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3115A -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3115A
KR20060003115A KR1020057022026A KR20057022026A KR20060003115A KR 20060003115 A KR20060003115 A KR 20060003115A KR 1020057022026 A KR1020057022026 A KR 1020057022026A KR 20057022026 A KR20057022026 A KR 20057022026A KR 20060003115 A KR20060003115 A KR 20060003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dress
block
embossed area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276B1 (ko
Inventor
로베르트 에이. 브론듀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0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4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sensing features on the record carrier other than the transducing track ; sensing signals or marks recorded by another method than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웨어 어드레스(HA)를 갖는 블록을 갖는 기억 공간(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기억 공간(10)은 프리 엠보스 영역(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기록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어드레스(DA)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데이터 어드레스 DA=&Delta를 갖는 데이터는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Delta를 갖는 기억 공간 블록 내에 기억되는데, 여기서 &Delta는 1 이상의 정수이다.
기억 매체, 정보, 어드레스, 기억 공간, 블록.

Description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INFORAM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리 엄보스 기억부(pre-embossed storage portion)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광학 기억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광학 기억 디스크에, 보다 특별하게는 DVD-RW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서 이 예를 참조로 설명된다.
광학 기억 장치는 당업자에게는 일반적인 기술이다. 광학 디스크는, 판독 전용 타입일 수 있는데, 여기에 제작 동안 정보가 기록되며, 이 정보는 유저에 의해서 판독만 될 수 있다. 또한, 광학 기록 디스크는 정보가 유저에 의해 기억될 수 있는 기록가능한 타입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는 기록가능한(R) 것으로 표시되는 한번 판독 타입일 수 있지만, 또한 재기록가능한(RW) 것으로 표시되는 정보가 다수 번 기록될 수 있는 기억 디스크가 있다. DVD의 경우는, 2개의 포맷, 예를 들면 DVD-RW 및 DVD+RW로 구별된다. 광학 디스크 기술은 일반적인 것으로, 광학 디 스크 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 및 광학 디스크로부터 광학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이러한 기술을 보다 상세히 기재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메모리 공간은 블록으로 구분되고, 각 블록은 식별이나 어드레스를 갖게 됨에 따라, 판독 장치는 어느 블록이 판독되는지를 알게 된다.
RW 타입 디스크의 경우, 기억 공간은 물리적인 그루브(+RW)나 프리 피트(-RW) 형태로 존재하고, 블록은 미리 정의되며, 어드레스는 기억 공간의 물리적인 하드웨어 형태로 미리 할당되고 코드화된다. DVD-ROM리더는, 이 물리적인 코딩을 판독하도록 구비되지 않으므로, 이들 어드레스를 판독할 수 없다. 그러므로, DVD-ROM 리더가 어드레스를 용이하게 판독하도록 하기 위해서, 어드레스도 기록되는 데이터 내에 통합된다.
이하, 그루브 워블(+RW)이나 프리 피트(-RW)와 같은 디스크의 물리적인 하드웨어 형태와 통합된 어드레스는 하드웨어 어드레스로 표현되며, 기록된 데이터 내에 통합된 어드레스는 데이터 어드레스로 표현된다. 정상적으로는, 이들 어드레스의 값은 동일하다.
