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913A -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 - Google Patents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913A
KR20050122913A KR1020040048576A KR20040048576A KR20050122913A KR 20050122913 A KR20050122913 A KR 20050122913A KR 1020040048576 A KR1020040048576 A KR 1020040048576A KR 20040048576 A KR20040048576 A KR 20040048576A KR 20050122913 A KR20050122913 A KR 20050122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uxiliary wheel
folding
main body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철
Original Assignee
정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철 filed Critical 정원철
Priority to KR102004004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2913A/ko
Publication of KR2005012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1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the rolling means being formed by the trunk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retrac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시에 여러 개의 여행가방을 이동할 때 하나의 가방 개념으로 연결하고 일체화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여행가방의 연결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거나 펼치는데 용이하고, 직립자세로 밀면서 지면을 구르며 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끌고 다니면서 이동하는 일반적인 여행용가방으로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상기의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부착 및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여행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Wheeled Luggage With Coupling Device & Subsidiary Folding Wheels Included.}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여행용가방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여행가방에 구성되어지며,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부착 또는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행객의 증가와 여행거리의 증가로 인하여 여행용가방은 급속하고도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한 여행용가방과 그에 관련된 장치는 그 필요성이 더욱더 증가하고 있다.
여러 개의 가방을 동시에 이동하려는 여행자에게 사용되어지고 있는 밀거나 끌면서 가는 형태로 만들어진 기존의 여행용가방은 여행자의 보폭이나 걸음걸이의 행태, 가방과 가방사이의 움직이는 각도와 거리의 상태에 따라 가방과 가방사이의 거리는 좁혀짐으로 인해 가방끼리 부딪치거나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사용자는 상당한 응력을 필요로 하며, 또한 상당한 불편함을 갖게 되어 있으며,
기존 여행용가방은 후방의 하부 끝부분에 고정 축으로 장착된 2개의 바퀴와 상부에 부착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가방을 후방으로 기울인 후 끌고 이동하는 형태이며, 이동하지 않을 때는 하부 전방끝부분에 부착된 지지대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응력과 자세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밀면서 이동이 가능한 형태의 여행용가방에 많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 개발되어지고 있다.
기존의 밀면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진 4개의 바퀴가 달린 여행용가방은 전방과 후방의 하부의 양측에 고정 축으로 장착된 2쌍 4개의 바퀴와 상부에 부착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가방을 전방으로 밀면서 이동하는 형태이며, 이는 이동하지 않을 때 지면에 고정을 하기위해서는 사용자가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특히 경사도가 있는 언덕에서는 고정된 4개의 바퀴로 지지를 하기위해서는 항상 사용자가 잡고 있어야 고정이 가능하고, 잡고 있지않는 상태라면 고정이 불가능하며, 여행용가방의 무게가 가볍거나 그 양이 적을 때에는 밀면서 이동을 하는 것보다 기존의 끌면서 이동을 하는 것이 오히려 편할 수가 있으나 기존의 밀면서 가는 여행용가방으로는 후방으로 기울인 후 끌고 이동할 수가 없으며, 또한 사용자 한 사람이 1대이상의 여행용가방을 동시에 이동을 해야 할 때에는 더더욱 혼자서 이동을 불가능하게 된다.
샘소나이트사(Samsonite.co)의 미합중국 특허 제601,013,068호에 직립자세로 지지면을 구를 수 있는 여행용 가방이 나오지만, 이는 하부에 고정 축으로 4개의 바퀴가 장착되어있어서 바닥면의 경사도 차이에 따라 지면과 접지한 바퀴가 구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사도가 있는 언덕을 오를 경우에는 평지에서보다 몇 배의 가중된 힘이 필요하며, 수직으로 구성된 가방의 중심선과 후방으로 기울어진 가방은 무게중심이 상부에 위치하여 경사도에 오를 경우 보다 많이 받게 되는 중력에 의해 가방의 상부는 지면으로의 쏠림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바닥면과 경사도의 상황에 따라 가방 무게중심의 안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보완장치가 필요한 상태이며, 또한 항공이나 선박을 통하여 운송 적재될 때 기울어진 형태로 인하여 물류처리나 적재에 보다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되는 상태이며, 특히 끌면서 이동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고 있으나 이러한 단점에 대하여 보완방안이 제시되어 있지않다.
샘소나이트사(Samsonite.co)의 PCT/US 88/001272호에는 보조가방을 장착 시킬 수 있도록 된 가방에 관해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이 묶음 끈으로 소형의 가방을 매달고 가는 형태로써 무게가 많거나 부피가 큰 가방의 경우에는 연결과 고정이 불가능하지만 이에 관해서는 보완 방안이 제안되어 있지 않으며, 소형의 보조 가방의 경우에도 하부에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없어서 이동할 때 흔들리는 단점이 있으며, 가방의 무게중심이 장착된 가방에 의하여 변할 수가 있으며, 이는 가방의 불안정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커다란 단점이 있으나 이에 대한 보완방안도 제시되지 않았다.
