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139A -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증설 모듈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증설 모듈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139A
KR20060003139A KR1020040051934A KR20040051934A KR20060003139A KR 20060003139 A KR20060003139 A KR 20060003139A KR 1020040051934 A KR1020040051934 A KR 1020040051934A KR 20040051934 A KR20040051934 A KR 20040051934A KR 20060003139 A KR20060003139 A KR 20060003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xpansion module
expansion
line
cpu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3139A/ko
Publication of KR2006000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004Identity kind of module, control unit connec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5Pl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15018Communication, serial data transmission, mod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LC 시스템의 메인 CPU와 연결되는 증설 유닛을제어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형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을 제어할 경우 배선비용 및 스캔타임의 감소와 함께 확장성이 용이한 PLC의 증설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형 PLC 시스템에서 CPU 유닛에 연결되는 증설모듈이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n대(n은 1보다 작지 않은 정수) 장착되었을 때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현없이 그 증설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CPU 유닛 및 상기 증설모듈에 연결된 트리거 라인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CPU 유닛에서 모듈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증설모듈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증설모듈에서 모듈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PLC 시스템, 증설 모듈, 트리거 신호, 시리얼 통신

Description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METHOD TO CONTROL A INCREASED MODULES OF PLC SYSTEM USING TRIGGER SIGNALS AND SERIAL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증설모듈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n 대의 증설 모듈 장착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CPU 유닛에서의 증설 체크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증설모듈에서의 증설 체크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통상의 PLC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증설 모듈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배선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데이터 버스 방식으로 증설 모듈 1을 제어할 때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LC 시스템의 메인 CPU와 연결되는 증설 유닛을제어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형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을 제어할 경우 배선비용 및 스캔타임의 감소와 함께 확장성이 용이한 PLC의 증설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블록형 PLC 시스템에서 CPU 유닛에 연결되는 증설모듈이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n대(n은 1보다 작지 않은 정수) 장착되었을 때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현없이 그 증설 모듈을 제어하는 기술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각종 기계나 프로세서 등의 제어를 위하여 Logic, Sequencing, Timing, Counting, 연산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는 메모리를 갖춘 제어장치이며, 오늘날 산업용 릴레이 제어반보다 우수하게 설계된 특수 목적의 컴퓨터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한 제어시스템이다.
PLC는 크기와 형태에 의하여 블록타입과 모듈타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제어의 규모가 크거나 혹은 각종 입력기기를 접속할 경우, 또는 나중에 개조나 확장을 예상하는 경우에는 입출력부가 모듈 단위로 증설 가능한 블록형의 PLC를 채용하는 것이 좋다고 보고 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블록타입 PLC의 경우에 전원장치, CPU, 메모리, 입력 및 출력의 모든 기능이 집적되어 있어 취급이 간단하고 저가라는 장점이 있으나, 입출력 점수가 제한되는 면이 있어 증설유닛을 장착하여 입출력 점수를 늘리는 기술이 제 어효율의 관건이 되고 있다.
도 6은 종래의 블록형 PLC 시스템에 증설 모듈이 장착되어 CPU 유닛에서 증설 모듈을 제어하는 경우 불필요한 신호선의 구성을 나타낸다.
특정한 증설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칩 셀렉트(Chip Select) 신호선이 필요하며, 증설 모듈의 특정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어드레스 라인(Address Line)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데이터 라인(Data Line), 읽기/쓰기 등의 인터페이스 구분을 위한 콘트롤 라인(Control Line) 등이 필수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증설 모듈은 CPU 유닛에 3개 이상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장착 가능한 개수만큼의 칩 셀렉트 신호가 필요하다. 즉 특정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되는 칩 셀렉트 신호선을 로우(Low)로 하여 특정 모듈로 하여금 CPU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토록 하고, 자신의 칩 셀렉트 신호가 하이(High)일 경우에는 CPU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지 않는 방식으로 어드레스 라인, 데이터 버스, 각종 제어선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에서는 증설 모듈 1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서는 칩 셀렉트 1(Chip Select1)을 로우(Low)로 하면서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리드/라이트에 신호를 주어야 한다. 다음으로 증설모듈 2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해서는 칩 셀렉트 1을 하이로 유지시키고, 대신 칩 셀렉트 2를 로우로 만든 상태에서 각종 신호선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칩 셀렉트 선을 제외한 나머지 신호선들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증설 모듈을 제어한다.
