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037A -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시퀀스들 - Google Patents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시퀀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037A
KR20060007037A KR1020057020362A KR20057020362A KR20060007037A KR 20060007037 A KR20060007037 A KR 20060007037A KR 1020057020362 A KR1020057020362 A KR 1020057020362A KR 20057020362 A KR20057020362 A KR 20057020362A KR 20060007037 A KR20060007037 A KR 20060007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al
sequence
sequences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란트 에른스트
페트라 카스틀
만프레트 라이트게프
하겐 샤이베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0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04Recording calls, or communications in printed, perforated or other permanent form
    • H04M15/06Recording class or number of calling, i.e. A-party or called party, i.e. B-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45Customizing according to wishes of subscriber, e.g. friends or fami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33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location-dependent, e.g. business or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9Provisions for intelligent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2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intellig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08Customization according to wishes of subscriber, e.g. customer preferences, friends and family, selecting services or billing option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P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20Technology dependant metering
    • H04M2215/2026Wireless network, e.g. GSM, PCS, TA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32Involving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4Rating aspects, e.g. rating parameters or tariff determination apects
    • H04M2215/7435Location dependent, e.g. Bussiness or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04M3/4211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where the identifier is used to access a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접속-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 시퀀스들을 제공하는 특히 효율적이면서 비용-효과적인 능력이 통신 네트워크에서 접속-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 시퀀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설명된다. 접속-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로서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가 적어도 하나의 호출 번호를 위해 선택되고, 적어도 하나의 호출 번호가 호출될 때,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다중-토널 시퀀스가 접속-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 시퀀스들{MULTI-TONAL SEQUENCES FOR USE AS CONNECTION-STATUS SIGNALING SEQUENCES}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 시퀀스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네트워크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에서는, 예컨대 대기 신호음(steady tone), 발신 신호음(dial tone), 울림 신호음(ringing tone) 또는 통화중 신호음(busy tone), 통화 대기 신호음 및 다른 가청 신호음들이 통신 단말기의 발신 사용자(calling user)나 착신 사용자(called user)에 대한 시그널링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은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음을 포함하며, 하나의 시간 구간 내에 전혀 중단되지 않거나 한번 중단되거나 또는 여러번 중단된다. 상기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의 구조는 적절한 양의 정보가 대부분의 경우에 시그널링될 수 있지만 이러한 정보가 매우 제한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의 정보 컨텐트를 최대화시키는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독립항의 요지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다중-토널 시퀀스들이 통신 네트워크의 저장 엘리먼트에 저장된다. 다중-토널 시퀀스들은 뮤직, 음성 등일 수 있다. 만약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러한 저장 엘리먼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를 선택한다면, 이는 사용자의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에서 플래그된다.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호출이 이루어질 때는, 저장 엘리먼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서 이미 선택되어진 다중-토널 시퀀스가 각각의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의 정보 컨텐트가 최대화되고 최적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회사들은 착신측의 이름, 접속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호출자에게 제공하는 전용의 특정 뮤직 시퀀스나 시퀀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인텔리전트 네트워크와 착신측 처리(CPH)에서의 기능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파트 1).
도 2는 인텔리전트 네트워크와 착신측 처리(CPH)에서의 기능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파트 2).
도 3은 스위칭 유닛(MSC)에 통합되어 있는 서비스 로직 유닛의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파트 1).
도 4는 스위칭 유닛(MSC)에 통합되어 있는 서비스 로직 유닛의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파트 2).
