルアダプタを備えた液体移動装置
JP6502412B2 (ja) 連結容易な移送システム
AU2004206779B2 (en) Pharmaceutical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7678333B2 (en) Fluid transfer assembly for pharmaceutical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JP3803933B2 (ja) 予充填注射器薬物送出システム
US6558365B2 (en) Fluid transfer device
US6379340B1 (en) Fluid control device
JP5788399B2 (ja) インターバイアル移送システム
US20080300536A1 (en) Drug Mixing and Delivery Device
JP6271549B2 (ja) 再構成装置
US4410323A (en) Predosed disposable syringe
JPH044901B2 (ko)
JPH01131671A (ja) 注射器並びに注射器の組立て方法
KR20060011645A (ko) 약제 혼합 어셈블리
JP2023501366A (ja) 薬物混合注射システム用アダプタ
US10736818B2 (en)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JPH04329955A (ja) 個別密封容器に収容した2種薬剤の無菌保持混合装置
WO2024141552A1 (en) Drug mixing system
WO2014012162A1 (en) Reconstitution device with tip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