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677A - 건강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677A
KR20050122677A KR1020040048298A KR20040048298A KR20050122677A KR 20050122677 A KR20050122677 A KR 20050122677A KR 1020040048298 A KR1020040048298 A KR 1020040048298A KR 20040048298 A KR20040048298 A KR 20040048298A KR 20050122677 A KR20050122677 A KR 20050122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electrode
main body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연
차주헌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내일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내일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내일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040048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2677A/ko
Publication of KR20050122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6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환자의 건강상태 및 심리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과 환자의 심리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감지기능과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되는 본체;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여 본체로 송신하는 휴대용 기기; 및 상기 본체와 통신을 수행하고 환자 또는 사용자의 이상상태를 파악하는 서버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환자의 신체 상태와 정신 질환자의 이상 행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환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건강관리시스템{Health care system}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환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신체적인 질병 또는 정신적인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는 해당 환자를 전담으로 간병하는 간병인을 두거나 보호자가 환자를 간병하도록 하였고, 환자의 신체적인 상태 또는 정신적인 상태는 간병인 또는 보호자 이외에 의사 및 간호사가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각 가정에서는 간단하게 신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간병방법에는 환자마다 간병할 사람이 있어야 하므로, 간병에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고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환자의 상태가 각 시간대별로 측정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정상인이 자신의 신체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장비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비용부담으로 경제적인 낭비가 심하였고, 측정된 결과를 전문가가 판독하지 않고 사용자가 판독하므로 신체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환자의 건강상태 및 심리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건강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과 환자의 심리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감지기능과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되는 본체;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여 본체로 송신하는 휴대용 기기; 및 상기 본체와 통신을 수행하고 환자 또는 사용자의 이상상태를 파악하는 서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는, 환자 또는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 환자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실내의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 및 실내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휴대용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내부 통신부; 상기 서버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부; 및 본체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환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상기 휴대용 기기는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2 측정부; 상기 본체의 제1 내부 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내부 통신부; 상기 제2 측정부와 제2 내부 통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정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고 일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를 갖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의 단면과 일치하고, 일단이 개방되어 제1 전극의 개방된 단부와 소정의 간극을 갖는 제2 전극, 및 제1 전극과 같은 외경을 갖고, 상기 제1 전극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며, 제2 전극이 하향되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연결시키는 볼로 이루어지는 움직임 센서가 다수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움직임 센서를 6개를 구비하여 일단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 각각 향하도록 배치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강관리 시스템은 환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측정된 바이탈 사인을 입력받고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며 전체과정을 제어하는 본체(10)와 환자가 착용하는 휴대용 기기(20) 및 상기 본체(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30)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제1 측정부(11), 감지부(12), 제1 내부 통신부(13), 외부 통신부(14) 및 상기 요소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제1 측정부(11)는 환자의 맥박, 글루코겐, 이산화황, 체중 및 비만도를 측정한다. 글루코겐을 측정하여 환자의 당뇨 유무를 판단하고, 이산화 황을 측정하여 혈액속의 산소 포화도를 구하여 심장병 유무를 판단한다.
제1 측정부(11)에서 맥박, 글루코겐, 이산화황, 체중 및 비만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감지부(12)는 환자의 심리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감지부(12)에는 환자의 운동성, 실내의 소음도, 실내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환자의 심리를 간접적으로 파악한다. 환자의 운동성을 감지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모션캡처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실내의 영상을 촬영하여 각 이미지의 전후 이미지와 비교하여 환자의 운동성을 감지한다. 또한, 마이크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나는 소리를 측정하여 환자의 흥분성을 측정하거나 특정주파수를 매핑하거나 또는 일정주기로 측정된 값을 시계열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감정분석할 수 있다. 아울러, 포토다이오드, CDS 등을 이용하여 실내의 광량을 측정함으로써, 우울증 환자와 같이 실내의 조명을 소등하는 정신 질환자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체(10)의 제1 측정부(11)는 신체 기능에 이상이 있는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신체상태를 점검하는데 사용되지만, 감지부(12)는 주로 정신질환자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된다.