티지닉스(Tiginics.co)의 한국 특허 제10-2003-0053035와 20-2003-0024734호에는 1개의 보조바퀴와 2개의 고정된 앞 바퀴가 장착되어져 밀거나 끌고 가는 방식으로 전환이 가능한 여행용가방에 관하여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변환이 가능한 보조바퀴 1개와 고정바퀴 2개를 사용하여 3개의 바퀴로 이동을 하는 방식이며, 3개의 바퀴는 이동할 때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결함을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불안정한 이동에 따라 보다 많은 응력을 소모하게 되어 있으며, 특히 이동하면서 회전을 할 때에는 원심력에 의해 더더욱 불안정하여 사용자의 보다 많은 응력이 필요한 상태이며, 여러개의 가방을 동시에 이동하는 것과 연결하여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보조바퀴를 사용할 때마다 항상 높이와 방향을 조정하여야 하며 보조 바퀴를 사용 후에도 같은 작업을 항상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며, 또한 보조바퀴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혀 쓸모없는 장치로 남게 되며, 보조바퀴의 내장(內藏)이 불가능한 단점을 갖고 있으나 이러한 단점에 대한 보완점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않다.
따라서, 동시에 여러 개의 가방을 하나의 가방처럼 일체화하여 운반과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밀거나 끌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과도한 응력을 초래하지 않으며, 평지에서나 경사도에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며, 직립자세로 이동이 가능한 여행가방과 그에 따르는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시에 여러 개의 여행가방을 이동할 때 하나의 가방 개념으로 연결하고 일체화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여행가방의 연결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거나 펼치는데 용이하고, 직립자세로 밀면서 지면을 구르며 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끌고 다니면서 이동하는 일반적인 여행용가방으로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상기의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부착 및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여행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행적인 직육면체 형태로 본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의 상부에는 지지면을 따라서 밀거나 끌면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이루어주는 핸들부가 위치하며,
본체의 정면부에는 양측 모서리 부분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2개의 연결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며, 연결장치에는 여러 개의 여행가방의 연결에 따른 가방의 무게와 압력을 안정적으로 지탱해주기 위한 연결 프레임, 여러 개의 가방을 연결할 때 후면부에 위치한 접이식 보조바퀴의 연결 구멍부를 올리기만 해도 손쉽게 맞추고 고정이 가능하도록 돌출되어져 구성된 연결 돌출부로 구성되어지며,
본체의 후면부에는 양측 모서리 부분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2개의 접이식 보조바퀴가 장착되어 있으며, 접이식 보조바퀴의 상부에는 여행가방의 견고함과 접이식 보조바퀴를 펼칠 때 무게와 압력을 분산하고 지탱하기위해 부착되어진 상부 프레임, 후면부의 중부에 가로방향으로 위취하여 좌측과 우측의 접이식 보조바퀴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보강하기 위하여 구성되어진 중부 프레임, 후면부의 양측 모서리 부분의 중부에서 하부까지 위치하여 접거나 펼치기에 용이하고 간단한 동작에 의해 손쉬운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자 스스로 접거나 펼친 후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고 또 밀기 위해 펼쳤을 때 각 프레임과 안전한 연결과 본체와 보조바퀴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장착된 보강프레임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진 하부 프레임, 일반적인 이동을 위해서 끌고 가는 경우에는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밀면서 이동을 할 경우에는 본체와 보조바퀴의 멀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어진 보강 프레임, 후면부의 하부 프레임 하부에 위치하여 끌면서 이동을 할 때나 밀면서 이동을 할 때 바닥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를 수 있도록 장착되어진 보조 바퀴부로 구성되어지며, 후면부의 상부와 하부 프레임에는 전면부의 연결 돌출부와 그 크기가 일치하여 연결과 고정을 이루어주며 여러 개의 가방을 동시에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움푹한 구멍의 형태로 구성되어진 연결 구멍이 있으며,
본체의 좌측면부는 상부에서 하부의 우측에 위치하여 수납의 공간과 연결장치등을 구성하는 본체 상판, 상부에서 하부의 좌측에 위치하여 수납의 공간과 접이식 보조바퀴 등을 구성하는 본체 하판, 상부에서 하부까지의 중앙에 세로로 위치하여 여러장치의 구성과 상판과 하판의 연결과 보강을 위한 본체 장치부, 본체 장치부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개폐를 통제하고 도난방지를 위한 잠금 장치, 본체 장치부의 중부에 위치하여 가로로 휴대할 때 용이하게 하기위한 좌측부 손잡이, 하부에 위치하여 접이식 보조바퀴를 펼치지 않을 때 접혀서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핀 형태로 부착되어진 좌측 접이식 보조바퀴 잠금 장치, 하부에 위치하여 좌측프레임의 속에 내장되어있는 보강 프레임과 본체의 안전한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연결관통볼트로 구성되어 지며,
본체의 우측면부는 상부에서 하부의 좌측에 위치한 본체 상판, 상부에서 하부의 우측에 위치한 본체 하판, 상부에서 하부의 중앙에 위치한 본체 장치부, 본체 장치부의 상부, 중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과 하판의 연결과 개폐를 위해 부착되어진 3개의 경칩, 본체 장치부의 각 4개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가방의 움직임이 없을 때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진 우측 지지대, 하부에 위치하여 접이식 보조바퀴를 펼치지 않을 때 접혀서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핀 형태로 부착되어진 우측접이식 보조바퀴 잠금 장치, 하부에 위치하여 우측프레임의 속에 내장되어있는 보강프레임과 본체의 안전한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연결관통볼트로 구성되어지며,
본체의 평면부에는 전방부와 후방부의 중앙에 위치하여 휴대를 위하여 부착된 손잡이, 후방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가방을 밀거나 끌기에 용이하도록 부착된 상부손잡이로 구성되어지며,
본체의 저면부에는 전방부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가방의 움직임이 없을 때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부착되어진 2개의 바닥 지지대, 후방부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는 밀면서 이동을 하기위해 펼칠 때는 뒷바퀴가 되고 또 끌면서 이동을 할 때는 가방의 무게를 분산하여 바퀴의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1쌍 2개의 바퀴로 평행적으로 장착되어진 접이식 보조바퀴, 후방부의 양측의 모서리에는 접이식 보조바퀴보다는 중심측에 위치하여 밀면서 이동을 하기위해 펼칠 때는 앞 바퀴가 되고 바퀴의 360°회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의 방향으로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지고 또 일반적인 이동 형태인 끌면서 이동을 할 때에는 바로 옆에 설치된 접이식 보조바퀴에 의해서 회전이 되지않고 사용자의 끄는 방향으로 이끌리도록 본체에 부착되어진 고정바퀴로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과 동시에 여러 개의 여행가방을 하나의 가방 개념으로 일체화가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여행가방의 연결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거나 펼치는데 용이하고, 직립자세로써 밀면서 지면을 구르며 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끌고 다니면서 이동하는 일반적인 여행용가방으로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의 형태에 따른 변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여행용가방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여행가방에 구성되어지며,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부착 또는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에 관한 것이다.
