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826A -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826A
KR20060004826A KR1020040053033A KR20040053033A KR20060004826A KR 20060004826 A KR20060004826 A KR 20060004826A KR 1020040053033 A KR1020040053033 A KR 1020040053033A KR 20040053033 A KR20040053033 A KR 20040053033A KR 20060004826 A KR20060004826 A KR 20060004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ryer
cylindrical
metal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158B1 (ko
Inventor
김명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158B1/ko
Priority to US11/059,679 priority patent/US7340849B2/en
Publication of KR2006000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용 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비용을 현저히 낮출 뿐만 아니라 기존 드럼과는 달리 드럼 내주면의 찍힘 발생시 찍힌 자리가 쉽게 육안으로 발견되지 않도록 하고, 드럼 내주면의 부식 발생이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한 건조기용 드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를 이루는 스틸층와, 상기 스틸층 위에 코팅되는 내식성의 금속피막과, 상기 금속피막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베이스를 이루는 스틸층과 그 위에 코팅되는 금속피막 및, 다시 그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으로 이루어진 금속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시트를 원통형으로 말은 다음, 맞닿은 이음부를 용접하여 원통형 드럼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양단부를 축관(縮管)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부를 제외한 중앙부위에 비드를 가공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 성형된 양단부 테두리가 겹쳐지도록 구부려 접는 헤밍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건조기, 드럼, 금속, 유기, 피막, 축관, 성형, 비드, 헤밍

Description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structure of drum in dryer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도 1은 기존 건조기의 구조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기존 드럼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드럼의 재질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드럼 성형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4b는 도 4a의 성형과정별 드럼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드럼 성형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세분하여 나타낸 블록도
도 6a 내지 도 6g는 성형 과정별 드럼 및 성형장치를 나타낸 참고 상태도로서,
도 6a는 축관 성형 직전으로서, 상부금형 어셈블리 하강전 상태도
도 6b는 상부금형 어셈블리 하강에 의한 드럼 양단부 축관 성형중 상태도
도 6c는 축관 성형직후의 상태도
도 6d는 비드 및 헤밍 가공을 위한 상하부 외측 금형의 퇴피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e는 비드 성형시의 상태도
도 6f는 헤밍 가공 후의 상태도
도 6g는 전(全) 가공 완료 후, 코어금형의 수축동작에 의해 드럼이 이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h는 상부금형 어셈블리 상승후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적용되는 드럼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드럼 100:스틸층
110:금속피막 120:유기피막
1a:축관부 1b:비드
30:모터 40:상부금형 어셈블리
41:상부 캠 42:상부 코어금형
43:상부 외측금형 50:중간 코어금형 어셈블리
51:중간 캠 52:중간 코어금형
520:피난홈 60:하부금형 어셈블리
61:하부 캠 62:하부 코어금형
63:하부 외측금형 70:롤러
본 발명은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건조기에 장착되는 드럼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드럼내에 투입된 의류등의 건조대상물에 전기히터 또는 가스연소장치등에 의해 발생한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를 행하는 기기로서, 근래에 그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도 1은 기존의 건조기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그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미도시)의 내부에 드럼(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은 전체적으로는 원통형으로서 그 전·후방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미도시)가 감겨지는 벨트홈(2)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공간인 건조챔버(5)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드럼(1)의 회전시 상기 건조챔버(5)내의 건조대상물을 끌고 올려가 낙하시킴으로써 건조대상물을 뒤집어 주어 건조효율을 높이는 리프트(6)(lift)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게 각각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는 상기 드럼(1)의 앞쪽과 뒷쪽의 막아 건조챔버(5)를 형성하고 드럼(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회전하는 드럼(1) 사이 및, 상기 리어 서포터(9)와 회전하는 드럼(1)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10)가 설치된다.
