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935A - 워터휠 모터 - Google Patents

워터휠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935A
KR20060008935A KR1020057020460A KR20057020460A KR20060008935A KR 20060008935 A KR20060008935 A KR 20060008935A KR 1020057020460 A KR1020057020460 A KR 1020057020460A KR 20057020460 A KR20057020460 A KR 20057020460A KR 20060008935 A KR20060008935 A KR 20060008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heel
paddle
axis
iso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블라디슬라브 크리지크
잔 마세크
Original Assignee
블라디슬라브 크리지크
잔 마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라디슬라브 크리지크, 잔 마세크 filed Critical 블라디슬라브 크리지크
Publication of KR2006000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00Engines of impulse type, i.e. turbines with jets of high-velocity liquid impinging on blades or like rotors, e.g. Pelton wheels;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00Engines of impulse type, i.e. turbines with jets of high-velocity liquid impinging on blades or like rotors, e.g. Pelton wheels;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1/02Buckets; Bucket-carrying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50/00Geometry
    • F05B2250/80Size or power range of the machines
    • F05B2250/82Micro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Hydraulic Motors (AREA)

Abstract

휠(5)의 전방에 위치한 출구 장치(1)와, 상기 휠(5)의 하부에 위치한 배수 장치(6)로 이루어지며, 상기 휠은 회전축(18) 상에서 회전가능하며, 등압 패들들(4)은 상기 휠에 고정되는 워터휠 모터를 개시한다. 상기 휠(5) 및 상기 등압 패들들(4)의 모든 지점들은 수평면(21)보다 위에 있거나 같은 높이에 있고, 상기 수평면(21)은 수평면(19)과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동시에 물을 포함하는 상기 배수 장치(6) 공간의 상부 수위를 제한하는 상기 수평면(19)과는 평행 상태에 있다. 상기 출구 장치(1)의 축(2)은 상기 등압 패들들(4)을 향하고 있고, 상기 휠(5)의 회전축(18)은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진 위치로 놓인다.
휠, 출구 장치, 배수 장치, 회전축, 등압 패들

Description

워터휠 모터{WATER WHEEL MOTOR}
본 발명은 흐르는 물의 수력 위치 에너지(potential energy)를, 다시 다른 형태 에너지로의 변환 가능성을 가진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이다.
물의 수력 위치 에너지를, 다시 다른 형태 에너지로의 변환 가능성을 가진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종류의 장비들이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 변환의 설계와 방법에 따라, 그것들은 워터휠과 워터 터빈으로 구분된다.
워터휠은 상부, 중간 및 하부 드라이브에 의해 작동된다. 상부 드라이브를 가진 워터휠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사용한다. 그것들은 상부 수위와 하부 수위 사이에서 회전하는 버킷(bucket)형이다. 상부 수위에서 나온 물이 버킷 속으로 들어가고 이 물의 중력에 의해 휠을 회전시킨다. 상부 드라이브를 구비한 워터휠의 작동 조건은 낙차가 3 내지 12 m, 유량(수류(水流)의 양)이 0.3 내지 1.0 m3/s 이다.
중간 및 하부 드라이브를 구비한 워터휠은 패들형이며, 그것들의 회전축은 하부 수위보다 위에 놓이며, 워터휠 패들은 물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취하는데, 그 것은 상부 수위에서 물을 받아 하부 흐름 속에 채워넣음으로써 생성된다. 중간 드라이브를 구비한 워터휠은 대략 워터휠 회전축의 높이에서 워터휠 패들 사이로 흐르는 물의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를 각각 부분적으로 사용한다. 이것들은 사게비엔(Sagebien), 주핑거(Zuppinger) 및 피카드(Piccard) 휠이라 부른다. 하부 드라이브를 구비한 워터휠은 워터휠 하부에서 접선 방향에서 워터휠 패들 사이로 흐르는 물의 운동 에너지만을 사용한다. 이런 타입의 대표적인 것이 폰셀릿 휠(Poncelet wheel)이다.
