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075A -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075A
KR20060007075A KR1020040054306A KR20040054306A KR20060007075A KR 20060007075 A KR20060007075 A KR 20060007075A KR 1020040054306 A KR1020040054306 A KR 1020040054306A KR 20040054306 A KR20040054306 A KR 20040054306A KR 20060007075 A KR20060007075 A KR 20060007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ning
weight
cosmetic composition
vitami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희 filed Critical 이경희
Priority to KR102004005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7075A/ko
Publication of KR2006000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성의 유두에 적용되는 유두용 미백화장품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종래에 알려진 미백기능을 가지는 천연원료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유두 또는 외음부 등의 특정 부위의 피부에 적용되기 위하여 안정성이 뛰어나고 동시에 탁월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보습효과는 물론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를 가진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알부틴 2∼6중량%, 콜라겐 파우더 2∼4중량%, 비타민 C 유도체 3∼6중량%, 비타민 E 3∼6중량%, 감초 추출물 4∼6중량%, 당귀 추출물 4∼6중량%, 진주 파우더 1∼3중량%로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두, 미백, 감초, 당귀, 진주파우더, 콜라겐, 보습, 항염, 항알러지

Description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FOR NIPPLE}
본 발명은 미백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성의 유두에 적용되는 유두용 미백화장품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유두는 젖꼭지라고도 하며, 젖을 빠는 데 알맞은 구조로 되어 있다. 여성의 유두의 경우에는 앞가슴에 반구모양으로 팽륭한 유방의 정점 중앙부에서 약간 아래에 있는 원기둥모양의 융기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성의 유두 표면에는 많은 균열이 있으며 이곳에는 15∼20개의 유관 개구부가 있다. 유두의 피부에는 많은 신경말단이 분포한다. 또한 유두의 주위에는 갈색의 윤상부가 있으며, 이것을 유륜(乳輪)이라고 한다. 갈색을 나타내는 것은 이 부분의 피부에 멜라닌과립 및 색소세포가 있기 때문이다.
여성이 임신을 하면 주로 얼굴, 젖꼭지, 유륜, 외음부, 복벽정중선, 배꼽 등에 침착되는데 이러한 색소 침착은 분만 후 점차 없어지지만, 수년에 걸쳐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한편, 여성에 따라 유두 또는 외음부의 멜라닌 색소의 분포가 상이하고, 멜라닌 색소가 얼마나 분포되어 있느냐에 따라 유두 또는 외음부의 색은 분홍 또는 검 정 등으로 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임신으로 인한 장기간의 유두 또는 외음부의 색소 침착이나 선천적으로 유두 또는 외음부에 멜라닌 색소의 분포가 많은 여성의 경우 유두 및 외음부의 색이 검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자신의 유두 또는 외음부의 색이 타인의 유두 또는 외음부의 색보다 검다고 생각하거나 실제로 유두 또는 외음부가 검은 여성은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것보다 실제로 많은 사람이 있고, 이러한 여성이 공중목욕탕 또는 배우자 등에게 자신의 유두 또는 외음부가 노출될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임신 경험이 있는 여성 또는 성 경험이 많은 여성으로 오해 받거나 신체적으로 이상이 있는 여성 등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하여 심각한 컴플렉스로 인해 의식적으로 유두 또는 외음부의 노출을 꺼리는 등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그러나, 치아를 미백하는 제품이나 일반 피부를 미백하는 화장품은 많이 개발되었으나 위와 같이 유두 또는 외음부의 색에 의하여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여성을 위한 제품은 개발되지 않았다.
