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730A -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 신소재 충격소음 흡음재제조기술 - Google Patents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 신소재 충격소음 흡음재제조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730A
KR20050120730A KR1020050106833A KR20050106833A KR20050120730A KR 20050120730 A KR20050120730 A KR 20050120730A KR 1020050106833 A KR1020050106833 A KR 1020050106833A KR 20050106833 A KR20050106833 A KR 20050106833A KR 20050120730 A KR20050120730 A KR 20050120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echnology
fiber
materials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광
강윤하
Original Assignee
리텍건설환경(주)
한정광
강윤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텍건설환경(주), 한정광, 강윤하 filed Critical 리텍건설환경(주)
Priority to KR102005010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0730A/ko
Publication of KR2005012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폐기물 중 합성섬유를 재생 가공한 섬유 부직포로 신소재 충격소음 흡음재의 제조기술과 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섬유 신소재 흡음재는 버려지는 합성섬유의 폐기물을 그 원료로 부직포를 사용하며 이 기술은 대량발생 폐기물을 안정적 안전처리 기술 및 독보적인 고유실용 환경기술로서 환경보전의 기능과 함께 기존의 플라스틱이나 고무제품의 충격소음 흡음재와는 달리 섬유 부직포 소재를 겹겹이 쌓은 구조로서 방수 및 차음, 보온의 효과와 함께 흡음효과가 뛰어나며, 온도와 습기에 변화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종전 기술은 콘크리트 바닥위에 고무나 플라스틱, 또는 섬유제품으로 만들어진 별도의 충격소음 흡음재를 설치하고, 그 위에 다시 콘크리트 바닥을 재설치하는 공정으로 인해 열에 약하여 오래 사용할 경우 고무와 플라스틱은 경화되어지고 부스러지는 결함이 있으며, 그리고 시설공정에 많은 공수와 시일이 소요되었으나 본 특허에서는 이런 단점을 보완하여 열에 강하고, 축열, 보온기능이 있으며, 습기에도 강하고, 차음과 흡음 효과가 우수하며, 시설공정 또한 콘크리트 바닥에 모래를 깔고 그 위에 난방 배관을 한 다음, 신소재 섬유 흡음판을 놓고 바로 장판을 깔아 마감을 하게 함으로서 소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시설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화 되도록 제작하였다.
먼저 섬유 폐기물 중 합성섬유의 구성비를 폴리에스터 70%이상, 아크릴, 레이온 등 기타 섬유를 30%로 하여 섬유부직포를 만들고, 이 소재에 수용성이나 분말형태의 열경화성 요소수지를 0.07kg/m2의 량으로 도포한 다음, 그물망건조기(Net Dryer)에서 함수량이 15%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다음, 생산제품의 두께에 따라서 섬유 부직포를 적층하여 성형 프레스(Hydro. Hot Press)의 내부에 고르게 깔아준 다음 200℃의 고온과 50kg/cm2의 고압상태에서 7분 동안 성형하고 40℃ 이하의 온도와 30Kg/Cm2의 냉각프레스(Cold Press)에서 급속 냉각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기대효과로는 환경적으로는 자원의 절약과 폐기물의 유효이용을 통한 독보적 고유 실용 환경기술개발이라는 점, 그리고 기술적으로는 종전 제품의 플라스틱이나 고무 제품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경화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음재와 차음재 및 방수재의 저가, 고품질, 고부가, 고효율, 고기능성을 갖춘 기존 제품의 대체 신소재 및 대용제품을 개발 공급함에 따른 건축자재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 신소재 충격소음 흡음재 제조기술{Manufacturing Technology of Shock Sound-Absorbing Materials By Using The Recycling Waste Fiber}
기술 분야 : 건축자재 및 소음 진동과 폐기물처리 기술 분야
종래기술 : 통상적으로 충격소음 흡음재는 플라스틱을 주축으로 고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설치 방법은 흡음재 위에 다시 콘트리트 바닥을 재시공하는 방법이다.