도 5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사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유닛의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인텔리전트 네트워크에서의 기능 사용을 나타내고 있다. 새로운 서비스(2)(뮤직 서비스)가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에서 구현된다. 이러한 처리에서는 상기 뮤직 서비스(2)가 착신측 처리(CPH) 기능 "Announcement during connection set-up"을 활용한다. 인텔리전트 네트워크(IN) 서비스를 사용하길 원하는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에서 플래그된다. 일예로 CAMEL 가입 정보를 종료시키는 이러한 플래그가 질의 동안에 스위칭 유닛(게이트웨이 MSC)의 인터페이스에 전송된다. 컴퓨터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다중-토널 시퀀스들을 선택하거나 또는 그들의 선택을 바꿀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UMTS, GPRS 및 GSM 사용자들은 그들의 이동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여 다중-토널 시퀀스들을 선택할 수 있다.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또는 UI(User Inactive) 다이얼로그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MS B)의 관련된 B 사용자의 스위칭 유닛(GMSC)의 인터페이스가 통신 단말기(MS A)의 발신 사용자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기 시작할 때,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는 MAP 메시지 "Send routing information), 예컨대 SRI(MSISDN=01715040302)를 통해 질의된다. 인텔리전트 네 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길 원하는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들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에서 플래그된다. 만약 다른 다중-토널 시퀀스들이 통신 단말기(MS B)의 착신 사용자에 대한 접속 상태의 기능으로서 선택된다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는 제공 가입자 정보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MS B)의 착신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VLR(visited location register)에 전송하고, 그럼으로써 접속 상태(예컨대, 프리(free), 통화중, 사용가능하지 않음(unavailable))가 질의된다. VLR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HLR은 종료 CAMEL 가입 정보 T-CSI, 예컨대 SRI_Result(T-CSI, 상태=프리)나 또는 다른 플래그와 함께 통신 단말기(MS B)의 착신 사용자에 대한 접속 상태를 스위칭 유닛(GMSC)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한다. 질의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스위칭 유닛(GMSC)의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에 있는 뮤직 서비스(2)를 활성시킨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에 있는 뮤직 서비스(2)는 뮤직 디렉토리 리스트(MVL)를 평가하고, 사용될 다중-토널 시퀀스를 설정하고, INAP/CAP 동작 메시지 "Establish temporary connection" OP:ETC(annID=10)를 통해 예컨대 "뮤직 박스(1)"와 같은 외부 IP 유닛으로의 접속 설정을 개시하고, 예컨대 (annID=10)와 같은 표시자를 갖는 IP 유닛에 다중-토널 시퀀스의 식별 번호를 전송하며, 통신 단말기(MS A)의 발신 사용자에게 IP 유닛을 접속시킨다. 뮤직 박스는 데이터 또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베이스, 디렉토리 등일 수 있다. 통신 단말기(MS B)의 착신 사용자로의 접속 설정은 INAP/CAP 동작 메시지들 "Initiate call attempt" OP:ICA, "Continue with argument" OP:CWA 및 "Request report BCSM" OP:RRB에 의해서 스위칭 유닛(GMSC)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의 뮤직 서비스(2)에 의해 동시에 개시된다.
도 2는 인텔리전트 네트워크와 착신측 처리(CPH)에서 기능을 사용하여 접속을 설정하는 제 2 파트를 나타내고 있다. 통신 단말기(MS B)의 착신 사용자가 ISUP 명령 "Answer" O:ANM으로 응답하자마자, 이러한 사실은 INAP/CAP 동작 메시지 "Event report BCSM" OP:ERP를 통해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에서 뮤직 서비스(2)에 보고된다. 다음으로, 뮤직 서비스(2)는 INAP/CAP 동작 메시지 "Disconnect forward connection with argument" OP"DFCWA를 통해 통신 단말기(MS A)의 발신 사용자에 대한 로그온을 차단하며, INAP/CAP 동작 메시지 "Merge(A, B)" OP:Merge(A,B)를 통해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두 사용자들을 접속시킨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의 뮤직 디렉토리는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들간의 링크, 하나 또는 다수의 다중-토널 시퀀스들 및 어나운스먼트 식별 번호(announcement identification number)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스트(MVL)의 엔트리는 그에 의해서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에 의해 다른 방식들로 변경될 수 있다.
a)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이용가능한 다중-토널 시퀀스들이 인터넷을 페이지를 통해서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에 의해 청취되어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되어진 다중-토널 시퀀스는 통신 단말기(MS A, MS B) 사용자의 MSISDN 및 어떤 경우에는 패스워드와 함께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의 뮤직 서비스(2)에 전송된다. 상기 뮤직 서비스(2)에서는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가 뮤직 서비스(2)를 사용하도록 허가되는지 여부가 검증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보가 서비스 제어 포 인트(SCP)에 전송되고, 리스트(MVL)가 업데이팅된다. 리스트(MVL)의 업데이팅이 확인된다. 리스트(MVL)는 또한 다중-토널 시퀀스들을 사용하기 위해 예컨대 다중-토널 시퀀스들에 대한 기준이나 조건들, 예컨대 날짜 및 시간, 발신 호출 번호들에 다중-토널 시퀀스들의 할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의 사용 (특히, 비-UMTS/GPRS 사용자들에 대해). 어나운스먼트 식별 번호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정은 인터넷 등을 통해서 네트워크 운영자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CAMEL 단계(2)의 성능을 통해서, VLR이나 VMSC(visited switching unit) 및 HLR을 통해 통신 단말기(MS A, MS B)로부터의 USSD 메시지들을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에 시그널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뮤직 서비스(2)를 사용하길 원하는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들은 HLR에서 U-CSI(USSD-CSI)를 통해 플래그된다. U-CSI 플래그는 다중-토널 시퀀스들에 대한 뮤직 서비스(2)를 위해 정해지는 서비스 액세스 코드와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의 E.164 주소를 포함하는데,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에서는 뮤직 디렉토리 리스트(MVL)가 이용가능하다. 만약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가 리스트(MVL)에서 다중-토널 시퀀스 선택을 바꾸길 원한다면, 상기 사용자(MS A;MS B)는 서비스 액세스 코드를 다이얼링한다. 다음으로, 통신 네트워크는 USSD 다이얼로그를 뮤직 서비스(2)에 전송한다.