물론, 프론트 서포터(7)와 상기 리어 서포터(9)에는 상기 드럼(1)을 지지하 기 위한 다수개의 롤러(미도시)가 상기 드럼(1)의 전방과 후방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서포터(7)에는 상기 건조챔버(5)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8)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8)은 도어(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서포터(9)에는 열풍공급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열풍공급덕트(12)는 상기 건조챔버(5)로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챔버(5)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통공(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챔버(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출구조립체(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에는 린트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건조챔버(5)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출구조립체(13)와 연통되게 린트덕트(15)가 설치되는데, 상기 린트덕트(15)의 내부로까지 상기 린트필터(14)가 위치된다. 상기 린트덕트(15)와 연결되어서는 블로워(17)가 설치되어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5)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블로워(17)는 블로워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18)은 일측이 상기 린트덕트(15)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19)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챔버(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덕트(1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블로워(17)의 송풍작용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입구측에는 가이드 펀넬(16)(Guide funnel)이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펀넬(16)은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상기 열풍공급덕트의 입구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펀넬(16)의 입구측에는 가스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제어하는 밸브, 가스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와 1차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관 및,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이그나이터등으로 이루어진 가스연소장치(20)가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은 건조기에 적용되는 드럼은 기존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성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스테인레스로 된 금속시트를 준비하여 이를 원통형으로 말은 다음, 맞닿은 이음부를 용접한다.
다음으로, 양단부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원통형 드럼의 중앙부위의 지름을 확장시키게 된다.
이 때, 중앙부위는 드럼 내측에 위치하는 여러개의 금형이 각각 드럼 내주면의 할당된 영역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붙임에 따라 확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드럼의 중앙부를 확관시킨 다음에는, 확관된 중앙부위에 비드(bead)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드럼의 전후방 양측 테두리를 구부려 접는 헤밍(hemming) 가공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드럼 제조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즉, 기존의 건조기용 드럼 성형 방법에 의하면, 드럼의 중앙부를 확관시킴에 있어, 안에서 금형으로 쳐서 바깥쪽으로 확관하는 방법을 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드럼 성형 공정 완료후, 외관상 드럼의 중앙부위에 금형의 분리 자국이 남게 되어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나아가 드럼의 진원도(眞圓度)를 저하시킴으로써 제품에 적용시 진동 및 소음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는 등 많은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이유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금속 시트를 원통형으로 말아 이음부를 용접한 후의 드럼이 축방향을 따른 각 위치에서의 직경이 정확히 일치하기가 어려운 상태에서, 드럼 내에 개별적으로 분리 설치된 금형이 중앙부위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붙이게 됨에 따라, 직경이 작은 쪽에서는 확관 정도가 커지게 되고, 직경이 큰 쪽에서는 확관정도가 작아지게 되며, 이로써 그 경계부위에 분리자국이 남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이와 같은 확관정도의 차이로 인해 외관이 고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중앙부위의 직경이 축방향을 따른 각 위치에 따라 제각기 달라지게 됨에 따라, 드럼의 진원도가 부위별로 현저히 틀려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기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드럼은 건조기등 제품에 적용시 진동 및 소음을 증가시키게 되는 등 제품 신뢰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건조기용 드럼은 그 재질의 특성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먼저, 기존의 건조기용 드럼은 전체가 스테인레스 스틸(STS)로 제작되므로 인해, 드럼의 제작에 드는 비용이 매우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기존의 드럼은 고광택의 제품으로서, 옷감에 부착된 금속재 단추나 동전등으로 인한 찍힘이나 신발 건조용 랙의 설치 및 탈거도중 발생하는 찍힘으로 인해, 드럼 내주면에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흔적이 남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건조기용 드럼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어서, 부식 발생시 적색의 녹(綠)이 발생됨으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쉽게 불량으로 인식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건조기용 드럼은 프레스 가공시, 금형과 금속 시트 사이에 윤활작용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없어 드럼 가공시 표면의 보호가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건조기용 드럼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 드럼과는 달리 드럼 내주면에 대한 찍힘 발생시 찍힌 자리가 쉽게 육안으로 발견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드럼 내주면의 부식 발생이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면서도 기존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한 건조기용 드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드럼 제조방법과는 달리 