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518A -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518A
KR20060008518A KR1020040056810A KR20040056810A KR20060008518A KR 20060008518 A KR20060008518 A KR 20060008518A KR 1020040056810 A KR1020040056810 A KR 1020040056810A KR 20040056810 A KR20040056810 A KR 20040056810A KR 20060008518 A KR20060008518 A KR 2006000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lor vision
test
vision inspec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원량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04005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8518A/ko
Publication of KR2006000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61B3/06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중 색각 검사시스템은, 소정의 색각 검사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색각 검사를 위해 설정된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을 하나씩 출력한 후, 피검사자가 입력부를 통해 출력된 자극에 해당하는 것을 입력하도록 하는 일련의 색각검사 제어와 그에 따른 결과값을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기존에 공지된 색각검사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줄이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색각이상 진단 결과에의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색각, 색맹,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검사,색판

Description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Testing system for color sence and testing method the same}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일반적인 색각이상 테스트의 일예를 보인 도면,
도 1d는 컬러 시각 검증 테스트(Farnsworth-Munsell(FM) 100 Hue-Test)의 일예를 보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색각 검사시스템의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색각 검사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색각 검사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화면,
도 4a 내지 도 4e는 각각 본 색각 검사시스템의 설명을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색각검사 프로그램의 결과 화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플레이부 12 : 색판
14a~14d : 버튼 16 : 출력창
20 : 제어장치 22 : 색각검사 프로그램
30 : 입력부 40 : 전산처리부
본 발명은,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공지된 색각검사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줄이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색각이상 진단 결과에의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체검사장이나 운전면허 시험장의 적성검사소 등에 들어서면 검사자가 여러 색의 점이 찍힌 이상한 그림을 보여주면서 숫자를 묻는다. 이에 피검사자는 해당 그림에 표현되는 숫자를 대답하게 되는데, 이러한 그림표가 바로 색맹검사표이며, 색맹검사표를 이용하여 색맹 혹은 색약 이상유무를 검사하게 된다.
실제로 색맹 혹은 색약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데는 여러 종류의 검사법이 있지만 아직까지도 일본인 이시하라가 만든 색맹검사표(Ishihara Color Plates, 국제판) 14표, 28표, 36표 등 3종류를 사용하거나 역시 이시하라가 만든 학교용 색각이상 검사 12표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결국, 이시하라식 색맹검사표를 이용하여 색맹 혹은 색약 이상유무를 검사함으로써 색각이상의 유무를 판별하게 되는 바, 색각이상이란 색약이나 색맹을 합하여 부르는 일반적인 용어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색맹을 강도 색각이상, 색약을 중등도와 약도로 나누어 볼 때, 색약 을 중등도 색각이상이라고 부르게 됨으로써 과거의 색맹 혹은 색약으로만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되었다.
흔히, 자동차 운전면허시험 과정에서 이용되는 색약이라는 진단은, 색각검사표를 사용하여 중등도나 약도 이상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색각이상은 선천적으로 망막 내 감광물질, 즉 제1적색질, 제2녹색질, 제3황색질 중에서 한 가지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에, 제1색맹은 적색맹이라 하고, 제2색맹은 녹색맹이라 하며, 제3색맹은 청황색맹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용어로써, 적색맹, 적록색맹, 청황색맹, 색약, 선천성 색각이상과 후천성 색각이상, 그리고 프로킨예 현상에 대해 좀 더 부연하기로 한다.
1. 전색맹
색상의 식별이 전혀 되지 않는 색각이상자를 말한다. 전색맹일 경우 색지각을 간상에만 의존하여 명암만 다소 구별할 수 있는 정도이며, 프로킨예 현상도 나타나지 않는다. 전색맹의 경우, 언제나 정상자의 암순응 상태에 있고, 빛이 강할 때에는 눈이 부셔서 볼 수 없는 현상이 일어난다.
2. 적록색맹
빨강과 초록을 식별하는 능력이 없는 색각이상자를 적록색맹이라고 한다. 적색맹일 경우, 빨강은 아주 어둡게 보여 갈색에 가깝거나 회색기미의 황색으로 보이게 된다. 녹색맹인 경우 녹색이 노랑으로 보이며, 저채도의 녹색은 회색에 가깝 게 보이게 됩니다.
