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038A -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038A
KR20050120038A KR1020040045230A KR20040045230A KR20050120038A KR 20050120038 A KR20050120038 A KR 20050120038A KR 1020040045230 A KR1020040045230 A KR 1020040045230A KR 20040045230 A KR20040045230 A KR 20040045230A KR 20050120038 A KR20050120038 A KR 20050120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tion vector
television
image
zoom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4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0038A/ko
Publication of KR2005012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0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04N21/4402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04N5/145Movement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영상의 모션벡터를 인식하여 예측된 모션벡터의 위치가 화면의 유효화면을 벗어날 경우 영상화면을 일정시간 축소하여 유효화면 밖에 주사되고 있는 전체 영상을 유효화면 안으로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유효화면 밖에 표시되는 영상을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ZOOMING IMAGE OF TELEVIS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영상의 모션벡터를 인식하여 예측된 모션벡터의 위치가 화면의 유효화면을 벗어날 경우 영상화면을 일정시간 축소하여 유효화면 밖에 주사되고 있는 전체 영상을 유효화면 안으로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유효화면 밖에 표시되는 영상을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산업을 시작으로 정보통신산업에까지 확산된 정보의 디지털화는 최근 들어 텔레비전 방송신호에까지 그 범위가 확산되었다.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컴퓨터, 통신분야의 기술과 융합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구현되는 양방향 멀티미디어시대를 실현할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규격과 미국 FCC의 ATV(Advanced TV)규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이 차세대 TV 방식으로 결정한 ATSC규격을 준수한 것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TV를 상징하는 NTSC 규격을 대체하는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전과 기존의 아날로그 텔레비전과의 차이점을 화질, 음질, 화면비 및 기타로 분리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질면에 있어서, 가로 주사선 525개를 사용하는 아날로그 TV는 시청화질을 결정하는 수평해상도가 330선 정도인 반면, 고선명(HD)급 디지털 TV는 수평해상도가 700선 정도에 달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TV의 화질보다 2배 이상 선명하다.
음질면에 있어서, 기존의 아날로그 TV는 2채널의 스테레오 음향 정도를 제공하는데 불과하지만, AC3 기술을 사용하는 디지털 TV는 극장에서 즐길 수 있는 5.1채널의 입체음향을 제공한다.
화면비율에 있어서도 기존의 아날로그 TV의 화면비가 4 대 3인 반면, 디지털 TV는 극장화면과 동일하게 화면비가 16 대 9인 광폭화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디지털 TV를 아날로그 TV와 구분 짓는 것은 화질과 음질면에서의 획기적인 변화뿐만이 아니다. 디지털 TV는 PC는 물론 디지털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플레이어,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VCR 등과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직렬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호환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압축기법을 활용한 미디어의 확산으로 통신, 컴퓨터, 방송의 융합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복합기능을 갖는 단일 미디어로서 국제화 및 다채널화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방송신호에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아날로그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TV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정보를 다중화해 전송하거나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이나, 컴퓨터보유자를 위한 문자정보, 영상정보, 상품정보,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일명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PG ; 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인 데이터 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텔레비전에서는 디지털방식으로 영상화면을 처리하기 때문에 영상화면의 정지화면이나 줌(zoom)기능이 적용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도 1은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소정의 중간주파수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튜너(2)와, 튜너(2)를 통해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IF 증폭부(3)와, IF 증폭부(3)에서 출력되는 방송중간주파수신호로부터 영상중간주파수신호(PIF)와 음성중간주파수신호(SIF)를 분리하는 예컨대 표면탄성파 필터 등의 P/S분리부(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P/S 분리부(4)에서 출력되는 음성중간주파수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검파하는 음성검파부(5)와, 음성검파부(5)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에 대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베이스(Bass), 트레블(Treble), 볼륨(Volume)등의 음성처리를 실행하는 음성처리부(10)와, 음성처리부(1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2)로 출력하는 음성증폭부(11)로 이루어진다.
또한, P/S 분리부(4)에서 출력되는 영상중간주파수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영상검파부(6)와, 영상검파부(6)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정보저장부(15)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9)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영상정보저장부(15)에 일정단위로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영상정보관리부(14)와, 마이크로프로세서(9)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관리부(14)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 또는 영상정보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예컨대, 정지화면기능 또는 줌기능을 처리하는 디지털영상조정부(16)와, 디지털영상조정부(16)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해 마이크로프로세서(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칼라(Color), 틴트(Tint), 브라이트니스(Brightness)등을 처리하여 대응되는 R(Red), G(Green), B(Blue) 및 휘도(-Y)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17)와, 영상처리부(17)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8),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8))에서 출력되는 색조신호(R, G, B) 및 휘도(-Y)신호를 근거로 CRT(20)를 구동하는 CRT구동부(19)로 이루어진다.