금형분리 자국이 남지않도록 함과 더불어 드럼의 전체적인 진원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적용시 건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를 이루는 스틸층와, 상기 스틸층 위에 코팅되는 내식성의 금속피막과, 상기 금속피막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으로 이루어짐으로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내식성의 금속피막과, 상기 금속피막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은 상기 스틸층 양측면에 모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서로 맞닿는 부분에 맞대기 용접에 의해 접합된 접합부를 가지는 원통형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양 단부에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개구부와, 상기 몸통부에 강도 보강을 위해 형성된 비드부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가 겹쳐지도록 헤밍 처리된 헤밍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건조기용 드럼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개구부 및 비드부가, 베이스를 이루는 스틸층와, 상기 스틸층 위에 코팅되는 내식성의 금속피막과, 상기 금속피막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를 이루는 스틸층과 그 위에 코팅되는 금속피막 및, 다시 그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으로 이루어진 금속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시트의 유기피막이 내측 에 위치하도록 금속시트를 원통형으로 말은 다음, 맞닿은 이음부를 용접하여 원통형 드럼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양단부를 축관(縮管)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부를 제외한 중앙부위에 비드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 성형된 양단부 테두리를 겹쳐지도록 구부려 접는 헤밍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스틸 재질의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스틸재 시트를 원통형으로 말은 다음, 맞닿은 이음부를 용접하여 원통형 드럼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양단부를 축관(縮管)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부를 제외한 중앙부위에 비드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 성형된 양단부 테두리를 겹쳐지도록 구부려 접는 헤밍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드럼 내주면에 부식이 방지되는 금속피막을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피막 위로 유기피막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드럼의 재질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드럼은, 베이스를 이루는 스틸층(100)와, 상기 스틸층(100) 위에 코팅되는 내식성의 금속피막(110)과, 상기 금속피막(110)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1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드럼은, 상기 유기피막(120)이 내주면을 형성하게 스틸층(100)이 외주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스틸층의 한쪽면으로 금속피막 및 유기피막이 코팅되는 상태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스틸층(100) 위에 코팅되는 내식성의 금속피막(110)과, 상기 금속피막(110)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120)은 스틸층을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 양측면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본 발명 드럼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4a는 본 발명의 드럼 성형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성형과정별 드럼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로서, 본 발명의 건조기용 드럼 성형과정을 크게 대별하면, 원통형 드럼(1)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1)의 양단부를 축관(縮管)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1)의 축관부(1a)를 제외한 중앙부위에 비드(1b)를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드럼(1)의 축관 성형된 양단부 테두리가 겹쳐지도록 구부려 접는 헤밍(hemming)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원통형 드럼(1)을 성형하는 단계는, 베이스를 이루는 스틸층(100)과 그 위에 코팅되는 금속피막(110) 및, 다시 그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120)으로 이루어진 드럼 제조용 금속시트(sheet)를 준비하여 이를 원통형으로 말은 다음, 상기 금속시트의 맞닿은 이음부를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이음부는 Plasma-TIG용접기를 이용하여 맞대기 용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드럼(1)의 중앙부위에 비드(1b) 성형시에는 롤러(70)를 이용하여 비드(1b)를 가공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드럼(1) 성형과정을 드럼 성형기와 연관지어 보다 자세히 구체적으로 세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드럼 성형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세분하여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a 내지 도 6g는 성형 과정별 드럼 및 성형장치를 나타낸 참고 상태도로서, 본 발명의 드럼(1) 성형에 적용되는 드럼 성형기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상부캠(41)과, 상기 상부캠(41)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코어금형(42)과, 상기 상부 코어금형(42) 외측에 이격설치되며 상기 상부 코어금형(42)과는 별도로 승강가능한 상부 외측금형(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부금형 어셈블리(40)와; 상기 모터(30)의 회전축과 일직선상에 연결되는 축상에 설치되는 중간캠(51)과, 상기 중간캠(51)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면에 피난홈(520)이 형성된 중간 코어금형(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중간 코어금형 어셈블리(50)와; 상기 상부금형 어셈블리(40)와 동일 구성으로서 상기 상부금형 어셈블리(40) 반대편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금형 어셈블리(60)와; 상기 상부금형 어셈블리(40)를 가압하는 프레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하부금형 어셈블리(60)는, 중간 코어금형(52)을 관통하는 축상에 설치되는 하부캠(61)과, 상기 하부캠(61)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코어금형(62)과, 상기 하부 코어금형(62) 외측에 이격설치되며 상기 하부 코어금형(62)과는 별도로 승강가능한 하부 외측금형(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드럼 성형기를 이용한 드럼 성형 과정은, 먼저, 드럼 성형기의 중간 코어금형(52) 외측에 원통형 드럼(1)을 삽입한다(도 6a 참조).