3. 청황색맹
파랑, 노랑이 느껴지지 않는 색각이상자를 청황색맹이라 한다.
4. 색약
원거리의 색이나 채도가 낮은 경우 식별을 못하게 되는 바, 단시간에 색을 분별하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를 말한다. 대비효과가 강한 경우에 황토색, 노랑색 등이 빨강색에 인접해 있을 때 녹색계로 보이거나 녹색계에 인접해 있을 때 적색계로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5. 선천성 색각이상과 후천성 색각이상
태어나면서부터 색을 구별하지 못하고 혼동하는 사람을 선천적 색맹이라고 하고 망막의 염증이나 이탈의 원인으로 색을 혼동하는 사람을 후천적 색맹이라고 한다.
6. 프로킨예 현상
프로킨예는 밤이나 어두운 곳에서는 유채색은 사라지고 무채색으로 지각된다. 빨강이 먼저고 주황, 노랑, 녹색, 파랑 등의 순서로 색상이 사라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다시 조명이 밝아지면 파랑이 먼저 회복된다.
이처럼 같은 색각이상일지라도 그 세부적인 이상원인에 따라 종류가 다양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1a에 도시된 원본사진이 각기 2번 내지 7번 사진처럼 보이고, 도 1b에 도시된 그림에서 칼라 별 경계선을 따라 선을 그리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쉽게 색각이상자로 판정된다.
특히, 도 1c에 도시된 이시하라식 색맹검사표를 순서별로 74, 6, 5로 읽지 못했을 경우에는 적녹색맹 또는 색약으로 진단하여 대학입학이나 취직에 제한을 두게 된다.
그러나 현재 안과학의 발전으로 현재 적록색맹 또는 색약의 진단은 오직 아노말로스코프(Anomaloscope) 검사에 한하여 가능하다. 따라서 이시하라식 색맹검사표에 의한 적녹색맹이나 색약의 진단은 착오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색각이상은 그 정도가 다양하며, 학교나 직업 적성검사에 색각이상의 정도 구분이 꼭 필요하나 색각검사표만으로는 진단이 곤란하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한씨식(한천석) 색각검사표 2중 15색상 배열 검사기를 이용, 색각이상을 강도, 중등도, 약도 등 3단계로 구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색각검사표에 의해 검출된 색각이상자에 대하여는 정확히 강도, 중등도, 약도와 제1색각, 제2색각, 제3색각이상 등으로 진단한다. 우선 중등도 및 약도 색각이상자에 대하여는 자연계 대학이나 실업계 고등학교의 입학 및 취직 제한을 완화하려 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결국, 색각이상에도 세세한 구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부 색각이상이라 하여 취급하는데 따른 개인적, 사회적인 편견을 점차 안과학의 발전으로 해소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색각이상의 판정에 주로 사용되는 이시하라식 색각검사표 및 한천석 색각검사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적록 색각이상의 유무만을 진단할 수 있을 뿐 청황 색각이상 등의 다른 종류의 색각이상이나 색각이상 정도의 심각성 이나 등급을 판단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의 검사방식은, 단지 선천성 색각이상의 발명에만 의미가 있을 뿐 후천성 색각이상의 발견이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병의 추이와 진행과정 등의 정확한 통계를 낼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일부에서는 소위, 컬러 시각 검증 테스트(Farnsworth-Munsell(FM) 100 Hue-Test)를 이용하여 이시하라식 색각검사표 및 한천석 색각검사표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기도 한다.
참고로, 도 1d의 방식이 적용되는 컬러 시각 검증 테스트(Farnsworth-Munsell(FM) 100 Hue-Test)는, 컬러시각의 결함과 컬러 식별력을 결정하기 위한 도구로써, 적록 색각이상으로부터 전색맹에 이르기까지 모든 비정상적인 컬러시각 타입을 검출하는 것이다.
컬러시각의 결함과 컬러 적성은 색상 순서에 따라 컬러 캡(Color Caps)을 배열하는 능력에 의해 탐지된다. 이러한 탐지 방법은 컬러시각에 있어 많은 심리학적 그리고 산업상의 문제들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데이터를 산출한다.