디스크의 메모리 공간은 리드인, 메인 데이터 및, 리드아웃 영역으로 다시 나누어진다. 리드인 영역은 디스크의 개시부에, 디스크 자체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 그룹을 포함한다. 이 정보는 디스크 구조와 북 타입(사용된 기준의 표시), 헤더 바이트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헤더 바이트는 영역 타입(리드인 /메인 데이터, 리드아웃/미들 데이터)을 나타내는 비트와, 판독 전용 디스크인지를 가리키는 비트 및, 디스크의 반사율을 가리키는 비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디스크의 재생 능력은 상기 파라미터의 값에 의존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경우, 재생 능력은, 에러 없이 또는 에러가 거의 없이, 디스크가 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정도로서 정의될 수 있다. 재생 동안 많은 에러가 생성되는 경우는, 재생 능력은 낮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억 매체의 재생 능력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은, 재생 능력을 증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재생 능력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파라미터 값을 보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파라미터는 정보용일 뿐이고, 디스크 드라이브의 소정 설정을 실제로 변경하지 않는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DVD-RW타입 디스크는 이점에서 또 다른 문제점을 갖는데, 즉 이들 파라미터가 기억된 기억 공간부는 프리 엠보스된 영역(pre-embossed area), 예를 들면 기록할 수 없는 영역인 것이다. 물론, 기록할 수 없는 영역 내에 기억된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어드레스는 하드웨어 어드레스와 동일하지 않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은, 디스크를 판독할 때, 리더 장치는 데이터 어드레스만을 고려하고, 하드웨어 어드레스가 데이터 어드레스와 동일한지 체크하지 않는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어드레스가 재기록될 수 있는 영역으로 시프트될 수 있으므로, 파라미터의 값을 원하는 값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디스크의 기억 공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데이터 시프트 방법이 통합된 디스크의 기억 공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c)는 도 2와 비교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DVD-RW 디스크의 기억 공간(10)을 연속 리본으로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기억 공간(10) 아래에, 하드웨어 어드레스 HA가 연속적인 수 0, 1, 2 등으로 가리켜진다. 기억 공간(10) 위에, 데이터 어드레스 DA가 또한 연속적인 수 0, 1, 2 등으로 가리켜진다. 이 경우, 데이터 어드레스 DA는 하드웨어 어드레스 HA와 동일하다. 몇몇 어드레스는, N블록(ECC블록)을 포함하는 프리 엠보스 영역(20)에 대응한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은, DVD포맷의 경우와 같이 192개의 블록(N=192)을 포함한다. 이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어드레스는 제1어드레스 A로부터 최종 어드레스 A+192까지의 범위로써 표현된다. DVD의 경우, 프리 엠보스 영역(20)의 192 블록은 서로 동일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사항은 아니다.
프리 엠보스 영역(20)의 상기 블록은, 상기된 바와 같이 디스크 파라미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바이트를 포함한다. 프리 엠보스 영역(20)의 블록이, DVD의 경우에서와 같이 서로 동일하면, 프리 엠보스 영역(20)의 각 블록은 이러한 정보 바이트를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블록이, 도 1에서 참조부호 11로 가리켜진 이러한 정보 바이트를 포함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그러므로, 어드레스 A+2를 갖는 블록만이 도 1의 예에 의해 정보 바이트(11)를 포함하도록 보여진다.
정상적으로는, 데이터는 기록가능한 기억 매체(R;RW)의 경우에서 요구하는 소정의 방법으로 블록 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런데, 프리 엠보스 영역(20)은, 영역(20)의 기록부를 해칭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할 수 없다. 정보 바이트(11)는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블록 내에 위치되므로, 그 내용은 요구대로 보정될 수 없다.
도 2는 도 1과 비교할 수 있는 개략적인 도면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 시프트 방법이 통합된 기억 공간(10)을 나타낸다. 이 예에 있어서, 데이터 어드레스 X를 갖는 블록은 하드웨어 어드레스 X+△를 갖는 기억 공간 블록 내에 기록된다. 또한, 달리 말하면, 하드웨어 어드레스 Y를 갖는 기억 공간 블록 내에 기록된 데이터 는 데이터 어드레스 Y-△를 갖는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블록의 시프트가 달성된다. 이 예에 있어서, △는 N(=192)과 동일하게 선택된다.
도 2에 있어서는, 도시의 목적을 위해서, 상기 데이터 어드레스 A 보다 낮은 어드레스 값을 갖는 데이터 어드레스가 연속적으로 감속하는 값, 예를 들면 A-1, A-2,..., A-192로 보여진다. 그런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블록은, 이 기억 영역의 어드레스가 변화될 수 없으므로, 하드웨어 어드레스로부터 벗어난 데이터 어드레스를 가질 수 없는 것으로 인색된다.
