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363A -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363A
KR20050122363A KR1020040047446A KR20040047446A KR20050122363A KR 20050122363 A KR20050122363 A KR 20050122363A KR 1020040047446 A KR1020040047446 A KR 1020040047446A KR 20040047446 A KR20040047446 A KR 20040047446A KR 20050122363 A KR20050122363 A KR 20050122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p
motor shaft
washing
washing water
s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965B1 (ko
Inventor
방종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7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965B1/ko
Priority to US10/568,221 priority patent/US7771543B2/en
Priority to DE112005000073T priority patent/DE112005000073T5/de
Priority to PCT/KR2005/001690 priority patent/WO2006001610A1/en
Publication of KR2005012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섬프 내부의 세척수가 모터축 관통홈을 통하여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는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모터축 관통홈과, 상기 모터축 관통홈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실링 케이스가 포함되는 섬프 하우징; 상기 섬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실링 케이스 상부를 덮는 에어캡; 및 상기 섬프 하우징의 저면에 장착되는 세척모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에 의하여, 모터축의 외주면을 타고 세척수가 흘러 나오는 누수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A leakage preventing structure of a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섬프 내부의 세척수가 모터축 관통홈을 통하여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식기에 묻어 있는 오물이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식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식기가 수납되어 세척되는 공간인 터브와, 상기 터브의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섬프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섬프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펌핑하기 위한 세척 펌프와, 상기 세척 펌프를 구동하는 세척 모터와, 세척이 종료되어 더러워진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 및 상기 배수 펌프를 구동하는 배수 모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세척 펌프가 상기 섬프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세척 모터는 상기 섬프의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 모터와 세척 펌프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와 같이 세척 모터의 모터축이 섬프 내부로 관통되고, 상기 모터축에 펌프가 직결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펌프 내의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펌핑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모터축이 섬프의 저면으로부터 관통 삽입되는 경우, 상기 모터축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모터축의 외주면을 타고 세척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세히, 모터축이 회전하면서 섬프와 마찰을 일으키게 되고,상기 마찰에 의하여 모터축과 섬프의 밀폐 기능이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과 섬프의 모터축 관통홈 사이에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틈을 통하여 세척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섬프 내부에 저수된 세척수가 모터축의 외주면을 타고 누수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누수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는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모터축 관통홈과, 상기 모터축 관통홈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실링 케이스가 포함되는 섬프 하우징; 상기 섬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실링 케이스 상부를 덮는 에어캡; 및 상기 섬프 하우징의 저면에 장착되는 세척모터;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축이 섬프 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관통 삽입되는 경우, 모터 축을 통하여 세척수가 누수되는 현상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100)는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식기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110)와, 상기 터브(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111)와, 상기 터브(110)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200)가 포함된다.
또한, 세척 펌프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이동하는 경로가 되는 워터 가이드(140)와, 상기 섬프(200)의 상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세척조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노즐(160)과, 상기 워터 가이드(140)의 상측부에 부착되고, 상기 워터 가이드(14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세척조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상부 노즐(150)과, 상기 터브의 천정부위에 형성되어 수직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노즐(155)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부 노즐(150)에 의하여 식기가 세척되도록 상기 상부 노즐(150)의 상측부에 장착되는 상부 랙(120)과, 상기 하부 노즐(160)에 의하여 식기가 세척되도록 상기 하부 노즐(160)의 상측부에 장착되는 하부 랙(13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 랙(120)은 상기 터브(110)의 내측면에 구비된 레일(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되고, 전후방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100)의 도어(111)를 열고, 상기 상부랙(120) 및/또는 하부랙(130)을 세척조 외부로 잡아 당긴다. 그리고, 상기 랙(120)(130)에 식기를 수납한다. 그 다음, 상기 도어(111)를 닫고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가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식기 세척기(1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세척 단계가 수행되면 상기 섬프(200)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고, 세척수 유입단계가 끝나면 세척 모터(330)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 모터(330)와 축연결된 세척 펌프(미도시)내부에 구비된 임펠러(미도시)가 회전함으로써, 세척수가 상기 하부노즐(160) 및 상기 워터 가이드(140)로 펌핑된다.