본체(10)에는 제1 내부 통신부(13)와 외부 통신부(14)을 구비하여, 제1 내부 통신부(13)을 상기 휴대용 기기(20)와 통신하여, 휴대용 기기(20)에서 측정된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입력받는다.
외부 통신부(14)은 본체(10)가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0)에 의해서 제1 내부 통신부(13) 또는 본체(10)의 제1 측정부(11) 또는 감지부(12)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가 정상인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본체(10)는 외부 통신부(14)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한다.
상기 본체(10)는 통신망을 통해서 외부의 서버(30)와 연결된다. 본체(10)에 환자의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본체(10)의 외부 통신부(14)이 통신망을 통하여 이상 신호를 알리면 서버(30)는 이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상기 본체(10)와 서버(3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본체(10)와 서버(30)가 서로 통신할 수만 있으면 되므로, 통신망에 대하여는 특별히 국한하지는 않는다.
환자가 착용하는 휴대용 기기(20)는 손목시계와 같은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환자의 바이탈 사인(vital sign)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한다. 환자는 휴대용 기기(2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본체(10)와 같은 공간의 실내에서 생활하도록 한다.
휴대용 기기(20)에는 환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 체온 및 움직임 등을 측정하는 제2 측정부(21)과 측정된 값을 본체(10)로 송신하는 제2 내부 통신부(22) 및 제2 측정부와 제2 내부 통신부(22)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23)로 이루어진다.
휴대용 기기(20)의 제2 측정부(21)는 환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 체온 및 움직임을 측정하도록 한다. 환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 및 체온의 측정은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움직임 센서(40)는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환자의 활동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일한 움직임 센서(40) 6개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움직임 센서(40)의 원리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움직임 센서(40)는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에 수용되는 제1 전극(42), 제2 전극(43) 및 볼(44)로 이루어진다.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41)은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단면을 갖는다. 하우징(41)에 수용되는 전극(42, 43)은 하우징(41)의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되, 제1 전극(42)의 길이가 제2 전극(4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 전극(42)은 하우징(41)의 단면과 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개방되도록 한다. 제2 전극(43)은 제1 전극(42)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제1 전극(42)에 인접한 일측은 개방되도록 한다. 서로 개방된 부분이 마주보고 있는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3)은 개방된 단부가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3)의 내부에는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3)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볼(44)이 삽입된다. 볼(44)은 제1 전극(42) 및 제2 전극(43)의 내부에서 중력에 따라 자유롭게 좌우로 움직이고, 상기 볼(44)이 완전히 제2 전극(43) 쪽으로 이동하면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3)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메우게되어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움직임 센서(40)의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간략히 살펴보면, 평상시 볼(44)이 제1 전극(4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전극(42)으로 공급되는 펄스가 제2 전극(43)에서 출력되지 않으나, 볼(44)이 완전히 제2 전극(43)에 밀착하면 볼(44)이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3)의 간극을 메우게 되므로 제1 전극(42)에 입력된된 펄스가 제2 전극(43)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하우징(41)이 기울어지면, 제2 전극(43)을 통하여 펄스가 출력되므로, 제2 전극(43)이 제1 전극(42)보다 낮게 위치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 센서(40) 6개를 조합하함으로써, 6자유도의 움직임을 판단할 수 있어서, 환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본 발명의 건강관리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환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환자는 휴대용 기기(20)를 착용한다. 휴대용 기기(20)가 항상 환자의 신체에 밀착하되, 착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손목에 착용되도록 한다.
휴대용 기기(20)가 환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본체(10)와 휴대용 기기(20)는 본체(10)의 제1 내부 통신부(13)와 휴대용 기기(20)의 제2 내부 통신부(22)와 지속적으로 통신을 하여, 휴대용 기기(20)의 정보를 본체(10)로 전송시킨다.