도1과 도11 그리고 도1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반적인 설명을 하고자 한다.
본체는 상부와 하부, 전방부와 후방부, 좌측면부와 우측면부로 구성되어진 6면으로 평행적인 직육면체로 구성되어지며, 이러한 본체는 그 각기의 기능에 따라서도 다른 구분을 할 수 있으며, 또 재질과 기능에 따라서 구분이 가능하며, 이는 수납의 공간을 제공하고 개폐시에 본체의 뚜껑의 기능을 가진 본체의 상판부(110), 수납의 공간을 제공하고 개폐시에 상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진 본체의 하판부(120),상판부와 하판부의 용이한 개폐와 안전한 연결을 이루도록 본체 상판부과 하판부의 중간에 끼인 형태로 본체 전체에 걸쳐서 둘러져 있는 본체 장치부(130)로 구성되어져 있다.
도1과 도6에 도시 되어진 본체 상부는 전방부에 수납의 공간으로 구성된 본체의 상판(110)이 있으며, 본체 상판부와 하판부사이의 중앙에는 세워진 형태에서 손으로 들기에 편리하도록 부착되어진 상부손잡이(131), 상부손잡이를 포함하여 본체의 장치 부착과 안전한 연결을 이루도록 구성되어진 본체 장치부(130)가 있으며, 상부의 후방부에는 본체의 하판부(120)가 있으며 이러한 하판부의 후방부에는 사용자가 밀면서 이동을 하거나 끌면서 이동을 할 때 또는 방향을 전환을 할 때 용이하도록 부착되어진 핸들손잡이(161), 핸들손잡이를 고정해주는 핸들 프레임은 핸들손잡이 하부의 좌측과 우측에는 좌측 핸들프레임(162)과 우측 핸들프레임(163)으로 부착되어 구성되어져 있는 핸들부가 있으며,
도7에서 도시 되어진 본체 하부의 전방부 좌측 모서리에는 사용자가 가방을 세우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때나 이동을 정지할 때 본체가 바닥과의 접촉을 막으며 본체의 보호를 이루도록 하는 좌측 바닥지지대(143), 하부의 전방부 우측 모서리에는 사용자가 가방을 세우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때나 이동을 정지할 때 본체가 바닥과의 접촉을 막으며 본체의 보호를 이루도록 하는 우측 바닥지지대(144)를 부착하는 공간인 본체 상판부(110)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 하부의 중앙에는 본체 장치부가 있으며, 본체 후방부의 하판부는 사용자가 끌면서 이동을 할 때는 4개의 바퀴가 일렬로 되어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구를 수 있으며 또 밀면서 이동을 할 때는 일렬로 된 4개의 바퀴가 각각 앞뒤로 2쌍 4개로 평행적으로 분리와 접이가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져 있으며 이는 본체 하부의 후방부 좌측 모서리에는 후방부의 좌측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져 있어서 밀면서 이동을 할 때 접이와 변형이 가능하고 밀면서 이동할 때 뒷바퀴의 기능을 갖도록 장착되어진 좌측 보조바퀴(391), 후방부의 좌측 보조바퀴보다 약간 안쪽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밀면서 이동을 할 때 앞바퀴의 기능을 갖도록 부착되어진 좌측 고정바퀴(141), 본체 하부의 후방부 우측 모서리에는 후방부의 우측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져 있어서 밀면서 이동을 할 때 접이와 변형이 가능하고 밀면서 이동할 때 뒷바퀴의 기능을 갖도록 장착되어진 우측 보조바퀴(393), 후방부의 우측 보조바퀴보다 약간 안쪽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밀면서 이동을 할 때 앞바퀴의 기능을 갖도록 부착되어진 우측 고정바퀴(142), 이러한 장치를 구성하는 공간인 본체 하판(120)이 있으며,
도2에서 도시 되어진 본체 전방부의 좌측면 모서리에는 동시에 여러 개의 여행가방을 하나의 가방 개념으로 일체화가 가능하도록 부착되어진 좌측 연결프레임(210), 본체 전방부 우측면 모서리에는 동시에 여러 개의 여행가방을 하나의 가방 개념으로 일체화가 가능하도록 부착되어진 우측 연결프레임(220)이 부착되어 있으며, 본체 전방부의 중앙에는 제조회사나 판매회사의 상표 및 로고가 선택에 따라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으로 본체상판표시(111)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고 수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본체의 커버에 해당하는 본체 상판부(110)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5에서 도시 되어진 본체 후방부의 좌측면 모서리 상부에는 본체의 견고함과 안정적인 구조를 줄 수 있고 접이식 보조바퀴의 하부프레임과의 접이 및 연결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상부 좌측프레임(310)이 부착되어 있으며, 본체 후방부의 좌측면 모서리 하부에는 상부 좌측프레임과 접이식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서 밀면서 이동을 할 때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변형을 이루어 줄 수 있는 하부 좌측프레임(340)이 장착되어 있으며, 후방부의 우측면 모서리 상부에는 본체의 견고함과 안정적인 구조를 줄 수 있고 접이식 보조바퀴의 하부프레임과의 접이 및 