이러한 컬러 시각 검증 테스트(Farnsworth-Munsell(FM) 100 Hue-Test)는 정상적인 컬러시각을 가진 사람들을 컬러 판별력에 있어서 상, 중, 하의 계급으로 나누는 한편, 컬러시각 결함자가 컬러의 어떤 부분에서 혼동하는지 측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컬러 시각 검증 테스트(Farnsworth-Munsell(FM) 100 Hue-Test)에 있어서는, 대략 100개나 되는 색판들을 일정한 순서에 맞춰 나열해야 하므로 피검사자의 일정 수준 이상의 능력과 노력, 많은 시간이 요구되며, 나아가 이를 진단함 에 있어 색채의 에러를 하나하나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있는 바, 비교적 숙련된 검사자의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또한, 이 테스트는 선천성 색각이상의 경우에는 등급의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색맹 진단을 내릴 수 없어 주로 후천성 색각이상의 경과 관찰에만 주로 사용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공지된 색각검사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줄이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색각이상 진단 결과에의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각 검사과정에서 필요한 디스플레이와 입력, 그리고 에러검출 등을 일체로 전산처리함으로써 검사자의 시간과 노력을 줄이는 한편 후천성 색각이상일지라도 발병의 추이와 진행과정 등에 관련한 제반 사항의 정확한 통계를 낼 수 있도록 한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소정의 색각 검사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색각 검사를 위해 설정된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을 하나씩 출력한 후, 피검사자가 입력부를 통해 출력된 자극에 해당하는 것을 입력하도록 하는 일련의 색각검사 제어와 그에 따른 결과값을 출력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색각 검사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은, 동그라미, 세모, 엑스 및 도형이 없는 모양의 색판으로 랜덤하게 출현된다.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색판에는 색점의 밝기가 3가지로 일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상기 색판에 나타나는 색상은 색상번호 0에서 330까지로써, 0,30,45,60,75,90,120,150,180,210,225,240,255,270,300,330 중 어느 한 색상으로 채용되고; 채도는 5,10,20,30,40,50 중 어느 한 채도로 채용될 수 있다.
피검사자의 입력값들을 처리하여 피검사자에 대한 파장대별 에러를 계산하기 위한 전산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산처리부는, 색각이상 여부, 색각이상의 종류, 심각성 정도에 관한 진단을 위해 입력된 피검사자의 반응을 전산화하여 그래프로 출력하는 것이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색각 검사시스템을 이용하여 색각을 검사하는 색각 검사방법으로써, 디스플레이부로 색각 검사를 위해 설정된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을 랜덤하게 하나씩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된 색판을 보고 출력된 자극에 해당하는 것을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과값을 제어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각 검사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색각 검사방법은 밀실에서 이루어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소정의 입력시간이 제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색각 검사시스템은, 기존에 공지된 색각검사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줄이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색각이상 진단 결과에의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색각 검사과정에서 필요한 디스플레이와 입력, 그리고 에러검출을 전산화함으로써 검사자의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후천성 색각이상일지라도 발병의 추이와 진행과정 등에 관련한 제반 사항의 정확한 통계를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본 색각 검사시스템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디스플레이부(10), 입력부(30), 제어장치(20) 및 전산처리부(40)로 이루어져 있다.
디스플레이부(10)는 피검사자에게 제시되는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입력부(30)는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된 화면(이를 색판(12)이라고 함)에 해당하는 것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시된 것처럼 키보드에 의한 방법이나 혹은 마우스에 의한 방법 등이 모두 활용될 수 있다. 물론 음성에 의한 입력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다.
입력을 위해 여러 가지 버튼(14a~14d)들이 마련될 수 있는데, 피검사자는 이들 버튼(14a~14d)을 누름으로써 검사를 실시한다.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한다면 기존의 어려운 테스트들에 비해 어린 나이의 아이들이나 노인들도 쉽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검사자는 입력부(30)를 통해 환자의 이름과 환자번호, 날짜 등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역시 디스플레이부(10)의 출력창(16)에 나타난다.