또한, 여성의 유두는 십수개의 유관 개구부가 있고 유두의 피부에는 많은 신경말단이 분포하고 있어 일반 피부의 구조와 상이하고, 외음부 역시 일반 피부의 구조와는 상이하고, 멜라닌 색소의 분포도 상이하며 조그마한 자극에도 민감한 특성이 있어, 여성의 유두 또는 외음부의 미백제는 일반 피부에 적용되는 미백제와는 그 성분을 달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위와 같은 관점으로 개발된 것은 아직까지 없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 알려진 미백효과가 있는 성분과 한방재료 등을 혼합하여 유두 및 유륜에 적용하여도 안전성이 뛰어나고 유두 및 유륜의 탁월한 미백효과는 물론 보습효과까지 발휘할 수 있는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두 및 유륜 뿐 만아니라 여성의 외음부에 적용하여도 안전성이 뛰어나고 외음부의 미백효과는 물론 보습효과까지 발휘할 수 있는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알려진 미백기능을 가지는 천연원료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유두 또는 외음부 등의 특정 부위의 피부에 적용되기 위하여 안정성이 뛰어나고 동시에 탁월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보습효과는 물론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내는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로서 다음과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은 알부틴 2∼6중량%, 콜라겐 파우더 2∼4중량%, 비타민 C 유도체 3∼6중량%, 비타민 E 3∼6중량%, 감초 추출물 4∼6중량%, 당귀 추출물 4∼6중량%, 진주 파우더 1∼3중량%로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물이 조조바 오일을 15∼25중량%를 더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백화장품 조성물은 크림제, 팩, 에센스, 세럼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은 종래의 미백성분인 알부틴 및 비타민 C 성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미백효과에 비하여 추가되는 미백성분들의 상호보완적인 티로시나제 억제작용 및 그에 따른 멜라닌 색소형성 억제작용에 의하여 월등히 우수한 상승된 미백효과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선행기술에서 미백성분으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오던 성분은 알부틴 및 비타민 C 성분 등이다. 그러나 이들 성분들을 화장품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조 과정중에 또는 제품의 보관중에 착색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착색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량의 첨가제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유효성분을 소량으로 첨가하여야 하는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첨가제 성분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을 소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만큼의 충분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미백성분들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유두에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종래의 미백제 보다 우수한 미백 효과를 발휘하고, 보습효과는 물론,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성분들을 집중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기존의 미백성분에 인체에 해가 없는 한방재료인 감초, 당귀와 진주 파우더 등을 적정량을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외음부의 미백화장품으로서의 적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두용 미백 화장품에 사용되는 미백성분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알부틴 (Arbutin) :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그에 따른 멜라닌 색소형성 억제작용을 하는 미백성분으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오던 성분이다.
(2) 비타민 C 유도체(Sodium Ascorbyl Phosphate) :
피부조직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고, 피부의 세포를 건강하게 하며 동시에 피부의 색소발생을 줄이며 색소를 엷게 희석하여 주는 것으로, 피부 미백제의 기본 원료로서 비타민 C보다 적은 자극에서도 파괴가 잘 되지 않는다.
(3) 콜라겐 (Marin Collagen) :
피부 내에 존재하는 성분으로 보습효과가 탁월하며 피부를 매끄럽게 해주고, 알부틴과 함께 사용 하였을 경우 보습효과로 인한 알부틴의 미백효과 증대 및 피부 탄력 강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파우더 형태로 사용한다.
(4) 비타민 E :
피부의 내부로 흡수되어 주름과 검은 피부의 발생원인이 되는 래디컬(Radical)의 발생을 억제 하고, 피부에 탄력 및 활력 주는 역할을 한다.
미백작용을 하는 타 성분과 함께 사용 시 미백 상승작용이 있음을 확인함.
(5) 감초 (Licorice Extract: Glycyrrhiza Glabra Extract) :
피부속 깊이 흡수되어 유두, 겨드랑이 등이 검게 변하는데 원인이 되는 멜라닌 색소를 억제함과 동시에 세포 활성 작용과 항염증작용을 하여 티로시나아제 작용을 억제 하면서 피부미백에 도움을 준다.
미백작용을 하는 타 성분과 함께 사용 시 미백 상승작용이 있음을 확인함. 본 발명에서는 감초의 추출물을 사용함.
(6) 당귀(Angelica Acutiloba Root Extract) :
당귀의 뿌리에서 얻은 추출물은 인체 내에서 기와 혈이 혼란하여 병이 생길 때 혈을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기능 즉, 혈을 보하는 작용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은 유두 및 외음부에 적용하여 유두 피부의 혈액 순환을 증진하여 신진대사를 돕고 면역력을 강화하여 항알러지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염증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미백제가 미비한 알러지 증상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함.
(7) 진주 파우더 :
음이온 방사력이 높고, 혈액 순환을 도와주며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피부를 맑게 개선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혈액순환 촉진작용 및 미백에 효과를 주며, 특히 타 성분들이 혈액순환을 통하여 피부 내의 멜라닌 색소 침착의 기회요인을 빠르게 억제하도록 하는 미백 상승작용이 있음을 확인함.
(8) 조조바 오일(Jojoba Oil) :
피부 하층에 흡수되어 피부의 건조방지를 위한 수분유지를 돕고 건조한 피부를 보호하며, 타 성분의 흡수를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9) 정제수 :
크림 타입에 미백 조성물을 희석하기 위하여 사용함.
본 발명은 기존의 미백성분에 인체에 해가 없는 한방재료인 감초, 당귀와 진주 파우더 등을 배합의 적정 배합량을 찾기 위하여 많은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최적 배합비율이 찾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미백화장품 조성물은 알부틴 2∼6중량%, 콜라겐 파우더 2∼4중량%, 비타민 C 유도체 3∼6중량%, 비타민 E 3∼6중량%, 감초 추출물 4∼6중량%, 당귀 추출물 4∼6중량%, 진주 파우더 1∼3중량%, 조조바 오일을 15∼25중량%로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알부틴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일 경우 그 양이 매우 작아 미백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중량% 초과시에는 용해도가 나쁘기 때문에 제제화시키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가 좋다.