상기 종래의 증설 모듈의 제어방식은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버스를 8/16/32 비트로 다양하게 설정하여 증설 모듈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고속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블록 타입 PLC 시스템과 같이 증설 모듈과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고속, 대량의 데이터 처리가 불필요하며, 기존 제어방식 처럼 많은 배선이 사용될 경우 증설 모듈 확장시의 비용문제 및 장착에 따른 불편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한된 칩 셀렉트 신호선으로 인해 증설 모듈의 장착 개수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블록형 PLC의 기능 확장은 증설 모듈을 통해서 이루어짐은 위와 같고, 이때 CPU에서 증설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많은 신호선이 필요하다. 칩 셀렉트 신호선 및 어드레스 라인, 데이터 라인, 각종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여 CPU 유닛과 증설 모듈의 인터페이스가 수행된다. CPU 유닛은 PLC의 매 스캔마다 증설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이때 증설 모듈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고 새로운 증설 모듈이 추가로 장착되었는지를 조사하게 된다. 그런데,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은 상기 칩 셀렉트 신호, 데이터 라인, 각 종 제어신호 없이 CPU 유닛과 증설모듈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동시에 증설 모듈의 이상 유무 및 신규 모듈의 장착 등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데이터 버스를 이용한 증설제어방식에 비해 신호선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증설 모듈의 확장이 용이하고, 경제성이 높은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증설모듈 제어시의 배선문제와 장착개수 확장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리얼 통신을 통해 증설 모듈을 제어하고, 하나의 트리거 라인(Trigger line)을 이용하여 각 증설 모듈의 구분을 수행하는 새로운 증설 모듈 제어방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내용 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또한, 본 발명이 블록형 PLC 시스템에 관한 것이나 이론적으로 모듈형 PLC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 다만 모듈형의 경우에는 더욱 고속처리가 요망되는 바, 이는 현실적인 문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모듈형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방해하지는 아니할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형 PLC 시스템에서 CPU 유닛에 연결되는 증설모듈이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n대(n은 1보다 작지 않은 정수) 장착되었을 때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현없이 그 증설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CPU 유닛 및 상기 증설모듈에 연결된 트리거 라인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CPU 유닛에서 모듈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증설모듈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증설모듈에서 모듈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초기값 설정 단계는, 상기 트리거 라인의 초기값이 로우(Low)가 되도록 상기 CPU 유닛 및 증설모듈 각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출력 포트 값의 초기값을 로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PU 유닛에서의 모듈체크 수행단계는, CPU 유닛 및 증설모듈 각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출력 포트 값을 하이(High)로 만드는 제 1 단계, 송신 라인(Tx line)을 통해 접속명령의 데이터를 보내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 대한 응답여부를 판단하고,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모듈체크를 종료하지만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CPU 유닛에 증설모듈이 장착되었음을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증설모듈에 슬롯번호(N)를 할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송신 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 대한 응답여부를 판단하고,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모듈체크를 종료하지만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슬롯번호를 +1 하여 다시 상기 단계의 루프를 수행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설모듈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증설모듈의 응답으로부터 해당 증설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슬롯별로 증설모듈에 대한 정보를 작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증설 모듈에서의 모듈체크 