워터휠 패들은 편평하거나 워터휠 회전축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에서 볼 때, 약간 굽어 있다. 중간 및 하부 드라이브를 구비한 워터휠의 작동 조건은, 낙차 0.5 내지 4 m, 유량 0.5 내지 4.0 m3/s 이다. 모든 워터휠의 효율은 60 내지 70 % 이다. 워터휠의 장점은 단순한 설계구조와 저렴한 가격에 있다. 단점은 효율이 낮고 작동 조건의 범위가 좁다는 점이다. 저효율은 패들 형상 및 물에서의 웨딩(wading)에 의한 저항 때문이다. 작동 조건의 좁은 범위는 워터휠 크기와 수위 차이와의 관계에 기인한 것이다.
워터 터빈은 그것들이 사용하는 물 에너지에 따라 등압 및 과압(overpressure) 형으로 분류되고, 또한 수류의 방향에 따라 반경 방향, 축방향, 반경-축방향, 대각선 방향, 접선 방향, 경사 방향 및 이중(double) 플로우형으로 분류된다. 등압 터빈인 펠톤(Pelton) 및 뱅키(Banki) 터빈은 물의 운동 에너지를 사용한다.
펠톤 터빈은 접선형이다. 물은 그 단부에 노즐을 구비한 압력 파이프를 경유하여 공급되고, 여기서 물의 압력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고, 물의 흐름은 터빈 로터 외주면을 따라 접선 방향에서 공간 형상의 터빈 패들로 분출된다. 터빈 로터는 하부 수면보다 높은 위치의 대기 속에서 회전한다. 회전축은 수평 및 수직 방향 모두 가능하다. 작동 범위는 낙차 30 내지 900 m, 유량 0.02 내지 1.0 m3/s 이며 효율은 91% 까지 상승한다.
패들 휠을 지나는 이중 반경 방향 흐름을 가진 뱅키 터빈은 수평 회전축을 구비하고 있다. 휠 패들은 터빈휠 바로 위에 위치한 레귤레이션 플랩(regulation flap)에서 나오는 수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얻는다. 작동 범위는 낙차 1.5 내지 50 m, 유량 0.02 내지 1.5 m3/s 이고 효율은 85% 에 이른다.
대표적인 과수압 터빈으로는 캐프란(Kaplan) 터빈, 프란시스(Francisci) 터빈을 들 수 있으며, 그 변형으로는 프로펠러 또는 석션(suction) 터빈이 있다.
캐프란 터빈은 축방향 형이다. 작동 범위는 낙차 1.5 내지 75 m, 유량 0.2 내지 20 m3/s 이고 효율은 88 내지 95 %에 이른다.
프란시스 터빈은 반경-축방향 형이다. 작동 범위는 낙차 10 내지 400 m, 유량 0.05 내지 15 m3/s 이고 효율은 88 내지 95% 에 이른다.
워터 터빈의 장점은 작동 범위가 넓고 효율이 높다는 점이고, 단점은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점이다.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워터 터빈의 단점을 극복하고, 수류의 수력 포텐셜을 에너지화하기 위해 출구 장치, 배수 장치, 휠 및 휠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등압 패들로 이루어진 단순한 설계구조와 저렴한 가격의 워터휠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워터휠의 장점인 단순한 설계구조 및 저렴한 가격과 워터 터빈의 장점을 결합하였으며, 수류의 수력 포텐셜을 에너지화하기 위한 워터휠 모터는 출구 장치, 배수 장치, 휠 및 휠에 고정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등압 패들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된 등압 패들을 구비한 휠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배수 장치에 대한 위치에 있어서, 패들 상의 모든 지점은 그 높이가 수평면과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며, 이 수평면은 물을 담고 있는 배수 장치를 제한하는 수평면과는 높이가 동일하거나 보다 낮으며 동시에 이와 평행하다.
등압 패들을 구비한 휠의 회전축은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지게 놓여질 수 있다.
출구 장치는 등압 패들 휠과 관련한 그 축의 형상과 위치 덕분에 수력 위치 에너지에 의해 생성된 수류를 휠에 고정된 등압 패들로 안내한다.