시프트 파라미터 △ 값은, 관련 정보 바이트가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 예를 들면 기억 공간(10)의 재기록 가능한 부분에 기억 위치를 얻도록 선택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바이트(11')는, 이제 하드웨어 어드레스 A+194를 갖는 블록 내에, 예를 들면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에 기록된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하나의 관심 블록(DA=A+2)이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의 기억 위치(HA=A+194)로 시프트하게 보장하도록 △가 충분히 크게 되는 한, △는 N 보다 작으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시프트 파라미터 △ 값은,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하드웨어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모든 데이터 어드레스가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의 기억 위치로 시프트하도록, 예를 들면 △≥N으로 선택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 △는 N과 동일하므로,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제1블록(DA=A)은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최종 블록에 직접 인접한 블록(예를 들면, HA=A+192)으로 시프트한다. 그런데, 바람직하게는 몇몇 마진(margin)은 프리 엠보스 영역(20)의 최상부 어드레스(예를 들면, HA=A+191)와 프 리 엠보스 영역(20)의 최하부 어드레스의 신규 위치(예를 들면, DA=A) 사이에서 생성되고, 이 마진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0.05mm 정도의 반경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시프트 방법의 3가지 가능한 변형을 보유한다. 도 3(a)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낮은 모든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기억 공간부(21)는 무시되어, 예를 들면 이 부분 내에 정보는 기록되지 않는다. 도 3(a)에 있어서는, 이것은 이 부분(21) 내의 블록이 데이터 어드레스를 갖지 않는 사실로 도시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에 기록되는 정보는 없다. 즉, 정보는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높은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기억 공간부(23) 내에만 기록된다(예를 들면, HA>A+191). 한편, 도 3(a)는 프리 엠보스 영역(20)에서, 데이터 어드레스 DA가 하드웨어 어드레스 HA와 동일한 것을 정확히 보여준다.
도 3(b)에 나타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분(21 및 23)이 기록되지만,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은 기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3(b)의 예에 있어서는, 정보는 하드웨어 어드레스 HA<A를 갖는 블록 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3(b)에 있어서는, 이것은, 이 부분(21) 내의 블록이 데이터 어드레스 i, i+1, i+2 등을 갖는 사실로 도시한다.
도 3(c)에 나타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리 엠보스 영역(20)뿐 아니라 프리 엠보스 영역(20) 아래 위의 상기 영역(21 및 23)에 대해서 기록 절차가 수행된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와 같이, 정보는 하드웨어 어드레스 HA<A를 갖는 블록 내에 이제 기록할 수 있다. 그런데, 엠보스 영역(20)에 대한 기록 처리는 프리 엠 보스 영역(20)의 데이터가, 데이터 어드레스에 대한 해칭부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파기되는 것으로 귀결된다.
도 3(c)의 제3실시형태의 장점은, 기억 공간 블록의 데이터 어드레스가 명백한 것이다. 특히, 판독 장치가 프리 엠보스 영역(20)을 전혀 판독할 수 없는 것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데이터 어드레싱은 명백하지 않다.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데이터 어드레스 A+2는 2회 존재하는데, 한번은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HA=A+2에 대응하고, 두번째는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의 HA=A+194에 대응한다. 더욱이, 도 3(b)의 예에 있어서는, 블록 데이터 어드레스 A-193은 2회 존재하는 반면(HA=A-193 및 HA=A-1), HA=A-1과 HA=A(DA=A-193 및 DA=A) 사이에는 어드레스 불연속이 있게 된다. 원리적으로, 디스크 리더 장치는, 이러한 경우를 해결할 수 없는 에러 상태로 고려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3(a) 내지 (c)에 도시한 모두 3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스크 리더 장치가 어드레스 0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프리 엠보스 영역(20) 너머에 있는 소정 반경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디스크 리더 장치가 디스크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이 반경은, 공차를 감안하더라도, 디스크 리더 장치의 초기 액세스가 항상 프리 엠보스 영역(20)을 넘도록 하는 반경이다. 그 다음, 정보 바이트(11)를 판독하기 위해서, 디스크 리더는 위로부터 대응하는 데이터 어드레스 DA=A+2에 접근하게 되고, 따라서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측의 초기 바이트(11) 대신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의 바이트(11')를 효과적으로 판독하게 된다.