또한, 상기 워터 가이드(140)로 펌핑된 세척수는 최종적으로 상기 탑노즐(155)과, 상기 상부 노즐(150)로 이동되어 세척조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하여 상기 랙(120)(130)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탑노즐(155)은 수직 하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상부 노즐(150)은 수직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상부랙(120)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된다.
또한, 상기 하부노즐(160)은 수직 상방으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하부랙(130)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노즐(150)의 저면에도 분사구를 형성함으로써, 상하 양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랙(130)에 수납된 식기의 상측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섬프(200)에 모여진 더러워진 세척수는 배수펌프(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10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면, 유입구를 통하여 다시 깨끗한 세척수가 상기 섬프(200)로 유입되고, 상기 세척단계와 동일하게 상기 분사 노즐(150)(160)을 통하여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된 깨끗한 세척수에 의하여 상기 식기는 헹굼단계를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 헹굼단계가 끝나면, 건조단계를 거침으로써, 세척작용이 완료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섬프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섬프(200)는 세척기 외부의 세척수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原水)가 저장되는 섬프 하우징(290)과, 상기 섬프 하우징(290)의 저면에 장착되는 세척 모터(330)와, 상기 세척 모터(330)의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는 모터축(331)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분해하는 디스포저(28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디스포저(280)의 상측부에 장착되며, 상기 섬프 하우징(290)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펌핑되는 펌프 케이스(256)와, 상기 펌프 케이스(256)의 내부에 수용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임펠러(2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임펠러(250)는 중심부에 상기 모터축(331)이 삽입되고, 상기 모터축(331)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펌핑한다.
또한, 상기 디스포저(280)와 상기 펌프 케이스(256)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디스포저(280)에 의하여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 중 부피가 큰 찌꺼기가 상기 펌프 케이스(256)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메쉬 필터(27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펌프 케이스(256)의 상부면을 덮고, 상기 펌프 케이스(256) 내부에서 펌핑되는 세척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펌핑유로가 형성되는 소일 챔버(230)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소일 챔버(230)의 상측면에 안착되고, 중앙부와 가장자리 일측에 분사 노즐 연결구가 구비되는 필터(22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분사 노즐 연결구는 상기 소일 챔버(230)에 구비되는 펌핑 유로를 따라 이동해 온 세척수가 각각의 분사노즐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사노즐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펌핑 유로를 따라 이동해 온 세척수가 각각의 분사노즐로 선택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배리오 밸브(260)가 상기 소일 챔버(230)의 일측에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필터(22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식기로부터 직접 떨어지는 음식물 찌꺼기를 일차적으로 걸러주기 위한 세척수 관통공(221) 및 메쉬 필터(2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220)의 중앙부에는 하부노즐과 결합되는 하부 노즐 암 홀더(210)가 장착되기 위한 삽입구(2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 가장자리에는 워터 가이드(140)의 하측 끝단이 삽입되는 워터 가이드 삽입 슬리브(226)가 소정의 높이와 직경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워터 가이드(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 펌프(256)에 의하여 펌핑된 세척수가 상부 분사노즐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터브 저면에서 터브 상측면까지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 세척수 유동관이다.
또한, 상기 소일 챔버(230)는 일측에 상기 배리오 밸브(260)가 안착되는 배리오 밸브 안착부(235)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상기 배리오 밸브 안착부(235)에서부터 굴곡되어 형성되는 하부 노즐 안내 유로(2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리오 밸브 안착부(235)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워터 가이드 삽입 슬리브(226)쪽으로 세척수가 안내되도록 하는 워터 가이드 안내 유로(23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일 챔버(230)의 테두리측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고 상기 소일 챔버(23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배수 유로(24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유로(241)의 일측 끝단은 탁도 센서가 장착되기 위한 탁도 센서 삽입홈(232)이 형성되고, 타측 끝단의 바닥면에는 배수 펌프 및 섬프 저면과 연결되는 배수홀(2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탁도 센서는 세척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세척수의 오염정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섬프의 일측에 장착되는 오염도 측정 센서이다.