이 때, 상기 중간 코어금형(52) 외측에 삽입되는 원통형 드럼(1)은 중간 및 하부 코어금형(62)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드럼(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시트를 원통형으로 말은 다음, 맞닿은 이음부를 용접함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 다른 공지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드럼 성형기의 코어금형 외측에 원통형 드럼(1)을 삽입한 후에는, 프레스(미도시)의 누름력에 의해 상부금형 어셈블리(40)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1) 상단부가 상부금형 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상부 코어금형(42)과 상부 외측금형(43)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드럼(1)의 상단부 직경이 줄어드는 축관(縮管) 성형 과정이 수행된다(도 6b 참조).(제2단계)
여기서, 상기 드럼(1)의 상단부는 압력에 의해 상부 코어금형(42)의 외측면과 이에 형합하는 상부 외측금형(43)의 내측면 프로파일(profile)을 따라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로 변형됨으로서 축관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드럼(1) 상단부의 축관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금형 어셈블리(40)가 계속 하강하게 되면, 드럼(1)의 몸통부 하단부가 하부금형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하부 코어금형(62)과 하부 외측금형(63)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드럼 하단부에 대 한 축관 성형 과정이 수행된다(도 6c 참조).
이어, 드럼(1) 양단부의 축관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상부 외측금형(43) 및 하부 외측금형(63)의 퇴피(退避) 과정이 수행된다.(도 6d 참조)
그 후, 드럼(1)의 축관부(1a)를 제외한 부위중 소정 위치에 비드(1b)를 성형하는 가공을 행하게 된다(도 6e 참조).
이 때, 원통형 드럼(1)의 몸통부에 비드(1b)를 성형함에 있어서는, 상기 드럼 성형기의 모터(30)가 구동함에 따라 코어금형이 회전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드럼(1) 외측에 위치하던 각 롤러(70)가 대응하는 각 피난홈(520) 방향으로 이동하여 드럼(1)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롤러(70)에 의해 눌러진 부위가 피난홈(520)의 형상대로 변형됨으로써 비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비드 성형이 완료된 다음에는 드럼(1)의 축관 성형된 양측 테두리를 겹쳐지도록 구부려 접는 헤밍(hemming)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6f 참조).