연결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상부 우측프레임(320)이 부착되어 있으며, 본체 후방부의 우측면 모서리 하부에는 상부 우측프레임과 접이식으로 연결이 되어있어서 밀면서 이동을 할 때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변형을 이루어 줄 수 있는 하부 우측프레임(350)이 장착되어 있으며, 본체 후면부의 하부프레임을 연결하여 밀면서 이동을 할 때 양측 하부프레임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 후방부의 중앙에 위치한 중부프레임(330), 이러한 장치들을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본체의 뒷커버에 해당하는 본체 하판부(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3에서 도시 되어진 본체 좌측면부의 전방부는 본체 상판부(110)가 있으며, 본체 좌측면부의 후방부 하부에는 밀면서 이동을 하기위해 접이식 보조바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이식 보조바퀴의 움직임을 고정과 잠금을 위해서 구성되어진 좌측 접이식 보조바퀴 잠금장치(124), 좌측 접이식 보조바퀴 잠금장치의 바로 하부에 위치하여 보강프레임의 접이 및 연결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진 보강 전방 좌측 프레임 본체 접힘관통볼트(363)로 구성되어진 본체 하판부(120)가 있으며, 본체 좌측면부 중앙의 본체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까지 위치한 본체 장치부(130)에는 중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들거나 이동할 때 편리한 좌측부 손잡이(132), 본체 장치부 상부에는 상판부과 하판부의 개폐를 인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있도록 하는 상부 잠금장치(133), 본체 장치부 하부에는 상부의 잠금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잠금장치(134)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도4에서 도시 되어진 본체 우측면부 전방부는 상부에 사용자가 가방을 세우거나 바닥에 내려놓을 때 본체가 바닥과의 접촉을 막으며 본체의 보호를 이루도록 하는 우측 상판 상부지지대(151), 전방부 하부에는 상부지지대와 같은 기능의 우측 상판 하부지지대(152)를 구성하는 공간인 본체 상판이 있으며, 본체 우측면부 후방부의 상부에는 전방부의 지지대와 동일한 기능의 우측 하판 상부지지대(153), 하부에는 밀면서 이동을 하기위해 접이식 보조바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접이식 보조바퀴의 움직임을 고정과 잠금을 위해서 구성되어진 우측 접이식 보조바퀴 잠금장치(125), 좌측 접이식 보조바퀴 잠금장치의 바로 하부에 위치하여 보강프레임의 접이 및 연결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진 보강 전방 우측 프레임 본체 접힘관통볼트(373), 하부의 전방 우측 프레임 본체 접힘관통볼트의 하부에 상부의 지지대와 동일한 기능의 우측 하판 하부지지대(154)로 구성되어진 본체 하판부(120)가 있으며, 본체 우측면부의 중앙에 본체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까지 위치한 본체 장치부(130)는 상부에 본체 상판과 하판의 개폐와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본체 상부경칩(135), 중부에는 상부경칩과 같은 기능의 본체 중부경칩(136), 하부에는 본체 하부경칩(137)을 구성하고 있으며,
도9와 도10에서 도시 되어진 본체 전방부에는 연결장치의 연결돌출부가 각각 좌측 연결돌출부(211)와 우측 연결돌출부(221)를 구성하고있는 본체상판부(110)는 사용자에게 수납공간을 제공과 장치를 구성하며, 본체 중앙에는 본체 연결장치부(130)의 안에 구성되어져 있는 본체 상하판분리선(138)이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 후방부의 본체 하판부(120) 중앙에는 이동할 대 밀어 넣거나 길게 빼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좌측 핸들프레임(162), 우측 핸들프레임(163)이 부착되어 있으며, 본체 후방부의 양측 모서리에는 프레임 내부에 또 다른 프레임을 장착하여 최소한의 공간에 장착되어져 밀면서 이동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접이식 보조바퀴의 하부 좌측프레임(340), 하부 우측프레임(350)을 구성하고 있으며,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361),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381)은 최소한의 공간인 좌측 하부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여행가방의 접이를 통한 변형과 이동을 할 때 여러 개의 가방은 전방의 연결장치와 후방부의 접이식 보조바퀴에 부착되어진 연결구멍에 의해서 도8과 같이 동시 연결과 이동이 가능하며, 이는 기존의 2개나 4개에 움직여지는 일반적인 가방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로 연결되어지는 가방의 모든 바퀴가 동시에 연결되고 또 밀리면서 굴러가는 형태이다.
