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05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051A
KR20050121051A KR1020040046193A KR20040046193A KR20050121051A KR 20050121051 A KR20050121051 A KR 20050121051A KR 1020040046193 A KR1020040046193 A KR 1020040046193A KR 20040046193 A KR20040046193 A KR 20040046193A KR 20050121051 A KR20050121051 A KR 20050121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ter supply
tank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관석
신동렬
노형훈
게오르기세베리넷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1051A/ko
Publication of KR2005012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05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를 갖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수가 세탁물 전체에 균일하게 뿌려지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에 세탁수와 세제가 흡수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세탁효율을 향상하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상단은 세탁조의 후방을 향하고 하단은 상기 세탁조의 전방을 향하는 유로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조에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를 갖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세탁조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 세탁수, 세제를 함께 교반시킴으로써 상호간의 마찰을 통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세탁기의 급수장치는 외부로부터 세탁조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급수장치는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된 급수관로를 통해 세탁조 일측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하는데, 종래의 급수장치는 일반적으로 급수관로가 세탁조의 하부를 통해 연결되어 세탁수가 공급됨에따라 세탁조 내부의 수위가 점차 상승함으로써 세탁물이 세탁수에 적셔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급수장치는 급수관로가 세탁조의 하부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는 세탁조의 저면부터 세탁수가 차오르므로 세탁수가 세탁물, 특히 세탁물의 최상부 위치에까지 흡수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세탁물에 세탁수와 세제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조 내에서 교반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세탁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수장치의 급수관로가 세탁조의 측면이나 상부를 통해 연결되어 세탁수가 세탁물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흐르게 되는 경우라도 세탁수가 세탁조 내부의 각 부분에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고 일부분에만 국부적으로 공급되므로 세탁수가 떨어지는 부분에 위치한 세탁물에는 세제와 함께 세탁수가 충분히 흡수되나 세탁수가 떨어지는 부분을 벗어나 위치한 세탁물에는 세제와 세탁수가 흡수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세탁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수가 세탁물 전체에 균일하게 뿌려지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에 세탁수와 세제가 흡수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세탁효율을 향상하도록 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상단은 세탁조의 후방을 향하고 하단은 상기 세탁조의 전방을 향하는 유로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의 세로길이는 가로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로 분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는 세로방향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은 세탁수의 분사방향이 상기 세탁조의 최상부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중심과 상기 세탁조의 최저면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기의 일예로서 드럼세탁기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드럼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수의 담수가 가능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의 수조(11)와, 수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세탁조(12)를 구비한다. 수조(11)의 하부에는 수조(11) 내부의 세탁조(1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세탁, 헹굼, 탈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구동모터(13)가 설치된다. 또 수조(11)와 세탁조(12)는 사용자가 본체(10)의 전방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전방 쪽에 개구가 형성되고, 본체(10)의 전방에는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4)가 설치된다.
또 수조(11)의 상부에는 수조(11)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20)와 세제를 세탁수와 혼합시켜 수조 내부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3)가 설치되고, 수조(11)의 하부에는 세탁 종료 후 수조(11) 내부의 세탁수를 강제로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16a), 배수펌프(16b)를 포함하는 배수장치(16)가 설치된다.
급수장치(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연결되며 본체(10) 하우징 후면을 관통하는 급수관로(21)를 포함한다. 급수관로(21)는 세탁기 내부의 후측 상부에서 제1급수관로(22)와 제2급수관로(27)의 두갈래로 분기되어 제1급수관로(22)는 세제공급장치(3)로 연장되고, 제2급수관로(27)는 수조(11) 내부로 연장된다. 제1급수관로(22)와 제2급수관로(27)에는 제1급수밸브(22a)와 제2급수밸브(27a)가 설치되어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제1급수관로(22)와 제2급수관로(27)를 각각 개폐한다.
제1급수관로(22)로부터 세제공급장치(3)에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공급장치(3) 내에 사용자가 미리 적재해둔 세제와 함께 혼합되고 이렇게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는 연결관(25)을 통해 수조(11) 내부로 공급된다. 제2급수관로(27)는 수조(11)의 전면까지 연장되며, 제2급수관로(27)의 단부인 수조(11)의 개구부 상부에는 급수노즐(30)이 설치된다.
급수노즐(30)의 일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급수관로(27)의 단부와 결합되는 노즐입구(35)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세탁조 내부를 향하는 상부분기관로(31)와 하부분기관로(33)가 형성된다.
노즐입구(3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경이 제2급수관로(27)의 외경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급수관로(27)의 단부가 노즐입구(35)에 억지끼움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노즐입구(35)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급수노즐(30)의 중앙부로부터 상부분기관로(31)와 하부분기관로(33)로 분기되어 흐르도록 유로가 형성된다. 상부분기관로(31)와 하부분기관로(33)의 단부에는 각각 세탁수가 배출되는 상부배출구(31a)와 하부배출구(33a)가 형성된다. 상부배출구(31a)와 하부배출구(33a)는 세탁수의 배출방향이 세탁조(12)의 중앙을 세로로 가로지르도록 즉, 수조(11)의 회전중심을 지나 세탁조(12)의 최하부에 도달하도록 배치된다.
상부배출구(31a)와 하부배출구(33a)는 가로길이(d1)가 세로길이(d2)보다 매우 작도록 납작하게 형성된다. 또한, 노즐입구(35)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면적보다 상부배출구(31a)와 하부배출구(33a)의 유로면적을 합한 면적이 더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면적 차이에 의해 노즐입구(35)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압이 상승하여 상부배출구(31a)와 하부배출구(33a)로 배출되며, 수압의 상승함에 따라 급수노즐(30)에서 배출되는 세탁수의 속도가 커져 세탁조(12) 내부에서 세탁수가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분기관로(31)와 하부분기관로(33)는 급수노즐(30)의 중앙부위로부터 배출구(31a, 33a) 측으로 갈수록 점차 유로의 세로길이가 커지도록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노즐(30)의 상단부는 수조(11)의 후방을 급수노즐(30)의 하단부는 수조(11)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부분기관로(31)와 하부분기관로(33)의 유로면적이 노즐입구(35) 내부의 유로면적보다 적으면서도 유로가 세로방향으로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므로 세탁수가 세로방향으로 펼쳐져서 세탁조(12) 내부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급수노즐(30)과 같이 유로가 세로방향으로 점차 넓어질 경우에는 중력의 영향으로 유로의 하부를 통해서는 다량의 세탁수가 흐르게 되고 유로의 상부로 갈수록 세탁수의 통과량이 줄어들게 된다. 그에 따라, 세탁수가 세로방향으로 펼쳐지는 각도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배출구(31a, 33a)를 복수개 형성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두개의 배출구(31a, 33a)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만족할만한 분사각도를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배출구(31a, 33a)의 유로 면적을 더욱 줄여 세탁수의 분사 압력을 더욱 증가시키거나, 배출구(31a, 33a)의 개수를 세개 이상으로 증가시킴으로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에 의하면 세탁수가 세탁물 전체에 균일하게 분사되므로 세탁물에 세탁수와 세제가 흡수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세탁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노즐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수조,
12: 세탁조, 20: 급수장치,
21: 급수관로, 22a, 27a: 급수밸브,
3: 세제공급장치, 16: 배수장치,
30: 급수노즐, 35: 노즐입구,
31a: 상부배출구, 33a: 하부배출구.

