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572A -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572A
KR20050119572A KR1020040044700A KR20040044700A KR20050119572A KR 20050119572 A KR20050119572 A KR 20050119572A KR 1020040044700 A KR1020040044700 A KR 1020040044700A KR 20040044700 A KR20040044700 A KR 20040044700A KR 20050119572 A KR20050119572 A KR 20050119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g
mobile terminal
signal
brai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9572A/ko
Publication of KR20050119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5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의 기존 출력장치를 통해 적절한 뇌파를 유도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사용자의 두뇌상태를 최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한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는 이동단말기를 통화모드에서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부와, 뇌파유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주파수 차이가 있는 스테레오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발생부와, 상기 스테레오 음향신호에 연동하여 점멸하는 광발생부와, 뇌파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자파를 출력하는 적외선통신부와, 상기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가 되면 상기 메모리의 뇌파유도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음발생부, 상기 광발생부 및 상기 적외선통신부 각각에 뇌파유도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BRAIN WAVE-INDUCING FUNCTION}
본 발명은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단말기의 기존 출력장치를 통해 적절한 뇌파를 유도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사용자의 두뇌상태를 최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한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뇌파란 뇌의 활동에 의해 일어나는 전류 또는 전위의 변동을 두피에 붙인 전극으로 끌어내어 기록한 것으로, 뇌의 상태에 따라 여러 종류의 뇌파가 발생한다. 뇌파의 측정을 통해 두뇌의 활동상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뇌파는 의학 또는 치료에 이용하거나 뇌기능과 관련된 연구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뇌파는 크게 다섯 가지의 종류로 분류된다.
- 델타파는 2-4Hz의 주파수를 갖는 뇌파로서, 깊은 수면이나 혼수상태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세타파는 4-8Hz의 주파수를 갖는 뇌파로서, 꾸벅꾸벅 졸거나 멍한 상태, 최면 상태, 잠들기 직전이나 잠이 가볍게 든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알파파는 8-13Hz의 주파수를 갖고 뇌파로서, 즐거울 때나 편안하게 쉴 때, 명상상태 등 심신이 안정적일 때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파파는 후두부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안정된 뇌파로서, 일명 안정파라고 한다.
- 베타파는 13-30Hz의 주파수를 갖는 뇌파로서, 긴장 상태에서 일을 처리하고 있을 때, 각성 상태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베타파는 전두부(이마)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며, 낮에 활동하고 있을 때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일명 활동파 또는 스트레스파라고 한다. 베타파 상태에서는 행동은 민첩하게 할 수 있어도 두뇌력은 저하되어 있어서 알파파의 상태에 비해 좋은 생각은 잘 떠오르지 않는다고 한다.
- 감마파는 30-50Hz의 주파수를 갖는 뇌파로서, 불안하거나 흥분 상태에 있을 때 주로 발생되는데, 정신이상자에게 나타나는 뇌파이기도 한다.