수행단계는, 트리거 라인을 통한 증설 모듈로의 입력 포트 값이 하이(High)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 포트 값이 하이인 경우에 송신 라인에 접속명령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송신 라인에 접속명령이 존재하는 경우에 수신 라인(Rx line)에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 3 단계, 상기 송신 라인에 슬롯번호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 음, 할당된 슬롯번호를 자신의 슬롯번호로 만드는 제 4 단계, 상기 수신 라인에 자신의 모듈정보를 입력하는 제 5 단계, 및 출력 포트 값을 하이로 만들어 다음 증설 모듈이 모듈체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은 (d) 상기 모듈체크가 완료된 후, 슬롯번호를 할당받은 증설모듈이 CPU 유닛이 송신 라인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 데이터 중에 자신의 슬롯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만 데이터 처리 및 수신 라인을 통한 응답을 수행하고, 그외의 경우에는 항상 수신 라인을 통하여 하이 임피던스를 발생시킴으로써 다른 증설모듈이 상기 CPU 유닛으로 보내는 데이터와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PLC 시스템의 구성은, 중앙 처리장치,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제어대상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시퀀스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각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본장치와 더불어 프로그램의 작성을 위하여 핸디 로더라는 프로그램 콘솔이나 컴퓨터에서 직접 그래픽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할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PC, 작성한 프로그램을 EPROM에 보관하기 위한 EPROM WRITER, 프로그램을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 등의 주변장치가 더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PLC 시스템을 적용한 일예는 도 5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며, 이는 이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임을 첨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트리거(Trigger)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증설 모듈의 제어 구성시 필요한 신호성 송신 라인(Tx Line), 수신 라인(Rx Line), 트리거 라인(Trigger Line)의 배선도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라인은 CPU 유닛이 증설 모듈에 보낼 데이터를 전송하는 라인으로 각각의 증설 모듈의 수신 포트(Rx Port)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CPU 유닛이 발송하는 데이터는 증설 모듈에 동시에 수신되는 구조를 갖는다.
수신 라인은 증설 모듈이 보내는 데이터를 CPU 유닛에 수신하는 라인으로 각 증설 모듈의 송신 포트(Tx Port)에 접속되어 있다.
트리거 라인은 각 증설 모듈이 자신의 장착 순서를 알 수 있는 제어신호로 사용되어 앞단의 출력 포트를 자신의 입력 포트로 자신의 출력 포트를 다음 단의 입력 포트로 연결한다.
도 2는 n(1보다 작지 않은 정수)대의 증설모듈이 장착되었을 때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CPU 유닛 및 증설 모듈에 연결된 트리거 라인의 초기 값은 로우(Low)가 되도록 각 마이크로 프로세서(MPU)의 출력 포트 값의 초기값을 로우로 설정한다.
그리고 CPU 유닛 처리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전원이 온(on)되어 리셋(Reset)이 풀리면 CPU 유닛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행된다.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PU 유닛에서의 모듈체크 수행단계는, CPU 유닛 및 증설모듈 각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출력 포트 값을 하이(High)로 만든다. 그리고 송신 라인(Tx line)을 통해 접속명령의 데이터를 보내어, 이 데이터에 대한 응답여부를 판단하고,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모듈체크를 종료하지만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CPU 유닛에 증설모듈이 장착되었음을 판단한다.
상기 증설모듈에 슬롯번호(N)를 할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송신 라인을 통해 전송하며 이 데이터에 대한 응답여부를 판단하고,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모듈체크를 종료하지만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슬롯번호를 +1 하여 다시 상기 단계의 루프를 수행하도록 한다.
CPU 유닛은 증설 모듈의 장착 개수만큼 루프를 반복하며, 각 증설 모듈에게 장착된 순서대로 증설 모듈의 슬롯번호를 부여하게 된다. 증설 모듈의 응답으로부터 증설 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슬롯 별로 증설모듈에 대한 정보를 작성한다.
상기 증설 모듈의 종류는 예컨대 입력/출력, 특수입력/출력, 통신 등을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5에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증설 모듈은 전원이 온(On)되는 때 리셋이 해제되면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증설모듈에서의 증설 체크 동작 순서도에 따라 증설모듈의 처리방법이 수행된다.
