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531A -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531A
KR20050121531A KR1020040046692A KR20040046692A KR20050121531A KR 20050121531 A KR20050121531 A KR 20050121531A KR 1020040046692 A KR1020040046692 A KR 1020040046692A KR 20040046692 A KR20040046692 A KR 20040046692A KR 20050121531 A KR20050121531 A KR 20050121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voice
text
mess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332B1 (ko
Inventor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332B1/ko
Priority to CNB2004101016982A priority patent/CN100341363C/zh
Publication of KR2005012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지만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하지 못하면 문자 메시지를 대응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타이머의 설정 시간을 입력받고 문자 메시지 음성 확인 서비스를 세팅받아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 음성확인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참이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소정 시간 경과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시간 경과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소정 시간동안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으면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얻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음성 데이터의 저장을 마치고 환경 설정 정보에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수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 연결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 사전에 설정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지 못해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할 때 설정된 단말기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전달받아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AUDIO OUTPUT METHOD FOR SHORT MESSAGE}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메시지를 미확인 시에 사전에 설정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오디오로 변환한 음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한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사용자와 상대방간에 간단한 용건을 담은 문자 메시지를 상호 송수신하여 의사 교환한다. 문자 메시지는 텍스트 형식을 가지므로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텍스트 출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를 단순히 텍스트로만 출력하지 않고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종래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 서버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음성 메시지로 변환한 다음 확인 요청을 수신하면 문자 메시지에 대응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 서버에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를 질의하고 수신된 문자 메시지가 있으면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문자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 출력 버튼의 눌림을 판단하여 눌리면 음성 출력 여부를 확인하고 문자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에 대응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삭제 버튼이 눌리면 문자 메시지, 문자 메시지에 대응한 음성 메시지를 모두 삭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지만 사용자가 단말기를 휴대하지 못하면 문자 메시지를 대응한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에 문자 메시지를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를 설정하여 문자 메시지를 오디오로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타이머의 설정 시간을 입력받고 문자 메시지 음성 확인 서비스를 세팅받아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 음성확인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참이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소정 시간 경과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시간 경과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소정 시간동안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으면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얻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음성 데이터의 저장을 마치고 환경 설정 정보에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수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 연결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 음성 확인 서비스의 환경을 설정하는 서비스 설정부(21)와; 외부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텍스트/음성 변환부(25)로 전달하고 음성 재생부(22)로 문자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문자메시지 수신부(24)와;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텍스트/음성 변환부(25)와; 문자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문자 메시지 미확인을 판단하고,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 수신 단말기(10)로 통화 연결하여 문자 메시지를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성 재생부(22)로 구성된다.
서비스 설정부(21)는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문자 메시지 미확인을 판단하는 기준인 시간 경과를 체크하는 타이머의 설정 시간을 입력받는다.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에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이고, 타이머의 설정 시간은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후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을 때까지 경과되는 소정 시간이다. 그리고, 서비스 설정부(21)는 문자 메시지 음성 확인 서비스의 제공 유무를 세팅받아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수신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서비스의 제공 유무를 결정한다.
문자메시지 수신부(24)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텍스트/음성 변환부(25)로 전달하고, 텍스트/음성 변환부(25)는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문자 메시지 음성 확인 서비스가 서비스 설정부(21)에 의해 세팅되면 문자메시지 수신부(24)는 수신한 문자 메시지를 텍스트/음성 변환부(25)로 전달함과 동시에 음성 재생부(22)로 문자 메시지 수신을 알린다.
음성 재생부(22)는 문자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문자 메시지 미확인을 판단하고,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 수신 단말기(10)로 통화 연결하여 문자 메시지를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 음성 재생부(22)는 서비스 설정부(21)의 타이머 설정 시간을 타이머에 설정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판단하여 경과하면 문자 메시지 미확인으로 판단하고, 수신 단말기(10)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음성 재생부(22)는 수신 단말기(10)와 통화 연결되면 텍스트/음성 변환부(25)에 의해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문자 메시지 미확인시 음성확인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참이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소정 시간 경과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소정 시간동안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으면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얻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음성 데이터의 저장을 마치고 환경 설정 정보에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수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 연결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메시지 음성 확인 서비스에 필요한 환경 설정 정보인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타이머의 설정 시간, 서비스 세팅 유무를 입력받는다.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일반 전화기,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전화번호이고, 타이머의 설정 시간은 초, 분 단위의 소정 시간이고, 서비스 세팅 유무는 온/오프이다.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타이머의 설정 시간을 입력하고 문자 메시지 음성 확인 서비스를 세팅한 다음, 이동 통신 단말기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 음성확인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참이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소정 시간 경과를 판단한다. 즉, 문자 메시지 음성 확인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이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타이머에 환경 설정 정보의 타이머 설정 시간을 설정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소정 시간동안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으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얻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에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한 텍스트를 텍스트/음성 변환부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얻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 데이터의 저장을 마치고 환경 설정 정보에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수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수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 사용자는 수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청취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에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 사전에 설정된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변환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지 못해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할 때 설정된 단말기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전달받아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에 상대방이 전달한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함으로써 상대방은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함을 예방하여 문자 메시지 확인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의 동작 흐름도.

