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787A - 음이온과 은을 이용한 부직포제조 - Google Patents

음이온과 은을 이용한 부직포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787A
KR20060003787A KR1020040053736A KR20040053736A KR20060003787A KR 20060003787 A KR20060003787 A KR 20060003787A KR 1020040053736 A KR1020040053736 A KR 1020040053736A KR 20040053736 A KR20040053736 A KR 20040053736A KR 20060003787 A KR20060003787 A KR 20060003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solution
nonwoven fabric
anion
dissol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식
조동식
최문규
Original Assignee
박근식
조동식
최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식, 조동식, 최문규 filed Critical 박근식
Priority to KR102004005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3787A/ko
Publication of KR20060003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7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58Forming continuous, e.g. composite, fibrous webs, e.g.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pulverulent material on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1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ontaining granules other than absorbent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6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he bonding agent being applied in wet state, e.g. chemical agents in dispersions or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부직포 제조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 원료에 항변이 되지 않는 새로운 은염으로 항균 처리하면서 음이온 방사물질을 합성시켜 기능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은항균제, 부직포

Description

음이온과 은을 이용한 부직포제조{We produce a funcyional non-woven fabric treated with an anion and silver}
본 발명은 기능성 부직포제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부직포는 의류용, 산업용, 농업용으로부터 시작하여 어린이 기저귀, 여성생리대로부터 시작하여 많은 용도에 사용하고 있다.
부직포는 섬유사를 소립하여 접착제에 합성하여 부직포를 제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부직포가 인체에 효능이 높고 건강에 좋은 대량 음이온방출 물질을 합성하면서 은으로 항균처리되어 깨끗하고 위생적인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음이온은 안전성이 뛰어나고 음이온 방출효과와 원적외선 방사효율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전기석과 인동석 분말을 1000매쉬 정도 분쇄한 분말을 수지 및 부직포 정량의 2%를 합성하면 음이온이 공기 1cc당 500개이상 방출되면서 원적외선 방사효율도 90%이상 방사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은(銀)을 소립 용융하여 나노와 같이 0.01미크롬이하로 소립하여 은콜로 이드용액을 항균제로 사용하면 상기 은용액은 분산력과 침투력이 우수하여 상기 부직포 접착제 재료합성량에 50PPM 의 은용액을 합성시켜 부직포를 제조하면 상기 은이 수지와 부직포에 전자 현미경으로도 식별이 어려울 정도의 도금 형태로 침지 코팅되어 마찰이나 세척에 떨어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기술 핵심은 부직포를 제조하면서 사용되는 접착제에 대량 음이온 방사물질을 합성하면서 은콜로이드용액을 합성하여 항균처리하여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동시에 방출하면서 항균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현재까지 기능성부직포에는 열에 의하여 접착을 할 수 있는 부직포와 세라믹, 황토, 숯가루를 합성한 기능성 부직포 등이 있고 음이온을 합성하여 제조한 부직포 등이 있다. 또한 은을 제오라이트 등에 합성하여 부직포 수지에 합성하여 항균처리된 부직포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은(銀)을 소립하여 질산에 녹이면서 중화제로 탄산칼슘용액을 (PH10)정도 만들어 상기 용액으로 상기 은용액을 중화시켜 탄산은염을 제조하여 상기 은염을 물에 용해하면 나노와 같은 작은 입자로 소립되면서 분산력이 우수하고 침투력이 우수한 은항균 콜로이드를 제조하여 새로운 은용액을 부직포 제조에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상기 은용액은 기존 전기분해에서 얻어진 은콜로이드용액이나 각종 은염을 물에 용해한 은콜로이드 용액은 황변이 되지만 본 발명에 제조된 탄산 은염의 용액은 항변이 잘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현재까지 은을 유기물인 질산 등과 용애하여 중화제로 가성소오다나 산화은을 사용하였을 때 대부분 은염은 황변이 빨리되면서 하로겐 화합물과 결합하거나 햇볕 등에 노출되었을 때 황변 또는 흑변하는 것이 은염의 고유성질이고 또한 은을 전기 분해하여 용해 되었을 때 또한 황변되고 있다. 은과 유기산과 용해되면서 탄산염과 은이 결합 중화되면서 황변을 일으키면서 연황색의 결정체가 만들어진다.