종래 기술의 충격소음 흡음재 소재 및 그 공정 방법에서는 콘크리트 바닥 위에 고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충격소음 흡음재를 깔고, 그 위에 다시 콘트리트를 시공하여 바닥재를 만들었기에 내장된 고무와 플라스틱 소재의 충격소음 흡음재가 열에 의해 경화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강한 제품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합성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소재를 고압, 고열로 성형하여 보온의 효과는 물론 충격소음에 대한 흡음과 차음효과가 탁월하며 열에 의한 경화나 부식 문제가 해결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콘크리트 바닥위에 모래를 깔아준 다음 난방 배관을 하고 그 위에 신소재 섬유 흡음재를 시공하게 되므로, 그 위에 장판을 깔거나 도배를 할 수 있도록 공정을 개선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소재의 선택과 가공방법 및 제조공정의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불필요한 공정을 삭제하여 일정한 품질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였다.
〈실시 예 1〉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합성섬유 부직포는 폴리에스터가 70% 이상 포함된 것을 사용하고, 본 발명에서는 자연섬유가 5% 이상 포함된 소재는 200℃의 고열로 성형할 경우, 자연섬유가 탄화되고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실시 예 2〉
종래 기술에 의한 폐합성섬유를 5Cm 이하로 자르고 그 소재에 우레탄계 및 유기제 바인더를 사용하여 100℃의 온도에서 2시간정도 건조할 경우, 완전건조가 불가했고, 특히 만들어진 흡음재에 무거운 가구를 올려놓았을 때, 가구의 자리가 내려앉는 현상이 발생했다.
〈실시 예 3〉
종래 기술에 의해 8cm의 두께로 제작된 부직포에 열경화성의 수용성 요소수지 외 수용성 멜라민, 또는 아크릴 수지와 분말형의 멜라민수지를 각각의 부직포에 0.03kg/m2의 양으로 도포하고 그물망 건조기(Net Dryer)에서 함수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제품 치수별로 절단(Cutting)하여 사용해 본 결과, 요소수지 외 제품들은 제품이 너무 딱딱해져서 흡음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했다.
대신 요소수지의 경우는 탄력을 받아 흡음재로 사용하기에는 아주 적합한 제품이 만들어졌다.
〈실시 예 4〉
일반적으로 0.03Kg/m2량의 수지를 도포할 경우 부직포의 겉에만 수지가 도포되어 제품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했기에,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의 열경화성 요소수지를 0.07kg/m2의 양으로 도포하여 함수량이 15%이하가 되록 건조기(Net Dryer)에서 건조한 다음 성형프레스(Hydro. Hot Press)에서 성형한 결과 박리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실시 예 5〉
본 발명에서는 조립공정이나 공사를 할 때 별도의 콘크리트 바닥공사가 전혀 필요 없도록 부직포 섬유소재를 금형에 바로 투입하여 200℃의 온도와 50kg/cm2의 압력으로 성형프레스(Hydro. Hot Press)에서 7분 동안 성형했으나 인출된 제품을 그냥 두었더니 생산제품이 식는 과정에서 섬유의 관성에 의하여 뒤틀림과 기포가 발생하였다.
〈실시 예 6〉
생산제품의 뒤틀림과 기포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급속냉각이 필요했으므로 열간성형프레스(Hydro. Hot Press)에서 인출즉시 제품을 40℃ 이하의 온도에서 급속냉각이 가능하도록 냉각프레스(Hydro. Cold Press)에서 30Kg/Cm2의 압력이 주어진 상태에서 압착 냉각했더니 성형제품이 양쪽 표면은 단단하고 내부는 탄력이 있어 흡음재로 활용하기에 적합했고, 단단한 양쪽 겉표면에는 200kg/cm2의 무게에도 바닥의 변형이나 균열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 예 6〉
종래 기술로 제작된 플라스틱이나 고무 흡음재는 열에 의해 경화되고 장시간이 경과할 경우 경화되어 딱딱해져서 흡음의 효과가 떨어지고, 무거운 중량의 가구를 놓았을 경우 바닥이 꺼지는 불안정한 상태였지만, 본 발명으로 개발된 신소재 섬유 흡음재는 겉은 단단하고 속 내부는 탄력이 있어 표면 굴곡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가구제품을 안정적이며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했다.