한편, 텔레비전 수상기 전반적인 동작실행을 원격적으로 명령하기 위한 리모콘장치(7)와, 리모콘장치(7)로부터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인 코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8)와, 텔레비전 수상기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9)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텔레비전은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중에서 영상신호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영상처리된 후 다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CRT(20)로 출력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줌기능이 선택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9)는 디지털영상조정부(16)를 제어하여 수신영상신호에 대하여 줌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써 화면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영상화면의 편향상태를 가변하도록 수평/수직편향코일의 수평/수직편향을 조정하기 위한 수평/수직편향조정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소정의 영상구간에 대해서 메모리에 저장된 수평/수직편향조정데이터에 의해 수평/수직편향상태를 가변하여 화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중 자신이 원하는 영상화면을 크게 보고 싶을 경우 줌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영상화면의 크기를 조절하여 해당 영상을 자세히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축구나 야구와 같이 스포츠 중계를 시청하는 경우 축구공이나 야구공이 멀리 날아가는 경우 카메라가 공을 쫓아서 움직이지만 빨리 이동하는 경우 공이 화면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텔레비전의 화면은 실제로 입력되는 전체 영상 중에서 수직귀선시간이나 수평주사개시 영역 등의 블랭킹 화면이나 블랭킹 화면과의 경계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유효화면은 실제 전체화면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 영상화면에서는 화면을 벗어나질 않았지만 사용자가 시청하는 유효화면에서는 벗어나는 관계로 원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영상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줌기능은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화면에서 줌기능을 선택했을 경우에만 동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하기 전에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영상화면이 지나가버려 크기조절의 의미가 없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줌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영상의 모션벡터를 인식하여 예측된 모션벡터의 위치가 화면의 유효화면을 벗어날 경우 영상화면을 일정시간 축소하여 유효화면 밖에 주사되고 있는 전체 영상을 유효화면 안으로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유효화면 밖에 표시되는 영상을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는 줌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모션벡터를 인식하기 위한 모션벡터 인식부와, 모션벡터 인식부에서 인식된 모션벡터를 저장하는 모션벡터 저장부와, 모션벡터 저장부에 저장된 모션벡터와 모션벡터 인식부에서 인식되는 모션벡터를 통해 모션벡터의 위치를 예측하여 유효화면 한계를 벗어날 경우 줌기능을 작동시켜 전체 영상이 유효화면 내에 주사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줌기능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방법은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모션벡터를 인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모션벡터와 입력된 모션벡터를 분석하여 벡터의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와, 예측된 벡터의 위치가 텔레비전의 유효화면 한계를 벗어났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유효화면의 한계를 판단한 결과 유효화면을 벗어났을 경우 줌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줌기능은 입력되는 전체의 영상화면이 유효화면 내에 표시되도록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줌기능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의 모션벡터를 인식하여 움직일 벡터의 위치를 예측하여 벡터의 위치가 텔레비전의 유효화면을 벗어날 것으로 예측될 경우 자동으로 줌기능을 작동시켜 입력되는 전체의 영상화면이 유효화면 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일정시간 동안 화면크기를 축소하여 유효화면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영상신호를 검파하는 영상검파부(6)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의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모션벡터를 인식하기 위한 모션벡터 인식부(21)와, 모션벡터 인식부(21)에서 인식된 모션벡터를 저장하는 모션벡터 저장부(22)와, 모션벡터 저장부(22)에 저장된 모션벡터와 모션벡터 인식부(21)에서 인식되는 모션벡터를 통해 모션벡터의 위치를 예측하여 유효화면 한계를 벗어날 경우 줌기능을 작동시켜 전체 영상이 유효화면 내에 주사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줌기능 제어부(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텔레비전의 유효화면의 한계점은 텔레비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이며, 유효화면을 벗어날 경우 줌기능의 지속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자동으로 화면크기가 조절되는 줌기능을 작동시키거나 해제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줌기능이 작동되었을 경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모션벡터를 인식하여 모션벡터 저장부(22)에 저장하면서 모션벡터의 위치를 예측하여 예측된 벡터 위치가 유효화면의 한계점을 벗어날 경우 줌기능을 작동시켜 입력되는 전체 영상이 유효화면 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축소함으로써 유효화면을 벗어나는 영상의 경우에는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상에 따라 유효화면을 벗어날 경우 자동으로 화면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줌기능이 작동된 상태에서 모션벡터 인식부(21)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해 모션벡터를 인식한다(S10).
그런다음 인식된 모션벡터를 모션벡터 저장부(22)에 저장한 후(S20) 저장된 모션벡터와 입력된 모션벡터를 분석하여 벡터의 위치를 예측한다(S30).