데이터를 기억 공간(10)에 기록할 때, 특히 데이터 어드레스 DA=A+2 내에 정보 바이트(11')를 기록할 때, 디스크 기록 장치는 하드웨어 어드레스 HA=A+2 내의 초기 정보 바이트(11)의 값으로부터 벗어난 정보 바이트(11')에 대해 적합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기록된 바와 같은 정보 바이트는, 판독 동안 동일 장치의 최적의 재생 능력을 위해 선택된 정보 값을 갖는다. 이들 값은 드라이브의 메모리 내에 기억할 수 있고, 기억 공간(10)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디스크 드라이브는 이 메모리로부터 상기 값을 판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가 다른 장치에 의해 판독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디스크 기록 장치는 정보 바이트(11)로서 기록되는 유저 판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유저가 판독 장치용의 최적 값을 알지 못하면, 시행 착오를 통해서, 최적 값을 판정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면 정보 바이트(11')에 대해 다른 값을 설정하고, 매시간 마다 재생 능력을 판정하며, 최상의 재생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판정되는 이들 각 값에 대해서 상기 디스크 정보 바이트(11')를 설정한다.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상기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기재에 있어서는 하나의 블록 A+2 내의 하나의 단일 바이트(11)의 정보가 보정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재생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저가 전체 블록 A+2 내에 소정의 적합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또 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시프트된 블록 내에 다른 정보가 기억되게 허용함에도 불구하고(예를 들면, HA=A+192 내지 HA=A+191+192), 바람직하게는 동일 정보가 모든 이들 블록 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이 하드웨어 내에서 실행될 수 있지만, 또한 하나 이상의 이들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3)

  1. 하드웨어 어드레스(HA)를 갖는 블록을 갖는 기억 공간(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기억 공간(10)은 프리 엠보스 영역(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기록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어드레스(DA)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이며,
    데이터 어드레스 DA=X를 갖는 데이터는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를 갖는 기억 공간 블록 내에 기억되고, △는 적어도 1인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9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기록되는 데이터는, 디스크 자체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1바이트(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인 블록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드인 블록은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에서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에 대응하는 데이터 어드레스 DA=X를 가지며,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드인 블록이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에서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를 갖는 기억 공간 블록 내에 기억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는,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를 갖는 블록과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의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를 갖는 블록 사이의 반경 거리가 0.2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1mm 미만이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는,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에 대응하는 데이터 어드레스 DA=X를 갖는 실질적으로 모든 데이터 블록이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에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를 갖는 기억 공간 블록 내에 기억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는,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최종 블록(HA=A+191)과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의 최저 어드레스의 신규 위치(예를 들면, HA=A+△) 사이의 반경 거리가 0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0.05mm 정도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보 바이트(11')의 시프트된 버전(HA=A+194) 내에 기록되는 데이터가 디스크 재생 능력을 개선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블록(HA=A+194)의 전체 시프트된 버전 내에 기록되는 데이터가 디스크 재생 능력을 개선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동일 데이터가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하드웨어 어드레스(HA=A 내지 HA=A+191)에 대응하는 데이터 어드레스(DA=A 내지 DA=A+191)를 갖는 모든 블록(HA=A+△ 내지 HA=A+191+△) 내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보 바이트(11')의 값이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보 바이트(11)용의 제1값을 선택하고, 이 값을 디스크에 기록하는 단계와,
    자체의 제1값을 갖는 상기 디스크 정보 바이트(11')로 디스크의 재생 능력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 정보 바이트(11')용의 제2값을 선택하고, 이 값을 디스크에 기록하는 단계,
    자체의 제2값을 갖는 상기 디스크 정보 바이트(11')로 디스크의 재생 능력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 정보 바이트(11')용의 상기 제1 및 제2값 중 보다 나은 재생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크 정보 바이트(11')를 보다 나은 재생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정보가,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높은 하드웨어 어드레스를 갖는 기억 공간(23)에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정보가,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높은 하드웨어 어드레스를 갖는 기억 공간(23) 내에 그리고,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낮은 하드웨어 어드레스를 갖는 기억 공간(21) 내에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정보는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에도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14. 하드웨어 어드레스(HA)를 갖는 블록을 갖는 기억 공간(10)을 구비하여 구성 되고, 기억 공간(10)은 프리 엠보스 영역(20)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기록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어드레스(DA)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광학 기억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이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정보 바이트(11')로서 기록되는 유저 판정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16. 하드웨어 어드레스(HA)를 갖는 블록을 갖는 기억 공간(10)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기억 공간(10)은 프리 엠보스 영역(20)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광학 기억 매체이고,
    기억 매체가, 상기 기억 공간(10) 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포함하고, 데이터가 데이터 어드레스(DA)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의 상기 기억 공간(10)의 적어도 부분(23) 내에서, 하드웨어 어드레스 HA=Y를 갖는 블록이 데이터 어드레스 DA=Y-△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는 1 이상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92 이상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광학 기록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높은 하드웨어 어드레스 HA=Y≥A+192를 갖는 블록이, 데이터 어드레스 DA=Y-△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반면,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낮은 하드웨어 어드레스 HA=Y<A를 갖는 블록은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높은 하드웨어 어드레스 HA=Y≥A+192를 갖는 블록이, 데이터 어드레스 DA=Y-△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반면,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낮은 하드웨어 어드레스 HA=Y<A를 갖는 블록은 데이터 어드레스 DA=Y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보다 높은 하드웨어 어드레스 HA=Y≥A+19를 갖는 블록이, 데이터 어드레스 DA=Y-△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반면, 상기 프리 엠보 스 영역(20) 보다 낮은 하드웨어 어드레스 HA=Y<A를 갖는 블록은 데이터 어드레스 DA=Y-△를 갖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블록의 데이터가 파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측의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를 갖는 블록과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외측의 데이터 어드레스 DA=X(HA=X+△)를 갖는 대응하는 시프트된 블록 사이의 반경 거리가 0.2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1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최종 블록(HA=A+191)과 프리 엠보스 영역(20)의 최저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시프트된 블록(HA=A+△) 사이의 반경 거리가 0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0.05mm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엠보스 영역(20) 내의 하드웨어 어드레스 HA=X를 갖는 블록은 제1데이터를 포함하고, 데이터 어드레스 DA=X(HA=X+△)를 갖는 블록은 상기 제1데이터와 다른 제2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억 매체.
