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077A -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077A
KR20060004077A KR1020040053055A KR20040053055A KR20060004077A KR 20060004077 A KR20060004077 A KR 20060004077A KR 1020040053055 A KR1020040053055 A KR 1020040053055A KR 20040053055 A KR20040053055 A KR 20040053055A KR 20060004077 A KR20060004077 A KR 20060004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text message
unit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4077A/ko
Publication of KR2006000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스케줄 등의 정보가 변경된 통신기기에서 소정의 정보변환코드와 함께 변경된 정보를 문자메시지를 통해 상대방 통신기기로 송신하고, 상대방 통신기기에서는 수신된 문자메시지 내에 포함된 변경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정보를 자동으로 변경, 추가, 삭제한다. 이에 따라, 통신기기의 사용시 상대방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일일이 직접 입력하여 변경할 필요없이, 상대방에서 SMS 문자메시지를 통해 제공한 변경전 정보와 변경후 정보를 자동으로 교체, 삭제, 추가함으로써, 정보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의 소모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통신기기, 무선, 유선, 문자메시지, 전화번호, 팩스번호

Description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ABLE TO AUTO TRANSFERRING OF INFORMATION BY S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기기의 구성도,
도 3은 정보변환모드 선택시 무선 통신기기에 표시되는 문자 입력창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럭도,
도 5는 도 1의 유선 통신기기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에서 문자메시지를 통해 변환된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따라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SMS서버 7 : PSTN
10 : 무선 통신기기 11 : 제어부
12 : SMS 제어부 13 : 무선통신부
14 : 입력부 15 : 디스플레이부
20 : 유선 통신기기 21 : 제어부
22 : 저장부 23 : 통신부
24 : 디스플레이부 25 : 정보변환부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경된 전화번호, 팩스번호, 주소, 스케줄 등의 정보를 소정의 코드와 함께 문자메시지로 상대방에게 송신하고, 상대방 통신기기에서는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변경후 정보를 기존의 정보와 교체함으로써, 정보의 변경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통신기기는, 통신방식에 따라 크게 유선 통신기기와 무선 통신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유선 통신기기로는 유선전화, 팩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무선 통신기기로는 휴대폰, PDA, PCS, 페이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선 통신기기와 무선 통신기기는 통신방식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통신방식의 상이함에 따라 서비스 내용도 다소 상이하다. 유선 통신기기의 경우, 주로 음성이나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무선 통신기기의 경우, 음성통화, 음성메시지, 문자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통신기기는 유선 통신기기와 무선 통신기기에 모두 단축다이얼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축다이얼 기능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임의의 단축번호에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긴 전화번호 대신 단축번호를 눌러 간편하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유선 통신기기에서 단축다이얼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단축다이얼 설정하기 위해 [메뉴] 버튼을 눌러 단축다이얼 기능을 선택한 다음, 원하는 단축다이얼 번호를 할당한다. 이 때, 통신기기에 따라 저장 가능한 용량이 상이하며, 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단축다이얼 번호의 범위도 상이하다. 단축다이얼 번호를 선택한 다음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 또는 팩스번호를 입력하고, 상대방의 이름을 입력한다. 입력이 완료되면, 추가로 입력할 전화번호 또는 팩스번호가 존재하면 1번(Yes)를 누르고, 입력할 것이 없으면 2번(No)를 눌러 단축다이얼 기능 설정을 종료한다.
이렇게 단축다이얼 기능이 설정된 뒤, 전화를 하거나 팩스를 보내기 위해 단축 다이얼을 사용할 경우에는 단축다이얼 기능 선택을 위한 별도의 버튼을 누른 후 미리 할당한 단축다이얼 번호를 누른다.