Claims (2)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타이머의 설정 시간을 입력받고 문자 메시지 음성 확인 서비스를 세팅받아 환경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면 문자 메시지 미확인 시 음성확인 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참이면 타이머를 설정하여 소정 시간 경과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 시간 경과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소정 시간동안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으면 문자 메시지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얻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음성 데이터의 저장을 마치고 환경 설정 정보에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참조하여 수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 연결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 정보에서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일반 전화기,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전화번호이고, 타이머의 설정 시간은 초, 분 단위의 소정 시간이고, 서비스 세팅 유무는 온/오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
KR1020040046692A 2004-06-22 2004-06-22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 KR100565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92A KR100565332B1 (ko) 2004-06-22 2004-06-22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
CNB2004101016982A CN100341363C (zh) 2004-06-22 2004-12-20 一种短消息的语音输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692A KR100565332B1 (ko) 2004-06-22 2004-06-22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531A true KR20050121531A (ko) 2005-12-27
KR100565332B1 KR100565332B1 (ko) 2006-03-30

Family

ID=3571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692A KR100565332B1 (ko) 2004-06-22 2004-06-22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65332B1 (ko)
CN (1) CN10034136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196A (ko) * 2016-08-30 2018-11-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메시지를 푸시하는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1666B (zh) * 2006-09-05 2011-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在手机中将文本短信转换成语音播放的方法
US7921214B2 (en) * 2006-12-19 2011-04-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witching between modalities in a speech application environment extended for interactive text exchanges
CN101335917A (zh) * 2008-08-01 2008-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短信发送的方法、设备和系统
CN101815257B (zh) * 2009-02-20 2013-03-20 华为软件技术有限公司 文本消息语音通信方法、装置及系统、终端设备
CN102480560B (zh) * 2010-11-26 2016-07-06 上海晨兴希姆通电子科技有限公司 Pnd、移动终端、信息同步系统以及同步信息的方法
CN102421072A (zh) * 2011-12-22 2012-04-18 苏州巴米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短信数据的通信方法
CN113364921A (zh) * 2020-03-05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话方法、系统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921B1 (en) * 1998-08-19 2005-12-20 Lucent Technologies Inc. Using discrete message-oriented services to deliver short audio communications
JP2001007899A (ja) * 1999-06-18 2001-01-12 Nec Commun Syst Ltd 音声/コード変換機能付きメッセージ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CN1112823C (zh) * 1999-07-22 2003-06-25 英业达集团(上海)电子技术有限公司 呼叫方来电信息语音实现装置及处理方法
CN1141831C (zh) * 2002-06-24 2004-03-10 西安大唐电信有限公司 一种语音短信息传输系统
CN1208940C (zh) * 2002-08-15 2005-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固定电话网络短信的实现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196A (ko) * 2016-08-30 2018-11-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메시지를 푸시하는 방법 및 장치, 단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332B1 (ko) 2006-03-30
CN100341363C (zh) 2007-10-03
CN1713761A (zh)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97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short voice message
US79171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to-text conversion
US200301625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recep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105256A (ko) 오디오 이메일 태그에 의한 이메일 메시지 확인
KR100565332B1 (ko) 문자 메시지의 음성 출력 방법
US7352719B2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mmunicating voice message using packet-switched scheme
KR20070066263A (ko) 무선 헤드셋을 통한 단문 메시지의 음성 메시지 변환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1742A (ko)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5160115A (ja) 電話装置
KR10073916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 방법
JP2007208496A (ja) 電話装置
CN210093310U (zh) 一种数据中心远程音频通话系统
KR100612692B1 (ko)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39714B1 (ko) 자동응답 메시지의 이 메일 전송방법
KR10125859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확인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880978B1 (ko) 단문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1672646B1 (ko) 호 종료 방지를 위한 음성 사서함 서버, 호 종료 방지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0826177B1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표시 방법 및 장치
JP3056161B2 (ja) 携帯電話機のメッセージ録音時間報告方式
KR100675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급 통화 방법
KR10074524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응답 메시지 전파장치 및 그 방법
JP4640707B2 (ja) 伝言自動送信機能付電話装置
KR20040046866A (ko) 다운로드 방식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EP264004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voice mail message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voice mail server
KR20030033323A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예약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