KR1020057022026A 2003-05-19 2004-05-12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광학 기억 매체 KR101054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1409 2003-05-19
EP03101409.5 2003-05-19
PCT/IB2004/050665 WO2004102569A1 (en) 2003-05-19 2004-05-12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115A true KR20060003115A (ko) 2006-01-09
KR101054276B1 KR101054276B1 (ko) 2011-08-08

Family

ID=3344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026A KR101054276B1 (ko) 2003-05-19 2004-05-12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광학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55997B2 (ko)
EP (1) EP1629500B1 (ko)
JP (1) JP4444292B2 (ko)
KR (1) KR101054276B1 (ko)
CN (1) CN100520953C (ko)
WO (1) WO2004102569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815A (ja) * 1983-04-08 1984-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EP0238318B1 (en) * 1986-03-19 1992-03-04 Fujitsu Limited Track access control system for magnetic disk system
JP3669442B2 (ja) * 1995-06-26 2005-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ィスク状記録媒体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EP0751504A3 (en) 1995-06-28 1998-02-11 Nikon Corporation Data reply device and method for replaying data using the data replay device
JP3425376B2 (ja) 1998-09-30 2003-07-14 株式会社リコー 光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JP3206657B2 (ja) * 1999-02-05 2001-09-10 日本電気株式会社 交替処理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189019A (ja) * 1999-12-28 2001-07-10 Sony Corp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2066882A (ja) 2000-08-31 2002-03-05 Heiwa Corp 生産工場
JP4037617B2 (ja) * 2001-03-16 2008-01-23 株式会社東芝 欠陥検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1936A (zh) 2006-06-21
JP2007502507A (ja) 2007-02-08
WO2004102569A1 (en) 2004-11-25
EP1629500A1 (en) 2006-03-01
EP1629500B1 (en) 2017-04-26
CN100520953C (zh) 2009-07-29
KR101054276B1 (ko) 2011-08-08
US20070143524A1 (en) 2007-06-21
JP4444292B2 (ja) 2010-03-31
US7755997B2 (en) 201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1531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ing capacity information and method for indicating recording capacity
US8169865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pointing information
KR20030092588A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그 기록/재생 방법
TWI383388B (zh) 用以在記錄媒體記錄控制資訊之記錄媒體和方法以及藉以在/從記錄媒體記錄/重製資料之方法和設備
WO2007029147A2 (en) Bd9 hybrid disc and copy protection system therefor
US20040076101A1 (en) High-density read-only optical disc, method for recording disc information (DI) on the high-density read-only optica disc,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the high-density read-only optical disc
EP1639581A4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D / OR PLAYING DATA
US20050030853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KR101054276B1 (ko) 광학 기억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광학 기억 매체
KR20000018533A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 용량 가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방법
KR100480738B1 (ko) 기록 용량 정보를 가지는 기록매체, 기록 용량 표시 방법,기록 용량 정보 기록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KR100577291B1 (ko) 기록용량 정보를 가지는 광기록 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기록 용량 가변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KR100463553B1 (ko) 기록 용량 정보를 가지는 기록매체 및 기록 용량 표시 방법
KR100577274B1 (ko) 기록용량 정보를 가지는 광기록 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기록 용량 가변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KR20000018532A (ko) 기록 용량 정보를 가지는 광 기록매체 및 기록 용량 표시 방법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KR20040077225A (ko) 기록 종료시 데이터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광 기록 매체,데이터 식별 정보 및 데이터 기록 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