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780A -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780A
KR20060008780A KR1020040058032A KR20040058032A KR20060008780A KR 20060008780 A KR20060008780 A KR 20060008780A KR 1020040058032 A KR1020040058032 A KR 1020040058032A KR 20040058032 A KR20040058032 A KR 20040058032A KR 20060008780 A KR20060008780 A KR 20060008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ouch
tact switch
contact
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5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8780A/ko
Publication of KR20060008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택트 스위치의 동작을 위한 예비 동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택트 스위치의 스위치노브 상부에 사람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접점을 형성하여 하나의 스위치로 사람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누름에 의한 스위칭이 이루어져 다양한 스위치 동작에 적용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터치스위치, 택트스위치, 예비동작, 본동작

Description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TACT SWITCH STRUCTURE WITH TOUCH TERMINAL}
도 1내지 도 2는 일반적인 택트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10 : 제 1내지 제 2리드선
11, 12 : 제 1내지 제 2도전판
20 : 스위치몸체 21 : 작동실
22 : 탄성접촉자 23 : 스위치노브
31, 32 : 제 3내지 제 4리드선
33, 34, 35, 36 : 제 1내지 제 4단자
37, 38 : 제 1내지 제 2터치접점
본 발명은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택트 스위치의 동작을 위한 예비 동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택트 스위치의 스위치노브 상부에 사람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접점을 형성하여 하나의 스위치로 사람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누름에 의한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한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트 스위치는 각종 전기전자제품, 예컨대 텔레비전 수상기의 경우 전원의 개폐를 비롯한 채널선국이나 볼륨 및 화면 조정 등 다양한 기능을 선택 조잘할 수 있도록 제품 전면 캐비닛에 돌출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된다.
도 1내지 도 2는 일반적인 택트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1은 오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온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몸체(20)에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제 1내지 제 2리드선(5)(10)이 삽입되어 작동실(21)로 노출된 제 1내지 제 2도전판(11)(12) 상면에 장착되어 제 2도전판과 접속된 탄성접촉자(22)가 몸체에서 연동되는 스위치노브(23)에 의해 중앙에 설치된 제 1도전판(11)을 터치함으로서 제 1도전판과 제 2도전판 간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온, 오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택트 스위치의 스위치노브(23)를 사용자가 눌러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노브(23)의 하단면에 의해 탄성접촉자(22)가 가압되면서 만곡형의 탄성접촉자(22)가 하부로 굴절되면서 제 1도전판(11)과 면접촉을 일으 키게 됨으로써 탄성접촉자(22)와 접속된 제 2도전판(12)과의 사이를 연결시켜 주어 스위치가 "ON" 되고,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눌러주던 스위치노브(23)에서 가압력을 해지하여 놓으면 탄성접촉자(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 1도전판(11)과 면접촉된 탄성접촉자(22)가 상부로 복원되고 그 위의 스위치노브(23)도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면접촉이 해지되어 "OFF" 된다.
이와 같은 택트 스위치를 전자제품에 사용할 경우 다수개를 하나의 기판에 형성하여 나란하게 배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오랜 시간 사용할 경우 택트 스위치의 접점이 불량해지거나 확실한 조작을 위해 스위치노브(23)을 비교적 강한 힘을 주어 누르게 됨에 따라 기판 상에서 택트 스위치의 접속상태가 불량해지거나 인접한 다른 택트 스위치와의 오동작으로 전자제품에서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제품에서 택트 스위치의 스위치노브를 누르기 직전에 누르고자 하는 택트 스위치의 터치 상태를 판단할 경우 해당 택트 스위치의 누름 동작만 인식함으로써 인접한 다른 택트 스위치가 인식되더라도 무효로 인식하고 해당 택트 스위치의 동작만을 유효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다른 택트 스위치와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해 별도의 터치 스위치를 택트 스위치에 인접하여 형성할 경우 별도의 스위치 형성을 위한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택트 스위치의 동작을 위한 예비 동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택트 스위치의 스위치노브 상부에 사람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접점을 형성하여 하나의 스위치로 사람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누름에 의한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한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위치몸체에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제 1내지 제 2리드선이 삽입되어 작동실로 노출된 제 1내지 제 2도전판 상면에 장착되어 제 2도전판과 접속된 탄성접촉자가 몸체에서 연동되는 스위치노브에 의해 중앙에 설치된 제 1도전판을 터치함으로서 제 1도전판과 제 2도전판 간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택트 스위치에 있어서; 스위치몸체에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해 삽입된 제 3내지 제 4리드선과, 제 3내지 제 4리드선과 각각 연결되며 작동실 내벽에 노출된 제 1내지 제 2단자와, 작동실 내벽과 접촉되는 스위치노브의 측면에 형성되며 제 1내지 제 2단자와 각각 슬라이드 접촉되는 제 3내지 제 4단자와, 제 3내지 제 4단자와 각각 연결되며 스위치노브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 1내지 제 2터치접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택트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노브의 상부에 터치접점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택트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위치노브에 손을 댈 경우 사용자의 터치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택트 스위치의 예비 동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몸체(20)에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제 1내지 제 2리드선(5)(10)이 삽입되어 작동실(21)로 노출된 제 1내지 제 2도전판(11)(12) 상면에 장착되어 제 2도전판과 접속된 탄성접촉자(22)가 몸체에서 연동되는 스위치노브(23)에 의해 중앙에 설치된 제 1도전판(11)을 터치함으로서 제 1도전판(11)과 제 2도전판(12) 간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온, 오프되도록 구성된 택트 스위치에 부가적으로 스위치몸체(20)에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해 삽입된 제 3내지 제 4리드선(31)(32)과, 제 3내지 제 4리드선(32)(32)과 각각 연결되며 작동실(21) 내벽에 노출된 제 1내지 제 2단자(33)(34)와, 작동실(21) 내벽과 접촉되는 스위치노브(23)의 측면에 형성되며 제 1내지 제 2단자(33)(34)와 각각 슬라이드 접촉되는 제 3내지 제 4단자(35)(36)와, 제 3내지 제 4단자(35)(36)와 각각 연결되며 스위치노브(23)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 1내지 제 2터치접점(37)(38)이 더 설치된다.
따라서, 스위치의 제 3리드선(31)과 제 1단자(33)와 제 3단자(35)를 통해 제 1터치접점(37)에 전압이 걸려 있고, 제 4리드선(32)과 제 2단자(34)와 제 4단자(36)를 통해 제 2터치접점(38)에 전압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택트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스위치노브(23)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할 경우 제 1내지 제 2터치접점(37)(38)에 손가락이 접촉되면 전압이 변동하게 되는 것을 주변회로에서 인식하여 접촉된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접촉된 상태에서 스위치노브(23)를 가압하게 되면 스위치노브(23)의 하단면에 의해 탄성접촉자(22)가 가압되면서 만곡형의 탄성접촉자(22)가 하부로 굴절되면서 제 1도전판(11)과 면접촉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탄성접촉자(22)와 접속된 제 2도전판(12)과의 사이를 연결시켜 주어 스위치가 "ON" 된다.
한편, 사용자가 눌러주던 스위치노브(23)에서 가압력을 해지하여 손가락을 스위치노브(23)에서 떼면 제 1내지 제 2터치접점(37)(38)에 공급되는 전압이 변화되면서 손가락을 뗀 것을 판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탄성접촉자(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 1도전판(11)과 면접촉된 탄성접촉자(22)가 상부로 복원되고 그 위의 스위치노브(23)도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면접촉이 해지되어 "OFF"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택트 스위치에 터치 접점을 형성하여 택트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위치노브에 손가락이 접촉될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어 적은 공간에 택트 스위치와 터치 스위치를 동시에 형성하여 전자제품에서 작동시키려고 하는 택트 스위치의 예비동작을 판단하여 현재 누르려고 하는 스위치가 어느 스위치인가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스위치를 잘못 눌러 오동작을 시킬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스위치의 작동만 유효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인접 한 다른 택트 스위치의 오동작에 의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주변회로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택트 스위치의 동작을 위한 예비 동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택트 스위치의 스위치노브 상부에 사람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접점을 형성하여 하나의 스위치로 사람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누름에 의한 스위칭이 이루어져 다양한 스위치 동작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복합적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택트 스위치의 본동작 전에 예비동작을 판단함으로써 동작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스위치몸체에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제 1내지 제 2리드선이 삽입되어 작동실로 노출된 제 1내지 제 2도전판 상면에 장착되어 제 2도전판과 접속된 탄성접촉자가 몸체에서 연동되는 스위치노브에 의해 중앙에 설치된 제 1도전판을 터치함으로서 제 1도전판과 제 2도전판 간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택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몸체에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해 삽입된 제 3내지 제 4리드선과,
    상기 제 3내지 제 4리드선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작동실 내벽에 노출된 제 1내지 제 2단자와,
    상기 작동실 내벽과 접촉되는 상기 스위치노브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내지 제 2단자와 각각 슬라이드 접촉되는 제 3내지 제 4단자와,
    상기 제 3내지 제 4단자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노브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제 1내지 제 2터치접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
KR1020040058032A 2004-07-24 2004-07-24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 KR20060008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032A KR20060008780A (ko) 2004-07-24 2004-07-24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032A KR20060008780A (ko) 2004-07-24 2004-07-24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780A true KR20060008780A (ko) 2006-01-27