연결장치는 연결구멍에 연결돌출부를 올리기만 함으로서 이동할 때 하나의 가방과 같이 일체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연결 구멍을 구성하고 있는 양측의 2개의 연결구멍 프레임과 후방부에 위치하여 연결돌출부를 구성하고 있는 연결 돌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도11에 도시 되어진 바와 같이 접이식 보조바퀴의 연결구멍에 올리기만 하면 연결이 가능하도록 본체 전방부 본체 상판의 좌측 모서리에 부착되어지는 좌측 연결돌출부(211)를 구성하고 있는 좌측 연결프레임(210), 본체 전방부 본체 상판의 우측 모서리에 부착되어지는 우측 연결돌출부(221)를 구성하고 있는 우측 연결프레임(220)의 동일한 형태의 1쌍 2개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로 구성되어지며,
도12에 도시 되어진 연결장치의 좌측프레임에는 상부와 중부, 하부에 본체에 움직임이 없고 견고하게 고정을 하는 각각의 연결나사가 좌측 연결프레임 상부 고정나사(212), 좌측 연결프레임 중부 고정나사(213), 좌측 연결프레임 상부 고정나사(214)가 있으며, 여러 개의 가방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돌출부(211)가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장치의 우측프레임에는 상부와 중부, 하부에 본체에 움직임이 없고 견고하게 고정을 하는 각각의 연결나사가 우측 연결프레임 상부 고정나사(222), 우측 연결프레임 중부 고정나사(223), 우측 연결프레임 상부 고정나사(224)가 있으며, 여러 개의 가방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돌출부(221)가 구성되어 있으며,
도13에 도시 되어진 여러 개의 가방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돌출되어진 연결돌출부와 연결돌출부를 구성하고 있는 연결프레임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14에 도시 되어진 여러 개의 가방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돌출되어진 연결돌출부와 연결돌출부를 구성하고 있는 연결프레임의 평면적이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돌출부의 돌출 형태는 그 형태가 사각기둥이나 원기둥 및 그 외의 어떠한 형태로도 돌출만 되어있는 형태라면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거나 펼치는데 용이하고, 직립자세로 밀면서 지면을 구르며 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끌고 다니면서 이동하는 일반적인 여행용가방으로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접이식 보조바퀴는 9개의 프레임과 2개의 보조바퀴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이는 접혀져 있는 평상시에는 프레임의 내부에 구성되어져 5개의 프레임과 2개의 보조바퀴만이 보일 뿐이며, 이동을 위해서 펼쳐져 있을 때에는 9개의 프레임과 2개의 보조바퀴가 모두 보여지며 정해진 기능과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도15에 도시 되어진 접이식 보조바퀴 좌측 상부에는 여행가방의 본체와 안전하게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상부 좌측 프레임 본체 고정나사구멍(314)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 좌측프레임(310)이 있으며 이는 한쪽 면이 비어있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상부에 비해서 작은 크기의 하부는 하부 좌측프레임(340)의 내부에 장착되어지고, 상부 좌측프레임 접힘 관통볼트(313)를 통하여 하부 좌측프레임의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접이식 보조바퀴 우측 상부에는 여행가방의 본체와 안전하게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상부 우측 프레임 본체 고정나사구멍(324)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 우측프레임(320)이 있으며 이는 한쪽 면이 비어있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상부에 비해서 작은 크기의 하부는 하부 우측프레임(350)의 내부에 장착되어지고, 상부 우측프레임 접힘 관통볼트(323)를 통하여 하부 우측프레임의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부 좌,우측의 2개의 프레임으로 상부프레임은 구성되어져 있으며,
접이식 보조바퀴 중부에는 하부 프레임의 벌어짐을 방지하기위한 중부프레임(330)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중부프레임 좌측의 중부프레임 좌측 고정볼트(332)와 중부프레임 우측의 중부프레임 우측 고정볼트(334)로 하부프레임과 고정과 연결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며,
접이식 보조바퀴 하부에 위치하여 접거나 펼치는데 용이하고 직립자세로 밀면서 지면을 구르며 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끌고 다니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프레임은 보강프레임의 내장이 용이하도록 한쪽 면이 비어있는 직육면체의 형태이며 가장 하부에는 보조바퀴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는 하부프레임이 있으며, 이러한 하부프레임의 좌측에는 접혔을 때 본체와 일체가 가능하고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과 잠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 좌측프레임 잠금구멍(344), 하부 좌측프레임의 가장하부에 장착되어져 이동할 때 구를 수 있는 좌측 보조바퀴(391), 좌측 보조바퀴와 좌측 하부프레임의 연결과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좌측 보조바퀴볼트(392)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좌측프레임(340)이 있으며, 하부프레임의 우측에는 접혔을 때 본체와 일체가 가능하고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과 잠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 우측프레임 잠금구멍(354), 하부 우측프레임의 가장하부에 장착되어져 이동할 때 구를 수 있는 우측 보조바퀴(393), 우측 보조바퀴와 우측 하부프레임의 연결과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우측 보조바퀴볼트(394)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우측프레임(350)이 있으며,
접이식 보조바퀴의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와 하부프레임의 안전한 연결과 접이가 가능하도록 보강 전방프레임과 보강 후방프레임이 장착되어진 보강프레임이 있으며, 이러한 보강프레임의 좌측에는 본체 후방부와 접이식 보조바퀴의 접힘이 가능하고 안전한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본체 접힘볼트구멍(362)과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과의 안전한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중앙 접힘관통볼트(365)를 구성하고 있는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361),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 하부 접힘관통볼트(383)를 통하여 하부 좌측프레임(340)과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361)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는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381)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보강프레임의 우측에는 본체 후방부와 접이식 보조바퀴의 접힘이 가능하고 안전한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 본체 접힘볼트구멍(372)과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과의 안전한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 중앙 접힘관통볼트(375)를 구성하고 있는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371),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 하부 접힘관통볼트(387)를 통하여 하부 우측프레임(350)과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371)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는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385)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도16에 도시 되어진 접이식 보조바퀴 전면부의 좌측 상부에는 연결장치 돌출부와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상부 좌측프레임 연결구멍(311)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 좌측프레임(310), 우측 상부에는 연결장치 돌출부와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상부 우측프레임 