한편, 무선 통신기기의 경우, 별도의 단축다이얼 기능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번호의 입력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자동으로 번지가 설정되며, 이 번지를 단축다이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 번지만을 눌러 전화를 걸 수 있으며, 이 때, 가장 마지막에 누르는 숫자를 길게 누름으로써, 단축다이얼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통신기기의 단축다이얼 기능은 사용자가 전화번호나 팩스번호를 일일이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키고, 전화번호를 누르는 시간을 단축시켜 준다는 점에서 유용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축다이얼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해놓은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팩스번호가 바뀐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예를 들어, 이사를 하거나 휴대폰을 새로 장만하거나 회사를 바꾼 경우에는 전화번호나 팩스번호가 바뀌게 되며, 이 때에는 두말할 필요도 없이 사용자는 이전에 저장된 전화번호나 팩스번호를 삭제한 다음, 다시 처음부터 바뀐 전화번호나 팩스번호를 입력시켜야 한다. 게다가 몇 년전 각 도별로 지역번호를 하나로 통일시켜 지역번호를 변경했던 것과 같이, 지역번호가 전체적으로 바뀐다던지 하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에 사는 모든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팩스번호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렇게 전화번호나 팩스번호의 변경시 일일이 수작업으로 변경된 전화번호나 팩스번호를 입력하는 것은 인력과 시간을 낭비하는 일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팩스번호의 변경시 일일이 수작업으로 변경시키지 아니하고, 자동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과 시간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번호나 팩스번호 등의 정보변경시 변경된 전화번호나 팩스번호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상대방 통신기기에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대방 통신기기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각종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대방에게 변경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소정의 문자 입력창을 제공하는 SMS제어부, 상기 문자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변경된 정보와 정보변환모드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코드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송신측 통신기기와; 상기 송신측 통신기기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송신측 통신기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 정보변환모드를 나타내는 소정의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변경된 정보에 따라 수정하는 정보변환부를 포함하는 수신측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SMS제어부는, 상기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시 변경전 정보를 상기 문자 입력창을 통해 표시하고, 변경된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상기 SMS제어부는, 상기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시 정보변환모드을 표시하는 코드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코드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변경된 정보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보변환부는, 상기 정보변환모드를 나타내는 코드를 갖는 문자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저장부에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변경전 정보와 일치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변경전 정보와 일치된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변경된 정보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드는 상기 정보의 변경, 삭제, 추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정보변환부는 상기 코드의 내용에 따라 상기 정보를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의 통신기기는 SMS(Short Message Service)가 가능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기기를 통칭하며, 유선 통신기기로는 전화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통신기기로는 휴대폰, PDA, 페이져(Pag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SMS를 통한 문자메시지의 입력 및 송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기기(10), 무선 통신기기(10)로부터 송신된 문자메시지의 수신 및 출력이 가능한 유선 통신기기(20), 무선 통신기기(10)에서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전달되는 SMS서버(5), SMS서버(5)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선 통신기기(20)의 교환망인 PSTN(7)을 포함한다.
송신기기로서의 무선 통신기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3), 디스플레이부(15), SMS제어부(12), 입력부(14), 제어부(11)를 포함하며, 이 밖에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나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송신기기로서 필요한 부분들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무선통신부(13)는 수신기기인 유선 통신기기(20)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SMS서버(5)와 무선통신을 하는 통신모듈로서, 일반적으로 무선통신부(13)는 라디오파를 이용한 RF, IEEE1394, 블루투스 같은 무선통신방법으로 통신한다.
입력부(14)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을 갖는 입력패널과, 음성의 입력이 가능한 마이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패널에는 후술할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을 위한 별도의 버튼이 마련될 수도 있고, 기존에 짜여진 메뉴 중 하나에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을 위한 메뉴를 형성할 수도 있다.
SMS제어부(12)는,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나 변경된 정보의 송신을 위한 정보변환모드를 선택하면 문자 입력창을 제공한다.
정보변환모드는, 송신기기인 무선 통신기기(10)에 대한 정보가 변경된 경우, 예를 들면, 무선 통신기기(10)의 전화번호, 스케쥴 등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정보를 정보변환모드를 나타내는 코드와 함께 상대방 통신기기인 유선 통신기기(20)에 전달하고, 유선 통신기기(20)에서는 코드를 판독하여 기존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된 정보로 자동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시 SMS제어부(12)는, 다양한 형태로 문자 입력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제어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전 정보로서 이전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변경된 정보인 이후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규격화된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문자 입력창에는 변경된 정보 이외에도 간단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난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시, SMS제어부(12)는 일반적인 문자메시지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문자 입력창에는 문자메시지의 내용이 정보변환모드을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코드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어야 한다. 코드는 사용자가 메뉴얼을 통해 확인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SMS제어부(12)에서 정보변환모드의 수행을 나타내는 몇 가지 코드를 메뉴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코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한 문자메시지 전송 서비스에서도 코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송신하면, 수신측에서는 코드에 따른 정보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정보변환모드의 수행을 나타내는 코드는, 변경된 정보의 수정을 위한 변경코드, 정보의 삭제를 위한 삭제코드, 정보의 추가를 위한 추가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경코드는 'CNGx', 삭제코드는 'DELx', 추가코드는 'ADDx'와 같이 표시할 수 있고, 'x'대신 다른 문자를 집어넣어 코드가 의미하는 작업의 실행 시작 및 종료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를 작업 실행 시작을 의미하는 문자로, 'p'를 작업 종료를 의미하는 문자로 설정한 경우, 'DELs'는 삭제작업의 시작을 의미하고, 'DELp'는 삭제작업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렇게 문자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와 코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 포멧으로 형성된다. 정보변환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포멧은, 정보변환모드를 나타내는 코드, 정보변환 시작을 나타내는 코드, 변경전 정보, 변경후 정보, 정보변환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는 정보변환모드 수행용 프로토콜의 예를 들고 있으며, 정보변환모드를 나타내는 코드를 ""MPLbySMS""로 표시하고, 정보변환 시작을 나타내는 코드는 'CNGs', 정보변환 종 료를 나타내는 코드는 'CNGp'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MPLbySMS""는 'Modify Phone List by SMS'의 약자로 표시된 것이고, 'CNGx'는 변경전 정보를 변경후 정보로 교체하라는 변경코드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프로토콜은 '01234'라는 정보를 '56789'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기기(10)의 제어부(11)는,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시 문자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통신부를 통해 SMS서버(5)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수신기기로서 유선 통신기기(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3), 디스플레이부(24), 유선 통신기기 저장부(22), 정보변환부(25), 제어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23)는 PSTN(7)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기기(10)로부터 송신되어 SMS서버(5)와 PSTN(7)을 통해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4)는 무선 통신기기(10)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자동으로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문자메시지의 내용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저장부(22)에 저장된 정보를 인출할 경우에도 저장부(22)로부터 인출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24)에 표시된다.