등압 패들은 그것에 가해지는 수류로부터 운동 에너지를 취해, 그것에 가해지는 힘을 얻으며, 이 에너지를 휠 회전 운동의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등압 패들은, 그것들의 형상, 크기, 수류에 대한 위치, 방향, 궤적의 형상 및 수류에 대한 운동의 상대 속도에 의해 물의 운동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되는 효율을 결정한다.
휠의 설계는, 물의 운동 에너지로부터 등압 패들에 의해 얻어진 그것의 회전 운동 에너지를 다른 기술적 장비로의 전달도 가능하게 한다.
출구 장치에 의해 등압 휠 패들로 안내된 수류는 등압 휠 패들에 운동 에너지를 제공한 후, 수면 위로 떨어지며, 이 수면은 휠 아래에 위치하며 물을 담고 있는 배수 장치의 공간을 제한하는 수평면과 높이가 동일하거나 낮으며, 동시에 이 수평면과 평행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워터휠 모터의 기술적 해결 방안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입구 채널, 압력축, 및 수평 회전축을 구비한 워터휠 모터를 포함하는 소형 수력 발전소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입구 채널, 압력축, 및 수평 회전축을 구비한 워터휠 모터를 포함하는 소형 수력 발전소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입구 채널, 압력축, 및 수평 회전축을 구비한 워터휠 모터를 포함하는 소형 수력 발전소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스틸 댐퍼에 의해 끌어 올려진 수위를 이용하며, 수평 회전축을 구비한 4개의 독립적인 워터휠 모터를 구비하는 소형 수력 발전 설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수로 둑을 이용하며, 수직 회전축을 구비한 워터휠 모터를 포함하는 소형 수력 발전 설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끌어 올려진 둑을 이용하며, 수평 회전축을 구비한 워터휠 모터를 포함하는 소형 수력 발전 설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물막이 스틸 댐퍼 위로 넘쳐흐르는 물을 이용하며, 수평 회전축을 구비하는 워터힐 모터를 포함하는 소형 수력 발전 설비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은 낙차 2.8 m, 유량 0.125 내지 1.0 m3/s, 그리고 설치 용량 22 kW인 소규모 발전 범위의 소형 수력 발전소의 설계를 위하여 사용된바 있다. 도 2에서 이 장비는, 상부 수위(3) 입구 채널, 출구장비(1)를 조절하는 압력축(12), 출구장치(1)의 플로우터(floater) 조절기(11), 수평 회전축(18)을 구비한 휠(5)에 고정된 등압 패들들(4), 배수 장치(6), 마찰 전동장치(7), 발전기(8), 소규모 발전 설비의 전기부(9), 그리고 장비 지지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부 수위(3)를 위한 입구 채널은 물을 압력축(12)으로 안내한다. 여기서 물은 수주(水柱) 정수압(靜水壓)의 작용에 의해, 출구장치(1)의 축(2) 방향으로 출구장치(1)를 경유하여 휠(5)의 등압 패들들(4)로 분출된다. 여기서 등압 패들들(4)은 장비 프레임(10)에서 수평 회전축(18)에 끼워진 휠(5)에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회전력은 휠(5)로부터 마찰 전동장치(7)를 경유하여 발전기(8)로 전달된다. 패들들(4)에서 나온 물은 수면 위로 떨어지며, 여기서 수면은 수평면(21)과는 동일하고, 수평면(19)과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동시에 배수 장치(6)를 포함하는 물의 상부 수위를 제한하는 수평면(19)과는 평행 상태에 있다. 이 소규모 발전소의 전기부(9)는 발전기(8)를 공공 전기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 파라미터들을 보유하고 있다. 플로우터 조절기(11)는 출구 장치(1)를 조절함으로써, 입구 채널에서의 물 공급과는 상관없이 일정한 상부 수위(3)를 유지한다.