소정의 색각검사 프로그램(22)을 갖는 제어장치(20)는, 디스플레이부(10)로 색각 검사를 위해 설정된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들 중 랜덤하게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한 다음, 피검사자가 입력부(30)를 통해 출력된 자극에 해당하는 것을 입력하면 다시 다음의 자극을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하고 피검사자로부터 입력하도록 하는 등의 일련의 색각검사 제어를 함과 동시에 그 결과값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0)에 즉시 출력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제어장치(20)의 색각검사 프로그램(22)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되는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은, 동그라미, 세모, 엑스 및 도형이 없는 예를 들어 4가지 모양의 색판(12)이며, 일정한 형식 없이 랜덤하게 출현된다.
색각검사 프로그램(22)에 의해 각 색판(12)에는 색점의 밝기를 3가지로 일정되어 있다. 색상은 색상번호 0에서 330까지 0,30,45,60,75,90,120,150,180,210,225,240,255,270,300,330 중 한 색상으로 채용되고, 채도는 5,10,20,30,40,50 중 한 채도이다. 아무 것도 도형이 없는 색판(12)이 4개로 모두 100개의 색판(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피검사자는 디스플레이부(10)에 출력되는 도 3과 같은 그림을 보고, 색판(12)에서 보이는 도형에 해당하는 버튼(14a~14d)을 누르면 검사가 실시되고 어 느 정도의 반복적인 검사가 완료되면 결과가 출력창(16)에 나타난다.
한편, 전산처리부(40)는 피검사자의 입력값들을 처리하여 피검사자에 대한 파장대별 에러를 계산하기 위한 모듈이다. 전산처리부(40)를 이용하면 입력된 환자의 반응은 전산화되어 결과를 그래프로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파장대별 오점수를 확인할 수 있어 환자의 색각 이상여부 뿐만 아니라 색각이상의 종류와 심각성 정도에 관한 진단을 할 수 있다.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검사 후 주어진 결과 그래프를 통해 오점수의 크기와 오점수가 큰 파장대를 판단함으로써 색각이상 유무와 그 종류 및 이상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색각 검사시스템을 이용하여 색각 검사를 실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색각 검사의 실시에 앞서 검사자는 피검사자에 대해 검사의 방법과 목적에 대해 설명한다. 만일, 검사를 이해하지 못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0) 상의 자극의 모양을 손가락을 따라 움직여 이해시킴으로써 피검사자의 이해를 도울 수도 있다.
사람이 인지하는 색은 빛의 파장분포 뿐만 아니라 시야각, 주위 밝기 등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검사는 가능한 한 어두운 밀실의 환경에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테이터를 얻는데 유리하다. 이에, 디스플레이부(10) 화면 이외의 작은 LED등도 천 등으로 덮어둔 채 시행하는 것이 좋다.
피검사자는 디스플레이부(10)로부터 적정한 거리에 앉아 정면으로 디스플레 이부(10)를 주시함으로써 적절한 시야각 내에 자극이 정면으로 보이게 유지한다. 만일, 저시력자가 자극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라면 디스플레이부(10)와의 간격을 줄이는 것도 한 방편이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0)에 출현하는 자극을 보고 반응하기까지 시간제한을 둘 수 있고 이 역시 검사결과에 고려될 수 있다. 어린 아이나 노인의 경우 시간제한을 늘린다.
이 같은 조건이 설정되면, 우선 입력부(30)를 통해서 피검사자의 이름과 환자번호, 날짜 등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그리고는, 색각검사 프로그램(22)을 구동시킨다.
디스플레이부(10)로 동그라미, 세모, 엑스 및 도형이 없는 모양의 색판(12)인 설정된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이 랜덤하게 하나씩 출력되면, 피검사자는 입력부(30)를 통해서 해당하는 것을 입력하는 등의 일련의 반복적인 검사가 실시된다.
정해진 양의 검사가 끝나면 제어장치(20)의 색각검사 프로그램(22)이 이들을 종합하여 결과값을 출력함으로써 색각이상 유무가 판별된다. 그러면, 최초 피검사자의 이름과 환자번호, 날짜 등이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피검사자는 자신의 병력이나 이력을 계속해서 점검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색각 검사시스템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와 같이, 본 검사에서 자극 색상의 선택은 CIE xy 좌표계에서 행해진다. CIE 좌표계는 빛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만들어진 색좌표계가 아니라 인간의 시야에서 인지되는 현상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좌표계이다. CIE 좌표축 상에서 같은 x,y좌표를 갖는 두개의 빛 조합은 각각의 빛의 스펙트럼 조성이 틀리더라 하더라도 사람에게 인지되는 색깔이 갖게 한다.