사람이 흥분이나 긴장처럼 높은 각성 수준에 있을수록 뇌에서는 주로 베타파가 나타나고, 각성 수준이 낮을수록 델타파 내지 세타파가 주로 나타난다. 그리고 적정수준의 각성 상태에서는 주로 알파파가 나타나게 되는데, 알파파가 나오는 두뇌 상태에서 인간의 기억력, 집중력 및 정보처리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각성상태가 높거나 낮기 때문에 뇌에서 계속적으로 알파파가 발생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알파파의 유도를 통해 인간의 두뇌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뇌파유도기가 개발되어 있다. 현재 시중에 엠시스퀘어라는 뇌파유도기가 판매되고 있는데, 이것은 시각과 청각의 자극을 통해 적절한 뇌파를 유도하여 스트레스와 긴장의 완화, 숙면 및 집중력 향상에 필요한 최적의 두뇌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뇌파유도기는 비교적 고가의 제품이고 사용을 위해서는 늘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이동단말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휴대 자체가 기본이므로, 만약 이동단말기에 뇌파유도기의 기능을 추가한다면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를 휴대하지 않아도 이동단말기를 통해 쉽게 뇌파유도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이동단말기의 사용에 있어서 여러 문제점들 중의 하나가 이동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뇌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인데, 뇌파유도기능의 첨가가 전자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 뇌의 최적 상태를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다고 한다면, 이동단말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기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이동단말기에 뇌파유도기능을 첨가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 없이도 쉽고 간편하게 뇌파유도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는 이동단말기를 통화모드에서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부와, 뇌파유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주파수 차이가 있는 스테레오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발생부와, 상기 스테레오 음향신호에 연동하여 점멸하는 광발생부와, 뇌파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자파를 출력하는 적외선통신부와, 상기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가 되면 상기 메모리의 뇌파유도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음발생부, 상기 광발생부 및 상기 적외선통신부 각각에 뇌파유도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는 이동단말기를 통화모드에서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부(10)와, 뇌파유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20)와, 주파수 차이가 있는 스테레오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발생부(40)와, 스테레오 음향신호에 연동하여 점멸하는 광발생부(50)와, 뇌파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자파를 출력하는 적외선통신부(60)와,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가 되면 메모리(20)의 뇌파유도정보를 처리하여 음발생부(40), 광발생부(50) 및 적외선통신부(60) 각각에 뇌파유도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MSM)(60)로 구성되어 있다.
모드변환부(10)는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조작을 통해 이동단말기를 일반 통화모드에서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로 변환시키는 부분이다.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로 변환되면 이동단말기가 뇌파유도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메모리(20)는 기존 뇌파유도기에 들어 있는 뇌파유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양측 귀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음향이 들리도록 제작된 음향 데이터 및 뇌파유도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실험적으로 주파수 30-1000Hz 사이에서 사람의 양측 귀에 일정한 주파수의 차이가 생기게 하여 소리를 들려주면 주파수 차이에 해당하는 뇌파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략 10Hz 정도의 주파수 차이가 나는 소리가 들리도록 스테레오 처리된 음향 데이터를 메모리(20)에 저장하게 되면, 그 음향 데이터를 통해 뇌로부터 알파파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0)는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가 되면 메모리(20)의 뇌파유도 프로그램에 따라 뇌파유도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데, 메모리(20)의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발생부(40)에 전송하고, 일정한 주기로 광의 점멸을 제어하는 신호를 광발생부(50)에 전송하고, 특정 주파수대역의 전자파를 생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적외선통신부(60)에 전송한다.
음발생부(40)는 제어부(30)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받아 이를 증폭하여 재생하고, 광발생부(50)는 제어부(30)의 신호에 따라 일정한 주기로 발광을 한다. 적외선통신부(60)는 온도보상형 발진기(TCXO)(미도시)를 구비하여 제어부(30)의 신호에 따라 두뇌상태를 최적으로 할 수 있는 뇌파의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일정한 주파수의 차이를 갖는 소리가 스피커 잭(1)에 연결된 이어폰(4)을 통해 사용자의 귀에 들리고,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는 빛이 LED(2)를 통해 표시되고, 뇌파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가 적외선포트(3)를 통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이동단말기의 기존 출력장치를 통해 적절한 뇌파를 유도하는 소리, 빛 그리고 뇌파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어서, 이동단말기의 변형 없이 용이하게 뇌파유도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통화모드에 있는 이동단말기를 뇌파유도기로 사용하기 위해서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 전환에 관련된 키를 누르게 되면, 모드전환부(10)에 의해 이동단말기가 뇌파유도신호 발생 모드로 전환된다. 사용자가 뇌파유도기능을 이용할 때 전화가 오면 뇌파유도를 방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에서는 이동단말기의 통화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단말기가 뇌파유도신호 발생 모드가 되면 제어부(30)는 메모리(20)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후 음발생부(40)에 보낸다. 음발생부(40)에서는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 잭(1)에 전달하고, 사용자는 스피커 잭(1)에 접속된 이어폰(4)을 통해 양측 귀에서 주파수 차이를 갖는 소리를 듣게 된다.