도 3에서, 본 발명은 낙차 2.0 m, 유량 0.25 내지 2.0 m3/s, 그리고 설치 용량 30 kW인 소규모 발전 영역의 소형 수력 발전 설비의 설계를 위하여 사용된 바 있다. 도 3에서, 이 장비는 상부 수위(3) 입구 채널, 출구 장치를 조절하는 압력축(12), 광전식 수위 센서를 구비한 출구 장치(1)의 조절기(11), 수직 회전축(18)을 구비한 휠(5)에 고정된 등압 패들들(4), 마찰 전동장치(7), 발전기(8), 소규모 전력 설비의 전기부(9) 그리고 장비 지지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부 수위(3)를 위한 입구 채널은 물을 압력축(12)으로 안내하며, 여기서 물은 수주 정수압 작용에 의하여, 출구장치(1)의 축(2) 방향으로 출구장치(1)를 경유하여 휠(5)의 등압 패들들(4)로 분출된다. 여기서 등압 패들들(4)은 장비 프레임(10)에서 수직 회전축(18)에 끼워진 휠(5)에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회전력은 휠(5)로부터 기어 박스(7)를 경유하여 발전기(8)로 전달된다. 패들들(4)에서 나온 물은 수면 위로 떨어지며, 여기서 수면은 수평면(21)과는 동일하고, 수평면(19)과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동시에 배수 장치(6)를 포함하는 물의 상부 수위를 제한하는 수평면(19)과는 평행 상태에 있다. 이 소규모 발전 설비의 전기부 (9)는 발전기(8)를 공공 전기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 파라미터들을 보유하고 있다. 광전식 수위 센서를 구비한 출구 장치(1)의 조절기(11)는 출구 장치(1)를 조절함으로써, 입구 채널에서의 물 공급과는 상관없이 일정한 상부 수위(3)를 유지한다.
도 4에서 본 발명은, 낙차 14.0 m, 유량 0.035 내지 0.28 m3/s, 그리고 설치 용량 37 kW인 소규모 발전 영역의 소형 수력 발전 설비의 설계를 위하여 사용된 바 있다. 휠의 회전이 발전기의 소요 회전과 동일함으로써 속도 변화가 요구되는 휠에서, 출구에서 형성된 빠른 유속에 대해 설계가 되어 있다. 도 4에서, 이 장비는 상부 수위(3) 입구 채널, 워터 슬립(water slip)(15), 출구 장치(1), 수평 회전축(18)을 구비한 휠(5)에 고정된 등압 패들들(4), 배수 장치(6), 발전기(8), 소규모 전력 설비의 전기부(9), 채널의 지지 구조물(13), 그리고 장비 지지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부 수위(3)를 위한 입구 채널은 물을 워터 슬립(15)으로 안내하며, 여기서 물의 위치 에너지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고, 이 에너지에 의해 물이 출구 장치(1)의 축(2)의 방향으로 출구 장치(1)를 경유하여 등압 패들들(4)로 분출된다. 그리고 이 등압 패들들(4)은 장비 프레임(10)에서 수평 회전축(18)에 끼워진 휠(5)에 회전력을 생성시킨다. 이 회전력은 휠(5)로부터 발전기(8)로 직접 전달된다. 패들들(4)에서 나온 물은 수면 위로 떨어지며, 여기서 수면은 수평면(21)과는 동일하고, 수평면(19)과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동 시에 배수 장치(6)를 포함하는 물의 상부 수위를 제한하는 수평면(19)과는 평행 상태에 있다. 이 소규모 발전 설비의 전기부(9)는 발전기(8)를 공공 전기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 파라미터들을 보유하고 있다.
도 5에서, 본 발명은 낙차 4.2 m, 유량 0.375 내지 12.0 m3/s, 그리고 설치 용량 380 kW인 소형 수력 발전소의 설계를 위하여 사용된 바 있다. 도 5에서, 상기발전소는 상부 수위(3)를 위한 플로우 히빙 댐(flow heaving dam), 4개의 출구 장치(1), 광전식 수위 센서를 구비한 출구 장치 조절기(11), 고정된 등압 패들들(4) 및 수평 회전축(18)을 구비한 4개의 휠(5), 출구 장치(6), 4개의 마찰 전동 장치(7a), 4개의 기어 박스(7b), 4개의 발전기(8), 소규모 발전 설비 및 장비 지지 프레임(10)의 전기부(9)를 포함한다.