그리고, 양측 테두리에 대한 헤밍 가공까지 끝마쳐 드럼 성형을 위한 전(全)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의 수축동작에 의해 코어금형(42)(52)(62)이 드럼(1)으로부터 이형(離型)되고(도 6g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코어금형들과 드럼(1)과의 간섭이 배제되어 드럼(1)이 코어금형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코어금형들의 수축동작에 앞서 외측으로 퇴피(退避)했던 하부 외측금형(63)이 드럼(1) 하단부를 떠받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코어금형과 드럼(1)과의 간섭이 배제된 후에 상부금형 어셈블리 (40)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상부방향으로의 간섭까지 완전히 배제되면 드럼 성형기로부터의 드럼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도 6h 참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에 의하면, 드럼(1)의 중간부위를 확장하는 대신 드럼(1)의 양측 단부를 축관시킴으로써 드럼(1) 중간부위에 분리된 코어금형들의 분리 자국이 남아 외관을 해치는 현상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드럼(1)의 중앙부위를 건드리지 않음에 따라 드럼 중앙부위의 진원도가 떨어지는 현상도 해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드럼이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드럼의 외관을 매끈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제품 적용시 진동 및 소음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건조기용 드럼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건조기용 드럼(1)은 금속시트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 맞대기 용접에 의해 접합된 접합부를 가지는 원통형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양 단부에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개구부; 상기 몸통부에 강도 보강을 위해 형성된 비드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가 겹쳐지도록 헤밍 처리된 헤밍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금속시트는 0.5~0.8mm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7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1)의 개구부 대 몸통부의 내경 비(혹은 외경비)는 0.9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1)의 개구부 내경 대 몸통부 내경의 비는 0.93~0.94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 인접 몸통부 외경으로부터 개구부의 외경까지의 깊이(C)는 25mm 이하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축관깊이(C)는 25mm이하가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금속시트를 이루는 스틸층(100) 위에 코팅되는 내식성의 금속피막(110)은 순전히 알루미늄이나 아연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알루미늄과 아연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알루미늄과 아연의 조성비는 동일 비율 혹은 다른 비율로 가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알루미늄과 아연 피막은 각각 용융도금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이다.
즉, 용융 아연 도금에 의해 형성된 피막은 국부적으로 스틸층(100)이 노출되더라도 아연자신이 부식하면서 스틸층(100)의 부식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용융 알루미늄 도금에 의해 형성된 피막은 높은 내화학성, 내구성, 내황화성, 내마모성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상기 금속시트를 구성하는 내식성의 금속피막(110)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120)은 폴리머(polymer)로서, 예를 들어, 우레탄,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에폭시-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유기피막(120)은 프레스 가공시 금형과 금속시트가 닿은 부분에서 윤활작용을 수행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기능하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은 일반 스틸에 내식성이 좋은 금속원소를 코팅함으로써 드럼 제조시의 비용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기피막으로 인해 프레스 가공시 작성성이 향상되며, 금속피막과 유기피막을 코팅하는 이중(二重)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표면의 부식 성능이 개선되어 최초의 표면상태가 장기간 유지된다.
한편, 상기 몸통부 또는 비드부의 외벽에 진동을 흡수하는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제진(制震)밴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드부의 폭이나 개수는 건조기의 타입이나 용량에 따라 도 4 또는 도 7에 예시된 바와는 다르게 적절히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한 방법에 의해 축관 성형될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몸통부의 확관 성형에 의해 개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의 양 단부에 헤밍 처리를 쉽게 하기 위해 소정 길이만큼 용접되지 않는 비(非) 용접부를 둘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조기용 드럼(1)에서 금속시트의 두께가 0.5~0.8mm 범위내에 들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금속시트의 두께가 0.5mm보다 작은 경우, 축관 또는 확관성형시 모재가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두께가 0.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건조 진행중 의류의 금속성 단추 등이 드럼(1)에 부딪힐 경우 소음이 커지게 된다.
한편, 금속시트의 두께가 0.8mm보다 큰 경우, 재료비 상승은 물론이고, 제조측면에서 축관 또는 확관성형시 프레스압이 커져야 하고, 무게가 무거워 드럼(1)을 캐비닛에 조립하는데 애로가 있다. 또한, 무게가 무거운 만큼 드럼(1)을 지지하는 롤러에 많은 하중이 가해져 부담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기용 드럼(1)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금속시트의 두께가 0.5~0.8mm 범위내에 들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드럼(1)의 개구부 내경 대 몸통부 내경비 또는 외경비(다른 말로 환언하면, 축관 비율)가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과 같이 드럼(1)을 축관(또는 확관)에 의해 제작할 경우, 금속시트의 두께는 축관 정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즉, 축관이라는 것은 금속의 연성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금속시트가 얇을 경우 필요한 만큼 축관을 시킬 수 없게 된다.