색각에 이상이 있는 환자가 위 색상배치표 상에서 구분하지 못하는 라인을 컨퓨전 라인(confusion line)이라고 한다. 프로탄, 듀탄, 트리탄의 경우 각각의 컨퓨전 라인들이 모이는 소실점의 위치가 각각 틀리다. 도 4b는 프로탄과 듀탄의 경우의 컨퓨전 라인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c를 참조할 때, 대략적으로 프로탄의 경우 오른쪽 아래의 꼭지점, 듀탄의 경우는 (1.4, -0.4), 트리탄의 경우 왼쪽 아래의 꼭지점이 소실점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컨퓨전 라인을 찾음으로써 색각이상의 종류와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할 때, 90개의 색패는 무채색의 배경위에 다음 그림의 점선 위의 색상으로 자극 기호를 만들어낸다. 타원의 접하는 2개의 컨퓨전 라인상에 위치한 색패들은 색각 이상자의 경우 그 차이를 인지하지 못함으로써 대칭되는 지점에서 에러가 타나나게 된다.
다음의 도 4e는 프로탄의 경우 에러가 나타나는 위치를 표시한 예이다. 검사자의 검사 결과가 일정한 값 이상의 에러를 보이는 경우 에러가 나타나는 위치의 축의 각도로 검사자의 색각이상 타입을 판단하고, 에러값으로서 이상 정도를 측정한다.
한편, 선천적 색각 이상은 주로 프로탄이나 듀탄에서 나타나게 되며 트리탄의 경우 대부분 후천적 색각이상의 경우이다. 또한 같은 타입에 있어서도 후천적 색각 이상의 경우 에러가 나타나는 대역이 선척색각이상에 비해 더 넓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에러의 폭으로서 선천색각 이상과 후천 색각 이상을 구분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색각검사 프로그램의 결과 화면이다. 도 5a가 듀탄, 도 5b가 프로탄인 환자의 결과로서 에러가 나타나는 축의 기울기가 다름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색각 검사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에 공지된 색각검사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줄이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색각이상 진단 결과에의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색각 검사과정에서 필요한 디스플레이와 입력, 그리고 에러검출을 전산화함으로써 검사자의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한편 후천성 색각이상일지라도 발병의 추이와 진행과정 등에 관련한 제반 사항의 정확한 통계를 낼 수 있다.
즉, 본 색각 검사시스템에 의하면, 이시하라식 색각검사표 및 한천석 색각검사표와 같이 가성동색상표로 구성되어 피검사자가 쉽게 검사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쉽다.
또한, 기존의 컬러 시각 검증 테스트(Farnsworth-Munsell(FM) 100 Hue-Test)와 같이 적록 색각이상뿐만 아니라 청황 색각이상 등의 다른 종류의 색각이상이나 색각이상 정도의 심각성이나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결과의 신뢰성이 보장되고 각 검사결과가 점수화되어 색각이상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길 수 있고, 경과관찰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공지된 색각검사의 불편함 및 번거로움을 줄이면서도 남녀노소 누구나가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색각이상 진단 결과에의 높은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색각 검사과정에서 필요한 디스플레이와 입력, 그리고 에러검출 등을 일체로 전산처리함으로써 검사자의 시간과 노력을 줄이는 한편 후천성 색각이상일지라도 발병의 추이와 진행과정 등에 관련한 제반 사항의 정확한 통계를 낼 수 있다.