상기 은염을 물에 10,000PPM정도 용해하여 침전시키면 상기 은콜로이드용액이 투명으로 되면서 약8,000PPM의 은용액이 제조된다. 이것은 은이 산화되면서 약2,000PPM은 침전물이 유출된 것이 확인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은용액을 부직포수지와 합성하여 항균부직포를 제조한 경우 부직포가 황변되지 않고 흰색의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은은 현재까지 이 지구상에서 가장 안전된 항균금속으로 높이 평가하고 잇고 은에 접촉되어 6분간 살아남는 병균이나 바이러스가 이 지구상에 없으며 은은 인체에 아무런 해를 주지 않고 모든 병균을 항균 및 살균하는 것이 무기 항균제로 이 지구상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또한 현대에와서는 음이온을 공기의 비타민이라 하여 많은 사람들이 가까이 하고 있고 신경계통, 혈압계통 등에 매우 좋다고 보고되고 있고 공기중의 나쁜 공기와 결합하여 공기를 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운적외선 역시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하고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크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황변이 잘되지 않는 은염을 제조하여 부직포 등에 합성하여 은항균부직포를 제조하면서 기능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음이온을 부직포에 합성시켜 음이온을 공기 1cc당 500개 이상 방출되게 한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표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능성 부직포제조에 관한 것으로 먼저 황변일 잘되지 않은 음염을 제조하기 위하여 은(銀)지금을 소립하여 용해조에 넣고 질산을 첨가하여 은을 용해하면서 80도 열을 유지시키면서 아질산깨스를 유출시키면 탄산칼슘을 물에 용해한 용액(PH10)을 서서히 첨가시키면서 PH7.5 가 되게 하면 연노랑 입자가 만들어진다.
상기 입자를 물에 용해하여 10,000PPM정도 되게 하여 은콜로이드용액을 제조하여 5시간 동안 방치하면 침전물이 생기면서 투명 액체가 된다.
상기 은용액을 항균제로 사용하는 것을 1공정으로 하고 제2공정으로는 대량 음이온 방출물질인 전기석과 인동석을 각각 50%를 합성하여 1,000매쉬분말을 제조하여 음이온 파우다를 제조한 다음 3공정으로는 부직포 수지에 상기 제2공정의 음이온 분말을 부직포 재료 무개의 2%를 합성 믹스한 후 제1공정의 은콜로이드용액을 전체 부직포 재료에 합성하여 은콜로이드용액은 은고형분이 50PPM이 되게 합성하여 기능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인데 보다 상세하게 실시예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은염제조
ㆍ제1공정 (은염제조)
은지금 100g을 소립하여 용해조에 넣고 질산 150g을 첨가시켜 서서히 교반하면서 용해조 열을 80도 유지시키면서 은을 용해한다.
상기 은용액에 탄산칼슘을 매체로 하여 물에 용해한 탄산칼슘용액(PH10)을 상기 질산은에 용해된 은용액에 침지시키면서 PH를 중성으로 되게 하면 노란색의 파우다입자가 만들어 진다. 상기 입자 물1,000g에 10g을 용해하여 교반시켜 5시간 후 여과지로 여과시키면 약8,000PPM의 은콜로이드 항균제를 제조한다.
ㆍ제2공정 (음이온 파우다 제조)
전기석 분말 1,000g과 인동석 분말 1,000g을 합성하여 고속 정밀분쇄기로 1,000매쉬 음이온 분말 파우다를 제조한다.
ㆍ제3공정
부직포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수용성 아크릴수지(고형분 40%)를 물에 20% 용해항 1,000g을 정량한다.
ㆍ제4공정
부직포 원료 소립된 섬유사 3,000g을 정량한다.
ㆍ제5공정
제3공정의 부직포 접착제 1,000g에 제4공정의 부직포 재료를 혼합 믹스하여 4,000g의 용량을 정량한다.
ㆍ제6공정
제1공정의 은용액을 제5공정에 합성하여 은용액이 50PPM되도록 투입하여 합성 믹스한다.
ㆍ제7공정
제6공정의 재료에 제2공정의 음이온 파우다 80g을 제6공정에 합성 믹스한다.
ㆍ제8공정
상기 재료를 부직포 기기를 이용하여 기능성 부직포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부직포를 기저귀, 의류, 생리대 등에 사용할 경우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크고 특히 항균처리되어 있어 위생적이고 깨끗한 기저귀나 위생 생리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부직포를 항균검사하기 위하여 한국원사시험연구원에 가압 밀착방법으로 항균실험한 시험성적표는 다음과 같다. 또한 음이온은 다음과 같이 실험을 공기 1cc당 음이온 방출 개수를 한국건자재연구원에 의뢰하여 시험한 성적표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4510257941-PAT00003
Figure 112004510257941-PAT00004
비고 1) 시험방법(KICM-FUR-1042)
2) 시험편 내경 75(mm)높이(mm)의 원기둥
3) 전하입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온도 25도, 습도 45%, 대기중 음이온수 22/cc조건에서 시험 하였으며 측정 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 체적당 이온수로 표시한 결과임.
기존 널리 사용하고 있는 부직포 색깔에 아무런 변화를 주지 않고 황변이되지 않는 은을 제조하여 항균처리 하면서 음이온 물질을 합성시켜 음이온을 공기 1cc당 500개 이상 방출되게 하여 인체 및 생체에 미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능성 부직포를 제조한 것이 특징이다.