〈실시 예 7〉
종래 기술로 만들어지는 플라스틱과 고무 제품의 경우 부분적인 시공으로 일부 부분이 함몰되는 경우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으로 만들어진 신소재 섬유 흡음재는 바닥 전체를 일정한 모양으로 깔아주기 때문에 함몰되거나 변형이 발생 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로는 크게 환경적 효과와 사회적 효과 및 경제적 효과와 기술적 효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환경적 효과로는 대량 발생 폐기물을 안정적이며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처리의 원천기술 개발과, 자원의 절약과 폐기물의 유효이용 기술개발 및 섬유 폐기물의 매립에 따른 토지 부양화와 소각에 따른 대기오염 등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회적 효과로는 한 때의 인기나 유행을 위한 기술이거나, 외국의 기술을 모방한 카피기술이 아닌 독보적인 고유 실용 환경기술의 개발을 통한 저가, 고품질, 고부가, 고효율, 고기능성의 경쟁력 있는 건축자재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토목, 건축 산업의 규격화에 크게 기여 할 수 있다.
또한 경제적 효과로는 한국 환경자원공사가 ‘02년 “전국 폐기물 발생량 조사” 자료에 의하면 년 간 786천 톤이나 발생되는 섬유폐기물을 안정적이며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어 년 간 1,200억원의 폐기물처리비용의 절감효과와 함께 원, 부자재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재생산업은 첨단, 미래의 정맥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했으며, 나아가 신소재 섬유 흡음재의 신기술을 해외 환경플랜트로 수출할 경우 기술이전에 따른 플랜트 당 10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술적 효과로는 환경산업의 대부분을 수입기술에 의존하고 있고 특히, 재생산업 기술이 초보단계인 현실에서 섬유 폐기물의 안정적 안전처리에 따른 폐기물 재활용 공정기술의 개발과 고열, 고압의 제품성형기술 개발에 따른 건축자재 산업과 토목, 환경기술 산업 등의 연관 산업의 동반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섬유 흡음재에 있어서
    부직포를 사용한 겉은 단단하고 속은 푹신한 흡음재와
  2. 청구 항 1에 있어서
    평판이 아닌 굴곡형태의 금형에 의한 생산 공정기술과
  3. 청구 항 2에 있어서
    양면 또는 단면에 요철 굴곡이 있는 섬유 흡음소재를 말한다.
KR1020050106833A 2005-11-09 2005-11-09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 신소재 충격소음 흡음재제조기술 KR20050120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833A KR20050120730A (ko) 2005-11-09 2005-11-09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 신소재 충격소음 흡음재제조기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833A KR20050120730A (ko) 2005-11-09 2005-11-09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 신소재 충격소음 흡음재제조기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749 Division 2005-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730A true KR20050120730A (ko) 2005-12-23

Family

ID=3729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833A KR20050120730A (ko) 2005-11-09 2005-11-09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 신소재 충격소음 흡음재제조기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07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ykidis et al. Hydrothermal recycling of waste and performance of the recycled wooden particleboards
Gil Cork
AR002466A1 (es) Metodo para producir un recubrimiento sobre un sustrato de madera, recubrimiento sobre la superficie de un sustrato de madera reconstituido ysustrato de madera reconstituido.
CN102172948A (zh) 表面浸润木质纤维板及其生产方法
Rejeesh et al. Methods and materials for reducing flammability behaviour of coir fibre based composite boards: a review
Singh et al. Natural fiber composites for building applications
EP2722142A1 (en) Circuit-board powder made eco-friendly panel free from aldehyde and carbon emission and production method
CN102501292B (zh) 全天然原料木质纤维复合装饰板材的制作方法
CN113815080B (zh) 一种热改性抗变形家居门板及其生产工艺
KR102088677B1 (ko) 기능성 경량 목섬유 단열재 제조 및 난연 처리.
KR20050120730A (ko)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 신소재 충격소음 흡음재제조기술
CN104669395A (zh) 一种低密度纤维板的制造方法
KR102217735B1 (ko) 목섬유를 활용한 기능성 경량 목섬유 단열재
US1976684A (en) Structural material
Yatim et al. Biocomposites for the construction materials and structures
Foti et al.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co-friendly composites made from wood dust and recycled polystyrene
KR20070065854A (ko) 폐섬유를 활용한 건축용 요철형 흡음판재
JP6494419B2 (ja) 木材薬液処理方法
WO1997004184A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plate boards for construction
CN214423654U (zh) 一种超强耐火纤维板
CN206614859U (zh) 一种pvc改性门用复合纤维板
Poopalam et al. Utilization of oil palm biomass and Polyurethanes as sustainable construction materials: A review
TWI704273B (zh) 免拆模板及其施工方法
KR0178121B1 (ko) 섬유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판넬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7068A (ko) 폐각을 재활용한 친환경 건축내장재 제조기술개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