Claims (9)

  1. 소정의 색각 검사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색각 검사를 위해 설정된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을 하나씩 출력한 후, 피검사자가 입력부를 통해 출력된 자극에 해당하는 것을 입력하도록 하는 일련의 색각검사 제어와 그에 따른 결과값을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색각 검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은, 동그라미, 세모, 엑스 및 도형이 없는 모양의 색판으로 랜덤하게 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검사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색판에는 색점의 밝기가 3가지로 일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검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색판에 나타나는 색상은 색상번호 0에서 330까지로써, 0,30,45,60,75,90,120,150,180,210,225,240,255,270,300,330 중 어느 한 색상으로 채용되고; 채도는 5,10,20,30,40,50 중 어느 한 채도로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색각 검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입력값들을 처리하여 피검사자에 대한 파장대별 에러를 계산하기 위한 전산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검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산처리부는, 색각이상 여부, 색각이상의 종류, 심각성 정도에 관한 진단을 위해 입력된 피검사자의 반응을 전산화하여 그래프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검사시스템.
  7. 제1항의 색각 검사시스템을 이용하여 색각을 검사하는 색각 검사방법으로써,
    디스플레이부로 색각 검사를 위해 설정된 복수개의 도형 자극 및 속임수 자극을 랜덤하게 하나씩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된 색판을 보고 출력된 자극에 해당하는 것을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과값을 제어 및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각 검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색각 검사방법은 밀실에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검사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소정의 입력시간이 제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각 검사방법.
KR1020040056810A 2004-07-21 2004-07-21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KR20060008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810A KR20060008518A (ko) 2004-07-21 2004-07-21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810A KR20060008518A (ko) 2004-07-21 2004-07-21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518A true KR20060008518A (ko) 2006-01-27

Family

ID=3711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810A KR20060008518A (ko) 2004-07-21 2004-07-21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85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942B1 (ko) * 2014-01-13 2015-01-2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색각 이상 정도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기구 및 단말 장치
KR101725682B1 (ko) * 2015-11-27 2017-04-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색각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10019271A (ko) * 2019-08-12 2021-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의 색각 검사를 통한 질환 예측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CN116385581A (zh) * 2023-03-24 2023-07-04 长江大学 一种在线的可定制化的色觉测试图生成与识别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942B1 (ko) * 2014-01-13 2015-01-2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색각 이상 정도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기구 및 단말 장치
KR101725682B1 (ko) * 2015-11-27 2017-04-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색각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10019271A (ko) * 2019-08-12 2021-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류의 색각 검사를 통한 질환 예측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CN116385581A (zh) * 2023-03-24 2023-07-04 长江大学 一种在线的可定制化的色觉测试图生成与识别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kowski Theory and practice of colour vision testing: A review Part 1
Ishihara et al. Age-related decline in color perception and difficulties with daily activities–measurement, questionnaire, optical and computer-graphics simulation studies
Marey et al. Ishihara electronic color blindness test: An evaluation study
JP2018520820A (ja) 視覚の様相を検査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387356B1 (ko) 화면을이용한시각검사방법
JP6212034B2 (ja) 色視機能測定手段及び色視機能測定システム
JPH024309A (ja) 自動視覚検査装置
JP2003116790A (ja) 視野検査表
Tang et al. ColourSpot, a novel gamified tablet-based test for accurate diagnosis of color vision deficiency in young children
WO2009075385A1 (ja) 視野検査方法および装置
French et al. The evolution of colour vision testing
KR20060008518A (ko) 색각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Vingrys et al. Validation of the Holmes‐Wright Lanterns for testing colour vision
Melamud et al. Introducing a new computer-based test for the clinical evaluation of color discrimination
Semary et al. An evaluation of computer based color vision deficiency test: Egypt as a study case
Fish et al. Evaluation of a new test for the diagnosis of congenital dyschromatopsia in children: the color vision evaluation test
Salducci et al. Medical legal validity of the use of the anomaloscope in the dyschromatopsia of aspiring civil and military aircraft pilots
EP3629883B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visual abilities
Cárdenas-Delgado et al. VR-test ViKi: VR test with visual and kinesthetic stimulation for assessment color vision deficiencies in adults
Bober et al. Interactive method of detecting color vision disorders in candidates for drivers
Lillo Jover et al. Daltonization or colour enhancement: potential uses and limitations
RU2102915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цветового зрения
Singh et al. Color vision in civil aviation
Chaudhari et al. A survey on colorblindness in pharmacy students at wagholi, pune
JP7004363B1 (ja) 視標表示装置、視標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