증설 모듈에서의 모듈체크 수행단계는, 트리거 라인을 통한 증설 모듈로의 입력 포트 값이 하이(High)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 포트 값이 하이인 경우에 송신 라인에 접속명령 존재여부를 판단하고, 송신 라인에 접속명령이 존재하는 경우에 수신 라인(Rx line)에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며, 상기 송신 라인에 슬롯번호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할당된 슬롯번호를 자신의 슬롯번호로 만들고, 상기 수신 라인에 자신의 모듈정보를 입력한 다음, 출력 포트 값을 하이로 만들어 다음 증설 모듈이 모듈체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증설 모듈은 상기 모듈 체크 동작이 끝나면 자신의 슬롯 번호를 가지게 되며, 이후부터는 CPU 유닛이 송신 라인을 통해 보내는 송신 데이터 중에 자신의 슬롯에 해당하는 데이터일 경우에만 데이터 처리 및 수신 라인을 통한 응답을 수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항상 수신 라인을 하이(High) 임피던스 상태로 만들어 다른 증설 모듈이 CPU로 보내는 데이터와 충돌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증설 모듈에 시리얼 통신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장착하여 CPU 유닛과 시리얼 통신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트리거(Trigger) 신호를 이용하여 각 증설 모듈의 구분을 줄 수 있는 구성을 하고 있다.
따라서 CPU와 증설 모듈 간의 배선 신호선수를 크게 줄이고, 증설 모듈의 장착 개수에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블록형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을 제어하는 경우 배선 비용 및 스캔 타임의 감소와 함께 확장성이 용이한 제어 시스템을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음으로 해서 경제적 이익 뿐만 아니라 제어장치로서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6)

  1. 블록형 PLC 시스템에서 CPU 유닛에 연결되는 증설모듈이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n대(n은 1보다 작지 않은 정수) 장착되었을 때 별도의 하드웨어적인 구현없이 그 증설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CPU 유닛 및 상기 증설모듈에 연결된 트리거 라인의 초기값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CPU 유닛에서 모듈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증설모듈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증설모듈에서 모듈체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값 설정 단계는, 상기 트리거 라인의 초기값이 로우(Low)가 되도록 상기 CPU 유닛 및 증설모듈 각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출력 포트 값의 초기값을 로우로 설정하는 것인,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PU 유닛에서의 모듈체크 수행단계는,
    CPU 유닛 및 증설모듈 각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출력 포트 값을 하이(High)로 만드는 제 1 단계;
    송신 라인(Tx line)을 통해 접속명령의 데이터를 보내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 대한 응답여부를 판단하고,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모듈체크를 종료하지만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CPU 유닛에 증설모듈이 장착되었음을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증설모듈에 슬롯번호(N)를 할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송신 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 대한 응답여부를 판단하고,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모듈체크를 종료하지만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 슬롯번호를 +1 하여 다시 상기 단계의 루프를 수행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설모듈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증설모듈의 응답으로부터 해당 증설모듈의 종류를 판단하고, 슬롯별로 증설모듈에 대한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인,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설 모듈에서의 모듈체크 수행단계는,
    트리거 라인을 통한 증설 모듈로의 입력 포트 값이 하이(High)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입력 포트 값이 하이인 경우에 송신 라인에 접속명령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송신 라인에 접속명령이 존재하는 경우에 수신 라인(Rx line)에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 3 단계;
    상기 송신 라인에 슬롯번호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할당된 슬롯번호를 자신의 슬롯번호로 만드는 제 4 단계;
    상기 수신 라인에 자신의 모듈정보를 입력하는 제 5 단계; 및
    출력 포트 값을 하이로 만들어 다음 증설 모듈이 모듈체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모듈체크가 완료된 후, 슬롯번호를 할당받은 증설모듈이 CPU 유닛이 송신 라인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 데이터 중에 자신의 슬롯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만 데이터 처리 및 수신 라인을 통한 응답을 수행하고, 그외의 경우에는 항상 수신 라인을 통하여 하이 임피던스를 발생시킴으로써 다른 증설모듈이 상기 CPU 유닛으로 보내는 데이터와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 증설 모듈 제어 방법.