Claims (5)

  1. 상단은 세탁조의 후방을 향하고 하단은 상기 세탁조의 전방을 향하는 유로가 형성된 노즐을 포함하는 급수장치를 갖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세로길이는 가로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갖는 세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부 유로와 하부 유로로 분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갖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세로방향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갖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세탁수의 분사방향이 상기 세탁조의 최상부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중심과 상기 세탁조의 최저면를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20040046193A 2004-06-21 2004-06-21 세탁기 KR200501210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193A KR20050121051A (ko) 2004-06-21 2004-06-21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193A KR20050121051A (ko) 2004-06-21 2004-06-21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051A true KR20050121051A (ko) 2005-12-26

Family

ID=3729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193A KR20050121051A (ko) 2004-06-21 2004-06-21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10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1800B1 (en) Washing machine
KR20090107223A (ko) 세탁장치
EP1500736B1 (en) Washing machine
BRPI1101056A2 (pt) aparelho de tratamento de tecido com dispensador de detergente
KR102350317B1 (ko) 세탁기
US7426932B2 (en) Spray fill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50121052A (ko) 세탁기
KR100701934B1 (ko) 드럼 세탁기
JP4389732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565479B1 (ko) 세탁수 분사 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
EP3795734B1 (en) Washing machine
KR10168972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5253488B2 (ja) 洗濯機
KR20050121051A (ko) 세탁기
KR101461391B1 (ko) 공기발생장치를 갖는 세탁기
JP2001029688A (ja) 洗濯機のすすぎ方法
KR20050086204A (ko) 드럼 세탁기
KR102488736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50014503A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0616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0462492Y1 (ko) 세탁기
TW202003959A (zh) 灑水裝置及使用其的洗衣機
KR100347901B1 (ko) 세탁기의 낙하수류 형성장치
KR200143269Y1 (ko)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0125469Y1 (ko) 세탁기의 용수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