한편, 휴대용 기기(20)는 주기적으로 환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 체온 및 움직임을 측정한다. 각각의 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은 휴대용 기기(20)에서 본체(10)로 전송시키면, 본체(10)에서는 미리 설정된 환자의 신체조건과 비교하여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판단한다. 맥박, 혈압, 심전도 및 체온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게 판단되거나, 환자의 움직임이 지나치게 적게 판단되면, 본체(10)는 서버(30)로 환자의 상태를 전송하고, 서버(30)에서는 이를 조치하도록 한다. 본체(10)로부터 환자의 이상을 접수받은 서버(30)는 자체 응급진료팀을 보내도록 지시하거나, 병원의 응급실, 소방서 등에 연락을 취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기기(20)를 이용하여 환자의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있지만, 본체(10)에서 자체적으로 환자 또는 정상인의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도 있다.
본체(10)에도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제1 측정부(11)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를 이용하여 환자 또는 정상인의 신체이상유무를 파악한다. 제1 측정부(11)는 휴대용 기기(20)와 같이 이동형의 형태가 아니라, 거치형의 형태로 가정, 병원 등의 한 장소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시간마다 맥박, 혈압, 비만도 등을 측정하도록 한다.
제1 제어부(15)는 본체(10)에서 측정한 값을 판단하여, 측정한 환자 또는 정상인의 신체에 이상이 있으면, 외부 통신부(14)를 통하여 서버(30)로 이를 전달한다.
한편, 본체(10)에는 감지부(1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정신상태를 간접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감지부(12)에서는 실내에서 환자의 움직임, 실내의 소음도 및 조도를 감지하여 간접적으로 환자의 정신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한다. 카메라로 실내를 일정한 간격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에서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환자의 움직임이 지나치게 없어서 운동성이 낮은 경우는 이를 외부 통신부(14)를 통하여 서버(30)에 알린다. 또한,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에서 특정 주파수를 매핑하거나 시계열 분석하여 환자의 감정을 간접적으로 판단하여 환자가 지나치게 흥분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우울증 환자 등에 의해서 실내의 조도가 지나치게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서버(30)로 알리도록 한다.
서버(30)에서는 휴대용 기기(20) 또는 본체(10)를 통하여 측정되는 값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이를 모두 저장하고, 정상이 아닌 값이 수신되면, 응급구조팀을 보내거나 병원의 응급실, 소방서 또는 전담 의료진 등에 이를 송신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강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환자의 신체 상태와 정신 질환자의 이상 행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정상인의 건강 상태도 체크하여 건강의 이상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의 움직임 센서의 단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의 움직임 센서에서 움직임 센서의 상태에 따라 입력측과 출력측의 전압을 측정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에서 움직임 센서의 배열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11 : 제1 측정부
12 : 감지부 13 : 제1 내부 통신부
14 : 외부 통신부 15 : 제1 제어부
20 : 휴대용 기기 21 : 제2 측정부
22 : 제2 내부 통신부 23 : 제2 제어부
30 : 서버 41 : 하우징
42 : 제1 전극 43 : 제2 전극
44 : 볼

Claims (5)

  1.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과 환자의 심리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감지기능과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기능이 구비되는 본체(10);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여 본체(10)로 송신하는 휴대용 기기(20); 및
    상기 본체(10)와 통신을 수행하고 환자 또는 사용자의 이상상태를 파악하는 서버(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환자 또는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측정하는 제1 측정부(11);
    환자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실내의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 및 실내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감지부(12);
    상기 휴대용 기기(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내부 통신부(13);
    상기 서버(3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부(14); 및
    본체(10)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환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상기 휴대용 기기(20)는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2 측정부(21);
    상기 본체(10)의 제1 내부 통신부(13)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내부 통신부(22);
    상기 제2 측정부(21)와 제2 내부 통신부(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부(21)에는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내측에 수용되고 일단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를 갖는 제1 전극(42)과,
    상기 제1 전극(42)의 단면과 일치하고, 일단이 개방되어 제1 전극(42)의 개방된 단부와 소정의 간극을 갖는 제2 전극, 및