c)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에 의해서 개시되는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에서의 대화방식 사용자 다이얼로그(UI 다이얼로그) 사용. 어나운스먼트 식별 번호가 그에 의해서 통신 단말기(MS A, MS B)로부터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 에 전송된다.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는 예컨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뮤직 서비스(2)에 대한 인증 및 승인 액세스를 검증한다.
서비스를 변경하기 위한 여러 옵션들이 존재한다.
a) 정액요금제로 서비스에 대해서 매달 요금을 청구
b) 통화마다 서비스에 대해서 요금을 청구
c) 개인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서비스에 대해 요금을 청구하지 않고 단지 회사에 대해서만 청구
d) 다중-토널 시퀀스들의 선택 변경에 대해서 요금을 청구.
미리 지불된 서비스와 뮤직 서비스(2)의 결합이 또한 다음과 같은 옵션들을 유도할 수 있다.
a) 뮤직 서비스(2)는 미리 지불된 서비스에 링크된다. 두 개의 상이한 플래그들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서 사용된다. 상기 두 플래그는 뮤직 서비스(2)가 없는 미리 지불된 서비스의 사용에 대한 하나의 플래그와 뮤직 서비스(2)를 갖는 미리 지불된 서비스의 사용에 대한 하나의 플래그이다. 상기 플래그는 로밍 접속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로밍 접속이 요금징수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스위칭 유닛(MSC)에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그들의 홈 네트워크(HPLMN) 밖에 있는 로밍 가입자가 아니라면, 단지 뮤직 서비스(2)만이 활성된다. 만약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그들의 홈 네트워크(HPLMN)의 밖에 있는 로밍 가입자라면, 변경되어진 미리 지불된 서비스가 플래그에 의해 활성된다. 이러한 미리 지불된 서비스는 어나운스먼트 식별 번호와 같은 착신 호출 번호에 프 리픽스나 더미를 추가한다. 이는 스위칭 유닛(MSC)으로 하여금 스위칭 유닛(GMSC)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뮤직 서비스 서버를 트리거시키도록 한다. 만약 뮤직 서비스(2)가 MS A와 MS B간의 접속을 설정한 이후에 MS B가 응답한다면, 이러한 사실은 미리 지불된 서비스에 보고되고 후자는 상기 서비스에 대해서 요금을 청구한다.
b)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서 조정되는 두 개의 개별적인 서비스들이 사용된다. 두 가지 서비스들, 즉 뮤직 서비스 및 미리 지불된 서비스를 사용하길 원하는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에 대해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에는 상이한 두 T-CSI(Terminating CAMEL Subscription Information) 엘리먼트들이 존재한다. 만약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그들의 홈 네트워크(HPLMN) 밖에 있는 로밍 가입자가 아니라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는 스위칭 유닛(GMSC)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뮤직 서비스(2)에 대한 플래그를 스위칭 유닛(MSC)에 전송할 것이다. 만약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그들의 홈 네트워크(HPLMN) 밖에 있는 로밍 가입자라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는 스위칭 유닛(GMSC)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미리 지불된 서비스에 대한 플래그를 스위칭 유닛에 전송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예에서는, 뮤직 서비스(2)는 단지, 통신 단말기(MS B)의 착신 사용자가 호출 시에 그들의 홈 네트워크 내에 있는 경우에만, 기능을 한다. 사용될 서비스에 대한 플래그 전송의 다른 기준이 또한 가능하다.
c) 뮤직 서비스(2)가 미리 지불된 서비스에 포함된다. 뮤직 서비스(2) 및 뮤직 디렉토리 리스트(MVL)가 미리 지불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든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에서 이용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는 미리 지불된 서비 스를 먼저 시작하고, 이어서 뮤직 서비스(2)를 계속한다.
d) 다중 트리거 검출 포인트(TDP)가 사용된다.