Claims (1)

  1. 제1공정 (황변되지 않는 은염제조)
    은지금 100g을 용해조에 넣고 질산 150g을 넣고 은을 용해시키면서 용해조에 열을 80도 유지시키면서 탄산칼슘을 매개체로한 탄산칼슘용액(PH10)을 제조한 용액을 상기 은이 용해된 유기용액에 탄산칼슘용액을 첨가하면서 PH7.5가 되게 하면 노란 입자이 은염을 제조하여 1,000에 상기 은염 입자 100g을 용해하여 10,000PPM은콜로이드 용액을 만들어 5시간 정도 되면 상기 침전물을 여과하여 8,000PPM의 은항균 콜로이드용액을 제조한다.
    제2공정으로 부직포 제조시 사용되는 수용성 아크릴접착제(고형분 40%)를 물1,000g에 20%정도 용해하여 1,000g을 정량한 다음 부직포 재료로 사용되는 소립 된 섬유사 3,000g을 정량하여 상기 접착제와 합성 믹스하여 4,000g 정량한다.
    제3공정으로 음이온 파우다 80g을 제2공정의 부직포재료 4,000g과 합성믹스하면서 제1공정의 은용액을 상기 재료 4,000g에 50PPM의 은용액이 침지되도록 합성 믹스한다.
    제4공정으로 제3공정으로 부직포재료를 부직포기기를 이용하여 음이온과 황변되지 않는 은염을 이용한 기능성 부직포 제조.
KR1020040053736A 2004-07-07 2004-07-07 음이온과 은을 이용한 부직포제조 KR200600037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736A KR20060003787A (ko) 2004-07-07 2004-07-07 음이온과 은을 이용한 부직포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736A KR20060003787A (ko) 2004-07-07 2004-07-07 음이온과 은을 이용한 부직포제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787A true KR20060003787A (ko) 2006-01-11

Family

ID=3710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736A KR20060003787A (ko) 2004-07-07 2004-07-07 음이온과 은을 이용한 부직포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37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634A (ko) * 2006-11-09 2008-05-15 최명부 기능성조성물 pp방적사 제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634A (ko) * 2006-11-09 2008-05-15 최명부 기능성조성물 pp방적사 제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4392B2 (en) Antibacterial agent composed of silver-containing aluminum sulfate hydroxide particles and use thereof
US20150140047A1 (en) Method for the surface application of chemical compounds to both synthetic and natural fibers and a system for same
CN106115621B (zh) 石墨烯激活制氢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262687A (zh) 适用于医用口罩的纳米纤维素的制备方法
Pandit et al. Green and sustainable textile materials using natural resources
DE112004002861B4 (de) Apatit und Verwendung dafür
JP5666450B2 (ja) 機能性セルロース系成形物
KR101750400B1 (ko) 보습성 및 항균활성을 갖는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03787A (ko) 음이온과 은을 이용한 부직포제조
KR20080087552A (ko) 기능성 폴리올레핀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부직포
DE602004004090T2 (de) Zum einmaligen gebrauch in krankenhaus und operationssaal bestimmte erzeugnisse auf basis von papier
Nisansala et al. Zinc Oxide Nanostructures in the Textile Industry
Meda et al. Nano-engineered texti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Islam et al. Biological chemicals as sustainable materials to synthesize metal and metal oxide nanoparticles for textile surface functionalization
KR20080042637A (ko) 새로운 은(銀)나노 백탄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마스터베치제조 방법
CN107385555A (zh) 一种可彻底杀灭有害细菌的内裤
KR20060003786A (ko) 음이온과 은을 이용한 생리대제조
KR100478477B1 (ko) 은 나노입자가 고착된 기능성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방법
KR101542304B1 (ko) 항균성 키토산-은 나노 복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균성 종이의 제조방법
KR20080042634A (ko) 기능성조성물 pp방적사 제조
Tan Functionalization of cotton fabric with Zno/Pva for antibacterial textile application
CN208927783U (zh) 一种3d滤材
KR100817751B1 (ko) 에센셜 오일 분자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스킨 케어 섬유의 제조방법
Sharma et al. Enhancing Plant Growth of Vigna radiata Using Biodegradable Superabsorbent Carboxymethylcellulose Nanohydrogel Enriched with Carbon Dots under Water-Stressed Conditions
KR20090080575A (ko) 정수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