연결구멍(321)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 우측프레임(320), 접이식 보조바퀴의 중부에는 하부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성되어진 중부프레임(330), 접이식 보조바퀴의 좌측하부에는 연결장치 돌출부와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하부 좌측프레임 연결구멍(341)과 가방 하부에 장착되어진 좌측 보조바퀴(391)를 구성하는 하부 좌측프레임(340), 접이식 보조바퀴의 우측하부에는 연결장치 돌출부와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하부 우측프레임 연결구멍(351)과 가장 하부에 장착되어진 우측 보조바퀴(393)를 구성하는 하부 우측프레임(350)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도17에 도시 되어진 접이식 보조바퀴 좌측면부의 상부에는 본체와 상부프레임과의 안전한 연결과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상부 좌측프레임 본체나사구멍(314)과 하부프레임과의 접힘이 가능한 연결을 이루도록 하는 상부 좌측프레임 접힘관통볼트(313)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 좌측프레임(310), 중부프레임과의 안전한 연결과 고정을 이루어주도록 하는 중부프레임 좌측고정볼트(332)와 보강프레임의 고정과 잠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 좌측프레임 잠금구멍(344)과 보강프레임과 접힘이 가능한 연결을 이루도록 하는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 하부 접힘관통볼트(383)와 구를 수 있도록 장착되어진 좌측 보조바퀴(391)와 좌측 보조바퀴의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좌측 보조바퀴볼트(392)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좌측프레임(340), 전방부에는 본체 후방부와 안전한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본체 접힘볼트구멍(362)을 구성하고 있는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361),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과의 안전한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중앙접힘볼트(365)를 구성하고 있는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381)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도18에 도시 되어진 접이식 보조바퀴 우측면부의 상부에는 본체와 상부프레임과의 안전한 연결과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상부 우측프레임 본체나사구멍(324)과 하부프레임과의 접힘이 가능한 연결을 이루도록 하는 상부 우측프레임 접힘관통볼트(323)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 우측프레임(320), 중부프레임과의 안전한 연결과 고정을 이루어주도록 하는 중부프레임 우측고정볼트(334)와 보강프레임의 고정과 잠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 우측프레임 잠금구멍(354)과 보강프레임과 접힘이 가능한 연결을 이루도록 하는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 하부 접힘관통볼트(387)와 구를 수 있도록 장착되어진 우측 보조바퀴(393)와 우측 보조바퀴의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우측 보조바퀴볼트(394)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우측프레임(350), 전방부에는 본체 후방부와 안전한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 본체 접힘볼트구멍(372)을 구성하고 있는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371),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과의 안전한 연결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 중앙접힘볼트(375)를 구성하고 있는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385)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도19에 도시 되어진 접이식 보조바퀴 배면부의 좌측 상부에는 연결장치 돌출부와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상부 좌측프레임 연결구멍(311)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 좌측프레임(310), 우측 상부에는 연결장치 돌출부와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상부 우측프레임 연결구멍(321)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 우측프레임(320), 접이식 보조바퀴의 중부에는 하부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성되어진 중부프레임(330), 접이식 보조바퀴의 좌측하부에는 연결장치 돌출부와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하부 좌측프레임 연결구멍(341)과 가장 하부에 장착되어진 좌측 보조바퀴(391)를 구성하는 하부 좌측프레임(340), 접이식 보조바퀴의 우측하부에는 연결장치 돌출부와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하부 우측프레임 연결구멍(351)과 가장 하부에 장착되어진 우측 보조바퀴(393)를 구성하는 하부 우측프레임(350)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도20에 도시 되어진 접이식 보조바퀴 평면부의 전방부에는 본체와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381)과 접힘이 가능한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361), 하부 좌측프레임과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361)과 접힘이 가능한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381), 본체와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381)과 접힘이 가능한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371), 하부 우측프레임과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371)과 접힘이 가능한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381), 접이식 보조바퀴의 후방부에는 양측의 모서리 하부에는 구를 때 사용하기 위한 좌측 보조바퀴(391), 우측 보조바퀴(393), 보조바퀴 보다는 약간 전방부에는 상부 좌측프레임(310), 상부 우측프레임(320), 상부 프레임 사이에는 좌우측의 하부프레임의 안전한 고정을 이루도록 하는 중부프레임(330)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21에 도시 되어진 접이식 보조바퀴 저면부의 전방부 좌측에는 보강 후방 좌측 좌측프레임(381)과 접힘이 가능하고 안전하도록 하는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중앙접힘관통볼트(365)를 구성하고 있는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361), 우측에는 보강 후방 좌측 우측프레임(385)과 접힘이 가능하고 안전하도록 하는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 중앙접힘관통볼트(375)를 구성하고 있는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371),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한 쪽면이 비어있는 형태로 구성되어진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381),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한 쪽면이 비어있는 형태로 구성되어진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385), 구를 수 있도록 장착된 좌측 보조바퀴(391)와 좌측보조바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좌측 보조바퀴볼트(392)를 구성하고 보강프레임의 내방이 가능하도록 한 쪽면이 비어져있는 형태의 하부 좌측프레임(340), 구를 수 있도록 장착된 우측 보조바퀴(393)와 우측 보조바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우측 보조바퀴볼트(394)를 구성하고 보강프레임의 내방이 가능하도록 한 쪽면이 비어져있는 형태의 하부 좌측프레임(350), 양측의 프레임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중부프레임(330)으로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이 비록 상기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로써 같은 결과를 달성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변형과 개선은 당해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명백하게 인지될 것이며, 첨부된 청구 항으로서 상기의 여러가지 변형과 개선의 범주를 명시하고자 한다. 상기에서 인용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참조로서 제시된다.