상부 수위(3)를 끌어 올림(heaving)으로써 생성된 수주의 정수압에 의해 물은 출구장치(1)의 축(2) 방향으로 출구장치(1)를 경유하여 휠(5)의 등압 패들들(4)로 분출된다. 여기서 등압 패들들(4)은 장비 프레임(10)에서 수평 회전축(18)에 끼워진 휠(5)에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회전력은 휠(5)로부터 마찰 전동 장치(7a) 및 기어 박스(7)를 경유하여 발전기(8)로 전달된다. 패들들(4)에서 나온 물은 수면 위로 떨어지며, 여기서 수면은 수평면(21)과는 동일하고, 수평면(19)과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동시에 배수 장치(6)를 포함하는 물의 상부 수위를 제한하는 수평면(19)과는 평행 상태에 있다. 이 소규모 발전 설비의 전기부(9)는 발전기(8)를 공공 전기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 파라미터들을 보유하고 있다. 광전식 수위 센서를 구비한 출구 장치(1)의 조절기(11)는 출구 장치(1)를 조절함으로써, 플로우 히빙 댐의 물 공급과는 상관없이 일정한 상부 수위(3)를 유지한다.
도 6에서, 본 발명은 낙차 3.1 m, 유량 0.06 내지 0.5 m3/s, 그리고 설치 용량 11 kW인 둑(weir)을 이용한 소형 수력 발전소의 설계를 위하여 사용된 바 있다. 도 6에서, 상기 발전소는 입구 워터 슬립(15), 출구 장치(1), 수직 회전축(18)을 구비한 휠(5)에 고정된 등압 패들들(4), 배수 장치(6), 기어 박스(7), 발전기(8), 소규모 발전 설비 및 장비 지지 프레임(10)의 전기부(9)를 포함한다.
둑은 상부 수위(3)를 끌어 올리며 이 물은 둑의 상단을 넘쳐 흐르게 되고, 여기서 워터 슬립(15)에서 낙하하는 물의 위치 에너지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 에너지가, 물이 출구 장치(1)의 축(2)의 방향으로 출구 장치(1)를 경유하여 등압 패들들(4)로 분출되게 한다. 그리고 이 등압 패들들(4)은 장비 프레임(10)에서 수직 회전축(18)에 끼워진 휠(5)에 회전력을 생성시킨다. 이 회전력은 휠(5)로부터 기어 박스(7)를 경유하여 발전기(8)로 전달된다. 물은 패들들(4)에서 수면 위로 떨어지며, 여기서 수면은 수평면(21)과는 동일하며, 수평면(19)과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동시에 배수 장치(6)를 포함하는 물의 상부 수위를 제한하는 수평면(19)과는 평행 상태에 있다. 이 소규모 발전 설비의 전기부(9)는 발전기(8)를 공공 전기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 파라미터들을 보유하고 있다.
도 7에서, 본 발명은 낙차 2.2 m, 유량 2.2 m3/s, 그리고 토출 높이 30 m, 설치 용량 100 l/s 인 조건을 갖춘 수류에 대한 관개(灌漑) 장비의 설계를 위하여 사용된 바 있다. 도 7에서, 이 장비는 압력축(12), 수동식 조절기(11)를 구비한 출구 장치(1), 수평 회전축(18)을 구비한 휠(5)에 고정된 등압 패들들(4), 배수 장치(6), 기어 박스(7)를 구비한 원심 펌프(16), 스트레이너(17)를 구비한 흡입 파이프(17), 토출 파이프(14) 및 장비 지지 프레임(10)을 포함하고 있다.