Family

ID=3711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032A KR20060008780A (ko) 2004-07-24 2004-07-24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87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411B1 (ko) * 2005-02-28 2007-02-02 (주)멜파스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및 그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0718988B1 (ko) * 2005-07-27 2007-05-16 (주)멜파스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KR100718987B1 (ko) * 2005-07-27 2007-05-16 (주)멜파스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KR100830159B1 (ko) * 2006-11-23 2008-05-20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수동 스위치가 내장된 전자식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411B1 (ko) * 2005-02-28 2007-02-02 (주)멜파스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및 그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KR100718988B1 (ko) * 2005-07-27 2007-05-16 (주)멜파스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KR100718987B1 (ko) * 2005-07-27 2007-05-16 (주)멜파스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KR100830159B1 (ko) * 2006-11-23 2008-05-20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수동 스위치가 내장된 전자식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0903B1 (en) Tact Switch
US6333473B1 (en) Rotary-push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same
JP4446925B2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CN103226418B (zh) 带按键开关的电容式触摸板
US6162999A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US20040240162A1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with a side key assembly
KR20060008780A (ko) 터치 접점을 갖는 택트 스위치 구조
KR101435685B1 (ko) 복합조작형 입력장치
US4046982A (en) Switch means for short-stroke push-button keys
JP2007128731A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4594229B2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JP2008059912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JP5357106B2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JP2011165384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CN105610424B (zh) 家用电器的电容式按键结构及家用电器
JP2021018917A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
JP2008078022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KR10145297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JP3902076B2 (ja) 多方向入力装置
CN215118724U (zh) 一种飞机操纵按钮开关
CN211788756U (zh) 一种机械键盘
US20040238341A1 (en) Tact switch
CN110739172B (zh) 一种绝缘轻触开关
CN217719399U (zh) 一种机械按键、控制器和家电设备
JP4537293B2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