그리고, 펌프 케이스(256)로부터 펌핑된 세척수가 상기 탁도 센서 삽입홈(232)에 삽입되는 탁도 센서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탁도 센서 안내유로(233)가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필터(220)의 세척수 관통공(221)으로 낙하되는 세척수는 상기 섬프 하우징(290)으로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 필터(227)로 낙하되는 세척수는 오염물이 상기 메쉬 필터(227)에 의하여 걸러진 뒤, 상기 메쉬 필터(227)의 하측에 구비되는 배수 유로(241)를 따라 상기 섬프 하우징(290)으로 포집된다.
또한, 상기 펌프 케이스(256)는 상기 임펠러(250)가 중앙에 안착되기 위한 임펠러 안착홈(25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 안착홈(257)의 외주면과 상기 펌프 케이스(256)의 외주면이 이루는 펌핑 유로(25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펌핑 유로(258)는 상기 펌프 케이스(256)의 외벽에 의해 소정의 깊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펌프 케이스(256) 내부로 들어온 세척수는 상기 펌핑 유로(258)를 따라 상기 배리오 밸브(260)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섬프 하우징(290)은 하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급수 연결구(291)와, 상기 급수 연결구(291)의 대략 반대편에 함몰 형성되는 배수 펌프 케이스(296)와, 내부 중앙에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히터 수용부(29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히터 수용부(292)의 중앙에는 모터축이 관통하기 위한 모터축 관통홈(293)이 형성되고, 상기 섬프 하우징(290)의 일측면에는 히터(320)가 삽입되기 위한 히터 인입구(29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 관통홈(29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고,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실링 케이스(4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 케이스(400) 내부에는 상기 모터축(331)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일차적으로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 커버(후술함)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 케이스(256) 하측과 상기 실링 케이스(400) 상측 사이의 모터축(331) 외주면에 삽입되어, 이차적으로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에어캡(5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에어캡(50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 펌프 케이스(296)는 소일 챔버 배수홈(297)과 연결되고, 상기 배수 펌프 케이스(296)에 배수 모터(300)가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배수 모터(300)의 전방에는 배수 임펠러(310)가 장착되어, 상기 배수 펌프 케이스(296)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가 배수 호스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펌핑한다.
또한, 상기 섬프 하우징(290)은 상기 히터 수용부(292)의 외측에 배리오 밸브 안착홈(295)가 형성되고, 상기 배리오 밸브 안착홈(295)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곳에 탁도 센서 안착홈(29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섬프 구조에서 세척수의 흐름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세척 모터(3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섬프 저면에 저장된 세척수는 상기 펌프 케이스(256) 내에 장착된 임펠러(250)쪽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임펠러(250)의 회전에 의하여 펌핑되는 세척수는 상기 메쉬 필터(270)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 케이스(256)와 상기 소일 챔버(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펌핑 유로(258)를 따라 상부 노즐(미도시)과 하부 노즐(미도시)로 각각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는 상기 배리오 밸브(260)에 의하여 분지(分枝)되며, 상기 하부 노즐 안내 유로(236)와 상기 워터 가이드 안내 유로(237)를 따라 상기 상부 노즐 및 하부 노즐로 안내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배리오 밸브(260)는 일정 시간동안 세척수가 상부 노즐(150) 또는 하부 노즐(160) 중 어느 한 쪽 노즐만이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교대로 다른 쪽 노즐만이 개방되도록 하여, 세척수가 상부 노즐 및 하부 노즐에 골고루 분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로를 따라 안내되는 세척수 중 일부는 탁도 센서(미도시)를 지나, 상기 소일 챔버(230)의 외곽에 형성된 배수 유로(241)를 따라 섬프 저면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배수 과정에서 세척수는 상기 배수 펌프 케이스(296)로 이동되고, 상기 배수모터(300)가 작동되면 상기 배수 임펠러(310)가 회전하면서 배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가 장착된 상태의 섬프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사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인 에어캡(5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펌프 케이스(256) 하측과 상기 실링 커버(410) 사이의 모터축 외주면에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에어캡(500)은 상기 디스포저(280)의 하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캡(500)은 상기 실링 케이스(400)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링 케이스(400)는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중앙부분에 상기 모터축(331)이 관통하는 관통홈(29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링 케이스(400) 내부에는 실링 커버(410)가 안착되고, 상기 실링 커버(410)와 상기 실링 케이스(400)가 이루는 공간 내부에는 실링 오일(420)이 충진된다. 