수류는 압력축(12)과 연결된 상부 수위(3)를 끌어 올리며, 여기서 물은 수주 정수압 작용에 의해 출구 장치(1)의 축(2)의 방향으로 출구 장치(1)를 경유하여 등압 패들들(4)로 분출되게 한다. 그리고 이 등압 패들들(4)은 장비 프레임(10)에서 수평 회전축(18)에 끼워진 휠(5)에 회전력을 생성시킨다. 이 회전력은 휠(5)로부터 기어 박스(7)를 경유하여 원심 펌프(16)로 전달되며, 이 원심 펌프는 스트레이너(17)를 구비한 흡입 파이프를 경유하여 끌어 올려진 수위 공간으로부터 물을 흡입하고, 그 물을 토출 파이프를 경유하여 농업 관개 시스템으로 배출한다. 물은 패들들(4)에서 수면 위로 떨어지며, 여기서 수면은 수평면(21)과는 동일하고, 수평면(19)과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동시에 배수 장치(6)를 포함하는 물의 상부 수위를 제한하는 수평면(19)과는 평행 상태에 있다. 장비의 출력은 출구 장치(1)의 수동식 조절기(11)에 의해 제어된다.
도 8에서 본 발명은 낙차 3.0 m, 유량 0.125 내지 1.0m3/s, 그리고 토출 높이 30 m, 설치 용량 22.5 kW의 조건을 갖춘 소규모 수력 발전소의 설계에 사용된 바 있다. 도 8의 장비는 출구 장치(1)로서의 역할을 하는 수류 가이드(1), 수평 회전축(18)을 구비한 휠(5)에 고정된 등압 패들들(4), 배수 장치(6), 벨트식 전동 장치(7), 발전기(8), 소규모 발전 설비 및 이동식 장비 지지 프레임(10)의 전기부(9)로 구성되어 있다.
둑은 상부 수위(3)를 끌어 올리며 이 물은 둑의 상단을 넘쳐 흐르게 되고, 여기서 워터 슬립(15)에서 낙하하는 물의 위치 에너지는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이 에너지가, 물이 출구 장치(1)의 축(2)의 방향으로 출구 장치(1)의 역할을 하는 수류 가이드를 경유하여 휠(5)의 등압 패들들(4)로 분출되게 한다. 그리고 이 등압 패들들(4)은 이동식 장비 지지 프레임(10)에서 수평 회전축(18)에 끼워진 휠(5)에 회전력을 생성시킨다. 이 회전력은 휠(5)로부터 벨트 전동 장치(7)를 경유하여 발전기(8)로 전달된다. 물은 패들들(4)에서 수면 위로 떨어지며, 이 수면은 수평면(21)과는 동일하고, 수평면(19)과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동시에 배수 장치(6)를 포함하는 물의 상부 수위를 제한하는 수평면(19)과는 평행 상태에 있다. 이 소규모 발전 설비의 전기부(9)는 발전기(8)를 공공 전기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 파라미터들을 보유하고 있다. 이동식 장비 지지 프레임(10)의 댐퍼와 기계적 연결은 조절이 가능하여 낙하하는 물은 댐퍼의 위치에 상관없이 출구 장치(1)의 역할을 하는 수류 가이드 내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워터휠 모터는 수력의 위치 에너지가 요구되는 작동 조건의 범위 내에서 이용 가능한 현장에서 장비의 기계적 구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휠의 전방에 위치한 출구 장치와 상기 휠의 하부에 위치한 배수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휠은 회전축 상에서 회전가능하며, 패들들은 상기 휠에 고정되는 워터힐 모터에 있어서, 상기 패들들(4)이 등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터휠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5) 및 상기 등압 패들들(4)의 모든 지점들은 수평면(21)보다 위에 있거나 같은 높이에 있고, 상기 수평면(21)은 수평면(19)과는 동일하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으며, 동시에 물을 담고 있는 상기 배수 장치(6) 공간의 상부 수위를 제한하는 상기 수평면(19)과는 평행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휠 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장치(1)의 축(2)은 상기 등압 패들들(4)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휠 모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5)의 회전축(18)은 수직, 수평 또는 경사진 위치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휠 모터.