KR1020040051934A 2004-07-05 2004-07-05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증설 모듈 제어 방법 KR20060003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934A KR20060003139A (ko) 2004-07-05 2004-07-05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증설 모듈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934A KR20060003139A (ko) 2004-07-05 2004-07-05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증설 모듈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139A true KR20060003139A (ko) 2006-01-10

Family

ID=3710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934A KR20060003139A (ko) 2004-07-05 2004-07-05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증설 모듈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31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747B1 (ko) * 2006-12-14 2008-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피엘시 시스템 및 그의 통신 제어 방법
KR100832330B1 (ko) * 2007-02-26 2008-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증설 모듈용 펌웨어다운로드 방법
CN106327367A (zh) * 2015-06-26 2017-01-11 上海物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桌面式放置点菜夹的数据采集装置及数据采集方法
WO2020197006A1 (ko) * 2019-03-27 2020-10-01 엘에스일렉트릭(주) 멀티 드롭 직렬통신 방식을 이용한 plc 증설 모듈 인터페이스 방법
CN113805521A (zh) * 2020-06-15 2021-12-17 安沛科技股份有限公司 计算机周边装置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747B1 (ko) * 2006-12-14 2008-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피엘시 시스템 및 그의 통신 제어 방법
KR100832330B1 (ko) * 2007-02-26 2008-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증설 모듈용 펌웨어다운로드 방법
CN106327367A (zh) * 2015-06-26 2017-01-11 上海物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桌面式放置点菜夹的数据采集装置及数据采集方法
WO2020197006A1 (ko) * 2019-03-27 2020-10-01 엘에스일렉트릭(주) 멀티 드롭 직렬통신 방식을 이용한 plc 증설 모듈 인터페이스 방법
CN113805521A (zh) * 2020-06-15 2021-12-17 安沛科技股份有限公司 计算机周边装置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9862B2 (en) System for providing access of multiple data buffers to a data retaining and processing device
CN107066746B (zh) 基于i2c接口通过cpld来实现pca9555功能的方法
CN101506783B (zh) 用于阻隔操作的条件式广播的方法和设备
CN114138703B (zh) 基于串行外设接口进行通信的方法、装置及芯片
US5461701A (en) System and method for peripheral data transfer
CN102073611B (zh) 一种i2c总线控制系统及方法
US6381675B1 (en) Switching mechanism and disk array apparatus having the switching mechanism
CN105718396B (zh) 一种大数据主设备传输的i2c总线装置及其通讯方法
US6721810B2 (en) Universal controller expansion modul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6484215B1 (en) System having I/O module number assignment utilizing module number signal line having pair of inputs adapted for receiving module number signal and propagation of module number signal down stream
JPH04358252A (ja) ワークステーションおよびその構成方法
KR20060003139A (ko) 트리거 신호와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 plc 시스템의증설 모듈 제어 방법
KR20060130664A (ko) Pci 익스프레스 장치, pci 익스프레스 시스템 및정보 통신 방법
EP1266294B1 (en) A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2098467B1 (ko) Rs-232, rs-422, rs-485 선택 및 출력신호 자동 제어기
US5247640A (en) Dual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plural magnetic disk control units and contention control circuitry
JP3477306B2 (ja) 拡張入出力インターフェイス
US7103764B2 (en) Parallel port with direct memory access capabilities
CN100517377C (zh) 多功能ic卡及其控制方法
US5828857A (en) ASIC cell implementation of a bus controller with programmable timing value registers for the apple desktop bus
US20050172061A1 (en) Device controller
CN101354610B (zh) 以虚拟信道进行键盘控制器与电脑系统间的信号传输方法
US6738830B2 (en) Universal controller expansion modul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6813671B1 (en) Controller for hot swapping of extended I/O device to computer body
JPH10198524A (ja) ハードディス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