본 발명은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 동시에 여러 개의 여행가방을 하나의 가방 개념으로 일체화가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여행가방의 연결장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거나 펼치는데 용이하고, 직립자세로 밀면서 지면을 구르며 이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끌고 다니면서 이동하는 일반적인 여행용가방으로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동시에 여러 개의 여행용 가방을 연결하여 하나의 가방형태로 일체화한 후 직립 자세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간단한 방식에 의해 직립자세 이동 형태의 여행용가방과 끌면서 가는 일반적인 여행용가방으로의 형태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보조바퀴 2개와 고정식 바퀴2개의 총 4개의 바퀴가 평상시에는 후방부에 일렬로 장착되어 있어서 무게가 있는 짐을 끌 때 용이하며, 전방부에는 고정 지지대가 있어서 이동하지 않을 때는 안정적으로 세워서 고정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과 효과 그리고 새로운 특징들과 적용범위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이하 실시 예에서 상세하게 언급될 것이며, 당해 전문가라면 후술하는 고찰에 의거하여 실시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는 첨부된 청구항에 설명된 수단과 조합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예를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목적이 있는바, 본 발명의 한계로 해석하여서는 안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예 정면을 나타내는 전면도.
도3은 도1의 실시예 좌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4는 도1의 실시예 우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5는 도1의 실시예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6은 도1의 실시예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7은 도1의 실시예 밑면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8은 사용자에 의해 지지면을 따라 밀려지는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도9는 도5의 실시예를 횡적으로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10은 도9의 단면도중에 접이식 보조바퀴의 프레임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연결장치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12은 도10의 실시예 정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13는 도10의 실시예 좌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4은 도10의 실시예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15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접이식 보조바퀴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16은 도15의 실시예 정면을 나타내는 전면도.
도17은 도15의 실시예 좌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8은 도15의 실시예 우측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19는 도15의 실시예 배면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20은 도15의 실시예 평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21은 도15의 실시예 밑면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본체 상판부, 111 본체 상판 표시,
120 본체 하판부, 121 본체 하판 표시, 124 좌측 접이식 보조바퀴 잠금장치,
125 우측 접이식 보조바퀴 잠금장치, 130 본체 장치부,
131 상부 손잡이, 132 좌측부 손잡이, 133 상부 잠금장치,
134 하부 잠금장치, 135 본체 상부 경첩, 136 본체 중부 경첩,
137 본체 하부 경첩, 138 본체 상하판 분리선, 140 본체 저면부,
141 좌측 고정바퀴, 142 우측 고정바퀴, 143 좌측바닥 지지대,
144 우측바닥 지지대, 150 본체 우측부, 151 우측 상판상부 지지대,
152 우측 상판하부 지지대, 153 우측 하판상부 지지대,
154 우측 하판하부 지지대, 160 핸들부, 161 핸들 손잡이,
162 좌측 핸들프레임, 163 우측 핸들프레임,
200 연결장치, 210 좌측 연결 프레임, 211 좌측 연결 돌출부,
212 좌측 연결프레임 상부고정나사, 213 좌측 연결프레임 중부고정나사,
214 좌측 연결프레임 하부고정나사, 220 우측 연결 프레임,
221 우측 연결 돌출부, 222 우측 연결프레임 상부고정나사,
223 우측 연결프레임 중부고정나사, 224 우측 연결프레임 하부고정나사,
300 접이식 보조바퀴, 310 상부 좌측프레임, 311 상부 좌측프레임 연결구멍,
312 상부 좌측프레임 접힘볼트구멍, 313 상부 좌측프레임 접힘관통볼트,
314 상부 좌측프레임 본체 고정나사구멍, 315 상부 좌측프레임 본체고정나사,
320 상부 우측프레임, 321 상부 우측프레임 연결구멍,
322 상부 우측프레임 접힘볼트구멍, 323 상부 우측프레임 접힘관통볼트,
324 상부 우측프레임 본체고정나사구멍, 325 상부 우측프레임 본체고정나사,
330 중부 프레임, 331 중부프레임 좌측고정볼트구멍,
332 중부 프레임 좌측고정볼트, 333 중부프레임 우측고정볼트구멍,
334 중부프레임 우측고정볼트, 340 하부 좌측프레임,
341 하부 좌측프레임 연결구멍, 342 하부 좌측프레임 상부접힘볼트구멍,
343 하부 좌측프레임 중부고정볼트구멍, 344 하부 좌측프레임 잠금구멍,
345 하부 좌측프레임 보강접힘볼트구멍,
346 하부 좌측프레임 바퀴고정볼트구멍, 350 하부 우측프레임,
351 하부 우측프레임 연결구멍, 352 하부 우측프레임 상부접힘볼트구멍,
353 하부 우측프레임 중부고정볼트구멍, 354 하부 우측프레임 잠금구멍,
355 하부 우측프레임 보강접힘볼트구멍,
356 하부 우측프레임 바퀴고정볼트구멍, 360 보강 전방 프레임,
361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362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본체접힘볼트구멍,
363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본체접힘관통볼트,
364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중앙접힘볼트구멍,
365 보강 전방 좌측프레임 중앙접힘관통볼트, 371 보강 전방 우측 프레임,
372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 본체접힘볼트구멍,
373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 본체접힘관통볼트,
374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 중앙접힘볼트구멍,
375 보강 전방 우측프레임 중앙접힘관통볼트, 380 보강 후방 프레임,
381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 382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 하부접힘볼트구멍,