콜라겐 파우더는 알부틴의 미백효과 및 보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2∼4중량%가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3중량%가 좋다.
비타민 C 유도체는 알부틴과 함께 피부의 색소발생을 줄이고 색소를 엷게 희석하여 주는 것으로, 3∼6중량%가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5중량%가 좋다.
비타민 E는 알부틴 및 비타민 C 유도체의 미백작용을 상승하게 함과 동시에 유두 피부에 탄력 및 활력을 주는 것으로 3∼6중량%가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5중량%가 좋다.
감초 추출물은 알부틴 및 비타민 C 유도체의 미백작용을 상승하게 함과 동시 에 항염작용을 하는 것으로 4∼6중량%가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5중량%가 좋다.
당귀 추출물은 항알러지 및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하는 것으로 유두에 특히 필요한 성분으로 4∼6중량%가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5중량%가 좋다.
진주 파우더는 유두 피부의 혈액순환 촉진작용 및 알부틴 및 비타민 C 유도체의 미백작용을 상승하게 하는 것으로 1∼3중량%가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2중량%가 좋다.
조조바 오일은 유두 피부의 수분유지를 돕고 알부틴 및 비타민 C 유도체 등의 타 성분의 흡수를 촉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15∼25중량%가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20중량%가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합비로 혼합된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은 크림제, 팩, 에센스, 세럼 등에 첨가되어 제품화될 수 있고, 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조성물 실시예]
[조성물예 1 : 크림제]
성분 함량(중량%)
알부틴 5
비타민 C 유도체 5
콜라겐 파우더 3
비타민 E 5
감초 추출물 5
당귀 추출물 5
진주 파우더 2
조조바 오일 2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크림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크림제를 제조한다.
[조성물예 2 : 팩]
성분 함량(중량%)
알부틴 5
비타민 C 유도체 5
콜라겐 파우더 3
비타민 E 5
감초 추출물 5
당귀 추출물 5
진주 파우더 2
조조바 오일 10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팩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팩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화장품 조성물은 종래에 알려진 미백기능을 가지는 미백성분인 알부틴이나 비타민 C 유도체에 의하여 얻어지는 티로시나제 억제작용 및 그에 따른 멜라닌 색소형성 억제작용에 대한 미백효과에 비하여, 안정성이 뛰어나고 동시에 탁월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보습효과는 물론 항염 및 항 알러지 효과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효과로 인하여 유두나 외음부 등의 민감한 특정 부위의 피부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3)

  1. 알부틴 2∼6중량%, 콜라겐 파우더 2∼4중량%, 비타민 C 유도체 3∼6중량%, 비타민 E 3∼6중량%, 감초 추출물 4∼6중량%, 당귀 추출물 4∼6중량%, 진주 파우더 1∼3중량%로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조조바 오일을 15∼25중량%를 더 혼합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화장품 조성물은 크림제, 팩, 에센스, 세럼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
KR1020040054306A 2004-07-13 2004-07-13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 KR20060007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306A KR20060007075A (ko) 2004-07-13 2004-07-13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306A KR20060007075A (ko) 2004-07-13 2004-07-13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075A true KR20060007075A (ko) 2006-01-24

Family

ID=3711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306A KR20060007075A (ko) 2004-07-13 2004-07-13 유두용 미백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70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37555B (zh) 外用皮肤护理制剂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2805721A (zh) 一种中药美白面膜
US20060083708A1 (en) Composition using mineral salts for cosmetic or therapeutic treatment
KR20200034954A (ko) 피부 및/또는 점막을 수화시키기 위한 네펠리움 라파세움의 과피의 추출물의 용도
Neena et al. An ancient herb aloevera in dentistry: A review
CN111529477A (zh) 一种用于护理头发的组合物及其制剂和应用
KR20170112750A (ko) 프로폴리스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340777B (zh) 一种祛斑霜
CN108434057A (zh) 一种温和祛斑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511211B (zh) 一种抗炎祛痘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CN101507693B (zh) 婴儿用护臀霜
Ghod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Facial Scrub Containing Sunflower Seeds And Other Natural Ingredients
KR20170133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771326B (zh) 一种用于美白修护面膜的组合物
KR20110078559A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1329829A (zh) 一种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CN106333918A (zh) 凹凸棒晒后修护面霜
CN106039022A (zh) 一种亮肤美白中药组合物、亮肤美白中药制剂、亮肤美白面膜、制备方法
KR10125256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101736478B1 (ko) 여드름 치료에 효능이 있는 로션 제조방법
CN112370404B (zh) 一种保湿美白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RU2571273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нтенсивного увлажнения и лифтинг-эффекта кожи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