상세히, 상기 실링 커버(410)는 상기 모터 축(331)의 외주면이 밀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겹의 실링립(sealing lips)(4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립(411)이 상기 모터축(33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세척수가 실링 케이스(400)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 커버(410)와 상기 실링 케이스(400)가 이루는 공간에 실링 오일(420)이 충진됨으로써, 세척수와 실링 오일(420)이 만나더라도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링 오일(420)은 상기 모터축(331)의 윤활작용을 돕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누수방지 구조인 에어캡(500)은 소직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의 에어캡 상판(520)과, 상기 에어캡 상판(520)의 중앙부에 모터축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직격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모터축 관통슬리브(521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에어캡(500)은 에어캡 상판(520)의 테두리부 하측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에어캡 외벽(530)과, 상기 에어캡 외벽(5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에어캡 내벽(540)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에어캡 외벽(530)과 상기 에어캡 내벽(540)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 챔버(550)와, 상기 에어캡 내벽(540)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챔버(560)에는 일정량의 공기가 충진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챔버(550) 및 내측 챔버(560)에 세척수가 일정 수위만큼만 충진되고, 상기 챔버(550)(560)내의 공기에 의하여 수위가 더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섬프 내의 전체 수위와 상기 챔버(550)(560)내의 세척수의 수위가 다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캡 내벽(540)의 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수개의 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내벽이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5는 에어캡 내부에 세척수가 저수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캡(500)은 상기 실링 케이스(4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실링 케이스(400)를 덮는다. 상세히, 상기 실링 케이스(400)는 상기 에어캡 내벽(54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또한, 상기 에어캡 외벽(530) 및 상기 에어캡 내벽(540)의 끝단은 상기 섬프 하우징(290)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높이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서 세척수가 유입되게 된다.
한편, 세척수가 상기 섬프 하우징(290)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챔버(550)(560) 내부로도 세척수가 서서히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50)(560) 내의 수위가 점점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챔버(550)(560) 내부에는 공기가 충진되어 있고, 세척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공기의 밀도는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550)(560) 내의 공기 압력이 상기 세척수의 압력과 동일하게 되는 순간까지 수위는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챔버(550)(560) 내에서 세척수의 최대 수위(H)는 상기 실링 케이스(4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에어캡(500)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위(H)가 상기 실링 케이스(400)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실링 케이스(400)와 상기 실링 커버(410) 사이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현상이 제거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에 의하여, 모터축의 외주면을 타고 세척수가 흘러 나오는 누수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세히, 모터축의 실링 케이스에 장착되는 실링 커버와 실링 오일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누수 방지가 되고, 상기 실링 커버를 덮는 에어캡에 의하여 세척수가 상기 실링 커버쪽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차적으로 누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가 구비된 섬프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가 장착된 상태의 섬프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사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5는 에어캡 내부에 세척수가 저수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기 세척기 110 : 터브 111 : 도어
120 : 상부랙 130 : 하부랙 140 : 워터 가이드
150 : 상부노즐 160 : 하부노즐 200 : 섬프
210 : 하부노즐 암홀더 220 : 필터 230 : 소일 챔버
240 : 펌프 케이스 안착부 250 : 임펠러 260 : 배리오 밸브
270 : 메쉬 필터 280 : 디스포저 290 : 섬프 하우징
300 : 배수 모터 310 : 배수 임펠러 320 : 히터
330 : 세척 모터 400 : 실링 케이스 410 : 실링 커버
420 : 실링 오일 500 : 에어캡 520 : 에어캡 상판