도 3 및 도 4는 스위칭 유닛(MSC)에 포함된 서비스 로직 유닛의 사용을 나타낸다. 뮤직 서비스(2)의 사용자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에 플래그를 구비하는데, 상기 플래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유닛(GMSC)을 통해서 질의 처리 동안에 스위칭 유닛(MSC)에 전송된다. 만약 상기 플래그가 스위칭 유닛(MSC)에서 검출된다면, 내부 뮤직 서비스 서버(ISL)가 주소지정된다. 상기 플래그는 예컨대 서비스 키를 갖는 T-CSI일 수 있는데, 상기 서비스 키는 뮤직 서비스 서버(ISL)가 트리거되어야 하며 서비스 제어 포인트가 트리거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뮤직 서비스 서버(ISL)는 뮤직 디렉토리 리스트(MVL)를 검사하고, 어나운스먼트 식별 번호를 결정하며, ISUP 메시지 "Initialize address message" O:IAM를 외부 IP 유닛에 전송하거나 또는 뮤직 박스(1)에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예컨대 착신 호출 번호를 가지고 전송되며, 외부 IP 유닛이나 뮤직 서비스 서버(ISL)에 보고된다. 두 통신 단말기들(MS A, MS B) 간의 접속 설정은 이와 동시에 계속된다. 상기 접속은 통신 단말기(MS B)가 응답할 때 이루어진다.
어나운스먼트 식별 번호로서 서비스 키의 다른 숫자들 또는 영숫자(alphanumeric characters)를 사용함으로써 스위칭 유닛(MSC)이 다른 서비스 로직 유닛들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접속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다른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모든 다중-토널 시퀀스에 대한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의 플래그가 뮤직 디렉토리 리스트(MVL)에 존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다중-토널 시퀀스들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가 상이한 USSD 액세스 코드들을 평가하고 그것들을 서비스 제어 포인트에 전송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은 USSD 다이얼로그의 처음에 검증된다. 그런 후에, 상기 사용자(MS A, MS B)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에 있는 새로운 또는 수정된 플래그들을 통해서 사용될 다중-토널 시퀀스들을 새롭게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본 발명의 사용을 나타낸다. 본 경우에 뮤직 서비스 서버(ISL)는 뮤직 서비스(2)에 포함된다. 뮤직 서비스(2)는 ISUP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나 CAMEL 또는 SIP를 통해서 어드레싱될 수 있다. 다중-토널 시퀀스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뮤직 박스(1)는 이러한 뮤직 서비스(2)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유닛으로 될 수 있다.
뮤직 디렉토리 리스트는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서 제공될 필요가 없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는 UMTS 및/또는 GPRS의 사용자가 특히 관심있어 하는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이는 상기 서비스가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로 하여금 관심있는 것으로의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용될 다중-토널 시퀀스들을 항상 업데이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유닛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다. 통신 단말기 (MS A, MS B)의 사용자가 사용할 다중-토널 시퀀스를 선택하거나 수정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 유닛(E)에서 수신되어 처리 유닛(V)에 전송된다. 처리 유닛(V)은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에 플래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상기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인증을 검증한다. 다음으로, 처리 유닛(V)은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가 뮤직 디렉토리 리스트에 대해 선택 또는 수정하는 것을 추가한다. 통신 단말기(MS A)의 발신 사용자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에, 처리 유닛(V)은 전송 유닛(S)을 통해서 뮤직 디렉토리 리스트(MVL) 내의 정보를 다른 네트워크 유닛들에 전송한다.

Claims (16)

  1. 통신 네트워크에서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 시퀀스들(multi-tonal sequences)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가 적어도 하나의 호출 번호에 대한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로서 선택되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다중-토널 시퀀스가 적어도 하나의 호출 번호로의 호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로서 사용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가 데이터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저장 엘리먼트(1)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가 선택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 번호로의 호출에 대해서 위치, 날짜 및/또는 시간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에 따라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2, ISL, SCP)이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해 단말기(MS A, MS B) 및/또는 데이터/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USSD 메시지가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번호,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다중-토널 시퀀스 및/또는 상기 다중-토널 시퀀스의 사용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조건(들)이 저장 엘리먼트(MVL)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MS A)의 발신 사용자(calling user)의 날짜, 시간 및/또는 호출 번호가 조건으로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어떤 다중-토널 시퀀스가 어떤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를 위해 사용될 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저장 엘리먼트(MVL)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UI 다이얼로그가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을 위해서, 스위칭 유닛(MSC)의 서비스 로직 유닛(ISL),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들)가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에 의한 다중-토널 시퀀스의 선택 및/또는 사용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MS A, MS B)의 사용자에 의한 인텔리전트 네트워크의 사용이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에서 플래그되는(flagg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SUP, CAMEL 및/또는 SIP 메시지들이 상기 다중-토널 시퀀스의 선택 및/또는 사용을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방법.