한편, 한정된 크기의 캐비닛(미도시) 내부에서 드럼의 용적을 키우기 위한 점과 드럼(1)의 개구부와 드럼 전방의 프론트 서포트(7 : 도 1참조)와의 상호 연관성을 고려한다면, 드럼(1)의 개구부는 몸통부로부터 일정 이상 축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많은 실험을 거쳐 최적화 되어 최소 두께로 개구부를 필요한 만큼 축관시킬 수 있는 건조기용 드럼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를 만족시키는 범위로서, 개구부 대 몸통부 내경비(B/A)가 0.9 이상일 때 금속시트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성등을 고려한 최적의 범위는 0.93 내지 0.94 부근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금속시트의 두께가 0.5mm이고, 몸통부 외경이 663mm, 개구부 외경이 616∼623mm로서, 몸통부 외경과 개구부 외경의 직경차이는 40∼47mm이고, 따라서 몸통부 외경으로부터 개구부 외경까지의 거리(C,축관 깊이; 도 7참조)는 20∼23.5mm 가 된다.
그리고, 금속시트의 두께가 0.5mm이고, 몸통부 외경이 663mm 일 때, 상기 몸통부 대 개구부 내경비가 0.9라고 하면, 몸통부 외경과 개구부 외경의 직경차이는 67mm이고, 몸통부 외경으로부터 개구부 외경까지의 거리(C;축관 깊이)는 33.5mm가 된다.
만약, 축관 깊이가 33.5mm보다 클 경우, 드럼 성형 중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그 이하가 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시트의 두께가 0.6mm일 때 축관깊이가 44mm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강도 보강을 위해 몸통부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비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드럼(1) 내부의 세탁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흡수 또는 저감하기 위해 몸통부 외경 혹은 벨트가 감기지 않는 비드부에 제진밴드를 감아둔다. 상기 제진밴드는 고무 또는 금속재로 구성 가능하며, 상기 제진밴드는 몸통부 외벽 혹은 비드부 외벽에 밀착된 형태로 고정된다.
한편, 드럼(1)의 접합부는 Plasma-TIG용접기를 이용하여 맞대기 용접(금속시 트의 단부가 서로 겹쳐지지 않고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된다. 그 이유는 금속시트가 서로 겹쳐져 있게 되면, 축관 또는 확관 성형시 다른 부분과 균일한 변형량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개구부 끝단의 헤밍 처리를 위해 상기 접합부의 양단부는 일정 길이만큼 접합되지 않아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스틸로 된 금속시트를 이용하여 상기한 도 6a 내지 도 6h의 과정을 거쳐 드럼을 성형한 후, 성형된 드럼의 내외주면 상에 부식이 방지되는 금속피막을 입히고, 이어서 상기 금속피막 위로 유기피막을 입힘으로써 본 발명의 드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건조기에 사용되는 드럼의 성형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건조기에 적용되는 드럼 뿐만 아니라, 축관이 요구되는 모든 형태의 드럼의 성형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기용 드럼의 구조가 개선됨에 따라 기존 드럼과는 달리 드럼 내주면에 대한 찍힘 발생시 찍힌 자리가 쉽게 육안으로 발견되지 않아 소비자로 하여금 외관상 신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금속피막 및 유기피막의 이중표면 처리를 통해 드럼 내주면의 내부식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비용으로 드럼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의 개선을 통해 기존의 드럼 제조방법과는 달리 금형분리 자국이 남지않도록 함과 더불어 드럼의 전체적인 진원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적용시 건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23)

  1. 베이스를 이루는 스틸층와,
    상기 스틸층 위에 코팅되는 내식성의 금속피막과,
    상기 금속피막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성의 금속피막과, 상기 금속피막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은 스틸층의 양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피막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피막은,
    아연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피막은,
    알루미늄과 아연의 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피막은,
    유기 폴리머 피막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피막은,
    우레탄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피막은,
    에폭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피막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10. 서로 맞닿는 부분에 맞대기 용접에 의해 접합된 접합부를 가지는 원통형 몸 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양 단부에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개구부와, 상기 몸통부에 강도 보강을 위해 형성된 비드부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가 겹쳐지도록 헤밍 처리된 헤밍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건조기용 드럼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개구부 및 비드부가,