    제1 전극(42)과 같은 외경을 갖고, 상기 제1 전극(4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며, 제2 전극(43)이 하향되면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3)을 연결시키는 볼(44)로 이루어지는 움직임 센서(40)가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40)를 6개를 구비하여 일단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 각각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KR1020040048298A 2004-06-25 2004-06-25 건강관리시스템 KR20050122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298A KR20050122677A (ko) 2004-06-25 2004-06-25 건강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298A KR20050122677A (ko) 2004-06-25 2004-06-25 건강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677A true KR20050122677A (ko) 2005-12-29

Family

ID=3729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298A KR20050122677A (ko) 2004-06-25 2004-06-25 건강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26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76B1 (ko) * 2006-08-25 2008-04-16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09036150A2 (en) * 2007-09-11 2009-03-19 Aid Networks, Llc Wearable wireless electronic patient data communications and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WO2014204109A1 (ko) * 2013-06-18 2014-12-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디지털 전투복 및 이를 이용한 전투 정보 시스템
KR20160000522A (ko) * 2014-06-24 2016-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정신의학적 정신 상태 예측 모델 기반의 응급 원격정신의학 시스템 및 방법
US9686748B2 (en) 2011-12-29 2017-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termina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76B1 (ko) * 2006-08-25 2008-04-16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원격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09036150A2 (en) * 2007-09-11 2009-03-19 Aid Networks, Llc Wearable wireless electronic patient data communications and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WO2009036150A3 (en) * 2007-09-11 2009-05-22 Aid Networks Llc Wearable wireless electronic patient data communications and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US9686748B2 (en) 2011-12-29 2017-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terminal
WO2014204109A1 (ko) * 2013-06-18 2014-12-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디지털 전투복 및 이를 이용한 전투 정보 시스템
KR20160000522A (ko) * 2014-06-24 2016-01-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급 정신의학적 정신 상태 예측 모델 기반의 응급 원격정신의학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3118B2 (ja) 生体情報監視システム
KR101123085B1 (ko) 표시 및 알림기능을 갖는 실시간 디지털 체온측정기
Singh Zigbee and GSM based patient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2309022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생체 신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JP5877528B2 (ja) 自動通報システム
US20070088521A1 (en) Portable wireless gateway for remote medical examination
JP6670777B2 (ja) 見守りシステム及び生活支援提案システム
KR10072365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US20120165688A1 (en) Wireless optical pulsimetry system for a healthcare environment
US20150213208A1 (en) Wearable device for medical care
GB2425180A (en) Wearable physiological monitor with wireless transmitter
JP3225990U (ja) 連続的なセンサー信号に基づいて、アクシデントのリスクまたは補助の必要性を記録し、分析し、かつ、リアルタイム警告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712191B1 (ko) 환자 낙상예방 모니터링 장치
CN108882853B (zh) 使用视觉情境来及时触发测量生理参数
KR20120055273A (ko) 생체 신호 관리 시스템 및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20060084916A (ko) 위치 이동이 가능한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원격건강관리시스템 및 서비스
KR101629870B1 (ko) 수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06214100U (zh) 一种人体智能监控系统
WO2017010956A1 (en) A monitoring system
KR100935879B1 (ko) 친생활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헬스 케어 및 위험 진단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22677A (ko) 건강관리시스템
JP2012152374A (ja) 医療環境向け無線光学式脈拍計システム
US11282364B2 (en) Wrist-worn medical alert device for conveying an emergency message to a caregiver
US20200121198A1 (en) Multi-parameter vital signs monitoring device for early warning score system
EP3488780A1 (en)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