동시에 광발생부(50)에서는 제어부(20)의 신호에 따라 LED 등 광발생소자(2)를 통해 일정한 주기로 광을 점멸시키면서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여 뇌파의 유도를 촉진하고, 또한 적외선통신부(60)에서도 제어부(30)의 신호에 따라 온도보상형 발진기(TCXO)이용하여 적외선포트(3)를 통해 뇌파의 주파수(즉, 알파파의 주파수)를 발생시킴으로써 뇌파유도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이동단말기를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로 전환시키고 있는데, 이동단말기의 알람이 동작할 때 이동단말기가 자동으로 통화모드에서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 전환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침에 알람이 울릴 때 이동단말기가 자동으로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로 전환되어 뇌파유도기로 동작하게 되면, 사용자는 뇌파유도환경에서 최적의 두뇌상태를 가질 수 있어서 수면상태로부터 신속히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뇌파유도기의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장치를 휴대하지 않아도 이동단말기를 통해 쉽게 뇌파유도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이동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부정적인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단말기의 부가가치를 한 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모드 전환부 20 : 메모리
30 : 제어부(MSM) 40 : 음발생부
50 : 광발생부 60 : 적외선통신부

Claims (4)

  1. 이동단말기를 통화모드에서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부와,
    뇌파유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주파수 차이가 있는 스테레오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발생부와,
    상기 스테레오 음향신호에 연동하여 점멸하는 광발생부와,
    뇌파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자파를 출력하는 적외선통신부와,
    상기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가 되면 상기 메모리의 뇌파유도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음발생부, 상기 광발생부 및 상기 적외선통신부 각각에 뇌파유도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유도신호 발생모드에서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통화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통신부는 뇌파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온도보상형 발진기(TCX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알람이 동작하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자동으로 통화모드에서 뇌파유도 발생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020040044700A 2004-06-16 2004-06-16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KR20050119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700A KR20050119572A (ko) 2004-06-16 2004-06-16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700A KR20050119572A (ko) 2004-06-16 2004-06-16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572A true KR20050119572A (ko) 2005-12-21

Family

ID=3729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700A KR20050119572A (ko) 2004-06-16 2004-06-16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95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8099A (zh) * 2019-03-28 2019-05-21 哈尔滨盛世康虹生物技术有限公司 能够产生仿生人脑波的手机
CN112773377B (zh) * 2019-11-08 2024-01-23 杨智杰 脑波感测反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8099A (zh) * 2019-03-28 2019-05-21 哈尔滨盛世康虹生物技术有限公司 能够产生仿生人脑波的手机
CN112773377B (zh) * 2019-11-08 2024-01-23 杨智杰 脑波感测反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31212B (zh) 用于经皮振动的造波的系统和方法
US8692677B2 (en) Wake-up assisting apparatus and wake-up assisting method
CN108429970B (zh) 音频播放方法、装置、终端、耳机及可读存储介质
US11458279B2 (en) Sleep enhancement system and wearable device for use therewith
KR20190049442A (ko)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09013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472498A (zh) 医用智能睡眠耳机及其构成的睡眠监控系统和实现方法
KR20200074797A (ko) 졸음 방지 및 숙면 유도 헤어밴드
GB0126286D0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hysiological monitoring
KR101441820B1 (ko)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20130104978A (ko) 맞춤형 이명치료장치 및 이명환자 청각세포 자극 방법
CN113491837B (zh) 声音转换装置和声音转换系统
KR20200091261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수면 유도 방법
CN213129424U (zh) 头戴式助眠睡眠监测仪
KR20050119572A (ko) 뇌파유도기능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01044096B1 (ko) 꿈 기록 장치 및 그 기록 방법
US20190117933A1 (en) Devices amd methods for brain stimulation
KR20060007335A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인체 적응적 뇌파유도 장치 및 그 방법
CN114618066A (zh) 一种助眠控制系统及其助眠控制方法
CN212880558U (zh) 一种骨传导音乐助眠装置
RU2565652C1 (ru) Способ снятия аналоговых сигналов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слушающего при помощи наушников
KR102410399B1 (ko) 광 자극을 이용하여 뇌파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0497133B1 (ko) 암기력 자가 증진 트레이닝 시스템
JP74223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343391Y1 (ko) 뇌파유도신호 발생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