  13.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닛에서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 시퀀스들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통신 단말기(MS A, MS B)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E);
    통신 단말기(MS A, MS B) 사용자의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를 선택하는 것에 관한 플래그를 입력하며, 상기 통신 단말기(MS A, MS B) 사용자로의 호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선택된 다중-토널 시퀀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을 개시하는 처리 유닛(V);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유닛에 전송하는 전송 유닛(S)을 포함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포인트(SCP), 서비스 로직 유닛(ISL)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들)가 네트워크 유닛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 엘리먼트(1)가 적어도 하나의 다중-토널 시퀀스를 저장하기 위해서 데이터 및/또는 통신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E), 상기 처리 유닛(V), 상기 전송 유닛(S), 상기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 및/또는 상기 저장 엘리먼트(2)가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토널 시퀀스 제공 장치.
KR1020057020362A 2003-05-05 2004-04-19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시퀀스들 KR20060007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9981A DE10319981A1 (de) 2003-05-05 2003-05-05 Multitonale Sequenzen zur Verwendung als Verbindungs-Status-Signalisierungs-Sequenzen
DE10319981.0 2003-05-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037A true KR20060007037A (ko) 2006-01-23

Family

ID=3342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362A KR20060007037A (ko) 2003-05-05 2004-04-19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시퀀스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60007037A (ko)
CN (1) CN1784885A (ko)
DE (1) DE10319981A1 (ko)
WO (1) WO2004100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0523B2 (ja) 2004-03-17 2008-10-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音情報提供システム
FR2887733A1 (fr) * 2005-10-10 2006-12-29 France Telecom Systeme et procede de personnalisation d'une application de telecommunications, et equipement susceptible d'etre utilise dans un tel systeme
US20070121595A1 (en) * 2005-11-30 2007-05-31 Batni Ramachendra 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ringback to calling party devices in an IM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7658A (en) * 1991-06-20 1996-09-17 Quantum Systems, Inc. Communications marketing system
AU5490198A (en) * 1997-01-15 1998-08-07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Telephone exchange
KR20000030035A (ko) * 1999-02-18 2000-06-05 김강석 링백톤을 이용한 광고방법
JP2002117067A (ja) * 2000-10-12 2002-04-19 Pioneer Electronic Corp 電話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広告情報提供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19981A1 (de) 2004-12-16
CN1784885A (zh) 2006-06-07
WO2004100516A1 (de)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3486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
US6876860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call-back service in a mobile radio network
US6018737A (en) 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s service for an advanced intelligent network
US55839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a call to a number corresponding to a virtual public dial plan or to an existing dial plan
CN101146266B (zh) 为用户增加特殊用途号码的方法及系统
US7340049B2 (en) Feedback to calling communication device on call connected with intelligent network signaling
CA2739818C (en) Regional zone based mobile charging
CA2311367A1 (en) Multiple subscriber service profiles per mobile st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CN1863252B (zh) 为用户增加特殊用途号码的方法及系统
CN101682679B (zh) 经由不同网络之间的互连来建立反向呼叫
EP2111030B1 (en) Group telephone exchange service charging method and service controlling device
JPH1093700A (ja) 加入者の同一性を伴うネットワーク間呼転送
JP4824291B2 (ja) アナウンス・サーバ・コンポーネントに着信接続される呼の呼カテゴリ
WO2000011889A9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alling-party-pays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20090036122A1 (en) cdma intelligent network system and its method, device for realizing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CA2430879A1 (en) Number portability and services utilizing number range owner information
JP2008541667A (ja) 秘密ルーティング制御番号
US6771757B1 (en) Method for producing a service profile based on user's choice for an exten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776091B1 (ko) 지적 네트워크형 원격 통신 시스템 및 중복 요금 청구회피 방법
US69311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 use busy message
US749310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charges in real time for value-added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P2190223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rwarding a call to an international number
US20050130649A1 (en) Dynamically controlling wireless long distance routing while roaming
KR20060007037A (ko) 접속 상태 시그널링 시퀀스들로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토널시퀀스들
US20070189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external service logic for calls involving number portability L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