저장부(22)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나 전화 등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전화번호 정보와 스케줄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전화번호 정보로는 상대방 이름, 전화번호, 전화번호가 유선전화인지 무선전화인지를 표시하는 문자 또는 기호, 단축다이얼 번호 등이 포함된다. 스케줄 정 보로는 날짜, 행사내용, 스케줄을 알려주기 위한 알림기능 선택여부 등이 포함된다.
정보변환부(25)는 무선 통신기기(10)로부터 전달된 정보변환모드 수행용 프로토콜이 수신되면, 정보변환모드 수행용 프로토콜에 포함된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내용에 따라 정보를 변환시킨다. 이 때, 정보변환부(25)는 정보를 변환시키기 전에 프로토콜에 포함된 변경전 정보를 저장부(22)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프로토콜에 포함된 변경전 정보와 부합되는 정보가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다. 판단 결과, 정보변환부(25)는 변경전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만, 해당 정보를 인출하여 프로토콜에 포함된 코드에 따라 정보를 변경, 추가, 삭제하게 된다. 한편, 정보변환부(25)는 변경전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수신된 프로토콜을 파기하게 된다.
그리고, 유선 통신기기 제어부(21)는, 통신부(23)를 통한 문자메시지의 수신시, 수신된 정보를 정보변환부(25)로 제공하고, 저장부(22)로부터 정보를 인출하여 정보변환부(25)에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통신시스템에서 문자메시지를 통해 변경된 팩스번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 송신된 정보에 따라 팩스번호를 변환시키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팩스번호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팩스번호를 원하는 상대방에게 알리기 위해, 입력패널을 이용하여 정보변환모드를 선택하면(S610), 디스플레이부(15)에 변경모드, 추가모드, 삭제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 다. 사용자가 이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면(S620), SMS제어부(12)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 해당 모드의 문자 입력창을 제공한다(S630). 예를 들어, 팩스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모드를 선택한 경우, 문자 입력창에는 기존 사용자의 팩스번호가 표시되고, 그 하부에는 변경후의 팩스번호를 입력하는 란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변경후의 팩스번호를 입력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S640), 원하는 상대방의 팩스번호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나고, 상대방 팩스번호를 한 개에서 복수개까지 입력한 다음(S650), 보내기 버튼을 누르면, SMS제어부(12)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1)에서는 무선통신부(13)를 활성화시켜 무선메시지를 SMS서버(5)로 전송한다(S660).
한편, SMS제어부(12)에서 기존의 문자메시지 입력창과 동일한 형태의 문자 입력창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메뉴얼 등을 통해 알고 있는 변경모드의 시작코드, 변경전 팩스번호, 변경후 팩스번호, 변경모드의 종료코드를 직접 입력하여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은 SMS서버(5)에 전달된 다음, 유선 통신망인 PSTN(7)을 통해 유선 통신기기(20)로 전달된다.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을 전달받은 유선 통신기기(20)인 팩시밀리의 유선통신기긱 제어부(21)에서는, 먼저,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정보변환용 문자메시지가 도달되었음을 표시한다(S710,S720). 그런 다음,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을 정보변환부(25)로 전달한다. 정보변환부(25)에서는 수신된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을 판독하여 변경전 팩스번호와 변경후 팩스번호를 알아내고, 변경모드인지 삭제모드인지 추 가모드인지를 판단한다(S730). 그런 다음, 정보변환부(25)에서는 변경전 팩스번호를 저장부(22)에 저장된 팩스번호와 비교하여 해당 변경전 팩스번호가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이 때, 변경전 팩스번호와 동일한 팩스번호가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S750), 정보변환부(25)는 저장부(22)에 저장된 팩스번호를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에 포함된 변경후 팩스번호로 교체한다(S760). 이렇게 팩스번호의 변경이 완료되면, 유선통신기기 제어부(21)는 팩스번호가 변경되었음을 디스플레이부(24)를 통해 표시한다(S770).