디지털 영상신호의 경우 가변길이 코딩(variable length coding) 방식으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예측된 영상화면의 벡터의 위치가 텔레비전에 따라 설정된 유효화면의 한계점을 벗어났는가 판단하게 된다(S40).
그래서, 벡터위치가 유효화면의 한계점을 벗어났을 경우 줌기능을 작동시켜 전체 화면크기를 축소시켜 입력되는 영상화면이 모두 유효화면 내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S50).
이와 같이 화면크기의 축소는 디지털 영상화면을 디지털 방식에 의해 전체 영상화면이 유효화면 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크기를 줄일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수직편향코일의 수평/수직편향을 조정하기 위한 수평/수직편향조정데이터에 의해 수평/수직편향상태를 가변하여 화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렇게 화면크기가 축소되어 전체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줌기능이 작동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할 경우 원래의 화면으로 전환된다(S60).
이때 줌기능의 작동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의 모션벡터를 인식하여 예측된 모션벡터의 위치가 화면의 유효화면을 벗어날 경우 영상화면을 일정시간 축소하여 유효화면 밖에 주사되고 있는 전체 영상을 유효화면 안으로 들어오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유효화면 밖에 표시되는 영상을 놓치지 않고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테나 2 : 튜너
3 : IF 증폭부 4 : P/S분리부
5 : 음성검파부 6 : 영상검파부
7 : 리모콘 장치 8 : 수신부
9, 100 : 마이크로프로세서 10 : 음성처리부
11 : 음성증폭부 12 : 스피커
13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 변환기)
14 : 영상정보관리부 15 : 영상정보저장부
16 : 디지털영상조정부 17 : 영상처리부
18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 변환기)
19 : CRT구동부 20 : CRT
21 : 모션벡터 인식부 22 : 모션벡터 저장부
23 : 줌기능 제어부

Claims (4)

  1. 줌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모션벡터를 인식하기 위한 모션벡터 인식부와,
    상기 모션벡터 인식부에서 인식된 모션벡터를 저장하는 모션벡터 저장부와,
    상기 모션벡터 저장부에 저장된 모션벡터와 상기 모션벡터 인식부에서 인식되는 모션벡터를 통해 모션벡터의 위치를 예측하여 유효화면 한계를 벗어날 경우 줌기능을 작동시켜 전체 영상이 유효화면 내에 주사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줌기능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2.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모션벡터를 인식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저장된 모션벡터와 입력된 모션벡터를 분석하여 벡터의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예측된 벡터의 위치가 텔레비전의 유효화면 한계를 벗어났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유효화면의 한계를 판단한 결과 유효화면을 벗어났을 경우 줌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줌기능은 입력되는 전체의 영상화면이 유효화면 내에 표시되도록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줌기능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방법.
KR1020040045230A 2004-06-18 2004-06-18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20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230A KR20050120038A (ko) 2004-06-18 2004-06-18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230A KR20050120038A (ko) 2004-06-18 2004-06-18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038A true KR20050120038A (ko) 2005-12-22

Family

ID=3729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230A KR20050120038A (ko) 2004-06-18 2004-06-18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00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209756A (ja) デジタルテレビのチャンネル選択方法
US790310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with optimal external input setting capability
KR100301024B1 (ko) 디지털 텔레비전수상기에서 원화면의 부분별 확대장치
CN1306800C (zh) 用于控制视频信号处理设备的方法和设备
KR101414631B1 (ko)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731533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 및 음성 모드 자동 조정 방법
KR100598948B1 (ko) 텔레비전의 화면 줌 조절방법
KR100700693B1 (ko) 음성인식을 통한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방법
KR20050120038A (ko)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627895B1 (ko) 텔레비전의 부화면 크기 및 줌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752838B1 (ko) 부화면의 부분영역을 주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지털방송녹화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0184967B1 (ko) 음량 및 음질 자동조절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100307595B1 (ko)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 처리방법 및그 장치
KR100708375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디지털 영상 처리방법
KR100598956B1 (ko) 텔레비전에서의 연속 스틸 표시 제어 장치
KR20080001364A (ko) 텔레비전의 음향효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242113B1 (ko) 텔레비젼수상기의 한글자막삭제장치
KR10083043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부화면을 통한 mms 서비스 수신장치
EP1406443A2 (en) Twin tuner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with teleweb capability
KR0158320B1 (ko) 부화면을 이용한 텔리비디오장치용 녹화상태 표시장치
KR10065887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탐색 방법
KR2010007268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동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60082654A (ko) 영상기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KR20070120818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설정 방법
KR19980069395A (ko) 방송종류인식에 의한 crt화면의 수평위치 자동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