383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 하부접힘관통볼트,
384 보강 후방 좌측프레임 중앙접힘볼트구멍, 385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
386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 하부접힘볼트구멍,
387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 하부접힘관통볼트,
388 보강 후방 우측프레임 중앙접힘볼트구멍, 390 보조 바퀴부,
391 좌측 보조바퀴, 392 좌측 보조바퀴 볼트, 393 우측 보조바퀴,
394 우측 보조바퀴 볼트,

Claims (17)

  1. 여러 개의 가방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와 직립 자세로 이동을 위한 접이식 보조바퀴가 여행가방에 구성되어지며, 부착 또는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를 통하여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의 변형을 통하여 밀거나 끌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를 통하여 4개 이상의 바퀴를 일렬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접이가 가능한 2개의 접이식 보조바퀴와 2개의 고정바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6.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접이식 보조바퀴가 외부의 고정핀을 통하여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7. 여행가방의 연결을 위하여 연결 돌출부와 연결 구멍부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연결 돌출부와 연결 구멍부의 결합에 의해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9.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연결 돌출부와 연결 구멍부에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0.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연결 돌출부와 연결 구멍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를 통하여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1. 밀면서 이동을 하거나 끌면서 직립 자세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12. 청구항 제 11항에 있어서, 밀어서 접거나 당기면서 펼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13. 청구항 제 11항에 있어서, 프레임 내부에 또 다른 보강 프레임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14. 청구항 제 11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바퀴와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15. 청구항 제 12항에 있어서, 볼트에 의한 접이 방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16. 청구항 제 11항에 있어서, 여행용 가방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17. 청구항 제 11항에 있어서, 연결되는 여행용 가방의 모든 바퀴가 지면을 구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보조바퀴.
KR1020040048576A 2004-06-25 2004-06-25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 KR20050122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576A KR20050122913A (ko) 2004-06-25 2004-06-25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576A KR20050122913A (ko) 2004-06-25 2004-06-25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913A true KR20050122913A (ko) 2005-12-29

Family

ID=3729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576A KR20050122913A (ko) 2004-06-25 2004-06-25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29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3797A (zh) * 2018-06-01 2018-11-13 佛山安豪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便携式包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3797A (zh) * 2018-06-01 2018-11-13 佛山安豪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便携式包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86312B2 (en) Improved luggage
US6227339B1 (en) Upright standing duffle bag
US5645146A (en) Suitcase with retractable pull handle
US8439374B1 (en) Lightweight high load capacity folding utility cart with unique support structure and ergonomic handle
WO2008100117A1 (en) Traveling bag
US6357567B1 (en) Luggage
WO2012007479A1 (en) Luggage having bottom frame member
US20090212536A1 (en) Collapsible Rolling Tote Bag
US20090315301A1 (en) Scooter luggage
US10363179B2 (en) Wheelchair including accommodation pocket
US11547190B2 (en) Wheeled bag with extendable support platform
EP2827734B1 (en) Support structure for luggage
CN104284609A (zh) 改进的手提袋
US20090159385A1 (en) Travel bag with stowable seat
GB2443944A (en) Luggage with a flexibly attached handle
KR20050122913A (ko) 연결장치와 접이식 보조바퀴가 구성되는 여행가방.
GB2436486A (en) Wheeled luggage with retractable steering wheel assembly
US20040079604A1 (en) Wheeled suitcase with space-saving shortened handle
US20020130005A1 (en) Soft-sided bag with collapsible support member
CN114423312B (zh) 多模式行李装置及方法
JP2005145304A (ja) キャリーカート
JP3000579U (ja) 携行折り畳み容器
CA2989665A1 (en) Rolling suitcase that converts to a luggage cart
MX2008002946A (es) Equipaje mejor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