    베이스를 이루는 스틸층와, 상기 스틸층 위에 코팅되는 내식성의 금속피막과, 상기 금속피막 위에 코팅되는 유기피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0.5~0.8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12.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이 0.55~0.7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내경 대 몸통부 내경비는 0.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내경 대 몸통부 내경비는 0.93~0.9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인접 몸통부 외경으로부터 개구부 외경까지의 깊이는 25mm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16. 제 1 항의 구성을 갖는 금속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속시트를 원통형으로 말은 다음, 맞닿은 이음부를 용접하여 원통형 드럼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드럼의 양단부를 축관(縮管) 성형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부를 제외한 중앙부위에 비드를 가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 성형된 양단부 테두리를 겹쳐지도록 구부려 접는 헤밍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트는 유기피막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원통형으로 말은 다음, 용접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드럼의 중앙부위에 비드 성형시에는 롤러를 이용하여 비드를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
  19. 스틸 재질의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스틸재 시트를 원통형으로 말은 다음, 맞닿은 이음부를 용접하여 원통형 드럼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드럼의 양단부를 축관(縮管) 성형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부를 제외한 중앙부위에 비드를 가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원통형 드럼의 축관 성형된 양단부 테두리를 겹쳐지도록 구부려 접는 헤밍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드럼 내주면을 포함하도록 상기 드럼 면상에 부식이 방지되는 금속피막을 입히는 코팅단계;
    상기 금속피막 위로 유기피막을 입히는 유기피막 코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피막은,
    알루미늄이나 아연 혹은, 알루미늄과 아연의 합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피막은 용융 알루미늄 도금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피막은 용융 아연 도금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제조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피막은,
    에폭시나 폴리에스테르 혹은, 에폭시-폴리에스테르등의 폴리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드럼.
KR1020040053033A 2004-07-08 2004-07-08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100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33A KR101100158B1 (ko) 2004-07-08 2004-07-08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11/059,679 US7340849B2 (en) 2004-07-08 2005-02-17 Drum in dr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33A KR101100158B1 (ko) 2004-07-08 2004-07-08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826A true KR20060004826A (ko) 2006-01-16
KR101100158B1 KR101100158B1 (ko) 2011-12-28

Family

ID=3711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033A KR101100158B1 (ko) 2004-07-08 2004-07-08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5883B2 (en) 2007-07-30 2015-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rol surfaces for applicator with moveable applicator hea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1371B2 (en) * 2003-06-05 2005-1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dr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5883B2 (en) 2007-07-30 2015-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rol surfaces for applicator with moveable applicator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158B1 (ko) 201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9444Y1 (ko) 의류건조기용 드럼
US7340849B2 (en) Drum in dry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083122B2 (en) Drum for washer and dryer
US774348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rum-type washing machine
US2007021463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rum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drum
US7395612B2 (en) Drum for use in dryer with tumbler sections
KR101100158B1 (ko)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181757B1 (ko)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676A (ko) 건조기용 드럼 성형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드럼 구조
KR101012366B1 (ko) 건조기용 드럼 성형방법
AU202020028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228309A1 (en) Drum structure for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rum
KR20220104546A (ko)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제조방법
KR20220104545A (ko)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EP2761074A1 (en) A drum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