530 : 에어캡 외벽 540 : 에어캡 내벽 550 : 외측챔버

Claims (7)

  1.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모터축 관통홈과,
    상기 모터축 관통홈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실링 케이스가 포함되는 섬프 하우징;
    상기 섬프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실링 케이스 상부를 덮는 에어캡; 및
    상기 섬프 하우징의 저면에 장착되는 세척모터;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은 상기 세척 모터의 모터축이 끼워지는 모터축 관통 슬리브와,
    상기 모터축 관통 슬리브의 하단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는 에어캡 상판과,
    상기 에어캡 상판의 저면에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가지고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캡 벽이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고, 상기 에어캡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최대 수위는 상기 실링 케이스의 높이보다 적어도 같거나 낮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케이스는 내부에 안착되는 실링 커버와,
    상기 실링 커버 내부에 충진되는 실링 오일이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
  5.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가지는 모터축 관통 슬리브와,
    상기 모터축 관통 슬리브의 하단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에어캡 상판과,
    상기 에어캡 상판의 하측에 연장 형성되는 에어캡 외벽과,
    상기 에어캡 외벽의 내측에 더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캡 내벽이 포함되는 누수 방지용 에어캡;
    상기 에어캡이 장착되는 섬프 하우징;이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 내벽과 외벽이 이루는 공간에 공기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캡 내부에 충진된 공기에 의하여 상기 에어캡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 구조.
KR1020040047446A 2004-06-24 2004-06-24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0105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446A KR101052965B1 (ko) 2004-06-24 2004-06-24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US10/568,221 US7771543B2 (en) 2004-06-24 2005-06-07 Leakage preventing structure of dish washer
DE112005000073T DE112005000073T5 (de) 2004-06-24 2005-06-07 Leckverhinderungskonstruktio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PCT/KR2005/001690 WO2006001610A1 (en) 2004-06-24 2005-06-07 Leakage preventing structure of dish 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446A KR101052965B1 (ko) 2004-06-24 2004-06-24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363A true KR20050122363A (ko) 2005-12-29
KR101052965B1 KR101052965B1 (ko) 2011-07-29

Family

ID=3729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446A KR101052965B1 (ko) 2004-06-24 2004-06-24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846A (ko) * 2022-06-30 202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6845B2 (ja) * 2001-12-25 2007-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食器洗い機
JP4278947B2 (ja) * 2002-09-25 2009-06-17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ポンプ及びそのポンプを用いた洗浄装置と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965B1 (ko) 201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148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20060007259A (ko) 식기 세척기의 상부노즐 첵 밸브 결합 구조
KR20100037453A (ko) 식기 세척기
KR101268784B1 (ko) 식기 세척기
KR20060063397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200397408Y1 (ko) 식기 세척기의 히터 결합 구조
KR101052964B1 (ko) 식기 세척기의 모터 고정 구조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KR10105415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KR100686118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20050122354A (ko) 식기 세척기의 히터 장착구조
KR101052965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01135855B1 (ko) 식기 세척기의 자연 배수 방지 구조
KR100640796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0694323B1 (ko) 식기 세척기의 스크린 필터 체결 구조
KR20060085782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20050122360A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KR101053750B1 (ko) 식기 세척기의 유로 전환부 누수 방지 구조
KR100693518B1 (ko) 식기 세척기 섬프의 거품 역류 방지 구조
KR101304682B1 (ko) 식기 세척기
KR100772229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20050122364A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070078119A (ko) 섬프 및 상기 섬프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