KR1020057020460A 2003-04-30 2004-04-30 워터휠 모터 KR20060008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KPUV103-2003 2003-04-30
SK1032003 2003-04-30
SKPUV138-2003 2003-06-19
SK1382003 2003-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935A true KR20060008935A (ko) 2006-01-27

Family

ID=33422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460A KR20060008935A (ko) 2003-04-30 2004-04-30 워터휠 모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629192A1 (ko)
JP (1) JP2006525469A (ko)
KR (1) KR20060008935A (ko)
AU (1) AU2004235278A1 (ko)
BR (1) BRPI0409800A (ko)
CA (1) CA2526925A1 (ko)
EA (1) EA008918B1 (ko)
MX (1) MXPA05011551A (ko)
NO (1) NO20055628L (ko)
OA (1) OA13305A (ko)
RS (1) RS20050817A (ko)
WO (1) WO2004097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11362A (en) * 2006-08-22 2008-03-01 zheng-shi Liu Controllable driving system and method
KR200451501Y1 (ko) * 2008-07-28 2010-12-17 하태관 중력 발전장치
SK592012A3 (sk) * 2012-08-14 2014-03-04 Alexander Vejčík Horizontálna vodná turbína
CO6700144A1 (es) * 2013-06-07 2013-06-28 Univ Del Valle Máquina hidraulica para bajas caidas
WO2023015327A1 (de) * 2021-08-09 2023-02-16 Staudt Friedrich Wehranl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593C (de) * 1922-10-16 Fritz Ossberger Freistrahlturbine
FR2562955A1 (fr) * 1984-04-16 1985-10-18 Radisa Sa Injecteur pour turbine hydraulique
US4948985A (en) * 1988-12-02 1990-08-14 Adams Nelson P External penst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09800A (pt) 2006-05-09
NO20055628L (no) 2006-01-12
EA008918B1 (ru) 2007-08-31
NO20055628D0 (no) 2005-11-29
MXPA05011551A (es) 2006-05-04
WO2004097211A8 (de) 2004-12-29
CA2526925A1 (en) 2004-11-11
AU2004235278A1 (en) 2004-11-11
WO2004097211A1 (de) 2004-11-11
WO2004097211A9 (de) 2005-04-28
OA13305A (en) 2007-04-13
EP1629192A1 (de) 2006-03-01
RS20050817A (en) 2008-11-28
EA200501709A1 (ru) 2006-06-30
JP2006525469A (ja)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0829A1 (en) Modular Hydraulic or Hydroelectric Machine
US7986054B2 (en) Magnus force fluid flow energy harvester
US20100301609A1 (en) River-Flow Electricity Generation
MX2008008368A (es) Dispositivo y sistema para producir energia hidraulica regenerativa y renovable.
KR20090085295A (ko) 개방형 수력발전기
CA3067300C (en) Waterwheel
KR20060008935A (ko) 워터휠 모터
US20060245919A1 (en) Water wheel motor
RU2508467C2 (ru) Погружная моноблочная микро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CN106523248A (zh) 水力卧式螺管转子发电机组及其发电站
EP3619422B1 (en) Flow turbine for hydro power plants
Asrafi et al. Micro hydro electric power plant (MHEP) prototype a study of the effect of blade numbers toward turbine rotational velocity
US11434866B2 (en) Water current catcher system for hydroelectricity generation
JP2004068655A (ja) 定水量開放型水車発電装置
US20240011456A1 (en) Tidal stream generation apparatus
Ylaya et al. Improved Vortex Channel for Whirlpool Generator for Harnessing Water Flow Energy from Irrigation
SK9022000A3 (en) Method of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12898772U (zh) 一种水力发电装置
CN217462402U (zh) 一种模块型小型通用水力发电机及再生能源发电系统
RU2688871C2 (ru) Горная береговая микро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гбмгэс)
RU2616333C1 (ru) Поплавковая блочная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на основе подливных водяных колес с активными лопастями
CN104179626B (zh) 多功率水动力驱动发电机组装置
RU200590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гидровет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OA18974A (en) Waterwheel
LV12546B (lv) Hidroagregāts ar horizontālu turbīnu un regulējamiem spārni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