이와 같이, 본 통신시스템에서는 전화번호, 팩스번호, 스케줄, 주소 등의 정보 변경시 원하는 상대방 통신기기로 변경된 정보를 송신하고, 변경된 정보를 수신한 통신기기에서는 자동으로 변경전 정보를 변경후 정보로 교체하거나, 삭제하거나 추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통신기기의 사용시 상대방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일일이 직접 입력하여 변경할 필요없이, 상대방에서 SMS 문자메시지를 통해 제공한 변경전 정보와 변경후 정보를 자동으로 교체, 삭제, 추가함으로써, 정보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의 소모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기기에서 유선 통신기기로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무선 통신기기에서 무선 통신기기로 문자메시지를 통해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정보를 자동으로 교체, 삭제, 추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 경우에는 유선 통신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PSTN(7)의 필요없이, 무선 통신기기에서 송신한 문자메시지를 SMS서버(5)에서 직접 다른 무선 통신기기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유선 통신기기에서 무선 통신기기로, 유선 통신기기에서 유선 통신기기로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물로 유선 통신기기에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버튼이 마련되어야 하며, 현재 유선 통신기기에도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지 소프트웨어적으로 문자입력기능만을 추가하면, 유선 통신기기에서도 문자 입력을 통한 문자메시지의 송신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의 웹사이트에 제공하는 무선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서도 유선 또는 무선 통신기기로 정보변환용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통신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예시하고 있는 무선 통신기기를 송신측으로 하고, 유선 통신기기를 수신측으로 하는 실시예 이외에, 무선 통신기기를 송신측과 수신측으로 하는 경우, 유선 통신기기를 송신측으로 하고 수신측으로 각각 유선 통신기기와 무선 통신기기를 설정하는 경우에도 성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기기의 사용시 상대방의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일일이 직접 입력하여 변경할 필요없이, 상대방에서 SMS 문자메시지를 통해 제공한 변경전 정보와 변경후 정보를 자동으로 교체, 삭제, 추가함으로써, 정보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의 소모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상대방 통신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 각종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대방에게 변경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소정의 문자 입력창을 제공하는 SMS제어부, 상기 문자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변경된 정보와 정보변환모드임을 나타내는 소정의 코드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송신측 통신기기와;
    상기 송신측 통신기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송신측 통신기기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메시지 중 정보변환모드를 나타내는 소정의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변경된 정보에 따라 수정하는 정보변환부를 포함하는 수신측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변환 가능한 통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S제어부는, 상기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시 변경전 정보를 상기 문자 입력창을 통해 표시하고, 변경된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변환 가능한 통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S제어부는, 상기 정보변환모드의 선택시 정보변환모드을 표시하는 코드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코드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변경된 정보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변환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변환부는, 상기 정보변환모드를 나타내는 코드를 갖는 문자메시지의 수신시, 상기 저장부에 상기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변경전 정보와 일치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변경전 정보와 일치된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변경된 정보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변환 가능한 통신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정보의 변경, 삭제, 추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상기 정보변환부는 상기 코드의 내용에 따라 상기 정보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변환 가능한 통신시스템.
KR1020040053055A 2004-07-08 2004-07-08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KR20060004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55A KR20060004077A (ko) 2004-07-08 2004-07-08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55A KR20060004077A (ko) 2004-07-08 2004-07-08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077A true KR20060004077A (ko) 2006-01-12

Family

ID=3711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055A KR20060004077A (ko) 2004-07-08 2004-07-08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40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9891B2 (en) Portable tele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utility device
JP2001243243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表示方法及び該表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EP1655932A2 (en) Portable cellular phone, portable cellular phone system, message format controlling method and message format controlling program
EP18943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annuncia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969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메일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장치
KR20060004077A (ko) 문자메시지를 통한 정보의 자동 변경이 가능한 통신시스템
EP1768361A2 (en) Method of receiving a call in a wireless terminal
KR10180224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5254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735362B1 (ko) 간편 전화번호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39838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06766B1 (ko)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535151B1 (ko) 단축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90080689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3319028A (ja) 電子装置を設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540247B2 (ja) 携帯端末及びfaxプログラム
KR2006003622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598046B1 (ko) 단말기에서의 부재중 착신정보 알림 방법
KR100983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시지 제공 방법
KR100863442B1 (ko) 수신 전화번호 입력방법
KR1009706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명함 관리방법
KR10139682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KR100602645B1 (ko)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단말장치
KR100735329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